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겨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핵겨울은 핵전쟁으로 인해 발생하는 대규모 화재와 그을음이 대기 중으로 퍼져 태양광을 차단, 지구 기온을 급격히 낮추고 생태계 파괴와 문명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는 가설이다. 칼 세이건 등 과학자들은 1983년 보고서를 통해 이 이론을 처음 제시했으며, 핵폭발로 인한 에어로졸이 성층권까지 도달하여 전 세계적으로 확산될 수 있다고 보았다. 핵겨울 시나리오는 대규모 화재로 인한 수백만 톤의 그을음 발생, 태양광 차단, 식물 고사 및 기후 변화를 예측하며, 유사한 현상은 화산 폭발이나 운석 충돌로도 발생할 수 있다. 핵겨울에 대한 비판과 논쟁도 존재하며, 도시 화재 폭풍 발생 가능성, 그을음의 대기 중 수명, 광학적 깊이 등에서 이견이 있다. 핵겨울은 핵무기 감축의 근거로 활용되었으며, 완화 기술 및 기후 공학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칼 세이건 - 린 마굴리스
린 마굴리스는 세포 내 공생설을 제안하고 가이아 이론을 지지하며 5계 분류 체계를 옹호하며 공생이 진화의 주요 원동력이라고 주장한 미국의 생물학자이다. - 칼 세이건 - 앤 드리앤
앤 드루얀은 미국의 작가, 프로듀서, 감독으로, 보이저 골든 레코드 프로젝트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였으며, 칼 세이건과 함께 다큐멘터리 《코스모스》를 공동 제작하고, 과학 저술과 사회 운동에도 참여했다. - 원자력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 방사성 폐기물
방사성 폐기물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포함하여 방사선을 방출하며 인체와 환경에 해로운 폐기물로, 원자력 발전, 핵무기 해체, 의료 및 산업 활동 등에서 발생하고 방사능 농도와 반감기에 따라 분류되며 장기간 환경과 격리하여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 원자력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발생한 방사성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로 처리 후 삼중수소 등을 희석하여 해양에 방류하는 계획으로, IAEA는 안전 기준에 부합한다고 평가했으나 주변국의 반발을 사고 있다. - 전쟁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 에이전트 오렌지
에이전트 오렌지는 베트남 전쟁에서 미군이 사용한 고엽제로, 다이옥신에 오염되어 인체와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쳐 국제적인 비판과 법적 소송을 야기했으며, 미국과 베트남 정부는 오염 지역 정화와 피해자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전쟁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 초토화
초토화는 전쟁에서 적의 자원 이용을 막기 위해 군사 작전 지역 내의 모든 시설과 자원을 파괴하는 전술로, 적의 보급 차단과 사기 저하에 활용되지만 민간인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으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전쟁에서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경제계에서 인수합병 방어 전략으로도 쓰인다.
핵겨울 |
---|
2. 유래
칼 세이건을 포함한 과학자 그룹이 1983년에 발표한 보고서에서 처음 제창되었다. 이 보고서는 연구자 5명(터코(Turco), 툰(Toon), 애커먼(Ackerman), 폴락(Pollack), 세이건(Sagan))의 이름 첫 글자를 따서 TTAPS 이론이라고 불렸다.
핵겨울 이론은 1983년 칼 세이건을 비롯한 과학자들이 발표한 TTAPS(Turco·Toon·Ackerman·Pollaok·Sagan) 보고서에서 처음 제창되었다. 이들은 전면 핵전쟁 발생 시 대규모 화재로 인해 수백만 톤의 에어로졸이 대기 중으로 방출되고, 이것이 태양광을 차단하여 지구 전체를 덮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로 인해 식물이 죽고 기후가 급변하여 전 지구적 생태계 파괴와 문명 붕괴가 일어날 수 있다고 보았다.
초기에는 핵폭발로 인한 질소산화물(NOx) 배출이 오존층을 파괴할 것이라는 가설이 있었으나, 이후 화재로 인한 그을음의 기후 영향이 핵전쟁의 기후 영향에 대한 새로운 초점이 되었다.[64][74][7] 1982년, 폴 크루첸과 존 버크스는 핵전쟁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대규모 화재로 인한 단기적인 기후 변화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TTAPS 이론에서는 전면적인 핵전쟁이 발생하면, 세계 각지에서 대규모 화재가 발생하여 수백만 톤 규모의 에어로졸이 대기 중으로 방출되고, 이것이 태양광을 차단하여 수개월에 걸쳐 지구 전체를 덮게 된다고 보았다. 이로 인해 식물이 사멸하고 기후가 급격하게 변화하여 지구 전역의 생태계가 파괴되고 문명이 붕괴될 수 있다고 예측했다.
"핵겨울"이라는 용어는 1983년 리처드 P. 터코가 만든 신조어로, 1차원 컴퓨터 모델을 통해 엄청난 양의 그을음과 연기가 몇 년 동안 공중에 남아있어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온도 하강을 일으킬 수 있다고 예측했다.
3. 이론적 배경
핵폭발로 인한 에어로졸은 도시 화재에서 발생하는 상승기류를 타고 성층권까지 도달하며, 제트기류에 의해 전 세계로 확산된다. 예를 들어 유럽에서 핵전쟁이 발생하면 아시아와 미국까지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냉전 말기 미국과 소련이 서로 핵무기로 공격하는 상황이 되면 전 세계적인 환경 파괴가 일어날 것이라고 예상되었다.
현재까지 핵무기가 사용된 전쟁은 없었기 때문에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만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는 소련에서 발생했지만 유럽 농산물에서 방사성 낙진이 검출되는 등 광범위한 피해가 관측되었다. 다만, 체르노빌 같은 원자력 발전소 사고는 핵폭발과 방사능 유출량이 다르다. 핵폭발 시 발생하는 방사능은 원자력 발전소 사고보다 현저히 적고, 자연 상태로 빠르게 복구될 수 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의 원자폭탄 투하 대상이었던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가 그 예시이다.
대규모 화산 폭발로 방출된 화산재가 제트기류를 타고 넓은 범위에서 노을을 만들어내는 현상 등, 핵겨울 발생 가능성은 여러 방면에서 제기되고 있다. 1991년 필리핀 피나투보 산 분화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에어로졸에 의한 태양광 차단과 그로 인한 위기는 K-T 대멸종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1980년대에는 질소산화물(NOx) 배출로 오존층이 파괴될 것이라는 초기 가설이 약해지면서, 화재로 인한 그을음의 기후 영향이 핵전쟁의 새로운 초점으로 떠올랐다.[64][74][7] 도시, 유정, 미사일 사일로 등에서 발생하는 그을음 구름이 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모델링했다.[8] "핵겨울"이라는 용어는 1983년 리처드 P. 터코가 만든 신조어로, 엄청난 양의 그을음과 연기가 수년간 공중에 남아 전 세계적인 온도 하락을 일으킬 것이라고 예측했다.
1991년 쿠웨이트 유전 화재의 영향을 예측하는 데 실패한 후, 10년 이상 새로운 논문 발표가 없었다. 최근 1980년대 연구자들이 다시 컴퓨터 모델 결과를 발표하기 시작했다. 이 모델들은 1945년 히로시마와 비슷한 강도의 100개 화재 폭풍이 발생하면 "작은" 핵겨울을 초래할 수 있다는 이전 연구 결과를 재확인했다.[9] 화재 폭풍은 지구 성층권에 그을음, 특히 블랙 카본을 주입하여 역 온실 효과를 일으켜 지구 표면 온도를 낮춘다. 앨런 로벅의 모델에 따르면, 100개의 화재 폭풍은 지구 기후를 약 1 °C (1.8 °F) 정도 냉각시켜 2~3년 동안 인위적 지구 온난화를 상당 부분 상쇄할 수 있다.[10] 로벅과 동료들은 5 Tg 이상의 그을음이 성층권에 주입되면 전 세계 식량 생산에 큰 영향을 미쳐 수년간 식량 부족을 초래할 것이라고 예측했다.[11][12]
핵 장치가 화재 폭풍을 점화하기 위해 폭발할 필요는 없으므로, "핵겨울"이라는 용어는 부적절하다는 지적도 있다.[13] 핵겨울 논문에서 컴퓨터로 모델링하는 것은 화재 폭풍 그을음의 기후 강제력 작용뿐이며, 이는 다양한 방식으로 점화될 수 있다.[13] 100개의 대규모 일반 화재 폭풍이 점화되어도 동일한 "핵겨울"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1980년대 초기 모델들은 미국-소련 전면전 동안 대규모 공중 폭발 핵무기 사용으로 인해 수천 개의 화재 폭풍이 발생할 수 있다고 가정했다. 이 화재 폭풍들은 심각한 냉각을 일으켜 최대 10년 동안 지속될 수 있다고 예측했다. 이 기간 동안 미국, 유럽, 중국의 주요 농업 지역에서 여름 평균 기온이 최대 20 °C (36 °F)까지, 러시아에서는 35 °C (63 °F)까지 떨어질 수 있다.[14] 이러한 냉각은 처음 몇 년 동안 지구 표면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가 99% 감소하여 발생하며, 수십 년에 걸쳐 점차 해소될 것이다.
해군 연구소의 마이크 프롬은 2006년 히로시마보다 큰 규모의 산불 화재 폭풍이 발생하면 소규모 "핵겨울" 효과가 나타나 약 한 달 동안 표면 온도가 거의 측정할 수 없을 정도로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16][17][18] 이는 화산 폭발로 황산이 성층권에 주입되어 화산 겨울 효과를 일으키는 것과 유사하다.
위성 및 항공기 기반 화재 폭풍 그을음 모니터링 장비는 연기의 수명, 양, 주입 높이, 광학적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19][20][21][22][23] 현재 위성 추적 데이터에 따르면 성층권 연기 에어로졸은 약 2개월 이내에 소멸되는 것으로 보인다.[21]
핵겨울 시나리오는 100개 이상의 도시 화재 폭풍이 핵폭발로 점화되어[24][25] 화재 폭풍 동안 형성되는 화산구름의 움직임에 의해 다량의 그을린 연기를 상부 대류권과 하부 성층권으로 끌어올린다고 가정한다. 지구 표면 10km 에서 15km 상공에서 햇빛 흡수는 연기 속의 그을음을 더욱 가열하여 일부 또는 전부를 성층권으로 들어 올릴 수 있으며, 비가 내려 씻어내지 않으면 연기가 몇 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는 표면 기온이 몇 달에서 몇 년 동안 특정 지역의 겨울과 같거나 더 추워질 것으로 예측된다.
대류권과 높은 성층권 사이의 뜨거운 그을음의 모델링된 안정적인 반전층은 반 온실 효과를 생성하며, 1988년 논문에서 스티븐 슈나이더 등은 이를 "스모크스피어"라고 명명했다.[1][26]
도시 화재 폭풍은 핵 장치에 의해 점화될 필요가 없다.[25] 히로시마에 투하된 폭탄의 버섯 구름은 몇 분 안에 6km(대류권 중간) 높이에 도달했지만, 도시 내 개별 화재는 거의 3시간이 걸려 화재 폭풍으로 형성되어 화산구름을 생성했다. 이 구름은 여러 시간 동안 타면서 폭탄의 약 1000배의 에너지를 방출한 화재 폭풍이 상부 대류권 높이에 도달한 것으로 추정된다.[27]
핵폭발의 소이 효과는 특별하지 않기 때문에,[27] 전략 폭격 경험자들은 도시가 화재 폭풍 위험이 있었기 때문에, 하나의 16킬로톤 핵폭탄이 단일 B-29 폭격기에서 히로시마에서 발생시킨 것과 동일한 화재 맹렬함과 건물 피해는 대신 약 1.2 킬로톤의 소이탄을 도시 전역에 분산된 220대의 B-29를 사용하여 발생시킬 수 있었다고 추정한다.[27][28][29]
드레스덴 폭격과 히로시마의 화재 폭풍, 도쿄의 대규모 화재, 나가사키 폭격은 1945년 몇 달 만에 발생했지만, 더 강렬하고 전통적으로 점화된 함부르크 화재 폭풍은 1943년에 발생했다. 이 5개의 화재는 현대 모델에서 논의된 100개의 핵 점화 화재가 가정한 것과 같은 양의 연기를 성층권에 배치했다고 주장한다.[13]
연기가 얼마나 오래 남아있고, 기후에 얼마나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시간 척도는 화학적, 물리적 제거 과정에 따라 달라진다.[8]
물리적 제거 메커니즘은 "강수 제거"이며, 화재 현장 근처에서 "검은 비"를 생성하는 단계와 연기가 더 이상 집중되지 않아 "습식 제거"가 효율적이라고 여겨지는 단계에서 발생한다.[8] 그러나 로보크 2007년 연구에서는 태양열이 그을음을 성층권으로 빠르게 들어올려 어두운 그을음 입자를 화재 구름의 하얀 수증기 응축으로부터 분리시켜 이러한 제거 메커니즘을 피할 수 있다고 보았다.[8]
성층권에 들어가면, 그을음 입자의 체류 시간 척도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학적 제거 메커니즘은 그을음 에어로졸이 응집되어 다른 입자와 결합하는 속도,[8] 중력에 의한 건식 침강,[30] "포레틱 효과"가 응집된 입자를 대기의 낮은 수준으로 이동시키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8] 일단 연기 입자가 낮은 대기 수준에 도달하면, 구름 씨 뿌리기가 시작되어 강수가 습식 침강 메커니즘에 의해 연기 에어로졸을 씻어낼 수 있다.
제거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적 과정은 대기 화학이 연기의 탄소질 성분을 산화시키는 능력에 달려 있으며, 이는 오존 및 질소 산화물과 같은 산화성 종과의 반응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들은 대기의 모든 수준에서 발견되며,[31][32] 공기가 고온으로 가열될 때 더 높은 농도로 발생한다.
에어로졸 체류 시간에 대한 과거 데이터는 성층권 황 에어로졸과 메가 화산 폭발에서 나온 화산재와 같이 비록 대기 입자상 물질의 다른 혼합물이지만, 1~2년의 시간 척도로 나타나지만,[33] 에어로졸-대기 상호 작용은 여전히 제대로 이해되지 않고 있다.[34][35]
미국 지구물리학 연합 회의에서 2006년 12월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소규모 지역 핵전쟁도 10년 이상 지구 기후를 교란시킬 수 있다. 아열대 지역 두 국가가 주요 인구 중심지에 각각 50개의 히로시마 크기 핵무기(각각 약 15킬로톤)를 사용하는 시나리오에서, 연구자들은 최대 500만 톤의 그을음이 방출되어 북아메리카와 유라시아 곡물 재배 지역 대부분에서 수 도의 냉각을 초래할 것으로 추정했다. 냉각은 수년간 지속되어 고위도 국가에서 농업 생산과 식량 수집을 방해할 수 있다.[42][43][11]
핵폭발은 주변 공기를 분해하여 다량의 질소 산화물을 생성한다. 이들은 열 대류에 의해 위로 올라가 성층권에 도달하면 오존을 촉매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오존층 파괴는 유해한 자외선이 지표면에 더 강하게 도달하도록 한다.[44]
2008년 미국 국립 과학원 회보에 게재된 마이클 J. 밀스 등의 연구에 따르면, 파키스탄과 인도가 현재 보유한 핵무기를 사용한 핵무기 교환은 거의 전 세계적인 오존 구멍을 생성하여 인간 건강 문제를 일으키고 최소 10년 동안 환경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45] 이 연구는 양측이 50개의 히로시마급 핵 장치를 사용하여 대규모 도시 화재를 일으키고 50km 상공 성층권으로 최대 500만 톤의 그을음을 띄우는 핵전을 다루었다. 그을음은 주변 가스를 가열하여 성층권 오존층 파괴를 증가시켜 북부 고위도에서 최대 70%의 오존 손실을 발생시킬 수 있다.[46]
핵겨울로 인해 대기 중으로 유입된 에어로졸이 햇빛을 막아 온실 효과가 나타나는 시나리오가 있는데, 이후 핵겨울 동안 얼어붙었던 시체 등 유기물 부패로 연소 및 방출된 이산화탄소와 메탄 가스가 대기중에 방출되면서 온실 효과가 발생한다고 가정한다.[47][48]
1~3년 이내에 대부분의 에어로졸이 제거된 후 냉각 효과가 온실 효과로 인한 온난화 효과에 의해 상쇄되어 지표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몇 도 이상 올라갈 수 있다. 이는 냉각에서 살아남은 생명체, 특히 높은 온도에 취약한 생명체들이 죽을 수 있다. 핵폭발은 연소로 인해 CO2와 다른 온실 가스를 방출하며, 죽은 유기물 부패로 더 많은 가스가 방출된다. 또한 핵폭발은 질소 산화물을 성층권에 유입시켜 오존층을 파괴한다.[47]
핵겨울이 핵여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가설에는 다른 가설들도 있다. 핵 화구의 고온은 중간 성층권의 오존 가스를 파괴할 수 있다.[48]
1952년 아이비 마이크(10.4 메가톤) 폭탄 실험 몇 주 전, 폭발로 인한 에어로졸이 지구를 냉각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미 공군(USAF) 노레어 룰레지안 소령과 천문학자 나타라잔 비스바나탄은 이 가능성을 연구하여 "초무기가 세계 기후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배포는 엄격하게 통제되었다. 이 보고서는 국방 위협 감소국의 2013년 보고서에서 "핵겨울" 개념의 초기 연구로 묘사된다. 보고서는 폭발로 인한 기후 변화 가능성이 없음을 나타냈다.[54]
1952년 아이비 마이크와 1954년 캐슬 브라보(15 Mt)와 같이 태평양 실험장 섬에서 여러 차례의 고출력 수소 폭탄 지표면 폭발이 민방위에 미치는 영향은 1957년 보고서 "핵무기의 영향"에 설명되어 있다. "핵폭탄과 날씨" 섹션에서는 "1883년 크라카토아 화산 폭발과 같은 심한 화산 폭발로 인한 먼지는 지구에 도달하는 햇빛을 눈에 띄게 감소시킨다... 가장 큰 핵무기 폭발 후 대기에 남아있는 [토양 또는 기타 지표면] 파편의 양은 크라카토아 화산 폭발로 인한 양의 약 1% 정도이다. 태양 방사선 기록은 지금까지 핵폭발 중 어느 것도 지상에 기록된 직사광선에 감지 가능한 변화를 초래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라고 언급한다.[55] 1956년 미국 기상청은 메가톤급 지표면 폭발이 수반된 충분히 큰 핵전쟁이 새로운 빙하기를 유발할 수 있을 만큼 많은 토양을 들어 올릴 수 있다고 생각했다.[56]
1966년 RAND사 메모 "핵전쟁이 날씨와 기후에 미치는 영향"에서 E. S. 배튼은 지표면 폭발로 인한 잠재적 먼지 영향을 분석하면서,[57] "파편의 영향 외에도 핵폭발로 인해 발생한 광범위한 화재는 해당 지역의 표면 특성을 변화시키고 지역 날씨 패턴을 수정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정확한 특성, 범위 및 규모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대기에 대한 더 철저한 지식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1975년 미국 국립 연구 위원회(NRC) 책 "여러 핵무기 폭발의 장기적인 전 세계적 영향"에서는 "현재 무기고"에서 4,000 Mt가 사용되는 핵전쟁은 크라카토아 화산 폭발보다 훨씬 적은 먼지를 성층권에 침전시킬 것이며, 먼지와 질소 산화물의 영향은 약간의 기후 냉각이 될 것이며, 이는 "정상적인 지구 기후 변동 범위 내에 있을 것이지만, 더 극적인 성격의 기후 변화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49][58]
1985년 보고서 "주요 핵 교환이 대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기 영향 위원회는 1 Mt의 지표면 폭발 후 주입되는 성층권 먼지의 "그럴듯한" 추정치는 0.3 테라그램이며, 그중 8%가 마이크로미터 범위에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59] 토양 먼지로 인한 잠재적 냉각은 1992년, 기후 공학에 대한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NAS)[59] 보고서에서 다시 검토되었는데, 여기에서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기후 민감도를 두 배로 높이는 것, 즉 ~2 °C의 냉각을 생성하기 위해 약 1010 kg(10 테라그램)의 성층권 주입 토양 먼지(입자 크기 0.1~1 마이크로미터)가 필요하다고 추정했다.[60]
1969년 폴 크루첸은 질소 산화물(NOx)이 오존층/성층권 오존 파괴에 효과적인 촉매가 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 1970년대 성층권에서 비행하는 초음속 수송기 (SST) 항공기 엔진의 열로 생성된 NOx의 잠재적 영향에 대한 연구에 따라, 1974년 존 햄프슨은 ''네이처''에 대규모 핵 교환이 핵 화구에 의해 대기 중 NOx가 생성됨으로써 오존 보호막 고갈을 초래하여 지구를 1년 이상 자외선에 노출시킬 수 있다고 제안했다.[61] 1975년, 햄프슨의 가설은 미국 국립 연구 위원회(NRC)가 책 "여러 핵무기 폭발의 장기적인 전 세계적 영향"에서 핵전쟁 후 오존 고갈 모델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하게 했다.[61]
1975년 NRC 책의 핵 화구에서 생성된 NOx 문제와 그로 인한 오존층 손실에 관한 섹션에서 NRC는 1970년대 초중반부터 대량의 메가톤급 폭발을 사용하는 핵전쟁의 영향에 대한 모델 계산 결과를 제시했는데, 이는 북반구에서 오존 수준이 50% 이상 감소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49]
그러나 1975년 NRC 연구에서 제시된 컴퓨터 모델과 별도로, 1973년 저널 ''네이처''에 실린 한 논문은 대기 실험 시대 동안의 핵폭발 횟수에 겹쳐 전 세계 성층권 오존 수준을 묘사한다. 저자들은 약 500 Mt의 역사적인 대기 실험과 오존 농도의 증가 또는 감소 사이에 데이터나 모델에서 어떤 상관관계도 나타나지 않는다고 결론 내린다.[62] 1976년, 초기에 충격적인 당시의 모델 계산 후, 오존층에 영향을 미치는 이전 대기 핵실험의 실험적 측정에 대한 연구 역시 핵폭발이 오존 고갈과 무관하다는 것을 발견했다.[63] 마찬가지로, 1981년 논문에서는 한 번의 실험에 대한 오존 파괴 모델과 실제 측정이 일치하지 않아, 파괴가 관찰되지 않았다.[64]
총 1945년부터 1971년까지 약 500 Mt이 대기 중에서 폭발했으며,[65] 1961~1962년에 최고조에 달하여 미국과 소련이 대기 중에서 340 Mt을 폭발시켰다.[66] 이 기간 동안 두 국가의 핵실험 시리즈의 메가톤급 폭발로 인해, 단독 검토 결과 총 300 Mt의 에너지가 방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로 인해 3 × 1034개의 추가 산화 질소 분자(메가톤당 약 5,000 톤, 메가톤당 5 × 109그램)[62][67]가 성층권에 들어간 것으로 추정되며, 1963년에 2.2%의 오존 고갈이 관찰되었지만, 감소는 1961년 이전에 시작되었고 다른 기상 현상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여겨진다.[62]
1982년 언론인 조나단 셸은 그의 책 ''지구의 운명''에서 화구에서 생성된 NOx가 오존층을 파괴하여 작물이 태양 UV 방사선으로 인해 실패할 것이라는 믿음을 대중에게 소개한 다음, 식물과 수생 생물이 멸종되는 지구의 운명을 묘사했다. 같은 해인 1982년, 호주 물리학자 브라이언 마틴은 NOx 생성에 대한 많은 조사를 담당했던 존 햄프슨과 자주 서신을 교환했는데,[7] 핵 화구에 의해 직접 생성된 NOx의 영향에 대한 관심의 역사를 간략하게 요약하면서, 햄프슨의 다른 비주류 관점, 특히 널리 사용되는 탄도 미사일 요격 미사일 (ABM-1 갈로시) 시스템의 결과로 상층 대기 폭발로 인한 더 큰 오존 파괴와 관련된 관점을 개략적으로 설명했다.[68] 그러나 마틴은 궁극적으로 "주요 핵전쟁의 맥락에서" 오존 저하는 심각한 문제가 될 것 같지 않다고 결론 내린다. 마틴은 조나단 셸이 ''지구의 운명''에서 옹호한 바와 같이 잠재적인 오존 손실로 인해 자외선이 증가하여 작물이 광범위하게 파괴될 것이라는 견해를 매우 비현실적인 것으로 묘사한다.[49]
NOx 종의 특정 오존층 파괴 잠재력에 대한 최근의 설명은 단순한 계산에서 이전에 가정했던 것보다 훨씬 적으며, 1990년대 로버트 P. 파슨에 따르면 매년 "약 120만 톤"의 자연 및 인위적인 생성 성층권 NOx가 형성되는 것으로 여겨진다.[69]
3. 1. 화산 겨울
"핵겨울"과 유사한 기후 효과는 역사적인 초화산 폭발 이후에도 나타났는데, 이는 황산염 에어로졸을 성층권 상층으로 분출시키는 현상으로, 화산 겨울이라고 부른다.[194]
21세기 현재까지 핵전쟁은 실제로 발생하지 않았지만, 고고학·지질학에 의한 지구 각지의 화석·지질 조사나 생물학에 의한 인류 및 다른 동식물의 DNA 분석을 통해, 과거에 대규모 화산 폭발에 따른 '화산 겨울'이 여러 번 발생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토바 대참사 이론에 따르면, 7만 - 7만 5000년 전에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 섬에 있는 토바 화산이 대폭발을 일으켜 기후의 한랭화를 초래, 당시 인류의 인구가 1만 명까지 감소했다고 한다.
또한 1816년의 "여름이 없는 해"로 알려진 사례에서는, 1815년에 인도네시아 중남부, 숨바와 섬에 위치한 탐보라 산에서 발생한 과거 1600년간 최대 규모의 폭발의 영향으로 유럽과 아시아 (중국, 일본)에 영향을 미친 기록이 있다.
그 외에도, 멕시코의 엘 치촌이 1982년에, 필리핀의 피나투보 산이 1991년에 폭발한 사례가 알려져 있으며, 1991년의 필리핀 피나투보산 분화는 핵겨울 발생 가능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촉발했다.
공중의 먼지에 의한 일광 차단과 그에 따른 위기라는 거의 동일한 사태로서, 약 6600만 년 전에 멕시코의 유카탄 반도 부근에 지름 약 10km의 거대한 운석 (칙술루브 충돌체)이 낙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운석 낙하가 지구상의 모든 생물의 대량 멸종의 방아쇠가 되었다고 추정되는 "K-Pg 경계설 (약 6500만 년 전의 공룡을 비롯한 대량 멸종 시나리오)"이 제시된다 (운석의 겨울). 그러나 이 운석에 의해 초래된 폭발의 위력은 TNT 화약 환산으로 1억 메가톤으로 추정되고 있으며,[211]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핵무기에 의한 폭발 에너지 (TNT 화약 환산으로 30억 톤)의 대략 3만 배이다.[212]
3. 2. 운석 충돌
약 6600만 년 전 멕시코 유카탄 반도 부근에 지름 약 10km의 거대한 운석(칙술루브 충돌체)이 충돌했다. 이 충돌은 K-Pg 경계에서 일어난 지구 생물 대량 멸종의 원인으로 추정되며, "운석의 겨울"을 초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운석 충돌로 인한 폭발 에너지는 TNT 화약 1억 메가톤으로 추정되는데,[211] 이는 지구상 모든 핵무기 폭발 에너지(TNT 화약 30억 톤)의 약 3만 배에 달하는 엄청난 양이다.[212]
4. 피해 예측 및 실제 현상
1983년, TTAPS(Turco, Toon, Ackerman, Pollaok, Sagan) 연구진은 미국과 소련 간의 핵전쟁 발생 시 전 세계 인류의 90%가 기아로 사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220] TTAPS는 칼 세이건(Carl Sagan)과 공동저자의 머리글자를 따서 만든 이름이다.
2006년, 콜로라도 대학교 등 4개 대학 연구진은 TNTTNT영어 15킬로 톤급 폭탄 100개가 아시아 지역에서 폭발할 경우, 전 세계적인 기온 하락과 기상 이변이 발생할 수 있다는 실험 결과를 발표했다.[220] 이는 히로시마에 투하되었던 리틀 보이와 같은 규모이다.
2014년,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en: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는 인도와 파키스탄 간의 핵전쟁(히로시마 원폭 수준 핵폭탄 100개 상호 발사) 시뮬레이션 결과, 25년간 핵겨울이 발생하여 전 세계 인류가 굶어 죽을 수 있다는 결과를 발표했다.[221] 리틀 보이는 TNT 15 kt 폭발력이며, 100개면 1.5 Mt 폭발력이다.
2019년, 러트거스 대학교의 앨런 로복 교수 연구팀은 인도와 파키스탄 간 핵전쟁 시뮬레이션 결과, 최대 10년간 이상 기후가 지속되고 세계적인 식량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214]
2022년 연구에 따르면, 미국과 러시아 간 전면 핵전쟁은 3억 6천만 명의 직접 사망과 50억 명 이상의 간접 사망(기아)을 초래할 수 있다.[216] 이 시나리오에서는 1년 후의 피크 시 일사량은 평년의 40% 정도로 감소하고, 평년으로의 회복에는 약 10년이 소요되며, 그 결과 전구 평균 2°C 이상의 하락이 9년 동안 지속되고, 하락이 피크가 되는 2~4년 후에는 약 9°C나 하락한다.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는 광범위한 방사능 피해를 초래했지만, 핵폭발과는 방사능 유출량과 복구 가능성에서 차이가 있다. 핵폭발 시 발생하는 방사능의 양은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등에서 발생하는 방사능의 양보다 현저히 적으며 원자력 발전소 사고에 비해 훨씬 빠르게 자연상태로 복구가 가능하다.
1991년 걸프전 당시 대규모 유전 화재는 지구 규모의 기온 저하를 일으키지 않았다.[217]
5. 실험 및 연구
1983년, 미국의 리처드 터코, 오웬 툰, 토마스 애커먼, 제임스 폴락, 칼 세이건은 핵전쟁 시 전 세계적인 핵겨울 발생 가능성을 제시했다.[220] 이들은 칼 세이건과 공동 저자의 머리글자를 딴 TTAPS(Turco·Toon·Ackerman·Pollaok·Sagan)이론이라는 이름의 보고서를 통해 연구를 진행했다.
이 이론은 당시 여론에서 도시 화재 시 발생하는 매연의 양을 비관적으로 예측하는 등 핵 피해를 과대평가한다고 여겨졌지만, 핵무기에 의한 대규모 파괴와 대량 학살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여겨져 종종 인용되었다.
2006년 미국 콜로라도 대학교 등 4개 대학 연구진은 핵겨울 실험을 진행했다. 콜로라도 주립대학의 오웬 툰 교수는 "히로시마에 떨어졌던 리틀 보이와 같은 규모인 TNT 15킬로 톤 정도의 폭탄 100개가 아시아 지역에서 폭발했다는 가정하에 컴퓨터 시뮬레이션 실험을 한 결과 이때 발생하는 먼지가 태양을 가려 세계 전역의 기온이 떨어지면서 기상이변이 생겨날 수 있다는 실험보고가 나왔다"고 밝혔다.[220]
2007년, 앨런 로벅 등은 현대 기후 모델을 이용한 연구에서 100개의 화재 폭풍만으로도 핵겨울이 발생할 수 있음을 재확인했다.[9]
2014년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en: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는 인도와 파키스탄이 히로시마 원폭 리틀 보이 수준의 핵폭탄 50개를 상호 발사해, 100개를 서로 터뜨리는 핵전쟁을 가정한 모의실험을 했다. 핵폭발로 550만t의 검은 재가 대기를 뒤덮으면서 전 지구적인 핵겨울이 25년간 발생해 전세계 인류가 굶어죽는 결과가 나왔다.[221]
2014년, 마이클 J. 밀스 등은 지역 핵 분쟁 이후 수십 년간 지구 냉각과 전례 없는 오존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2018년, 로스앨러모스 국립 연구소 연구원들은 지역 핵 교환이 기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으나, 장기적인 기후 영향은 이전 연구보다 낮을 것으로 예측했다.
2019년, 이전 모델링을 기반으로 한 두 개의 연구가 발표되었는데, 더 작은 규모의 핵무기 교환으로 인한 핵겨울의 새로운 시나리오를 설명한다.
2023년, 미국 국립 과학, 공학, 의학 아카데미는 핵전쟁의 잠재적인 환경 영향에 대한 독립적인 연구를 시작했다.
6. 비판 및 논쟁
핵겨울 개념에 대한 비판과 논쟁은 여러 과학자들에 의해 제기되었다. 1987년, 크레슨 카니(Cresson Kearny)는 자신의 저서 "핵전쟁 생존 기술(Nuclear War Survival Skills)"에서 핵겨울 모델의 가정에 대해 비판했다.[156] 러셀 자이츠(Russell Seitz)는 핵겨울 모델의 가정이 연구자들이 원하는 결과를 제공하며, "최악의 시나리오 분석이 잘못된 경우"라고 주장했다.[156]
MIT 기상학자 케리 에마누엘은 '네이처'에 실린 논평에서 핵겨울 개념이 비현실적인 연료량 추정과 부정확한 지구 순환 모델 사용으로 인해 "과학적 진실성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에마누엘은 다른 모델의 증거가 비에 의한 연기의 상당한 제거를 시사한다고 결론지었다.[157]
윌리엄 R. 코튼 콜로라도 주립 대학교 대기 과학 교수는 1980년대에 그을음 강우 모델을 연구하고 자신의 핵겨울 모델과 다른 모델의 예측을 지지했지만,[8] 2007년에는 그을음의 강우/습식 침착이 현대 논문에서 가정된 것보다 훨씬 더 많이 발생할 것이라고 입장을 바꾸었다.[1][26]
이론적으로는 걸프 전쟁 당시의 대규모 유전 화재에서도 지구 규모의 기온 저하가 관측되어야 했지만, 당시 많은 학자들의 예상과는 달리 기온은 전혀 내려가지 않았다.[217]
1984년 미국 부처 회의 보고서[218]에 따르면, 핵겨울 가설은 과학적으로 설득력이 없으며, 소련(현재 러시아)이 이 문제를 제기하게 된 것은 서방의 핵 전략을 방해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시사했다.
7. 정책적 영향
1985년, 제네바에서 열린 첫 정상 회담 이후 미하일 고르바초프와 로널드 레이건은 핵전쟁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핵전쟁 방지를 위한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219]
핵겨울 이론은 핵무기 감축과 핵전쟁 방지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근거로 활용되어 왔다. 일부 연구자들은 핵겨울의 위험성을 강조하며, 핵무기 보유량을 '표준 억지력' 수준으로 감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66]
칼 세이건과 리처드 터코는 Ambio에 게재된 논문에서 핵겨울이 "잘 확립된 전망"이기 때문에, 두 초강대국이 핵무기를 공동으로 줄여 각 100~300개 수준으로 감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166]
그러나 핵겨울에 대한 믿음은 칼 세이건 등의 주장과 반대로 실제 핵전쟁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이는 더 정확하고 낮은 폭발 위력의 핵무기 개발 추세를 따르도록 더 많은 동기를 부여할 것이기 때문이다.[174][175]
1984년 미국 기관 간 정보 평가는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소련과 미국 군대가 이미 더 높은 정확성과 더 낮은 위력의 핵탄두 소형화 추세를 따르고 있다고 명시했다.[167]
1985년, 타임지는 일부 서방 과학자들이 핵겨울 가설이 미국과 유럽의 핵 군축 운동에 미국의 군비 증강에 맞서는 신선한 탄약을 제공하기 위해 모스크바에 의해 홍보되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고 보도했다.[177]
8. 완화 기술
핵겨울의 잠재적 피해를 완화하기 위한 여러 해결책이 제안되었다. 화재 확산을 방지하여 성층권에 도달하는 연기의 양을 제한하거나, 햇빛이 감소한 상태에서 식량을 생산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방법들이 연구되었다.[181]
1967년 보고서에 따르면, 액체 질소, 드라이아이스, 물을 사용하여 핵으로 인한 화재를 진압하는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었다. 방화선을 만들어 가연성 물질을 폭파시켜 화재 확산을 막는 방법도 고려되었는데, 여기에는 핵무기 사용 가능성도 포함되었다. 예방적인 위험 감소 소각도 함께 고려되었다. 보고서에서 조사된 가장 유망한 기술 중 하나는 대규모 화재 뇌우 및 발달 중인 화재 폭풍과 안정된 화재 폭풍 위를 지나가는 다른 구름에 씨앗을 뿌려 비를 내리게 하는 것이었다.[181]
햇빛 없이 식량을 생산하는 방법으로는 천연가스를 소화하는 박테리아(예: Methylococcus capsulatus)를 이용한 양어 사료 생산, 나무껍질 빵과 같이 식용 가능한 나무의 속껍질을 이용하는 방법, 균류 재배, 즉 햇빛 없이 습한 나무에서 직접 자라는 꿀버섯과 같은 버섯 재배, 목재 또는 셀룰로오스 바이오 연료 생산의 변형을 통해 비식용 셀룰로오스에서 식용 당/자일리톨을 생성하는 방법 등이 제시되었다.[182][183][184][185] 기계 공학자 데이비드 덴켄버거는 버섯이 이론적으로 3년 동안 모두에게 식량을 공급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버섯과 마찬가지로 해조류도 저조도 조건에서 자랄 수 있다. 민들레와 소나무 잎은 비타민 C를, 박테리아는 비타민 E를 제공할 수 있다. 감자와 같은 추운 날씨 작물은 적도에서 충분한 햇빛을 받아 재배가 가능할 수 있다.[186]
핵겨울 동안 문명의 일부를 먹여 살리기 위해서는 사건 발생 전에 대규모 식량 비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비축 식량은 높은 고도와 적도 부근의 지하에 배치하여 고고도 자외선과 방사성 동위원소의 영향을 완화해야 한다. 또한 비축 식량은 초기 재앙에서 살아남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인구 근처에 배치해야 한다. 비축 자금 지원과 분배 문제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 "비축 자금을 가장 잘 후원할 수 있는 사람들(예: 재앙 이전의 부유층)과 비축 자금을 가장 잘 사용할 수 있는 사람들(재앙 이전의 시골 빈곤층) 사이에 불일치가 있을 수 있다."[187] 최소 연간 세계 밀 저장량은 약 2개월분이다.[188]
9. 기후 공학
"핵겨울"이라는 이름에도 불구하고, 핵 사건이 기후 모델링 효과를 반드시 일으킬 필요는 없다.[25] 대기 중 이산화탄소(CO2) 농도가 두 배가 되면 지구 표면 온도가 최소 2℃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이에 대한 빠르고 저렴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태양 복사 관리(기후 공학의 한 형태)를 통해 핵겨울과 유사한 효과를 활용하는 방안이 연구되었다.
파울 크루첸 등은 화산 겨울의 효과를 모방하기 위해 성층권에 황 화합물을 주입하는 것 외에도, 특정 유형의 그을음 입자를 방출하여 소규모 "핵겨울" 상태를 만드는 등 다른 화학 물질의 주입을 제안했다.[189][190] 핵겨울 임계값 컴퓨터 모델에 따르면,[2][10] 1~5 테라그램의 화재 폭풍으로 생성된 그을음을[24] 낮은 성층권에 주입하면, 반 온실 효과를 통해 성층권을 가열하고 하부 대류권을 냉각시켜 2~3년 동안 1.25℃의 냉각 효과를 낼 수 있으며, 10년 후에도 지구 평균 온도는 그을음 주입 전보다 0.5℃ 낮게 유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10]
10. 관련 작품
참조
[1]
서적
Human Impacts on Weather and Climat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02-01
[2]
간행물
Environmental consequences of nuclear war
http://climate.envsc[...]
2008-12
[3]
웹사이트
Computer Models Show What Exactly Would Happen To Earth After A Nuclear War
https://www.popsci.c[...]
2014-07-19
[4]
간행물
Rapidly expanding nuclear arsenals in Pakistan and India portend regional and global catastrophe
2019-10-01
[5]
간행물
Smoke in the Stratosphere: What Wildfires have Taught Us About Nuclear Winter
http://www.agu.org/c[...]
[6]
문서
ToonTurcoRobockBardeen
2007
[7]
웹사이트
John Hampson's warnings of disaster
http://www.bmartin.c[...]
1988
[8]
보고서
An assessment of global atmospheric effects of a major nuclear conflict
Air Force Geophysics Laboratory
1988-05-10
[9]
간행물
Climatic consequences of regional nuclear conflicts
http://climate.envsc[...]
2007
[10]
웹사이트
Small Nuclear War Could Reverse Global Warming for Years
http://news.national[...]
2011-02-23
[11]
간행물
Global food insecurity and famine from reduced crop, marine fishery and livestock production due to climate disruption from nuclear war soot injection
2022-08-15
[12]
간행물
A regional nuclear conflict would compromise global food security
2020-03-16
[13]
문서
ToonTurcoRobockBardeen
2007
[14]
간행물
Nuclear winter revisited with a modern climate model and current nuclear arsenals: Still catastrophic consequences
http://climate.envsc[...]
2007-07-06
[15]
문서
London 1906, San Francisco Fire and others.
[16]
웹사이트
Fire-Breathing Storm Systems
http://www.nasa.gov/[...]
NASA
2010-10-19
[17]
간행물
Violent pyro-convective storm devastates Australia's capital and pollutes the stratosphere
[18]
웹사이트
Russian Firestorm: Finding a Fire Cloud from Space
http://earthobservat[...]
2010-08-31
[19]
웹사이트
NASA to study how pollution, storms and climate mix
https://www.scienced[...]
[20]
웹사이트
Wildfires Smoke Crosses the Atlantic
http://earthobservat[...]
2013-07-02
[21]
간행물
The untold story of pyrocumulonimbus, 2010
[22]
간행물
The Arctic Research of the Composition of the Troposphere from Aircraft and Satellites (ARCTAS) mission: design, execution, and first results
[23]
간행물
Canadian and Siberian Boreal Fire Activity during ARCTAS Spring and Summer Phases
2009-12
[24]
간행물
Massive global ozone loss predicted following regional nuclear conflict
2008-04-08
[25]
문서
ToonTurcoRobockBardeen
2007
[26]
서적
Human Impacts on Weather and Climate
http://assets.cambri[...]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02
[27]
서적
The Effects of Nuclear Weapons
http://www.fourmilab[...]
United States Department of Defense and the Energy Research and Development Administration
[28]
서적
United States Strategic Bombing Survey, Summary Report (Pacific War)
http://www.anesi.com[...]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9]
웹사이트
United States Strategic Bombing Survey, Summary Report
http://marshall.csu.[...]
[30]
웹사이트
Transformation and removal
http://www.atmospher[...]
2011-07-27
[31]
웹사이트
Distribution & concentration (2)
http://www.atmospher[...]
2011-07-27
[32]
문서
ToonTurcoRobockBardeen
2007
[33]
웹사이트
Climate Effect of Volcanic Eruptions
http://www.geology.s[...]
[34]
웹사이트
Aerosols and climate
http://www-das.uwyo.[...]
[35]
웹사이트
Global Aerosol Climatology Project
http://gacp.giss.nas[...]
NASA
[36]
웹사이트
New Insights on Wildfire Smoke Could Improve Climate Change Models
http://www.mtu.edu/n[...]
2013-08-27
[37]
웹사이트
LANL study: Wildfire smoke's effect on climate underestimated
http://www.abqjourna[...]
[38]
웹사이트
Research: wildland fire smoke, including tar balls, contribute to climate change more than previously thought - Wildfire Today
http://wildfiretoday[...]
2013-07-17
[39]
서적
2007
[40]
간행물
"On the modeling of the climatic consequences of the nuclear war"
The Proceeding of Appl. Mathematics, The Computing Center of the USSR Academy of Sciences, Moscow, USSR.
1983
[41]
웹사이트
Scientific thaw during the cold war
http://www.pulitzerc[...]
2016-05-02
[42]
웹사이트
Regional Nuclear War Could Devastate Global Climate
https://www.scienced[...]
2006-12-11
[43]
웹사이트
How would a nuclear winter impact food production?
https://www.scienced[...]
2022-03-30
[44]
논문
Global three-dimensional simulations of ozone depletion under postwar conditions
1990
[45]
Q
Q24657259
[46]
논문
Extreme Ozone Loss Following Nuclear War Results in Enhanced Surface Ultraviolet Radiation
https://onlinelibrar[...]
2021-09-27
[47]
논문
Researchers Blow Hot and Cold Over Armageddon
1987-02-26
[48]
웹사이트
The U.S. Army and Irregular Warfare, Chapter Eleven The Continuing Problem of Conceptual Confusion
http://www3.wooster.[...]
[49]
간행물
The global health effects of nuclear war
http://www.bmartin.c[...]
1982-12-01
[50]
웹사이트
Electromagnetic Pulse - Soviet Test 184 - EMP
http://www.futuresci[...]
[51]
웹사이트
ЯДЕРНЫЕ ИСПЫТАНИЯ В СССР, ТОМ II, глава 1
http://www.iss-atom.[...]
2014-04-06
[52]
웹사이트
United States High-Altitude Test Experiences – A Review Emphasizing the Impact on the Environment 1976. Herman Hoerlin. LASL
https://www.fas.org/[...]
[53]
논문
Review of Nuclear Weapons Effects
[54]
Q
Q63070323
[55]
Webarchive
The Effects of Nuclear Weapons
http://babel.hathitr[...]
2014-08-24
[56]
논문
The Politics of Atmospheric Sciences: "Nuclear Winter" and Global Climate Change
https://univoak.eu/i[...]
[57]
웹사이트
The Effects of Nuclear War on the Weather and Climate
https://www.rand.org[...]
1966-08-01
[58]
서적
Long-term worldwide effects of multiple nuclear weapons detonations
https://books.googl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59]
서적
Policy implications of greenhouse warming: Mitigation, adaptation and the science base
National Academy Press
[60]
논문
Problems with geoengineering schemes to combat climate change
2009-01-10
[61]
논문
Photochemical war on the atmosphere
1974
[62]
논문
Nitrogen Oxides, Nuclear Weapon Testing, Concorde and Stratospheric Ozone
http://www.uow.edu.a[...]
[63]
논문
Atmospheric ozone depletion by nuclear weapons testing
1976-05-20
[64]
논문
Measurements of nitric oxide after a nuclear burst
[65]
서적
Atmospheric Nuclear Tests
Springer Berlin Heidelberg
1998-09-13
[66]
웹사이트
Worldwide Effects of Nuclear War – Radioactive Fallout
http://www.atomicarc[...]
[67]
Webarchive
Nuclear weapons archive, Carey Mark Sublette 5.2.2.1
http://nuclearweapon[...]
2014-04-28
[68]
웹사이트
John Hampson's warnings of disaster
http://www.bmartin.c[...]
1988
[69]
웹사이트
24 Will commercial supersonic aircraft damage the ozone layer?
http://stason.org/TU[...]
[70]
서적
The History of the Science Fiction Magazine
[71]
백과사전
Nuclear Winter
http://www.sf-encycl[...]
2018-09-13
[72]
웹사이트
Wintry Doom
http://www.aip.org/h[...]
2014-09-23
[73]
웹사이트
Wintry Doom
http://history.aip.o[...]
2016-12-02
[74]
Citation
On the 8th Day – Nuclear Winter Documentary
https://www.youtube.[...]
1984
[75]
서적
The Aftermath: the human and ecological consequences of nuclear war
Pantheon Books
1983
[76]
학술지
Tea Drinking in The Academy. Academician G. S. Golitsyn: Agitations Of The Sea And Earth
http://www.nkj.ru/ar[...]
2001
[77]
학술지
Comparative estimates of climatic consequences of Martian dust storms and of possible nuclear war
1985
[78]
웹사이트
Gorbachev's Nuclear Learning
https://bostonreview[...]
2000-04-01
[79]
웹사이트
Тяжелая пыль "ядерной зимы"
http://www.ng.ru/sci[...]
2003-10-08
[80]
PhD
Containing Science: The U.S. National Security State and Scientists' Challenge to Nuclear Weapons during the Cold War
https://www.lib.utex[...]
2008
[81]
학술지
Nuclear Winter: Global Consequences of Multiple Nuclear Explosions
1983-12-23
[82]
학술지
The Politics of Atmospheric Sciences: "Nuclear Winter" and Global Climate Change
https://univoak.eu/i[...]
2011
[83]
간행물
Possible climatic consequences of a major nuclear war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1986
[84]
학술지
Global atmospheric effects of massive smoke injections from a nuclear war: results from general circulation model simulations
http://climate.envsc[...]
2021-09-04
[85]
Q
Q63169455
[86]
웹사이트
IV. Air Pollutants From Oil Fires and Other Sources
http://www.gulflink.[...]
2014-06-11
[87]
웹사이트
Tab J – Plume Configurations
http://www.gulflink.[...]
2014-06-11
[88]
웹사이트
Does anybody remember the Nuclear Winter?
http://www.sgr.org.u[...]
2016-02-13
[89]
학술지
Kuwaiti oil fires—Modeling revisited
1994-07
[90]
웹사이트
Burning oil wells could be disaster, Sagan says
https://www.baltimor[...]
2014-06-11
[91]
뉴스
Burning oil wells could darken U.S. skies
https://news.google.[...]
1991-01-20
[92]
웹사이트
TAB C – Fighting the Oil Well Fires
http://www.gulflink.[...]
2009-10-26
[93]
웹사이트
A lecture by Michael Crichton
https://www.cfa.harv[...]
2012-01-19
[94]
웹사이트
The Kuwaiti Oil Fires
https://www.scribd.c[...]
Facts on File
[95]
방송
First Israeli Scud Fatalities, Oil Fires in Kuwait
[96]
웹사이트
Burning oil wells could be disaster, Sagan says
https://www.baltimor[...]
2014-06-11
[97]
웹사이트
Kuwait Fires Failed To Bring Doomsday
https://www.orlandos[...]
2016-12-05
[98]
웹사이트
Dossier, A publication providing succinct biographical sketches of environmental scientists, economists, "experts", and activists released by The National Center for Public Policy Research. Environmental Scientist: Dr. Carl Sagan
http://www.nationalc[...]
[99]
학술지
Airborne Studies of the Smoke from the Kuwait Oil Fires
https://zenodo.org/r[...]
2018-09-13
[100]
학술지
Environmental impact of the Gulf War: An integrated preliminary assessment
1993-07
[101]
학술지
Environmental effects from burning oil wells in Kuwait
1991
[102]
서적
The demon-haunted world: science as a candle in the dark
Random House
1996
[103]
학술지
The atmosphere after a nuclear war: Twilight at noon
1982
[104]
웹사이트
Satellite Sees Smoke from Siberian Fires Reach the U.S. Coast
http://www.nasa.gov/[...]
NASA
2012-06-11
[105]
웹사이트
NRL scientist seeing clearly the effects of pyrocumulonimbus
http://www.eurekaler[...]
2010-08-26
[106]
논문
Regional Simulations of Stratospheric Lofting of Smoke Plumes
http://www.agu.org/c[...]
AGU
2006
[106]
웹사이트
Slides
http://www.slidefind[...]
2014-08-08
[107]
웹사이트
Regional Climate Simulations over North America: Interaction of Local Processes with Improved Large-Scale Flow
http://www.envsci.ru[...]
2005-04-15
[108]
논문
Lofting of Smoke Plumes Generated by Regional Nuclear Conflicts
http://www.agu.org/c[...]
AGU
2006
[109]
논문
2007
[110]
논문
Multi-decadal global cooling and unprecedented ozone loss following a regional nuclear conflict
2014
[111]
논문
Climate Impact of a Regional Nuclear Weapons Exchange: An Improved Assessment Based On Detailed Source Calculations
[112]
논문
Comment on "Climate Impact of a Regional Nuclear Weapon Exchange: An Improved Assessment Based on Detailed Source Calculations" by Reisner et al.
American Geophysical Union
2019-12-09
[113]
논문
Examining the Climate Effects of a Regional Nuclear Weapons Exchange Using a Multiscale Atmospheric Modeling Approach
American Geophysical Union
2020-12-14
[114]
논문
Upper Troposphere Smoke Injection From Large Areal Fires
American Geophysical Union
2021-12-07
[115]
논문
Latent Heating Is Required for Firestorm Plumes to Reach the Stratosphere
American Geophysical Union
2022-09-12
[116]
웹사이트
Morbid Researchers Imagine a 'Best-Case Scenario' for Nuclear War, and the Results Are Grim
https://gizmodo.com/[...]
2023-12-16
[117]
논문
A National Pragmatic Safety Limit for Nuclear Weapon Quantities
2018-06
[118]
논문
Nuclear Winter Responses to Nuclear War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Russia in the Whole Atmosphere Community Climate Model Version 4 and the Goddard Institute for Space Studies ModelE
2019
[119]
논문
Nuclear Niño response observed in simulations of nuclear war scenarios.
[120]
문서
Xia et al. (2022, Table 1) reported "Number of direct fatalities" and "Number of people without food at the end of year 2" out of a total population of 6.7 billion for their simulated year 2010. Two issues with this: First, Xia et al. (2022, Fig. 1) show that the climate impact does not start recovering until year 5 after the nuclear war and has not yet fully recovered 9 years after the war. Thus, few people still alive without food at the end of year 2 will not likely live to year 9. Second, the percentages plotted here are the sums of those two numbers divided by 6.7 billion. The Wikipedia article on [[w:World population|World population]] said the world population in 2010 was 6,985,603,105 -- 7 billion (accessed 12 August 2023). The difference between 6.7 and 7 billion seems so slight that it can be safely ignored, especially given the uncertainty inherent in these simulations and the likelihood that the small populations excluded were probably not substantively different from those included.
[121]
문서
Estimates of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stockpile vary widely, as summarized in the Wikipedia article on [[w:North Korea and weapons of mass destruction|North Korea and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ccessed 2023-08-07. The estimate of 30 weapons averaging 17 kt each seems not far from the middle of the estimate cited in that article. That totals 510 kt (0.51 megatons), roughly a third of smallest nuclear war simulated by Xia et al. (2022).
[122]
문서
See also [[Wikiversity:Responding to a nuclear attack]].
[123]
뉴스
Nowhere to hide: How a nuclear war would kill you – and almost everyone else
https://thebulletin.[...]
2022-10-20
[124]
뉴스
World Nuclear war between the U.S. and Russia would kill more than 5 billion people – just from starvation, study finds
https://www.cbsnews.[...]
2022-08-16
[125]
논문
Extinction magnitude of animals in the near future
2022-11-23
[126]
웹사이트
Independent Study on Potential Environmental Effects of Nuclear War
https://www.national[...]
2023-10-13
[127]
뉴스
Nuclear Winter Theorists Pull Back
https://www.nytimes.[...]
1990-01-23
[128]
뉴스
The Melting of 'Nuclear Winter
http://www.textfiles[...]
1986-11-05
[129]
논문
Nuclear winter: science and politics
http://www.uow.edu.a[...]
2014-06-11
[130]
웹사이트
Nuclear Winter
http://www.retrorepo[...]
Pulitzer Center
2016-04-04
[131]
서적
Nuclear War Survival Skills
http://www.oism.org/[...]
Oregon Institute of Science and Medicine
2008-04-29
[132]
논문
Nuclear Winter Reappraised
http://www.foreignaf[...]
1986
[133]
뉴스
letter
1986-11-25
[134]
문서
'Severe global-scale nuclear war effects reaffirmed', statement resulting from SCOPE-ENUWAR workshop in Bangkok, 9–12 February 1987.
[135]
웹사이트
Climate scientists describe chilling consequences of a nuclear war
http://news.stanford[...]
2007-01-08
[136]
논문
A Note on the Ignition of Vegetation by Nuclear Weapons
[137]
간행물
Operation Castle, Project 3.3, Blast Effects on Tree Stand
http://www.hss.energ[...]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Division of Fire Research
2014-10-16
[138]
간행물
Operation Redwing, Technical Summary of Military Effects, Programs 1–9 (Pacific Proving Grounds, May – July 1956)
https://documents.th[...]
2021-09-02
[139]
웹사이트
Operation Redwing
https://www.theblack[...]
2021-09-03
[140]
웹사이트
Bombings Worse than Nagasaki and Hiroshima
http://www.fff.org/c[...]
2011-08-08
[141]
뉴스
1945 Tokyo Firebombing Left Legacy of Terror, Pain
http://www.commondre[...]
CommonDreams.org
2005-03-10
[142]
문서
[143]
웹사이트
The Energy from a Nuclear Weapon
http://www.atomicarc[...]
2016-10-14
[144]
웹사이트
Exploratory Analysis of Fire Storms
http://www.dtic.mil/[...]
2016-05-11
[145]
간행물
News in Brief
http://www.flightglo[...]
1946-01-10
[146]
논문
Medical Effects of Atomic Bombs, The Report of the Joint Commission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the Atomic Bomb in Japan
http://www.osti.gov/[...]
SciTech Connect
1951-04-19
[147]
웹사이트
Planning Guidance for Response to a Nuclear Detonation
http://hpschapters.o[...]
2010-06
[148]
문서
Glasstone & Dolan (1977) Thermal effects Chapter
http://www.fourmilab[...]
2014-03-09
[149]
논문
Siberian fire as "nuclear winter" guide
[150]
서적
The Medical Implications of Nuclear War
http://books.nap.edu[...]
1986
[151]
논문
Uncertainties in the smoke source term for 'nuclear winter' studies
https://zenodo.org/r[...]
2018-09-13
[152]
논문
From Santorini to armageddon
[153]
논문
Nuclear winter not yet established
[154]
논문
Is the 'nuclear winter' real?
[155]
논문
On a 'nuclear winter' (letter)
[156]
논문
Nuclear winter was and is debatable
[157]
논문
Nuclear winter: Towards a scientific exercise
http://texmex.mit.ed[...]
1986-01-23
[158]
논문
A comprehensive meteorological modeling system—RAMS
https://www.academia[...]
1992-03
[159]
웹사이트
Search results: A comprehensive meteorological modeling system—RAMS
https://scholar.goog[...]
2021-09-04
[160]
서적
Evolution of soviet strategy
2016-12-05
[161]
웹사이트
Previously Classified Interviews with Former Soviet Officials Reveal U.S. Strategic Intelligence Failure Over Decades
http://www.gwu.edu/~[...]
2009-09-11
[162]
웹사이트
Nuclear Winter's Cuban Connection
http://pulitzercente[...]
2016-04-06
[163]
웹사이트
Comment
http://climate.envsc[...]
2011-05-19
[164]
웹사이트
Multimegaton Weapons
http://www.johnstons[...]
2023-12-16
[165]
웹사이트
Estimated US-Russian Nuclear Warhead Inventories 1977–2018.
http://krepon.armsco[...]
2015-01-12
[166]
논문
Policy Implications of Nuclear Winter
1989-09-13
[167]
웹사이트
Yield-to-weight ratios
http://nuclearsecrec[...]
2016-12-18
[168]
문서
[169]
웹사이트
USGS Open File Report 01-312: Containment of Soviet underground nuclear explosions
http://geology.er.us[...]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Geological Survey
2001-09
[170]
서적
Shots Sugar and Uncle: The final tests of the Buster-Jangle series (DNA 6025F)
http://www.dtra.mil/[...]
Defense Nuclear Agency
1982-06
[171]
웹사이트
Operation Buster-Jangle
http://nuclearweapon[...]
The Nuclear Weapons Archive
2014-11-04
[172]
웹사이트
Non-strategic nuclear weapons, Hans M. Kristensen,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12
https://fas.org/_doc[...]
2016-06-04
[173]
서적
The Medical Implications of Nuclear War
https://books.google[...]
National Academies Press
1986-01-01
[174]
웹사이트
Nuclear Weapon Initiatives: Low-Yield R&D, Advanced Concepts, Earth Penetrators, Test Readiness
http://congressional[...]
2014-11-01
[175]
문서
National Defense Authorization Act For Fiscal Year 2006
http://capitolwords.[...]
2015-08-05
[176]
웹사이트
Mikhail Gorbachev explains what's rotten in Russia
http://dir.salon.com[...]
2009-02-10
[177]
웹사이트
Another Return From the Cold -- Printout -- TIME
http://www.time.com/[...]
2023-12-16
[178]
간행물
Nuclear Winter and Its Implications Hearings before the Committee on Armed Services, United States Senate, Ninety-Ninth Congress, First Session, October 2 and 3, 1985.
U.S. G.P.O.
1986
[179]
서적
Comrade J: The Untold Secrets of Russia's Master Spy in America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Penguin Books
2007
[180]
웹사이트
Candid Interviews with Former Soviet Officials Reveal U.S. Strategic Intelligence Failure Over Decades
http://www.gwu.edu/~[...]
GWU
2012-05-06
[181]
문서
Countermeasure Concepts for Use Against Urban Mass Fires From Nuclear Weapon Attack
U.S. Naval Radiological Defense Laboratory, San Francisco, California
1967
[182]
웹사이트
"UniBio A/S – turns NG to fish food"
http://www.unibio.dk[...]
2015-02-12
[183]
서적
Field Guide to Appropriate Technology
Academic Press
2003
[184]
웹사이트
Biofuel process to develop sugar substitute, cellulose ethanol. SunOpta BioProcess Inc. 2010
https://www.plant.ca[...]
2018-10-18
[185]
논문
Exploring new strategies for cellulosic biofuels production
2011
[186]
뉴스
A full-scale nuclear winter would trigger a global famine. A disaster expert put together a doomsday diet to save humanity.
https://www.business[...]
2020
[187]
논문
Adaptation to and recovery from global catastrophe
2013
[188]
문서
The World's wheat supply.
Oklahoma Cooperative Extension Service.
[189]
논문
Albedo Enhancement by Stratospheric Sulfur Injections: A Contribution to Resolve a Policy Dilemma?
2006
[190]
논문
Climate engineering: A critical review of approaches to modify the global energy balance
2009
[191]
논문
The Chicxulub Asteroid Impact and Mass Extinction at the Cretaceous-Paleogene Boundary
http://doc.rero.ch/r[...]
2018-04-20
[192]
웹사이트
University of Notre Dame
http://ocw.nd.edu/ph[...]
2014-11-06
[193]
논문
Antipodal Hotspots and Bipolar Catastrophes: Were Oceanic Large-body Impacts the Cause?
http://www.mantleplu[...]
2014-11-06
[194]
뉴스
Supervolcanoes could trigger global freeze
http://news.bbc.co.u[...]
2008-04-28
[195]
서적
Exploring Planetary Climate: A History of Scientific Discovery on Earth, Mars, Venus and Tit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
[196]
뉴스
Seismic Images Show Dinosaur-Killing Meteor Made Bigger Splash
http://www.jsg.utexa[...]
2014-11-06
[197]
논문
Comet Caused Nuclear Winter
http://discovermagaz[...]
2008-04-28
[198]
잡지
A Fiery Death for Dinosaurs?
https://www.wired.co[...]
2017-03-10
[199]
웹사이트
Reigniting the Cretaceous-Palaeogene Firestorm Debate
http://geology.gsapu[...]
2015-01-25
[200]
논문
K/Pg extinction: re-evaluation of the heat/fire hypothesis
2013
[201]
뉴스
No fiery extinction for dinosaurs
http://news.bbc.co.u[...]
2014-11-06
[202]
논문
Constraints on the thermal energy released from the Chicxulub impactor: new evidence from multi-method charcoal analysis
2005
[203]
PhD
Atmospheric Interactions During Global Deposition of Chicxulub Impact Ejecta
http://www.geo.arizo[...]
2008
[204]
웹사이트
Dinosaur-killing impact set Earth to broil, not burn
https://www.newscien[...]
2009-12-07
[205]
서적
Encyclopedia of Natural Hazards
Springer
2013
[206]
논문
Self-shielding of thermal radiation by Chicxulub impact ejecta: Firestorm or fizzle?
2009-12-01
[207]
웹사이트
Dinosaur-Killing Firestorm Theory Questioned
http://www.space.com[...]
2014-11-06
[208]
논문
Soot in Cretaceous-Paleogene boundary clays worldwide: is it really derived from fossil fuel beds close to Chicxulub?
2012-01-01
[209]
문서
On the 8th Day – Nuclear winter documentary (1984).
[210]
서적
A Path Where No Man Thought: Nuclear Winter and the End of the Arms Race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1990
[211]
뉴스
恐竜絶滅に新説「小惑星衝突後、数時間で全滅」
https://wired.jp/200[...]
WIRED
2004-05-28
[212]
뉴스
もしも世界に存在する核兵器を全部同時に爆発させたらどうなるのか?
https://karapaia.com[...]
カラパイア
2022-03-02
[213]
논문
Extinction magnitude of animals in the near future
Sci. Rep.
2022
[214]
웹사이트
「印パ核戦争」なら死者1億人に すすが地球寒冷化誘発 研究
https://www.afpbb.co[...]
2019-10-03
[215]
간행물
Nuclear Winter Responses to Nuclear War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Russia in the Whole Atmosphere Community Climate Model Version 4 and the Goddard Institute for Space Studies ModelE
https://onlinelibrar[...]
2019-08-16
[216]
간행물
Global food insecurity and famine from reduced crop, marine fishery and livestock production due to climate disruption from nuclear war soot injection
2022-08-15
[217]
웹사이트
「核の冬」のシナリオは本当か:核戦争→気候大変動→地球の冷却→生物の死滅…
https://jp.rbth.com/[...]
2019-04-22
[218]
문서
https://www.cia.gov/[...]
[219]
문서
https://web.archive.[...]
[220]
뉴스
핵폭탄 경쟁, 터지면 세계 기후가 변한다
노컷뉴스
2006-12-13
[221]
뉴스
"핵폭탄 100개만 터져도 핵겨울 25년…지구 재앙"
연합뉴스TV
2014-03-2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