주거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거장은 자전거의 안전한 보관을 위해 설치되는 시설로, 1973년 일본에서 최초의 공영 주차장이 완공된 이후 자전거 이용 증가에 따라 설치가 확대되었다. 역 주변, 상업 시설, 집합 주택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며, 평면식, 층별식, 기계식, 노상 주차장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자전거 주차장은 지방 정부나 자치 단체, 또는 민간 기업에서 운영하며, 유료 또는 무료로 운영된다. 세계적으로 자전거 이용이 활발한 국가들을 중심으로 대규모 자전거 주차장이 운영되고 있으며, 자전거 수리, 렌탈 등의 서비스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통 시설 - 도심항공교통
도심항공교통(UAM)은 도시 내 인적, 물적 자원 운송을 위한 항공 시스템으로, 헬리콥터 에어 택시에서 시작해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로 발전 중이나, 비용, 소음, 안전, 인프라, 규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교통 시설 - 돌제부두
돌제부두는 선박이 정박하여 화물이나 승객을 싣고 내릴 수 있도록 바다나 강 위에 건설된 인공 구조물로, 산업 혁명과 관광 산업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춘 부두로 발전해왔으며, 지역 경제 활성화와 해양 관광 산업 발전에 기여한다. - 구축물 - 냉각탑
냉각탑은 산업 시설에서 열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며, 물의 증발, 공기 흐름, 열교환을 통해 작동하고 다양한 형식과 열 전달 방식에 따라 분류되며, 유지 관리와 환경적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 구축물 - 옹벽
옹벽은 토사의 안식각을 초과하는 지반 고도 변화에 대응하여 토압에 저항하도록 설계된 구조물이며, 재료, 구조, 시공 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고, 토압, 수압, 배수 등을 고려하여 관련 기준 및 정책에 따라 시공된다. - 주차 - 차고
차고는 자동차 산업 발전에 따라 등장하여 차량 보관뿐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건축 구조물이며, 주택 연결형, 독립형, 이동식 등 다양한 유형으로 존재한다. - 주차 - 주차 집행관
주차 집행관은 교통 혼잡 완화와 시민 안전을 위해 주차 법규 위반 차량을 단속하고 과태료를 부과하는 역할을 하는 사람으로, 국가별로 다양한 명칭과 권한을 가지며, 기술 발전에 따라 효율적인 단속이 이루어지고 일부 국가에서는 경범죄 단속 업무도 수행한다.
주거장 | |
---|---|
개요 | |
유형 | 자전거 주차 시설 |
목적 | 자전거 보관 및 관리 |
관련 법규 (일본) | 자전거 주차장 정비 사업에 관한 법률 |
특징 | |
기능 | 자전거 도난 방지 무단 방치 자전거 문제 해결 도시 미관 개선 |
종류 | 평면식 (노면, 고가) 입체식 (기계식, 지하) |
서비스 | 유료/무료 운영 자전거 수리 대여 |
문제점 | |
주요 문제 | 시설 부족 관리 소홀 무단 방치 자전거 증가 |
해결책 | |
주요 대책 | 주차장 정비 및 확충 관리 강화 자전거 이용 문화 개선 |
법적 근거 (일본) | |
법률 | 자전거 주차장 정비 사업에 관한 법률 |
목적 | 도시 교통 원활화, 공공 복리 증진 |
시설 종류 | |
일반형 | 노상 주차장 건물 부설 주차장 |
특수형 | 기계식 주차장 지하 주차장 고가 주차장 |
운영 방식 | |
유료 | 정기권, 시간제 요금 |
무료 | 공공 시설, 상업 시설 |
안전 대책 | |
주요 내용 | 감시 카메라 설치 잠금 장치 제공 관리 인력 배치 |
편의 시설 | |
주요 시설 | 자전거 수리대 공기 주입기 보관함 |
관련 용어 | |
주요 용어 | 자전거 주차 무단 방치 주차장 |
2. 역사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작성하지 않음)
2. 1. 일본의 역사
일본 최초의 공영 자전거 주차장은 1973년 도쿄도 에도가와구의 코이와역 고가 아래에 설치되었다.[43] 이후 일본 내 자전거 보유 대수는 2000년까지 꾸준히 증가했으며, 1970년대 후반부터는 도시 지역의 역 주변에 자전거가 넘쳐나는 현상이 사회 문제로 떠올랐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 정부는 1980년 '자전거의 안전 이용 촉진 및 자전거 주차장의 정비에 관한 법률'(통칭 구 자전거법)을 제정했고, 1994년에는 이를 개정한 '자전거의 안전 이용 촉진 및 자전거 등의 주차 대책의 종합적 추진에 관한 법률'(통칭 '''자전거법''')을 시행했다. 이 법률에 따라 각 시정촌(시구정촌)이 중심이 되어 역 주변 자전거 주차장 정비를 추진한 결과, 2009년 기준으로 일본 전국의 자전거 주차장 수용 능력은 약 432만 대로, 30년 전과 비교해 약 7배 증가했다.[44]
하지만 상점가와 같이 역 주변 시설에 인접한 주차장 정비는 상대적으로 더디게 진행되어 방치 자전거 문제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44] 또한 기존 주차장에 대해서도 이용자들은 "역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주차 공간이 좁거나 2단식 랙이어서 자전거를 넣고 빼기 어렵다", "고가 아래 등 어둡고 인적이 드문 곳에 위치해 방범상 불안하다", "이용 가능 시간이 짧아 야간에는 이용할 수 없다" 등의 불만을 제기하며 유료 요금 지불에 저항감을 보이기도 한다.[41]
현행 자전거법에 따르면, 시정촌은 조례를 통해 철도 사업자(역 운영 주체), 관공서, 학교, 백화점, 슈퍼마켓 등 대량의 주차 수요를 유발하는 시설 설치자에게 자전거 주차장 설치를 의무화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심부에서는 높은 지가로 인해 건설 용지 확보가 어렵고[45], 설령 건설하더라도 대규모 주차장은 1대당 연간 수만 엔에 달하는 운영비가 발생하는 등[46] 현실적인 어려움이 따른다. 2003년 도쿄도 토시마구에서는 철도 사업자에게 조례로 목적세를 부과하여 비용 부담을 요구하는 정책을 시도했으나, 해당 세금은 이후 폐지되었다.[47]
1977년경에는 일본 전국의 자전거 주차장 총 수용 대수(약 60만 대)보다 방치된 자전거 수(약 68만 대)가 더 많을 정도로 주차 공간 부족 문제가 심각했다.[44] 당시에는 문제를 빠르게 해결하기 위해 역에서 다소 거리가 있더라도 고가 아래와 같은 빈 땅에 주차장을 우선 건설했지만, 이용 편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도심이나 역 주변의 제한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지하식이나 기계식 주차장[48], 보도 일부를 활용한 노상 주차장 등 새로운 형태의 주차장이 등장하고 있다. 특히 2000년대 후반에는 규제 완화 조치로 역 광장 지하 등에 기계식 주차장 설치가 용이해졌다.[52]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자체에서는 주차장 유료화를 추진하는 등 이용자 부담을 늘리는 소극적인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어 우려의 목소리가 있다.
3. 설치 장소
자전거 주차장은 사람들이 많이 모이거나 자전거 이용 수요가 높은 다양한 장소에서 찾아볼 수 있다. 대표적인 설치 장소는 다음과 같다.
- 철도역 주변: 대중교통과의 연계를 위해 자전거를 이용하는 통근객이나 통학생들을 위한 주차 공간이 마련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주로 지방자치단체나 관련 공공기관에서 운영한다.[42]
- 상업 시설: 백화점, 마트, 쇼핑센터 등 방문객의 편의를 위해 자전거 주차장을 설치하며, 일본의 경우처럼 관련 법규나 조례를 통해 일정 규모 이상의 시설에 설치를 의무화하기도 한다.[49][42]
- 집합 주택: 아파트, 연립주택, 오피스텔 등 공동 주택 단지 내에 입주민을 위한 자전거 보관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일부 지역에서는 조례로 설치 기준을 정하기도 한다.[50]
이 외에도 공원, 관공서, 학교 등 공공장소나 다중이용시설에서도 자전거 주차장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3. 1. 철도역
역 주변의 자전거 주차장은 대부분 지방 공공 단체나 재단법인(예: 자전거 주차장 정비 센터, 자전거 보급 협회 등)이 관리하는 공영 자전거 주차장이다.[42] 공영 자전거 주차장에는 무료 주차장, 유료 주차장(정기 이용 또는 당일 이용), 이용 등록제 주차장 등이 있다. 일본 내각부의 조사에 따르면, 공영 유료 자전거 주차장의 요금은 월 25JPY에서 5000JPY 사이이며, 평균 요금은 월 1632JPY 수준이다.[42]3. 2. 상업 시설
일본에서는 일정 규모 이상의 소매점에 대해 자전거 주차장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점포 면적이 1000m2 이상인 경우 대규모 소매 점포 입지법의 적용을 받는다. 이 법의 운용 지침에 따르면, 점포는 부지 내에 이용객이 가장 많은 시간대(피크 타임)를 기준으로 필요한 만큼의 자전거 주차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49]. 기준으로 제시된 예시는 점포 면적 35m2당 1대이다.또한, 각 시정촌(일본의 기초자치단체 단위)에서 조례를 통해 더 엄격한 설치 기준을 적용하는 경우도 있다. 조례 내용은 지역마다 다르지만, 평균적으로는 면적 420m2 이상인 점포에 대해 21.6m2당 1대의 자전거 주차장 설치를 요구하고 있다[42]. 이를 계산하면, 대규모 소매 점포 입지법에 따라 1000m2 규모의 점포는 29대의 자전거 주차 공간을, 평균적인 조례에 따르면 420m2 규모의 점포는 19대의 자전거 주차 공간을 마련해야 하는 셈이다.
상업 시설의 자전거 주차장은 대부분 무료로 운영되지만, 최근에는 유료 코인 주차 방식을 도입하는 곳도 늘어나고 있다.
3. 3. 집합 주택
일부 지방 자치 단체에서는 원룸형 아파트를 포함한 집합 주택에도 자전거 주차장 설치를 의무화하는 조례를 두고 있다. 예를 들어 오사카시의 경우, 30세대 이상의 집합 주택을 대상으로 자전거 주차장 설치 기준을 정하고 있다. 해당 기준에 따르면 "원룸 형식 주호수 1호당 0.7대", "패밀리 형식 주호수 1호당 1대"의 비율로 자전거 주차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50]4. 설치 형식
자전거 주차장은 설치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대부분은 사용자가 직접 자전거 보관대에 자전거를 거치하는 수동식이지만, 자동 창고 시스템을 활용한 자동식 주차장도 존재한다.[4]
주요 설치 형식은 다음과 같다.
- '''평면식 주차장''': 지상에 평평하게 조성되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다.
- '''층별 주차장''': 건물의 여러 층이나 지하 공간을 활용하여 입체적으로 만든다.
- '''지하 주차장''': 층별 주차장의 일종으로, 지하 공간에 설치된다.
- '''기계식 주차장''': 기계 장치를 이용하여 자전거를 자동으로 보관하는 방식이다.
- '''노상 주차장''': 보도 등 도로의 일부 공간을 활용하여 설치한다.
과거 일본에서는 도시 지역의 방치 자전거 문제가 사회 문제로 대두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주차장 설치가 추진되었다.[43][44] 특히 도심부의 제한된 토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이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지하식이나 기계식[48], 노상 주차장 등 새로운 형태의 주차장이 등장하게 되었다.[52]
4. 1. 평면식 주차장
옥외의 빈터나 단층 건물 형태의 주차장을 말한다. 면적당 수용할 수 있는 차량 대수는 비교적 적은 편이지만, 이용자가 차량을 주차하기 위해 상하로 이동할 필요가 없고 빈 공간을 쉽게 찾을 수 있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오토바이와 같은 이륜자동차를 주차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엘리베이터 시설이 필요하지 않다. 특히 옥외에 설치하는 평면식 주차장은 건설 비용이 저렴하며, 건축법이나 소방법 등의 규제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워 용도가 제한된 지역에도 설치하기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51]
4. 2. 층별 주차장 (입체 주차장)
2층 이상이거나 지하에 설치되는 주차장을 의미한다. 터미널역과 같이 이용자가 많거나 토지가 좁은 곳에서 면적당 수용 가능한 자전거 대수를 늘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용자가 위아래로 이동해야 하고 빈 공간을 찾기 어렵다는 불편함이 있으며, 위층으로 갈수록 이용률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오토바이를 수용하려면 엘리베이터나 특수한 내화·소화 설비가 필요해 건설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도 있다.[51] 고가 하부나 보행자 데크의 일부를 활용하기도 하며, 정기 이용자와 일시 이용자를 층별로 나누어 운영하는 경우도 있다.4. 3. 지하 주차장
층별 주차장의 일종으로, 토지 확보가 어려운 경우에 효과를 발휘한다.[51] 그러나 건설비나 유지 관리비가 높다는 점과, 점용 허가가 필요하여 민간에서는 설치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51] 지하철의 부설에 맞춰 만들어지는 경우도 있다.[51]4. 4. 기계식 주차장
기계식 주차장은 흔히 타워 주차장으로 불리는 자동차용 주차 시설의 자전거 버전이다. 자전거를 입구에 넣으면 타워 내부의 비어있는 주차 공간으로 자동으로 옮겨져 보관된다. 최근에는 지하 공간에 자전거를 보관하는 지하 격납식 타입도 등장하고 있다.자전거를 보관하는 방식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엘리베이터 슬라이드 방식'''은 자전거를 엘리베이터로 위아래로 이동시켜 선반에 보관하는 방식이다. '''랙 현가 방식'''은 천장에 자전거를 매달아 보관하며, '''회전목마 방식'''은 자전거를 실은 선반이 회전목마처럼 원형으로 움직이며 보관한다.[52] 또한, 위아래 수직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관하는 방식도 있다.[48]
기계식 주차장은 좁은 공간에 많은 자전거를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어 토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전거가 내부에 보관되므로 도난이나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며, 사용자가 직접 자전거를 옮길 필요 없이 편리하게 넣고 뺄 수 있다. 관리 인력을 줄이거나 무인으로 운영하는 것도 가능하며[52], 경우에 따라 소방 설비를 간소화할 수 있다는 점도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초기 건설 비용이 많이 들고, 아직 실제 운영 사례가 많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타이어 폭이나 자전거 크기 등에 제한이 있어 정해진 규격에 맞지 않는 자전거는 이용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51]
4. 5. 노상 주차장
일정 폭 이상의 보도 위나 횡단보도교 아래 등 도로의 일부 또는 사용하지 않는 공간을 활용하여 만든 주차장을 말한다. 2005년 도로 시행령 개정에 따른 규제 완화로 설치가 가능해졌다.[51] 법적으로는 '도로의 부속물'로 취급되며, 도시 계획 도로의 일부로 포함하여 만들 수도 있다. 2007년부터는 도로 관리자 이외의 공공 단체나 민간 사업자도 정비할 수 있게 되었다.5. 설비
자전거 주차장에는 이용자의 편의를 증진하고 공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설비가 갖추어져 있다. 대표적인 설비로는 악천후로부터 자전거를 보호하는 상옥[52], 제한된 공간에 더 많은 자전거를 주차할 수 있게 하는 사이클 랙, 다층 구조 주차장에서 층간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승강 설비[51], 그리고 자동화된 요금 정산 시스템을 갖춘 코인 주차장[53] 등이 있다. 이러한 설비들은 주차장의 입지 조건, 규모, 운영 방식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 및 조합되어 설치된다.
5. 1. 상옥(上屋)
가장 단순한 형태의 평평한 옥외 주차장은 빈터에 자갈만 깔아 놓은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보다 발전된 형태로, 바닥을 콘크리트로 포장하고 기둥과 지붕만 설치하여 비, 바람, 햇빛 등을 막을 수 있도록 한 구조물이 있는데, 이를 상옥(上屋)이라고 부른다. 벽이 없는 것이 특징이며, '사이클 포트'라고도 불린다.[52]5. 2. 사이클 랙
자전거를 거치하는 받침대를 말한다. 상하 2단으로 주차할 수 있는 '''2단식'''이나, 랙을 옆으로 밀어서 주차 공간을 만드는 '''슬라이드식''' (평면식·평치식, 단차식)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이러한 방식은 제한된 면적에 더 많은 자전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주로 사람이 직접 자전거를 밀어서 주차하는 '''자주식''' 주차장에 설치된다.5. 3. 승강 설비

층별 주차장에서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를 밀고 다니며 상하층으로 오르내리기 위한 설비이다. 경사로, 경사로가 있는 계단, 반송 컨베이어가 설치된 계단, 오토바이용 엘리베이터 등이 있다[51].
5. 4. 코인 주차장
자동차 코인 주차장과 유사한 방식으로 운영되는 자전거 주차장이다.[53] 자전거를 랙에 주차하면 앞바퀴가 전자적으로 잠기고, 요금을 지불한 후에 자전거를 꺼낼 수 있는 후불 방식이다.[53] 비교적 규모가 작아 보도 등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완전 자동화된 기계 장치로 운영되므로 24시간 무인 운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설치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53]정산기에서는 동전뿐만 아니라 설치 장소에 따라 지폐, 교통계 IC 카드와 같은 전자 화폐, 또는 전용 코인 등 다양한 결제 수단을 지원한다.[53] 예를 들어, 특정 시설 이용객(학생이나 쇼핑객 등)에게만 전용 코인을 제공하여 특정 고객층을 위한 서비스로 활용할 수도 있다.[53] 또한, 컴퓨터 제어를 통해 짧은 시간 동안 이용하는 근린 쇼핑객 등에게는 일정 시간 무료로 개방하고, 장시간 주차하는 경우에만 요금을 부과하는 방식으로 운영할 수도 있다.[53] 대형 할인점이나 상점가 등 상업 시설에서도 도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53]
6. 방범
자전거 도난은 2010년 기준으로 일본에서 연간 약 37만 건 발생하며, 이 중 약 절반(47%)이 자전거 보관소에서 일어난다.[54] 아이치현 경찰은 자전거 도난 예방을 위해 자전거를 보관할 때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춘 장소를 선택하도록 권고하고 있다.[55]
- 사람들의 눈에 잘 띄고 시야가 확보된 곳
- 조명 시설이 잘 갖춰진 곳
- 방범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고 잘 정돈된 곳
또한, 튼튼한 자물쇠를 사용하고 이중으로 잠그는 것(복수 잠금)이 도난 피해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고 한다. 일부 지역 경찰(아이치현 경찰, 지바현 경찰)에서는 '자전거 도난이 자주 발생하는 자전거 보관소' 목록을 발표하여 이용자들의 주의를 당부하기도 한다.
7. 원동기 부착 자전거의 취급
"자전거 등 주차장"에서 법률이 정하는 원동기 부착 자전거는 도로교통법에 따른 것('''50cc 이하의 이륜차''' 등)을 의미한다. 그러나 일부 지방 자치 단체나 민간이 운영하는 주륜장에서는 자체적으로 시설 내 정비를 통해 도로 운송 차량법에 따른 원동기 부착 자전거('''125cc 이하의 이륜차''' 등)의 주차를 허용하는 곳도 있다.
2006년부터는 50cc를 초과하는 자동 이륜차에 대해서는 주차장법의 적용을 받도록 규정되어 있다.
과거에는 원동기 부착 자전거가 오토 레이스를 운영하던 일본 소형 자동차 진흥회의 소관이었기 때문에, 경륜의 보조금으로 조성된 주륜장 중에는 원동기 부착 자전거의 이용이 불가능한 곳도 있었다. 이 문제는 2008년 일본 자전거 진흥회와 일본 소형 자동차 진흥회가 JKA로 통합되어 보조 사업이 일원화되면서 해소되었다.
8. 운영 및 서비스
자전거 주차장은 지방 정부나 지방 자치 단체에서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자전거 가게나 비영리 자전거 옹호 단체에서 운영하는 사기업 형태일 수도 있다.[3]
8. 1. 유형
자전거 주차장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대부분의 자전거 주차장은 수동식으로 운영된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시설 내 자전거 보관대에 자전거를 직접 보관한다. 이러한 시설은 대개 지붕이 있거나 실내에 위치하지만, 지붕이 없는 실외 시설도 존재한다.
일부 시설은 완전 자동화되어 운영되기도 한다.[3] 자동 자전거 주차장은 자동 창고 시스템을 활용한 지하 사일로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4]
8. 2. 서비스
주거장에서는 도난 방지를 위해 현장 보안 인력을 배치하거나, 열쇠 또는 근접 카드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을 운영하는 등 다양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샤워실, 사물함, 탈의실 등의 시설을 갖춘 곳도 있다. 또한, 화장실과 음수대가 마련되어 있으며, 자동 판매기를 통해 간단한 음식이나 음료를 구매할 수도 있다.자전거 안전에 관한 안내 책자나 지도, 주변 자전거 경로 또는 인근 명소 정보와 같은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기도 한다. 일부 주거장에서는 자전거 정비 방법이나 지역 정보 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도 한다.
몇몇 주거장에는 직원이 상주하며 유료로 간단하거나 복잡한 자전거 수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출근길에 자전거를 맡기고 퇴근길에 수리된 자전거를 찾아갈 수 있어 통근자에게 편리하다. 수리 서비스 유무와 관계없이 자전거 부품 및 액세서리 판매, 공기 주입기 이용, 자전거 대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8. 3. 가격 책정
자전거 주차장의 가격 책정 방식은 주로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나뉜다.- '''이용자 부담 서비스''': 이용자가 주차 요금을 직접 지불하는 방식이다. 보통 일일, 주간, 월간 요금제 또는 정기 회원권 형태로 이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비회원도 주간 요금을 내고 이용할 수 있다.
- '''무료 서비스''': 이용자는 요금을 내지 않는다. 운영 비용은 일반적으로 지방 자치 단체, 지방 정부 또는 시설 운영 회사(예: 기차역에 위치한 주차 시설)에서 전액 부담한다.
- '''혼합 시스템''': 이용자가 관리비 명목 등으로 소액의 요금을 부담하지만, 운영 비용의 대부분은 다른 주체가 지원하는 방식이다.
9. 설치 비용
자전거 주차장의 설치 비용은 시설의 규모, 형태, 위치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세계 각국에는 다음과 같이 다양한 규모와 특징을 가진 자전거 주차 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는 설치 비용의 차이를 짐작하게 한다.
-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중앙역에 위치한 '스테이션스플레인'(Stationsplein|스테이션스플레인nl)은 12,500대의 자전거를 수용할 수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의 자전거 주차장이다.[33] 위트레흐트 중앙역 인근에는 총 약 33,000대의 자전거를 주차할 수 있는 약 20개의 시설이 집중되어 있다.[34]
- 호주 브리즈번의 킹 조지 스퀘어 버스웨이 역에 있는 '킹 조지 스퀘어 사이클 센터'는 420대를 수용할 수 있으며, 샤워 시설, 사물함, 자전거 정비 및 드라이 클리닝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13]
- 독일 뮌스터 기차역의 '라트스테이션'(Radstation|라트스테이션de)은 3,300대의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는 대규모 시설이다.[17]
- 미국에서는 워싱턴 D.C.를 비롯한 여러 도시에 'Bikestation'이라는 이름의 자전거 보관소가 설치되어 운영 중이다.
10. 세계의 자전거 주차장
자전거 이용이 활발한 유럽에서는 도로 위에 설치된 노상 주차장이 많으며, 이용자의 편의를 위해 앞바퀴를 고정하는 수직 또는 역 U자형 폴이나 랙 형태의 주륜 기구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기차역 주변이나 역 건물과 통합된 대규모 주차장이 단순 주차 기능 외에 수리, 판매, 렌탈 등의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자전거 서비스 스테이션"으로 운영되기도 한다.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서는 1996년부터 "자전거 스테이션(Radstation|라트스타치온de)"이라는 이름으로, 철도역과 직접 연결된 118곳의 대규모 주차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뮌스터의 중앙역 앞에 있는 "자전거 스테이션"은 이 계획의 첫 번째 결과물로, 1999년 역 앞 광장 지하에 문을 열었다. 3,300대의 자전거를 수용할 수 있어 독일 최대 규모이며, 자전거 수리·렌탈·판매 등의 부대 시설도 갖추고 있다. 지하에 있지만 유리 지붕을 통해 채광하여 밝은 분위기를 유지하고 방범 효과도 높였다.[56]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서는 주차장을 역 구내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역에서 떨어져 있더라도 200m 이내에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57]
네덜란드 위트레흐트에서는 기차역의 플랫폼 아래 공간을 활용하여 역 구내 지하 통로와 바로 연결되는 자전거 주차장을 설치했다. 총 7,000대를 수용할 수 있는 대규모 시설이며, 자전거 수리를 담당하는 관리인이 상주하고 있다.[58]
참조
[1]
웹사이트
Finally fully open: Utrecht's huge bicycle parking garage
https://bicycledutch[...]
2019-08-19
[2]
웹사이트
Bicycle parking Stationsplein {{!}} Gemeente Utrecht
https://www.utrecht.[...]
2020-12-01
[3]
뉴스
A closer look inside Tokyo's underground bicycle parking
http://globalnews.ca[...]
2013-12-04
[4]
웹사이트
JFE CYCLE TREE: Multi-level Mechanical Bicycle Parking System
http://www.jfe-eng.c[...]
2009-11-09
[5]
Webarchive
Free Wheelin'
http://www.archpaper[...]
2010-01-15
[6]
문서
Queensland Transport Cycle Network Program: Completed Projects
http://www.transport[...]
2010-05-11
[7]
뉴스
Dutch take cycling to a new level, with world's biggest multistorey bike park
https://www.theguard[...]
2019-08-19
[8]
Webarchive
Australian Cyclist magazine
http://www.australia[...]
2010-09-23
[9]
웹사이트
Annals of Cycling – 55
http://pricetags.wor[...]
2012-05-04
[10]
웹사이트
Parkiteer opens its 150th facility
https://bicyclenetwo[...]
2024-10-24
[11]
웹사이트
Registration and Locations
http://www.bicyclene[...]
Bicycle Network Victoria
[12]
웹사이트
Locations
https://parkiteer.co[...]
2024-12-13
[13]
문서
cycle2city
http://www.cycle2cit[...]
2010-05-11
[14]
문서
RBWH Cycle Centre
http://www.health.ql[...]
2010-05-11
[15]
문서
Fiets
http://www.projectge[...]
Project Gent Sint-Pieters
2020-01-28
[16]
Webarchive
City of Düren/ Fahrradparkhaus
https://www.dueren.d[...]
2011-06-15
[17]
문서
Wir werden weiter wachsen
https://www.radstati[...]
Radstation.de
2020-01-28
[18]
웹사이트
Bouw ondergrondse fietsenstalling bij Amsterdam CS gestart - architectenweb.nl
https://architectenw[...]
2020-07-01
[19]
웹사이트
IJboulevard: ondergrondse fietsenstalling en wandelgebied
https://www.amsterda[...]
2021-12-23
[20]
웹사이트
wUrck architectuur stedenbouw landschap bv {{!}} Fietsparkeergarage Strawinskylaan - architectenweb.nl
https://architectenw[...]
2020-07-01
[21]
웹사이트
Fietsenstalling Leidseplein, Amsterdam
http://www.zja.nl/nl[...]
2021-08-30
[22]
웹사이트
Fiets stallen station Delft {{!}} Gemeente Delft
https://www.delft.nl[...]
2020-11-25
[23]
웹사이트
Deventer neemt nieuwe ondergrondse fietsenstalling bij station in gebruik
https://www.rtvoost.[...]
2015-12-16
[24]
웹사이트
Nieuw station Ede-Wageningen ontvangt eerste reizigers
https://nieuws.ns.nl[...]
2024-02-27
[25]
웹사이트
Stadsbalkon
https://groningenfie[...]
2020-11-25
[26]
웹사이트
Fietsparkeren
https://www.groninge[...]
2021-12-23
[27]
웹사이트
ProRail - Ondergrondse fietsenstalling Maastricht geopend
https://www.prorail.[...]
2020-11-25
[28]
웹사이트
Fiets stallen {{!}} Gemeente Nijmegen
https://www.nijmegen[...]
2020-11-25
[29]
웹사이트
Fietsenstalling Centraal station {{!}} Rotterdam.nl
https://www.rotterda[...]
2020-07-01
[30]
웹사이트
Megafietsenstalling bij Den Haag Centraal na coronacrisis eindelijk open
https://www.omroepwe[...]
2020-07-01
[31]
웹사이트
Nieuwe fietsenstalling station Tilburg noordzijde is open
https://nieuws.ns.nl[...]
2020-11-25
[32]
웹사이트
ProRail - Hypermoderne fietsenstalling station Tilburg geopend
https://www.prorail.[...]
2020-11-25
[33]
문서
Utrecht to build world's biggest bike park - for 12,500 bikes
http://www.dutchnews[...]
DutchNews.nl
2014-04-27
[34]
문서
Finally fully open: Utrecht's huge bicycle parking garage
https://bicycledutch[...]
Bicycle Dutch
2019-08-20
[35]
웹사이트
ProRail - Nieuwe fietsenstalling Jaarbeursplein Utrecht geopend
https://www.prorail.[...]
2020-07-01
[36]
웹사이트
Dit is de nieuwe Knoop-stalling met 3200 fietsenrekken in Utrecht
https://www.nu.nl/ut[...]
2020-07-01
[37]
웹사이트
Bouw fietsenstalling, herinrichting Stationsplein en Stationsweg {{!}} Gemeente Zwolle
https://www.zwolle.n[...]
2020-11-25
[38]
웹사이트
Biceberg photo gallery
http://www.biceberg.[...]
[39]
웹사이트
Cycle parking
https://www.camcycle[...]
2022-06-06
[40]
웹사이트
Bike Parking
https://www.translin[...]
2020-06-20
[41]
웹사이트
駅前自転車駐車総合対策マニュアル
http://www.jitensha.[...]
財団法人自転車駐車場整備センター
2012-07-31
[42]
웹사이트
平成21年度 駅周辺における放置自転車等の実態調査結果について
http://www.cross-roa[...]
内閣府
2012-07-30
[43]
웹사이트
財団の沿革と事業内容
http://www.bpaj.or.j[...]
日本自転車普及協会
2012-08-04
[44]
웹사이트
自転車駐車場整備の新たな展開について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都市・地域整備局街路交通施設課
2012-07-31
[45]
웹사이트
중앙区自転車利用のあり方 第一章 第二章
http://www.city.chuo[...]
中央区
2012-08-01
[46]
웹사이트
平成19年度 江戸川区「行政評価」事務事業分析シート 総合自転車対策(区内8駅)
http://www.city.edog[...]
江戸川区
2012-08-02
[47]
웹사이트
放置自転車等対策推進税 (平成18年7月10日廃止)
http://www.city.tosh[...]
豊島区
2012-08-01
[48]
웹사이트
立体式駐輪場『サイクルツリー』実績のご紹介
http://www.jfe-eng.c[...]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2012-08-04
[49]
웹사이트
大規模小売店舗を設置する者が配慮すべき事項に関する指針
https://www.meti.go.[...]
経済産業省
2012-08-06
[50]
웹사이트
大阪市自転車駐車場の附置等に関する条例
https://www.city.osa[...]
大阪市
2012-08-06
[51]
웹사이트
自転車等駐輪場設置技術の手引き検討調査報告書
http://www.jitensha.[...]
財団法人 自転車駐車場整備センター
2012-08-04
[52]
웹사이트
最近の自転車・自動二輪車の駐車場 及び指針同解説について
http://www.road.or.j[...]
国土交通省 道路局
2012-08-04
[53]
웹사이트
自転車駐車場関係 CCP(駐輪場)事業
http://www.ccpi-net.[...]
特定非営利活動法人 駐輪・駐車場情報センター
2012-08-05
[54]
웹사이트
平成22年の犯罪情勢
http://www.npa.go.jp[...]
警察庁
2012-08-04
[55]
웹사이트
自転車盗難の実態と対策 「駐輪場」編
http://www.pref.aich[...]
愛知県警察
2012-08-04
[56]
간행물
港区サーベイブック4 : 自転車に乗りたくなるまち : 自転車先進都市への転換
森記念財団
[57]
서적
自転車市民権宣言 : 「都市交通」の新たなステージへ
リサイクル文化社
2005
[58]
뉴스
ここまで進んだ欧州の脱クルマ
日本経済新聞
1998-06-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