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해양생물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해양 생물학은 해양 환경에 서식하는 생물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생물 해양학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해양 생물학은 해양 서식지, 해양 생물, 해양 생물학의 세부 분야, 해양 생물학의 역사, 해양 생물 분포 요인, 관련 학과, 관련 용어 등으로 구성된다. 해양 생물은 미생물, 식물, 조류, 무척추동물, 척추동물 등 매우 다양하며, 해양 생물학은 생물학, 해양학, 생태학, 수산 과학, 해양 보존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 연관되어 있다. 해양 생물학 연구는 아리스토텔레스 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HMS 비글호의 항해, HMS 챌린저호의 탐험 등 대항해 시대를 거치며 발전해왔다. 최근에는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해양 생물의 생활사를 추적하고, 해양 환경 변화가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등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산학 - 바다눈
    바다눈은 해양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유기물과 무기물 입자들의 응집체로서, 탄소 순환 펌프 역할을 하고 심해 생물의 식량 자원이 되며 해양 생태계의 건강과 안정성에 기여한다.
  • 수산학 - 수온약층
    수온약층은 해양과 호수에서 나타나는 수심에 따른 수온의 급격한 변화층으로, 해양 생물 분포, 영양분 순환, 용존 산소 농도에 영향을 주고 음파 전파 특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대기 중 역전층과 유사한 현상이다.
  • 해양생물학 - 댓잎장어
    댓잎장어는 뱀장어목 어류의 유생인 렙토세팔루스를 의미하며, 측면으로 압착된 투명한 몸체와 긴 유생 기간, 해양 스노우를 먹는 특징을 보이며,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해역에 분포한다.
  • 해양생물학 - 조수 웅덩이
    조수 웅덩이는 물의 흐름, 침식 작용 등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되며, 크기와 위치에 따라 환경 변화가 심하고,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하며, 생태 관찰, 어업 등에 이용된다.
  • 생물학에 관한 - 해부학
    해부학은 생물체의 구조와 구성 요소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육안 해부학과 현미경 해부학으로 나뉘며, 인체 해부학 외에도 동물, 식물, 미술 해부학 등 다양한 분야가 존재한다.
  • 생물학에 관한 - 죽음
    죽음은 생명 활동의 영구적 종식으로 의학, 법, 사회, 종교, 심리, 생물학 등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되며, 전통적인 심폐사 외에 뇌사도 죽음으로 인정되고, 개발도상국은 전염병, 선진국은 노화 관련 질병이 주요 사망 원인이며, 문화와 종교에 따라 다양한 이해와 관습이 존재하고, 수명 연장, 냉동 보존술, 존엄사, 안락사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해양생물학
해양 생물학 개요
학문 분야생물학의 하위 분야
연구 대상해양 생물 및 해양 서식지(연안 및 대양 서식지)
관련 학문 분야해양학
해양 화학
해양 지질학
수산학
세부 분야
주요 세부 분야생태학
진화
분류학
생리학
행동학
기타 세부 분야생물해양학(biological oceanography)
어류학
해양 미생물학
해양 무척추동물학
해양 포유류학
해양 식물학
해양 독성학
연구 방법
주요 연구 방법현장 연구
실험실 연구
수중 음향학
기타 정보
관련 저널Marine Biology

2. 생물 해양학

우주에서 본 바다의 두 가지 모습


해양 생물학은 생물 해양학과 대조될 수 있다. 해양 생물은 해양 생물학과 생물 해양학 모두에서 연구되는 분야이다.

2. 1. 주요 연구 분야

해양 생물학은 생물 해양학과 대조될 수 있다. 해양 생물은 해양 생물학과 생물 해양학 모두에서 연구되는 분야이다. 생물 해양학은 유기체가 물리, 화학, 그리고 지질과 같은 해양학 시스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영향을 받는지 연구하는 학문이다. 생물 해양학은 주로 바다 내의 미생물에 초점을 맞추며, 이들이 환경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그리고 그것이 더 큰 해양 생물과 그들의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6] 생물 해양학은 해양 생물학과 유사하지만, 다른 관점에서 해양 생물을 연구한다. 생물 해양학은 먹이 사슬 측면에서 하향식 접근 방식을 취하는 반면, 해양 생물학은 상향식 관점에서 바다를 연구한다. 생물 해양학은 주로 플랑크톤에 중점을 둔 해양의 생태계를 연구하며, 플랑크톤의 다양성(형태, 영양원, 운동성, 신진대사), 생산성 및 지구 탄소 순환에서의 역할, 그리고 분포(포식 및 생활사)를 연구한다.[6][7][8] 생물 해양학은 또한 먹이 사슬에서 미생물의 역할과 인간이 바다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조사한다.[6][9]

3. 해양 서식지

해양 서식지는 해안선에서 대륙붕 가장자리까지 뻗어 있는 '''해안 서식지'''와 대륙붕 가장자리 너머의 심해인 '''원양 서식지'''로 나눌 수 있다. 대부분의 해양 생물은 전체 해양 면적의 7%에 불과한 해안 서식지에서 발견된다. 원양 서식지는 해양 바닥에서 멀리 떨어진 표면 근처 또는 열린 수주에서 발견되며, 해류의 영향을 받는 반면, 저서 서식지는 바닥 근처 또는 바닥에 있다.

산호초는 튜브 해면동물을 위한 해양 서식지를 제공하며, 튜브 해면동물은 다시 물고기를 위한 해양 서식지가 된다.


산호, 켈프, 해초류와 같은 일부 해양 생물은 다른 유기체에 대한 추가 서식지를 생성할 정도로 해양 환경을 재구성하는 생태계 엔지니어이다.

암초는 세계에서 가장 밀도가 높고 다양한 서식지 중 하나이다. 가장 잘 알려진 유형의 암초는 열대 산호초이지만, 냉수에서도 암초가 존재할 수 있다. 암초는 산호와 기타 칼슘을 침전하는 동물들에 의해 형성된다. 산호초는 산호 자체, 그들의 공생 주산호조류, 열대어 및 많은 다른 유기체를 포함하는 거대한 생명 공동체를 지원한다.

산호초는 엄청난 생물 다양성을 가진 복잡한 해양 생태계를 형성한다.


해양 생물학에서 많은 관심은 산호초와 엘니뇨 기상 현상에 집중되어 있다. 1998년에는 전 세계의 광대한 암초가 해수면 온도가 정상보다 훨씬 높이 상승하여 죽었기 때문에, 기록상 가장 심각한 대량 백화 현상이 산호초에서 발생했다.[12][13] 일부 암초는 회복되고 있지만, 과학자들은 현재 세계 산호초의 50%에서 70%가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지구 온난화가 이러한 추세를 악화시킬 수 있다고 예측한다.[14][15][16][17]


3. 1. 해안 서식지

해양 서식지는 해안 서식지와 원양 서식지로 나눌 수 있다. 해안 서식지는 해안선에서 대륙붕 가장자리까지 확장되는 지역에서 발견된다. 대부분의 해양 생물은 대륙붕 지역이 전체 해양 면적의 7%에 불과하지만 해안 서식지에서 발견된다.

불가사리와 말미잘이 있는 조간대 웅덩이


조간대는 해안에 가까운 지역으로, 끊임없이 바다의 조수에 의해 노출되고 덮인다. 이 지역에서 엄청난 종류의 생명체를 발견할 수 있다. 해안 서식지는 상부 조간대에서 육상 식물이 우위를 점하는 지역까지 뻗어 있다. 매일 또는 매우 드물게 수중이 될 수 있다. 이곳의 많은 종은 청소 동물이며, 해안으로 밀려온 해양 생물을 먹고 산다. 많은 육상 동물 또한 해안과 조간대 서식지를 많이 이용한다.

기수역은 해수와 담수의 흐름이 변화한다.


기수역은 해안 근처에 있으며 조석의 영향을 받는다. 기수역은 하나 이상의 강이나 하천이 유입되고 열린 바다와 자유롭게 연결된 부분적으로 닫힌 해안 수역이다.[10] 기수역은 담수 하천 환경과 염수 해양 환경 사이의 전환 지대를 형성한다. 해수와 담수의 흐름이 변화하면서 수주와 퇴적물 모두에 높은 수준의 영양분을 공급하여 기수역은 세계에서 가장 생산적인 자연 서식지 중 하나가 된다.[11]

3. 2. 원양 서식지

대륙붕 너머의 깊은 바다를 원양이라고 한다.


원양은 영양분이 부족하여 비교적 생산성이 낮지만, 워낙 광대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가장 많은 1차 생산성을 만들어낸다.[19] 원양은 깊이에 따라 표해수층, 중층수심대, 심해수층, 저층수심대, 해구수심대와 같이 여러 구역으로 나뉘며, 각 구역은 서로 다른 생태계를 갖는다. 빛의 양에 따라서는 광합성층과 비광합성층으로 구분된다. 비광합성층의 에너지 대부분은 유기쇄설물의 형태로 원양에서 공급된다.

심해 키메라. 주둥이에는 작은 구멍이 덮여 있어 전기장 교란을 통해 동물을 감지할 수 있다.


현재까지 측정된 가장 깊은 해구필리핀 근처 태평양에 있는 마리아나 해구로 10924m 깊이에 이른다. 이처럼 깊은 곳에서는 수압이 극심하고 햇빛이 없지만, 생명체는 여전히 존재한다. 1960년 미국의 심해 잠수정 ''트리에스테''의 선원이 바닥으로 잠수했을 때 흰색 넙치, 새우, 해파리가 발견되었다.[20] 일반적으로 심해는 햇빛이 물을 통해 전달되는 힘을 잃는 지점인 무광대에서 시작하는 것으로 간주된다.[21] 이 깊이에 사는 많은 생명체는 생물 발광으로 알려진 자체 빛을 생성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해양 생물은 깊이에서 솟아오르는 해산 주변에서도 번성하며, 이곳에서 물고기와 기타 해양 생물이 산란하고 먹이를 찾기 위해 모여든다. 중앙 해령의 확장 중심에 있는 열수 분출공은 오아시스처럼 작용하며, 그 반대인 저온 분출구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장소는 독특한 생물군계를 지원하며, 이 위치에서 많은 새로운 미생물과 기타 생명체가 발견되었다. 바다의 더 깊은 부분에 대해 아직 더 많은 것을 배울 필요가 있다.[22]

4. 해양 생물



암초는 세계에서 가장 밀도가 높고 다양한 서식지 중 하나이다. 가장 잘 알려진 유형은 열대 산호초이지만, 냉수에서도 암초가 존재할 수 있다. 암초는 산호와 기타 칼슘을 침전하는 동물들에 의해 형성된다. 산호초는 산호, 공생 주산호조류, 열대어 및 다른 유기체를 포함하는 거대한 생명 공동체를 지원한다.

해양 생물학에서 많은 관심은 산호초와 엘니뇨 기상 현상에 집중되어 있다. 1998년에는 전 세계 산호초에서 기록상 가장 심각한 대량 백화 현상이 발생했다.[12][13] 과학자들은 지구 온난화가 이러한 추세를 악화시킬 수 있다고 예측한다.[14][15][16][17]

원양은 영양분이 부족하여 비교적 생산성이 낮지만, 워낙 광대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가장 많은 1차 생산성을 만들어낸다. 원양은 깊이에 따라 표해수층, 중층수심대, 심해수층, 저층수심대, 해구수심대로 나뉘며, 빛의 양에 따라 광합성층과 비광합성층으로 나뉜다.[19]

생물학의 많은 문(門, phyla), 과(科, families), 속(屬, genera)은 바다와 육지에 모두 서식한다. 해양 생물학은 분류학보다는 환경을 기반으로 종을 분류하며, 해양 환경에서만 사는 생물뿐만 아니라 삶이 바다와 관련된 다른 생물도 포괄한다.

4. 1. 미생물

지구상 가장 큰 환경의 거주자인 미생물은 해양 시스템 및 모든 지구 시스템의 변화를 주도한다. 미생물은 바다에서 일어나는 거의 모든 광합성탄소, 질소, 및 기타 영양분과 미량 원소의 순환을 담당한다.[23]

해저의 미생물은 매우 다양하며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예를 들어, 해양 생태계에서 바이러스의 역할은 21세기 초에도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24]

식물성 플랑크톤은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1차 생산자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 역할이 더 잘 이해되고 있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남세균(청록 조류/세균이라고도 함), 다양한 유형의 조류(적조류, 녹조류, 갈조류, 황록조류), 규조류, 와편모조류, 유글레나류, 코코리토포리드, 은편모조류, 황색조류, 녹조류, 파라시노조류 및 규질편모조류로 분류된다.

동물성 플랑크톤은 다소 크며 모두 미세하지는 않다. 많은 원생동물은 와편모조류, 동물성 편모충, 유공충방산충을 포함한 동물성 플랑크톤이다. 이들 중 일부(예: 와편모조류)는 또한 식물성 플랑크톤이며, 식물과 동물의 구분은 매우 작은 유기체에서 종종 무너진다. 다른 동물성 플랑크톤에는 자포동물, 빗해파리, 모악류, 연체동물, 절지동물, 피낭동물다모류와 같은 환형동물이 포함된다. 많은 더 큰 동물들은 친숙한 형태를 취할 만큼 커지기 전에 동물성 플랑크톤으로 삶을 시작한다. 두 가지 예는 물고기 유충과 불가사리(별 불가사리라고도 함)이다.

10,000종이 넘는[25] 균류가 해양 환경에서 발견된다.[26] 이들은 해조류나 동물에 기생하거나, 해조류, 산호, 원생동물 낭포, 해초, 나무 및 기타 기질에 부생생물로 존재하며, 바다 거품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27] 많은 종의 포자는 기질에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특수한 부속지를 가지고 있다.[28] 해양 균류는 매우 다양한 범위의 특이한 2차 대사산물을 생산한다.[29]

4. 2. 식물과 조류

미세 조류와 식물은 생명체에게 중요한 서식지를 제공하며, 때로는 더 큰 물고기의 유생의 은신처 역할을 하고 무척추동물의 먹이 섭취 장소가 되기도 한다.

조류는 바다에서 널리 분포하며 매우 다양하다. 미세 광합성 조류는 육상 숲 전체를 합친 것보다 더 많은 세계 광합성 생산량을 차지한다. 육상 식물이 차지하는 대부분의 지위는 실제로 바다의 거대 조류가 차지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사르가스룸''과 켈프가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해초로 알려져 켈프 숲을 형성한다.

바다에서 생존하는 식물은 종종 얕은 물에서 발견되며, 예를 들어 해초 (예시로는 거머리말, ''Zostera'', 그리고 거북이 풀, ''Thalassia'') 등이 있다. 이 식물들은 바다 환경의 높은 염분 농도에 적응했다. 조간대 역시 바다에서 식물을 찾기 좋은 곳으로, 이곳에서 맹그로브갯질경이 또는 사구풀이 자랄 수 있다.

4. 3. 무척추동물

척추가 없는 동물인 무척추동물은 바다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의 매우 큰 부분을 차지한다. 무척추 해양 생물에는 자포동물해파리말미잘, 빗해파리동물, 바다 벌레 (편형동물, 유악동물, 환형동물, 성구동물, 지구동물, 털보벌레동물, 유공동물을 포함), , 연체동물 (조개류, 오징어, 문어), 절지동물 (협각류갑각류), 해면동물, 태형동물, 극피동물 (불가사리), 피낭동물 (멍게 또는 피낭류) 등이 있다.

4. 4. 척추동물

경골어연골어를 포함하여 2016년까지 33,400종의 물고기가 보고되었으며, 이는 다른 모든 척추동물을 합한 것보다 많다.[30] 어류 종의 약 60%가 염수에서 서식한다.[31]

바다거북, 바다뱀, 남생이, 바다 이구아나, 바다악어 등은 바다에 서식하거나 자주 드나드는 파충류이다. 일부 바다뱀을 제외한 대부분의 현존하는 해양 파충류는 난생이며 알을 낳기 위해 육지로 돌아온다. 따라서 바다거북을 제외한 대부분의 종들은 바다보다는 육지나 육지 근처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낸다. 해양 적응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바다뱀은 섬 주변의 다소 보호된 해역과 하구 근처와 같이 육지 근처의 얕은 물을 선호한다.[32][33] 익룡과 같은 일부 멸종된 해양 파충류는 태생으로 진화하여 육지로 돌아갈 필요가 없었다.

해양 환경에 적응한 조류는 흔히 바닷새라고 불린다. 알바트로스, 펭귄, 가넷, 바다오리 등이 그 예시이다. 비록 대부분의 생애를 바다에서 보내지만, 갈매기와 같은 종은 종종 수천 마일 내륙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해양 포유류에는 고래류 (이빨고래수염고래), 해우류 (예: 매너티), 기각류 (예: 물개와 바다코끼리), 해달, 북극곰의 5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 이들은 모두 공기를 호흡하며, 향유고래와 같이 잠수를 오래 할 수 있는 종도 있지만, 모두 호흡을 하기 위해 수면으로 돌아와야 한다.

5. 해양 생물학의 세부 분야

해양 생태계는 방대하므로 해양 생물학에는 여러 세부 분야가 있다. 조류학, 무척추동물학, 어류학처럼 특정 동물 그룹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분야가 대부분이다. 다른 세부 분야에서는 해수의 물리적 영향, 염분 환경에 대한 적응, 해양 특성 변화가 해양 생물에 미치는 영향 등을 연구한다. 또한 해양과 해양 생물의 관계, 지구 온난화 및 이산화 탄소 변위와 같은 환경 문제를 연구하는 분야도 있다. 최근 해양 생명공학은 의학, 공학 등에 쓰일 수 있는 해양 생체 분자, 특히 단백질에 주목한다. 해양 환경은 생체 모방 물질에 영감을 주는 다양한 생물학적 재료의 서식지이다.[36]

5. 1. 연구 대상에 따른 분류

생물학에서 많은 문(門, phyla), 과(科, families), 속(屬, genera)은 바다에 사는 종과 육지에 사는 종을 모두 가지고 있다. 해양 생물학은 분류학보다는 환경을 기반으로 종을 분류한다. 이러한 이유로 해양 생물학은 해양 환경에서만 사는 생물뿐만 아니라 삶이 바다와 관련된 다른 생물도 포괄한다.

해양 생태계는 방대하며, 따라서 해양 생물학에는 많은 세부 분야가 존재한다. 대부분의 분야는 조류학, 무척추동물학, 어류학과 같이 특정 동물 그룹의 전문성을 연구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다른 세부 분야에서는 해수 및 일반적인 해양의 지속적인 침수에 따른 물리적 영향, 염분 환경에 대한 적응, 그리고 다양한 해양 특성의 변화가 해양 생물에 미치는 영향 등을 연구한다. 해양 생물학의 한 세부 분야는 해양과 해양 생물 사이의 관계, 그리고 지구 온난화 및 환경 문제(예: 이산화 탄소 변위)를 연구한다. 최근의 해양 생명공학은 해양 생체 분자, 특히 의학 또는 공학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단백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해양 환경은 생체 모방 물질에 영감을 줄 수 있는 많은 이국적인 생물학적 재료의 서식지이다.

해양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암 및 백혈병과 같은 특정 질병에 대한 치료법을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해양 생물이 발견되었다. 또한 통증 치료에 사용되는 승인된 약물인 지코노타이드는 바다에 서식하는 달팽이에서 만들어졌다.[36]

5. 2. 연구 목적 및 방법에 따른 분류

해양 생물학은 생물 해양학과 대조될 수 있다. 해양 생물은 해양 생물학과 생물 해양학 모두에서 연구되는 분야이다. 생물 해양학은 유기체가 물리, 화학, 그리고 지질과 같은 해양학 시스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영향을 받는지 연구하는 학문이다. 생물 해양학은 주로 바다 내의 미생물에 초점을 맞추며, 이들이 환경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그리고 그것이 더 큰 해양 생물과 그들의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6] 생물 해양학은 해양 생물학과 유사하지만, 다른 관점에서 해양 생물을 연구한다. 생물 해양학은 먹이 사슬 측면에서 하향식 접근 방식을 취하는 반면, 해양 생물학은 상향식 관점에서 바다를 연구한다. 생물 해양학은 주로 플랑크톤에 중점을 둔 해양의 생태계를 연구하며, 플랑크톤의 다양성(형태, 영양원, 운동성, 신진대사), 생산성 및 지구 탄소 순환에서의 역할, 그리고 분포(포식 및 생활사)를 연구한다.[6][7][8] 생물 해양학은 또한 먹이 사슬에서 미생물의 역할과 인간이 바다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조사한다.[6][9]

해양 생태계는 방대하며, 따라서 해양 생물학에는 많은 세부 분야가 존재한다. 대부분의 분야는 조류학, 무척추동물학, 어류학과 같이 특정 동물 그룹의 전문성을 연구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다른 세부 분야에서는 해수 및 일반적인 해양의 지속적인 침수에 따른 물리적 영향, 염분 환경에 대한 적응, 그리고 다양한 해양 특성의 변화가 해양 생물에 미치는 영향 등을 연구한다. 해양 생물학의 한 세부 분야는 해양과 해양 생물 사이의 관계, 그리고 지구 온난화 및 환경 문제(예: 이산화 탄소 변위)를 연구한다. 최근의 해양 생명공학은 해양 생체 분자, 특히 의학 또는 공학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단백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해양 환경은 생체 모방 물질에 영감을 줄 수 있는 많은 이국적인 생물학적 재료의 서식지이다.

6. 해양 생물학의 역사



해양 생물학의 역사는 해양 생물학의 정의와 연구 범위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해 왔는지를 보여준다. 해양 생물학 연구는 아리스토텔레스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이후 대항해 시대와 탐험을 통해 발전했다. 찰스 다윈의 비글호 항해와 HMS 챌린저의 탐험은 해양 생물학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19세기 이후 해양 연구소 설립과 첨단 기술의 발전은 해양 생물학 연구를 더욱 심화시켰다.

6. 1. 주요 역사적 사건

해양 생물학 연구는 기원전 384년-기원전 322년 레스보스 주변 바다 생명체에 대해 많은 관찰을 한 아리스토텔레스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이는 미래의 많은 발견에 대한 기초를 다졌다.[40] 아리스토텔레스는 상어의 배아가 일종의 태반(난황)에 끈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기록했다.[39] 1768년, 사무엘 고틀리브 그멜린(1744–1774)은 해양 조류에 대한 최초의 연구인 ''Historia Fucorum''를 출판했는데, 이는 린네의 이명법을 사용한 최초의 해양 생물학 서적이기도 했다.[41][42] 영국의 박물학자 에드워드 포브스(1815–1854)는 일반적으로 해양 생물학의 창시자로 여겨진다.[43] 19세기 동안 해양학 및 해양 생물학 연구의 속도는 빠르게 가속화되었다.

1872–1876년 선구적인 탐험 중인 HMS 챌린저


해양 생물학의 첫 번째 연구에서 이루어진 관찰은 그 뒤를 이은 대항해 시대와 탐험에 불을 지폈다. 이 기간 동안, 세계 바다에 존재하는 생명체에 대한 방대한 지식이 얻어졌다. 많은 항해가 이 지식 풀에 크게 기여했다. 가장 중요한 것들 중 하나는 찰스 다윈진화산호초 형성에 대한 이론을 제시한 비글호의 항해였다.[44] 또 다른 중요한 탐험은 HMS ''챌린저''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예상외로 높은 종 다양성이 발견되었고, 이는 인구 생태학자들이 이처럼 다양한 생명체가 척박한 환경에서 어떻게 유지될 수 있는지에 대한 많은 이론을 자극했다.[45] 이 시대는 해양 생물학의 역사에 중요했지만, 박물학자들은 심해에 사는 종을 적절하게 조사할 수 있는 기술이 부족했기 때문에 연구에 제한이 있었다.

해양 연구소의 설립은 해양 생물학자들이 탐험으로부터 연구를 수행하고 표본을 처리할 수 있게 해주었기 때문에 중요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해양 연구소인 로스코프 생물학 연구소는 1859년 프랑스 콩카르노에 설립되었다.[46] 미국에서는 스크립스 해양연구소가 1903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저명한 우즈홀 해양연구소는 1930년에 설립되었다.[47] 음파 탐지기, 스쿠버 다이빙 장비, 잠수정 및 원격 조종 수중 차량과 같은 기술의 개발은 해양 생물학자들이 한때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던 심해의 생명체를 발견하고 탐험할 수 있게 해주었다.[48] 레이첼 카슨의 바다 3부작(1941–1955) 출판으로 전후 시대에 이 주제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계속 발전했다.

7. 해양 생물 분포 요인

해양 생물학의 활발한 연구 주제는 다양한 종의 생활사를 발견하고 지도화하는 것과 그들이 시간을 보내는 장소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발견을 돕는 기술에는 팝업 위성 기록 태그, 음향 태그, 그리고 다양한 다른 데이터 로거가 있다. 해양 생물학자들은 해류, 조류 및 기타 여러 해양 요인이 해양 생물, 특히 성장, 분포 및 웰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다. 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전역 위성 항법 시스템)의 발전과 새로운 수중 시각 장치의 등장으로 최근에 기술적으로 가능해졌다.[37]

대부분의 해양 생물은 특정 장소에서 번식하고, 다른 곳에서 둥지를 틀며, 또 다른 곳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고, 성숙한 시기를 보낸다. 과학자들은 많은 종들이 특히 유아 및 청소년기에 생활사의 다른 부분을 어디에서 보내는지에 대해 거의 알지 못한다. 예를 들어, 어린 바다거북과 일부 상어가 생애 첫해에 어디로 이동하는지는 여전히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수중 추적 장치의 최근 발전은 심해에 사는 해양 생물에 대한 우리의 지식을 밝혀주고 있다.[38] 팝업 위성 기록 태그가 제공하는 정보는 특정 시기에 어업 금지를 시행하고 해양 보호 구역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 데이터는 과학자와 어부 모두에게 중요한데, 이는 한 작은 지역에서 상업적 어업을 제한함으로써 훨씬 더 넓은 지역에서 건강한 어류 개체수를 유지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있기 때문이다.

8. 관련 학과

해양생물학은 생물학의 한 분야로, 해양학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특히 생물 해양학을 중심으로 연구하며, 해양 과학의 하위 분야로 간주될 수 있다. 생태학의 많은 개념을 포함하며, 수산 과학과 해양 보존은 해양 생물학에서 파생된 분야로 볼 수 있다. 환경 연구 또한 해양 생물학과 관련이 깊다. 이외에도 해양 화학, 물리 해양학, 대기 과학 등이 해양생물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36]

9. 관련 용어


  • 생태학 용어집
  • 생물학 관련 문서 목록
  • 대형 해양 생태계
  • 생태학자 목록
  • 해양 생물학자 목록
  • 해양 생태 지역 목록(WWF)
  • 생물학 개요
  • 생태학 개요

참조

[1] 웹사이트 Oceanographic and Bathymetric Features http://www.marine-co[...] 2013-09-25
[2] 논문 Planktonic dimethylsulfide and cloud albedo: An estimate of the feedback response
[3] 서적 The Ecology of Natural Disturbance and Patch Dynamics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4] 논문 The volume of Earth's ocean
[5] 웹사이트 World https://www.cia.gov/[...] CIA 2014-01-13
[6] 서적 Biological Oceanography: An Introduction Pergamon
[7] 웹사이트 Course Info, OCG 561 Biological Oceanography https://web.archive.[...] 2021-03-19
[8] 서적 Biological Oceanography John Wiley & Sons
[9] 논문 From marine ecology to biological oceanography https://rdcu.be/chiJ[...]
[10] 서적 Estuaries
[11] 서적 The Estuarine Ecosystem: Ecology, Threats and Manag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12] 뉴스 Record-breaking coral bleaching occurred in tropics this year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1998-10-23
[13] 간행물 Statement on Global Coral Bleaching in 1997-1998 International Coral Reef Society 1998-10-15
[14] 간행물 Reefs at risk: a map-based indicator of threats to the world's coral reefs World Resources Institute
[15] 논문 Bleaching and Reef Community Change in Jamaica: 1951 - 1991
[16] 논문 Biodiversity of Coral Reefs: What are We Losing and Why?
[17] 간행물 Global Climate Change and Coral Reefs:Implications for People and Reefs IUCN
[18] 논문 Marine animal microbiomes: toward understanding host–microbiome interactions in a changing ocean
[19] 웹사이트 The Open Ocean - MarineBio.org http://marinebio.org[...] 2016-09-26
[20] 웹사이트 Seven Miles Down: The Story of The Bathyscaph Trieste http://bjsonline.com[...] 2006-01
[21] 웹사이트 Aphotic Zone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18-12-06
[22] 서적 Deep-Sea Fishes: Biology, Diversity, Ecology and Fisher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8-10
[23] 웹사이트 Functions of global ocean microbiome key to understanding environmental changes https://www.scienced[...] University of Georgia 2015-12-10
[24] 논문 Viruses in the Sea
[25] 논문 Fungi in the Marine Environment: Open Questions and Unsolved Problems 2019-03-05
[26] 논문 Role of fungi in marine ecosystems
[27] 서적 Dictionary of the Fungi CABI
[28] 논문 Spore attachment in marine fungi
[29] 논문 Steroids from the marine fungus Geotrichum sp
[30] 웹사이트 Fishbase http://www.fishbase.[...] 2017-02-06
[31] 서적 Conservation Biology: the theory and practice of nature conservation, preservation, and management Chapman and Hall
[32] 서적 Snakes of the World Grosset & Dunlap Inc.
[33] 웹사이트 Sea snakes ftp://ftp.fao.org/do[...] 2007-08-07
[34] 논문 Current and Future Patterns of Global Marine Mammal Biodiversity
[35] 논문 Global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of marine mammals 2011-08-16
[36] 저널 Exploring the ocean for new drug developments: Marine pharmacology 2016
[37] 저널 The accuracy of GPS for wildlife telemetry and habitat mapping: GPS for telemetry and mapping 2001-12-21
[38] 웹사이트 March 2014 Newsletter - What's Going on at Desert Star http://us7.campaign-[...]
[39] 서적 The Lagoon: How Aristotle Invented Science Bloomsbury 2014
[40] 웹사이트 History of the Study of Marine Biology - MarineBio.org http://marinebio.org[...] MarineBio Conservation Society 2014-03-31
[41] 서적 Historia Fucorum https://books.google[...] Ex typographia Academiae scientiarum, St. Petersburg 1768
[42] 서적 Catalogue of the Benthic Marine Algae of the Indian Oce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6
[43]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Marine Biology and Oceanography http://www.meer.org/[...] 2014-03-31
[44] 서적 Into the ocean world; the biology of the sea Knopf; [distributed by Random House], New York 1974
[45] 서적 Deep-sea biology: a natural history of organisms at the deep-sea flo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91
[46]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Study Of Marine Biology ~ MarineBio Conservation Society https://www.marinebi[...] 2022-02-17
[47] 서적 100 years exploring life, 1888-1988: the Marine Biological Laboratory at Woods Hole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Boston 1989
[48] 웹사이트 Beginnings: History of Marine Science http://marinebio.net[...] 2014-04-08
[49] 서적 Biological oceanography: an introduction Elsevier 1997
[50] 서적 Biological oceanography John Wiley & Sons 2009
[51] 서적 Biological oceanography John Wiley & Sons 2012
[52] 서적 Biological oceanography: An early history, 1870-1960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2
[53] 서적 Oceanography and marine biology CRC Press 1999
[54] 저널 The development of recruitment fisheries oceanography in the United States 1998
[55] 저널 Long time series in US fisheries oceanography 2014
[56] 저널 Fisheries oceanography and the ecology of early life histories of fishes: a perspective over fifty years 2005
[57] 저널 Fisheries oceanography using satellite and airborne remote sensing methods: a review 2000
[58] 저널 水産海洋学会の紹介 2016
[59] 저널 Planktonic dimethylsulfide and cloud albedo: An estimate of the feedback response http://www.springerl[...] 1991
[60] 서적 The Ecology of Natural Disturbance and Patch Dynamics Academic Press 198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