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기 (그릇)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기(그릇)는 술을 마시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그릇을 의미한다. 동아시아에서는 청동기 시대부터 술을 담는 그릇이 사용되었으며, 한국에서는 막걸리나 동동주를 마실 때 도자기로 만든 대접이나 바가지를 사용했다. 일본에서는 도쿠리, 초코, 사카즈키 등 다양한 술잔이 존재하며, 각각의 명칭과 용도가 다르다. 서양에서는 와인, 맥주, 칵테일 등 술의 종류에 따라 특화된 잔이 발달했다. 술잔은 문화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술을 마시는 행위와 관련된 다양한 의식과 문화를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주 - 아마자케
아마자케는 쌀, 쌀누룩, 술지게미 등을 발효시켜 만든 일본의 전통 음료로, 고분 시대부터 존재하며, 쌀누룩 또는 술지게미를 사용해 제조하고, 비타민과 아미노산 등 다양한 영양 성분을 함유한다. - 일본주 - 도부로쿠
도부로쿠는 쌀, 쌀 누룩, 물을 발효시켜 거르지 않고 만든 일본 전통 탁주로, 자가 제조 금지 시기를 거쳐 현재는 지역 특구를 중심으로 제조 및 판매되며 전통 식문화로 자리 잡았다. - 잔 - 종이컵
종이컵은 음료를 담는 일회용 컵으로, 위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세기 초에 개발되었으며, 형태, 용도, 재질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고, 친환경 종이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 잔 - 찻잔
찻잔은 차를 마시는 데 사용되는 용기로, 중국에서 유래하여 다양한 형태와 디자인으로 발전해 왔으며, 차의 맛과 향, 온도 유지에 영향을 미치고 문화적 상징으로도 사용된다. - 그릇 - 토기
토기는 점토를 구워 만든 그릇으로, 일본에서는 구움 정도에 따라 도자기, 자기와 구분되며 인류 최초의 화학적 변화 응용 사례로 식생활과 문화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다원설이 유력한 발상지와 일본 열도 1만 6500년 전 토기 발견이 특징이며, 일본어 관점에서 정의, 역사, 제작 과정, 용도, 세계 각지 토기 문화를 설명한다. - 그릇 - 항아리
항아리는 물건을 담아 저장하는 둥글고 배부른 그릇으로, 전통적으로 옹기가 많았으나 현대에는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한국에서는 발효식품 보관에, 서양에서는 식품 저장, 과학 실험, 장식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인다.
주기 (그릇) | |
---|---|
술잔 | |
![]() | |
종류 | |
명칭 | 술잔, 사케 세트, 주기 |
로마자 표기 | Jugi |
일본어 표기 | 酒器 (しゅき) Shuki |
용도 | 사케를 마시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도구 |
구성 요소 | |
도쿠리 (徳利) | 사케를 담는 병. 일반적으로 좁은 목과 둥근 몸체를 가짐. 다양한 크기와 재질이 존재. |
돗쿠리 (徳利) 로마자 표기 | Tokkuri |
돗쿠리 (徳利) 설명 | 술을 데우거나 차갑게 보관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 |
오초코 (お猪口) / 구이노미 (ぐい呑み) | 사케를 마시는 데 사용되는 작은 잔. |
오초코 (お猪口) / 구이노미 (ぐい呑み) 로마자 표기 | Ochoko / Guinomi |
카타구치 (片口) | 술을 담아 따르는 데 사용되는 주둥이가 달린 용기. |
카타구치 (片口) 로마자 표기 | Katakuchi |
마스 (枡) | 전통적으로 사케를 마시는 데 사용되는 나무 상자. |
마스 (枡) 로마자 표기 | Masu |
조시 (銚子) | 데운 사케를 담는 데 사용되는 손잡이가 달린 주전자. |
조시 (銚子) 로마자 표기 | Chōshi |
히레자케 (鰭酒) 용 도구 | 특히 복어 지느러미를 넣은 뜨거운 사케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특별한 세트. |
분카 하이 (文化杯) | 사케 감정가가 사용하는 특별한 유리잔. |
분카 하이 (文化杯) 로마자 표기 | Bunka Hai |
재료 | |
재질 | 도자기, 유리, 나무 (옻칠 포함), 금속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됨. |
재료 설명 | 재료에 따라 술의 맛과 향에 미묘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여겨짐. |
기타 | |
관련 문화 | 사케를 마시는 방법과 예절은 일본 문화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술잔은 이러한 경험에 중요한 역할을 함. |
디자인 | 다양한 디자인과 스타일의 술잔이 존재하며, 수집품으로서의 가치도 있음. |
2. 동아시아
동아시아 지역은 술잔 문화가 특히 발달한 곳으로, 각 나라마다 독특한 술잔의 형태와 사용 방식이 존재한다.
한국에서는 막걸리나 동동주를 마실 때 도자기로 만든 대접 모양의 단지와 표주박을 쪼개 만든 바가지를 사용한다. 바가지로 술을 떠서 사발에 따라 마신다. 막걸리집(대폿집)에서는 찌그러진 황동 주전자에 막걸리를 담아내는 것이 복고풍 정취를 느끼게 한다.[12][13]
일본에서는 사케를 마실 때 다양한 종류의 잔을 사용한다. 과거에는 마스라는 나무 상자 계량컵으로 술을 판매하고 마셨는데[7], 1홉(180ml)의 부피를 가지며 마시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현대에는 옻칠을 하거나 ABS 플라스틱으로 만든 마스를 사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사케는 오초코(猪口|초코일본어)라고 불리는 작은 원통형 용기에 담아 마시지만, 사카즈키와 같이 특별한 의식에 사용되는 잔도 있다.
중국에서는 은허 등 청동기 시대 유적에서 청동기로 만든 술그릇이 발견되었다. 훈공의 크기에 따라 술그릇(작)의 크기가 달랐으며, 이는 작위의 어원이 되었다고 한다.[11]
2. 1. 일본
일본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술잔이 사용되며, 각각 다른 명칭과 용도를 가지고 있다.- 도쿠리(徳利): 병의 일종으로, 일반적으로 목이 좁고 둥그스름한 형태를 띠며, 따뜻한 사케를 담는 데 사용된다.[1][2][3][4] 오뎅 바와 료테이 같은 정통적인 장소에서는 사케를 데워서 치로리(銚釐) 또는 탄포(湯婆)라고 하는 금속 용기에 담아 제공하기도 한다.[5] 최근에는 사케를 차갑게 하기 위해 유리 치로리를 사용하기도 한다.[6]
- 초코(猪口): 도쿠리에서 술을 받아 마시는 작은 술잔으로, 에도 시대에는 연회에서 좌석이 풀어지면 초코로 바꿔 사용했다고 한다.
- 사카즈키(杯): 잔을 나누거나 받는 행위는 인간관계, 명예, 격식 등과 관련된 문화적 현상을 나타낸다. 에도 시대 후기에는 도자기 잔도 사용되었다.
- 조시(銚子): 데운 술을 옮겨 담는 술그릇으로, 시대에 따라 소형화되었다. 현대에는 도쿠리와 거의 같은 용도로 사용되지만, 에도 시대에는 별개의 것으로 취급되었다.
- 구이노미(ぐい呑み): 오초코보다 큰 사이즈의 술잔을 가리킨다.
- 마스(枡): 나무로 만든 사각형 잔으로, 1홉(180ml)의 술을 담을 수 있다.[7] 과거에는 나무통에서 양조된 술을 보완한다고 여겨졌으나, 현대에는 술의 맛에 영향을 미쳐 기피되기도 한다. 현재는 옻칠 제품이나 ABS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의식용이나 관대함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된다.
- 기타: 가타쿠치(片口), 헤이시(瓶子), 가와라케(土器), 쓰노다루(角樽), 사시다루(差樽), 칸나베(燗鍋), 아쓰칸기(燗器), 상(膳), 치로리(銚釐), 탄포(湯婆), 콘프라 병(コンプラ瓶), 하이센(杯洗) 등 다양한 술잔과 관련 도구가 존재한다.





2. 2. 중국
중국의 고대 유물로는 은허 등 청동기 시대의 청동기 제 술그릇이 잘 알려져 있다. 훈공의 크기에 따라 술그릇(작)의 크기가 달라졌으며, 작위의 어원이 되었다고 한다.[11]
3. 서양
서양에서는 와인, 맥주, 칵테일 등 다양한 술에 따라 특화된 잔이 발달하였다.
- 디캔터: 와인을 디캔팅할 때 사용되는 용기이다.
- 와인 잔: 포도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셰리 잔, 샴페인 잔(플루트 글라스, 쿠페 글라스) 등이 있다.
- 맥주 잔: 맥주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맥주 머그, 비어 텀블러, 파인트 글라스, 피처, 탱커드 등이 있다.
- 칵테일 글라스: 칵테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있다.
- 샷 글라스: 주로 독한 술을 스트레이트로 마시는 데 사용되는 작은 잔이다.
- 기타: 스키틀, 성작, 리톤, 암포라, Schooner (glass)|스쿠너 글라스|영어, 글렌캐런 위스키 잔, Hurricane glass|허리케인 글라스|영어, Beaker (archaeology)|비커|영어 등 다양한 술잔이 존재한다.[14]





4. 술잔의 문화적 의미
술잔은 단순한 음주 도구를 넘어,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술잔을 나누는 행위는 인간관계, 예절, 신분 등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여겨졌다.
; 일본
: "잔을 나누다", "잔을 받다"와 같은 표현이 있듯이, 일본 문화에서 '''잔'''은 단순히 술을 마시는 용기일 뿐만 아니라, 인간관계, 명예, 격식 등 다양한 문화적 현상과 관련된 복잡한 매체이다. 오늘날 우리가 상상하는 것은 "칠기 잔"이지만, 에도 시대 후기에는 도자기 잔도 사용되었다.
; 한국
: 한국에서는 막걸리나 동동주 용으로 도자기로 만든 대접 모양의 단지와 표주박을 쪼개서 만들거나 이를 본뜬 바가지(파가지, :ko:바가지)로 떠서 사발(사발|沙鉢한국어)에 따른다. 막걸리집(대폿집,막걸리집한국어)에서는 울퉁불퉁하게 찌그러진 황동으로 만든 주전자로 막걸리를 내는 것이 싸구려 술집 특유의 복고풍 정취를 자아낸다고 한다.[12][13]。
; 서양
: 서양에서도 술잔은 종교 의식, 사교 모임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참조
[1]
서적
Chirori
https://books.google[...]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Press (Shanghai)
1867
[2]
웹사이트
銚釐
http://kotobank.jp/w[...]
2010-12-22
[3]
웹사이트
お燗グッズ 本格派錫製ちろり
http://www.meimonshu[...]
2010-12-22
[4]
간행물
Some Thoughts on the Ken Game in Japan: From the Viewpoint of Comparative Civilization Studies
http://ir.minpaku.ac[...]
[5]
웹사이트
湯婆
http://kotobank.jp/w[...]
2010-12-22
[6]
웹사이트
ちろり
http://www.dewazakur[...]
2010-12-22
[7]
웹사이트
枡酒
http://dic.search.ya[...]
2010-12-22
[8]
웹사이트
酒器
https://kotobank.jp/[...]
2011-01-18
[9]
웹사이트
酒器
https://www.weblio.j[...]
2011-01-18
[10]
문서
神社有職故実
神社本庁
1951-07-15
[11]
서적
徳利と盃
保育社
[12]
뉴스
추억이 묻어나는 감성 공간! 옛날 대폿집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06-11-02
[13]
뉴스
옛날 대폿집 VS 퓨전 대폿집
http://magazine.lott[...]
롯데백화점
2008-10-06
[14]
논문
Cups That Cheered: The Introduction of Alcohol to Prehistoric Europe
BAR Int. Series 287, Oxfor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