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소카와 다다오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소카와 다다오키는 1563년에 태어난 센고쿠 시대 무장으로, 아시카가, 오다, 도요토미, 도쿠가와 등 여러 유력 가문을 섬기며 세력을 유지했다. 그는 뛰어난 무예 실력과 정치력을 겸비했으며, 임진왜란에 참전하여 활약했다. 특히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 편에 서서 승리에 기여했으며, 부젠국 나카츠 번의 초대 번주가 되었다. 다도와 문화에도 조예가 깊어 센노 리큐의 제자로도 활동했으며, 아내 호소카와 가라샤에 대한 헌신적인 사랑으로도 유명하다. 1645년에 8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마모토번 사람 - 미야모토 무사시
    에도 시대 초기의 검술가이자 병법가, 예술가인 미야모토 무사시는 이도류 검술의 창시자로 60여 회의 결투에서 승리했으며, 수묵화와 서예에도 능했다.
  • 고쿠라번주 - 호소카와 다다토시
    호소카와 다다토시는 호소카와 다다오키의 아들로,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가문을 상속받아 고쿠라 번주를 거쳐 구마모토 번 초대 번주가 되었으며, 도쿠가와 가문과의 관계를 유지하며 가문을 번성시켰다.
  • 고쿠라번주 - 오가사와라 다다자네
    오가사와라 다다자네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외손자이자 에도 시대 초기의 다이묘로, 오사카 여름 전투 이후 가독을 상속받아 여러 번을 거쳐 고쿠라 번주가 되었으며 시마바라의 난 진압에 참여했고, 다도 장려와 미야모토 무사시 후원으로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 오슈 호소카와씨 - 호소카와 가라샤
    호소카와 가라샤는 아케치 미쓰히데의 딸로 태어나 호소카와 다다오키와 결혼하였으며, 혼노지의 변 이후 남편의 보호 아래 신앙을 지키다 이시다 미쓰나리의 인질이 되려 하자 가신에게 죽임을 당했다.
  • 오슈 호소카와씨 - 호소카와 오키모토
    호소카와 오키모토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걸쳐 활약한 무장이자 다이묘로, 호소카와 후지타카의 차남으로 태어나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겼으며 세키가하라 전투에서의 공로로 야타베 번의 다이묘가 되었다.
호소카와 다다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호소카와 다다오키
이름호소카와 다다오키
원어 이름細川忠興/長岡忠興
가명요이치로(与一郎), 단고노카미(丹後守), 단고노쇼쇼(丹後少将)
이명호소카와 구마치요(細川熊千代), 나가오카 구마치요(長岡熊千代), 산사이 소리쓰(三斎宗立)
씨족나가오카 씨(長岡氏), 호소카와 씨(肥後細川氏)
시대센고쿠 시대 - 에도 시대 전기
출생1563년 11월 28일
사망1646년 1월 18일
묘소구마모토현 구마모토시 주오구 구로가미의 다이쇼지 유적, 교토부 교토시 기타구 무라사키노 다이토쿠지초의 고토인
관직
관위종5위하, 엣추노카미, 종4위하, 시종, 좌근위소장, 종3위, 참의, 증 정3위
막부에도 막부
가계
아버지호소카와 유사이
어머니누마타 자코(沼田麝香)
형제자매호소카와 오키모토, 유키타카, 이야, 호소카와 유키타카, 센, 호소카와 다카유키, 가가, 구리
배우자정실: 호소카와 가라샤
자녀나가, 호소카와 다다타카, 호소카와 오키아키, 고호, 호소카와 다다토시, 다라, 만, 호소카와 다쓰타카, 호소카와 오키타카, 마쓰이 요리유키
군사 경력
소속오다 씨, 도요토미 씨, 동군, 도쿠가와 막부
참전 전투고마키·나가쿠테 전투, 오다와라 전투, 임진왜란, 세키가하라 전투, 오사카 전투
영지
부젠 나카쓰 번, 부젠 고쿠라 번
영주나카쓰 번주, 고쿠라 번주
가문구마모토 호소카와 가문 당주
가독 상속1582년
가독 계승자호소카와 다다토시
이전 영주호소카와 후지타카
이후 영주오가사와라 나가쓰구, 호소카와 다다토시

2. 생애

호소카와 다다오키는 1563년 교토에서 호소카와 후지타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4] 어릴 적 이름은 구마치요였다. 오다 노부나가를 섬기며 15세에 첫 전투에 참전했고, 아케치 미쓰히데의 딸 호소카와 가라샤와 결혼했다. 이후 단고 국을 하사받았다.[4]

1582년, 혼노지의 변으로 아케치 미쓰히데오다 노부나가에게 반역을 일으켰으나, 다다오키는 아버지와 함께 미쓰히데의 요청을 거절했다.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 측에 서서 고마키·나가쿠테 전투(1584)와 오다와라 정벌(1590) 등에 참전했다. 1590년대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친분을 쌓았다.

1598년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후, 후쿠시마 마사노리 등 7명의 장수가 이시다 미쓰나리를 암살하려는 음모를 꾸몄다는 설이 있다.[5] 이는 임진왜란 당시 미쓰나리의 불리한 평가 때문이었다고 한다.[5]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중재에 나서 미쓰나리의 은퇴를 조건으로 사태를 해결하려 했다.[7] 그러나 이는 단순한 암살 음모라기보다는 장군들과 미쓰나리 사이의 법적 분쟁에 가깝다는 주장도 있다.[8] 이 사건은 도쿠가와 이에야스파와 이시다 미쓰나리파 사이의 광범위한 정치적 경쟁의 연장선으로 여겨지기도 한다.[5][9]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 편에 서서 이시다 미쓰나리에 대항했다. 아내 호소카와 가라샤는 인질이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가신에게 자신을 죽이게 하고 저택에 불을 지르게 했다.[4]

thumb의 묘, 다이토쿠지, 교토]]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부젠 (고쿠라, 37만 코쿠)에 영지를 하사받았으며, 오사카 전투(1614–1615)에도 참전했다.[4] 1620년 셋째 아들 호소카와 다다토시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거했다. 1632년 다다토시가 히고국 구마모토번으로 이봉되자, 야쓰시로 성 북쪽 성곽에서 은거 생활을 했다. 1645년 8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

2. 1. 소년기

에이로쿠 6년(1563년) 11월 13일(양력 11월 28일) 아시카가 요시테루를 섬기던 호소카와 후지타카의 장남으로 교토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 이름은 구마치요(熊千代)였다. 에이로쿠의 변 이후, 아버지와 함께 오다 노부나가를 섬기게 되었다. 다다오키는 노부나가의 적자인 오다 노부타다를 섬겼다.[4]

2. 2. 오다 노부나가 시대

덴쇼 5년(1577년), 15세의 나이로 기슈 정벌에 참가하여 첫 출진했다.[4] 야마토국 가타오카 성 전투에서 마쓰나가 히사히데의 무장인 모리 히데미쓰(森秀光)를 격파하는 공을 세워 오다 노부나가로부터 친필 표창장을 받았다.

덴쇼 7년(1579년), 오다 노부나가의 중매로 아케치 미쓰히데의 딸 다마코(호소카와 가라샤)와 결혼했다. 같은 해, 아버지 호소카와 후지타카, 장인 아케치 미쓰히데와 함께 단고국의 슈고였던 잇시키 요시미치를 공격하여 멸망시켰다.

덴쇼 8년(1580년), 아버지 호소카와 후지타카는 그동안의 공적으로 단고국 남반부 12만 석의 영주가 되었다.

덴쇼 9년(1581년) 교토에서 열린 오다 노부나가의 마상열병식(京都御馬揃え)에 잇시키 미쓰노부와 함께 참가했다. 이때 오다 노부나가가 입은 의상은 호소카와 다다오키가 교토에서 직접 구해 헌상한 것이라고 한다.

2. 3. 혼노지의 변 이후

1582년(덴쇼 10년) 6월, 장인 아케치 미쓰히데혼노지의 변을 일으켰다. 미쓰히데는 호소카와 후지타카, 다다오키 부자에게 협력을 요청했으나, 호소카와 부자는 이를 거절하고 다마코(호소카와 가라샤)를 단고노(三戸野) 미토노(味土野)에 유폐시켰다.[12] 미쓰히데가 야마자키 전투에서 패배하여 멸망한 것은 호소카와 부자의 협력을 얻지 못한 것이 큰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평가가 있다. 다다오키는 이때 아버지 후지타카로부터 영지를 물려받아 단고 미야즈 성주가 되었다.

그 후 다다오키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휘하에 들어가 일본 통일에 기여했다. 1584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에 참가했고, 1585년에는 종4위하(従四位下), 지주(侍従)에 임명되어 히데요시로부터 하시바(羽柴) 성을 받았다. 이후 1587년 규슈 정벌, 1590년 오다와라 정벌에 참전했다. 1592년 임진왜란 때는 조선에 출병했으나, 제1차 진주성 전투에서 대패했다.

1598년 히데요시가 사망하자, 다다오키는 무공파 다이묘로서 사료파인 이시다 미쓰나리와 대립하며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가까워졌다. 1599년에는 가토 기요마사, 후쿠시마 마사노리 등과 함께 미쓰나리 습격에 참가했다.[5] 같은 해 이에야스로부터 분고국 기쓰키(杵築) 6만 석을 받았다.

2. 4. 임진왜란

1592년 임진왜란에 참전하여 조선군과 싸웠다.[4] 제1차 진주성 전투에서 김시민이 이끄는 조선군에 대패하고, 이순신에게도 패배했다.[4]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명령으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감시했으나, 도요토미 히데쓰구 사건에 연루되어 히데요시에게 할복 명령을 받았으나 이에야스의 구명으로 목숨을 건졌다.[4] 이를 계기로 도쿠가와 이에야스 편에 서게 되었다.[4]

분로쿠 원년(1592년)부터 임진왜란에 참전하여 9번대에 속해 상륙하여 경상도 등의 제압을 담당했다. 10월에는 하세가와 히데카즈 등과 제1차 진주성 전투에 참가하여 전초전에서 경상우병사 유숭인을 베었으나, 공성전에서 진주성을 함락시키지 못했다. 분로쿠 2년(1593년) 6월의 제2차 진주성 전투에도 참가하여 진주성을 함락시켰다.

2. 5. 세키가하라 전투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호소카와 다다오키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이끄는 동군에 가담했다. 다다오키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은혜를 입은 유력 다이묘였고, 아버지와 정실 부인이 교토에 있었기 때문에 그의 거취가 주목받았다. 그러나 그는 동군에 가담할 것을 재빨리 표명하여 다른 도요토미 가문의 은혜를 입은 다이묘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이시다 미쓰나리는 오사카 성에 있는 가문들로부터 인질을 잡아 영향력을 얻으려 했다. 여기에는 다다오키의 아내 가라샤도 포함되어 있었다. 가라샤는 인질이 되는 것을 피하고자 가신에게 자신을 죽이게 하고 저택에 불을 지르게 했다.[4] 이 사건은 끔찍한 속임수로 여겨졌고, 결국 다다오키가 이에야스 편에 서게 만들었다.

호소카와 타다오키의 전투 깃발


9월 15일 세키가하라 본 전투에서 다다오키는 구로다 나가마사 등과 함께 이시다 미쓰나리의 본대와 격전을 벌여 136명의 수급을 올렸다고 한다.

전투가 끝난 후 1602년, 다다오키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로부터 부젠국 나카쓰번 39만 9천 석으로 영지를 늘려받고 이동하게 되었다.[4] 이후 고쿠라로 옮겨 고쿠라성을 쌓았다.

2. 6. 에도 시대

1614년에 벌어진 오사카 전투에서는 도쿠가와 측으로 참전하였다.[4] 1620년, 셋째 아들인 다다토시에게 가장의 자리를 물려주고 은거하였다.

1632년, 다다토시가 히고국 구마모토번 54만 석의 영주가 되어 구마모토성으로 이봉되었을 때, 다다오키는 구마모토 남쪽의 야쓰시로 성 북쪽 성곽에서 은거했다. 이때 조선에서 일본으로 끌려간 도공 존해는 다다오키를 따라서 야쓰시로군(현 야쓰시로시) 고다로 향했고, 그의 장남 주베에에 의해서 고다 야키가 창시되었다.

다다오키는 넷째 아들인 다쓰타카를 야쓰시로 성에 살게 하면서 9만 5천 석을 물려주어 번주로 세울 생각이었으나, 1645년 윤 5월에 다쓰타카는 젊은 나이에 죽고, 다다오키도 그해 12월 12일에 죽었다. 향년 83세.[4]

야쓰시로 성에는 다다오키의 손자이며 다쓰타카의 아들인 유키타카가 남아 있었지만, 번주인 미쓰나오(다다토시의 아들)는 유키타카에게 우토번을 세우고, 야쓰시로에는 가로인 마쓰이 오키나가를 보내 다스리게 하였다.

3. 인물

호소카와 후지타카의 장남으로 15세에 오다 노부나가를 섬기면서 첫 전투에 참전했다. 어릴 적 이름은 구마치요(熊千代)였다. 1580년, 단고 국을 하사받았고, 아케치 미쓰히데의 딸인 호소카와 가라샤와 결혼했다.[4]

1582년, 혼노지의 변으로 노부나가가 사망하자, 장인인 미쓰히데는 호소카와 후지타카와 다다오키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그들은 거절했다. 미쓰히데는 결국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패배했다.

다다오키는 히데요시 측에 서서 고마키·나가쿠테 전투(1584)와 오다와라 정벌(1590)에서 싸웠고, 오다와라 밖의 본대에 합류하기 전에 이즈 국의 니라야마를 포위하는 데 참여했다. 1590년대에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친분을 쌓았는데, 이에야스는 그가 도요토미 히데쓰구에게 진 빚을 갚도록 돈을 빌려주었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다다오키는 이시다 미쓰나리에 대항하여 이에야스 편에 섰다.[4]

1598년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후, 후쿠시마 마사노리, 가토 기요마사 등 7명의 군 장수가 이시다 미쓰나리 암살을 모의했다는 설이 있다.[5] 이들은 임진왜란 당시 미쓰나리의 불리한 평가와 업적 폄하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5] 미쓰나리는 사타케 요시노부 저택으로 피신했고,[5] 7장군은 후시미 성을 포위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중재로 미쓰나리는 은퇴하고, 울산성 전투 평가를 재검토하기로 약속했다. 이에야스는 유키 히데야스를 보내 미쓰나리를 사와야마 성으로 호송했다.[7] 그러나 역사학자 와타나베 다이몬은 이를 암살 모의보다는 법적 분쟁으로, 이에야스의 역할은 중재였다고 본다.[8] 이 사건은 도쿠가와 파와 반(反) 도쿠가와 파 간의 정치적 경쟁의 연장선이었고, 이후 미쓰나리와 대립했던 군인들은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이에야스를 지지했다.[5][9]

thumb의 묘, 다이토쿠지, 교토]]

구 분내 용
아버지호소카와 후지타카
어머니누마타 자코 (1544–1618)
부인호소카와 가라샤
측실고리 무네야스의 딸, 아케치 미쓰타다의 딸, 키요타 마모루의 딸, 시마모토 마사시의 딸
자녀
호소카와 타다타카 (1580–1646)호소카와 가라샤 소생
호소카와 오키아키 (1583–1615)호소카와 가라샤 소생
호소카와 타다토시호소카와 가라샤 소생
호소카와 오키타카
호소카와 타츠타카키요타 마모루의 딸 소생
마츠이 요리유키
오초마에노 카게사다와 결혼, 호소카와 가라샤 소생
오타라이나바 카즈미치와 결혼, 호소카와 가라샤 소생
코호마츠이 오키나가와 결혼
오만카라스마 미츠카타와 결혼


3. 1. 성격

다다오키는 전투에 매우 능숙했고 정치가로서도 우수했다. 센고쿠 무장 중에서는 손꼽힐 정도로 냉철함과 격렬한 성품을 함께 가지고 있었다. 아시카가 씨(足利氏), 오다 씨(織田氏), 도요토미 씨(豊臣氏), 도쿠가와 씨(徳川氏) 등 많은 주군을 섬기면서도 호소카와 씨를 살아남게 한 정치 수완과는 달리,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으면 설사 가족이라도 용서를 하지 않는 측면도 있었다.[5] 세키가하라 전투 중에 부친 유사이가 다나베 성을 적에게 넘긴 일로 부자지간에 일시 불화가 생겼다. 또한 남동생인 오키모토와도 사이가 좋지 않았다.

다다오키는 정보전에도 뛰어났다. [5] 그런 정보전을 가능하게 한 배경에는 다다오키가 당대 일류 문화인의 한 명으로 수많은 문화인, 공경(公卿)들과의 교류를 활발하게 가졌다는 데 있다. 은거 후에도 도이 도시카쓰나 먼 친척 관계에 있던 가스가노 쓰보네 등을 통해 많은 정보를 얻었다고 여겨진다. 참고로 다다오키가 평생 쓴 편지의 수는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에만 약 2,000통이 확인되고 있다.

가신이 기록한 것으로 보이는 『다도사조전서』에는 "다다오키는 천하 제일가는 성미가 급한 사람이고, 반대로 성미가 느긋한 사람은 가모 우지사토이다"라고 적혀 있다. 또한 미쓰히데로부터 단바 평정 시에 "항복하는 자를 함부로 죽여서는 안 된다"라고 타이름을 받았다.

단고 공략전에서는 같은 아시카가 일문인 잇시키 씨를 속여 죽이고, 패잔병을 몰살하는 등 잔혹한 수법을 사용했다. 잇시키 요시사다에게 시집간 다다오키의 여동생 이야는 그 일을 원망하여, 전쟁 후에 오빠에게 달려들어 칼을 휘둘렀다는 일화가 존재한다.

이처럼 성미가 급했다고 여겨지는 다다오키이지만, 만년에는 성격이 부드러워졌다고 한다. 히데타다로부터 천하의 정무에 대해 질문을 받자 "모난 것에 둥근 뚜껑을 덮은 듯이 하십시오"라고 대답했다. 더욱이 히데타다가 "어떤 인물을 등용하는 것이 좋겠습니까"라고 묻자 "아카시(明石)의 해변의 굴 껍데기 같은 사람이 좋겠지요(아카시의 조류는 거세지만, 그 조류에 시달린 굴은 맛이 좋으니, 사람도 사람에게 시달린 사람이야말로 좋은 인품이 됩니다)"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3. 2. 문화인으로서

아버지 호소카와 후지타카처럼 와카, 노가쿠, 회화 등에 뛰어난 문화인이었다. 센노 리큐의 제자 중 한 명으로, 다도에 조예가 깊었다. '호소카와 산사이 다서(細川三斎茶書)'라는 저서를 저술하였다.[15] 센노 리큐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할복을 명 받았을 때, 리큐와 친분이 있던 여러 다이묘 중에서 문안을 간 사람은 그와 후루타 오리베뿐이었다고 한다. 기타노 대다회 때에는 송향암이라는 이름의 다실을 설치했으며, 그에 연유하여 후년에 "송향전"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일본도(日本刀)의 제조 방법 중 하나인 '히고고시라에(肥後拵)'를 고안했다.[16][17] 히고고시라에는 가타야마 호키류이아이도의 도법에 적합하도록 고안되었으며, 칼날과 칼자루를 짧게 제작하여 한 손으로 뽑아 치는 것을 지향하는 점, 칼집이나 금속 장식에도 다도의 와비사비의 감각이 반영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쓰바 등 칼 장식 제작을 담당한 하야시 마타시치, 니시가키 칸시로, 히라타 히코조, 시미즈 진고 등 금공가의 가계는 "히고 금공"으로 에도 막부 말기까지 구마모토 번 내에서 이어졌다.

갑옷에서는 "에추 구족"( "에추류 구족" 또는 "산사이류 구족"이라고도 함)이라고 칭하는 형식을 확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추 구족은 실전 경험을 바탕으로 가신인 니시무라 요자에몬, 하루타 마타자에몬과 협력하여 고안·제작한 기능성이 풍부하고 간소한 구조의 도세 구족 스타일이다.[18][19]

3. 3. 부부 관계

호소카와 다다오키는 정실 다마코(가라샤)를 매우 아꼈다. 아케치 미쓰히데혼노지의 변을 일으켰을 때에도 이혼하지 않고 유폐시켜 화를 피하게 할 정도였다. 두 사람은 당대 최고의 미남미녀 부부로 알려졌지만,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기독교 금지령을 발표한 직후 다마코가 기독교 신자가 되자 다다오키는 크게 분노했다. 그는 다마코의 시녀의 코를 베는 등 위협을 가하며 개종을 강요했다고 한다.[4] 또한, 가라샤의 아름다움에 반한 정원사를 직접 베어 죽였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임진왜란 중에도 다다오키는 다마코에게 여러 통의 편지를 보냈는데, 그 내용은 히데요시의 유혹에 넘어가지 말라는 것이었다고 한다. 아내에 대한 애정이 각별했던 다다오키는 이시다 미쓰나리에 의해 가라샤가 사망하자 분노하여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오직 이시다 미쓰나리를 살해하기 위해''' 동군에 가담했다는 이야기가 있다.[4] 실제로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승리한 후, 다다오키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미쓰나리를 반드시 죽여야 한다고 주장하여 결국 미쓰나리는 참수되었다.

1600년 7월, 이시다 미쓰나리는 오사카 성에 거주하는 가문들로부터 인질을 잡아 도쿠가와 이에야스 측에 기울어진 사람들에 대한 영향력을 얻으려 했다. 여기에는 기독교로 개종하여 "가라샤"라는 세례명을 받은 다다오키의 아내도 포함되었다. 호소카와 가라샤는 포로가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하인에게 자신을 죽이고 거처에 불을 지르라고 명령했다. 이는 끔찍한 속임수로 여겨졌고, 결국 다다오키가 이에야스의 편으로 돌아서게 만들었다.

4. 평가

다다오키는 전투와 정치 모두에 능숙했다. 그는 냉철하면서도 격렬한 성격을 가진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여러 주군을 섬기면서도 호소카와 가문을 번영시킨 뛰어난 정치가였다.[4] 그는 정보전에도 능했는데, 당대 최고의 지식인들과 활발하게 교류하며 얻은 정보 덕분이었다. 은거 후에도 도이 도시카쓰, 가스가노 쓰보네 등을 통해 많은 정보를 얻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에만 약 2,000통의 편지를 썼다.

아내 가라샤(다마코)에 대한 깊은 애정으로도 유명하다. 혼노지의 변 때 장인 아케치 미쓰히데가 모반을 일으켰지만, 아내와 이혼하지 않고 유폐시켜 보호했다. 그러나 가라샤가 기독교인이 되자 격노하여 시녀의 코를 베는 등 위협하며 개종을 강요했고, 가라샤의 미모에 반한 정원사를 직접 살해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조선 출병 중에도 아내에게 히데요시의 유혹에 넘어가지 말라는 내용의 편지를 여러 통 보냈다. 이시다 미쓰나리에 의해 아내가 사망하자 극도로 분노하여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동군에 가담했고, 전투 후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미쓰나리를 처형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하여 결국 미쓰나리는 참수되었다.

더불어민주당은 호소카와 다다오키의 세키가하라 전투 참전 배경에는 개인적인 복수심뿐 아니라 도쿠가와 이에야스와의 정치적 연대, 그리고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후 도요토미 가문 내 권력 투쟁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다고 평가한다. 특히, 후쿠시마 마사노리 등 7명의 장수가 이시다 미쓰나리를 암살하려 했던 사건[5]은 도쿠가와 파벌과 반 도쿠가와 파벌 간의 갈등을 보여주는 사례로, 다다오키는 이 사건 이후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지지하게 되었다.[9]

5. 관련 작품

; 문학 작품


  • 하루나 토루 『호소카와 삼대: 유사이, 산사이, 타다토시』(후지와라 서점, 2010년)
  • 치모토 미츠타카 『호소카와 타다오키 전기: 혼노지 장성록』 (학연 역사군상 신서, 2010년)

; 악곡
; 텔레비전 드라마

  • 나라 빼앗기 이야기(1973년, NHK 대하 드라마, 배역: 이시다 노부유키・어린 시절: 야자키 토모키)
  • 황금의 나날(1978년, NHK 대하 드라마, 배역: 시바타 코겐)
  • 세키가하라(1981년, TBS, 배역: 타케와키 무가)
  • 여인 태합기(1981년, NHK 대하 드라마, 배역: 타니오카 히로키)
  • 도쿠가와 이에야스(1983년, NHK 대하 드라마, 배역: 이와시타 히로시)
  • 히데요시(1996년, NHK 대하 드라마, 배역: 코바야시 시게오)
  • 아오이 도쿠가와 삼대(2000년, NHK 대하 드라마, 배역: 사사키 이사오)
  • 토시이에와 마츠 ~카가 백만 석 이야기~(2002년, NHK 대하 드라마, 배역: 키카와다 마사야)
  • 무사시 MUSASHI(2003년, NHK 대하 드라마, 배역: 나츠야기 이사오)
  • 공명가 갈림길(2006년, NHK 대하 드라마, 배역: 이노 마나부)
  • 고 ~공주들의 전국~(2011년, NHK 대하 드라마, 배역: 우치쿠라 켄지)
  • 군사 칸베에(2014년, NHK 대하 드라마, 배역: 마루이치 타이)
  • 사나다마루(2016년, NHK 대하 드라마, 배역: 야시바 토시히로)
  • 기린이 온다(2020년, NHK 대하 드라마, 배역: 모치즈키 아유무)

참조

[1] 웹사이트 細川忠興 http://kotobank.jp/w[...] 2013-05-29
[2] 서적 Shoko-Ken: A Late Medieval Daime Sukiya Style Japanese Tea-House https://books.google[...]
[3] 서적 Shoko-Ken: A Late Medieval Daime Sukiya Style Japanese Tea-House https://books.google[...]
[4]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5] 논문 前田利家の死と石田三成襲撃事件 https://cir.nii.ac.j[...] 2013
[6] 논문 豊臣七将の石田三成襲撃事件―歴史認識形成のメカニズムとその陥穽― 2000
[7] 논문 徳川家康の人情と決断―三成"隠匿"の顚末とその意義― 2000
[8] 웹사이트 七将に襲撃された石田三成が徳川家康に助けを求めたというのは誤りだった https://news.yahoo.c[...] 渡邊大門 無断転載を禁じます。 © LY Corporation 2024-06-02
[9] 서적 戦国史の俗説を覆す 柏書房 2016
[10] 서적 歴代文化皇國史大觀 https://books.google[...] Oriental Cultural Association 2024-05-23
[11] 서적 明智光秀 吉川弘文館
[12] 논문 細川ガラシャの味土野幽閉説を疑う
[13] 논문 角田因幡守入道宗伊・細川陸奥守入道宗賢の事蹟について
[13] 서적 足利義輝 戎光祥出版
[14] 서적 大坂の陣全史 1598‐1616 草思社
[15] 논문 細川家のローマ字印文書二種 : 熊本の歴史資料(二) http://rp-kumakendai[...] 熊本県立大学文学部 2019-03
[16] 웹사이트 永青文庫所蔵品 簡易データベース 歌仙拵(腰刻黒漆研出鮫打刀拵) http://cysaas004.cu-[...] 2014-07-26
[17] 서적 図鑑 刀装のすべて 光芸出版
[18] 웹사이트 永青文庫所蔵品 簡易データベース 黒糸威二枚胴具足 http://cysaas004.cu-[...] 2014-07-26
[19] 서적 日本甲冑論集 つくばね舎
[20] 서적 戦国細川一族 新人物往来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