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미히토 친왕비 기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미히토 친왕비 기코는 일본의 황족으로,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의 배우자이다. 1966년 시즈오카현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으며, 가쿠슈인 대학교에서 심리학을 전공하고 오차노미즈 여자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0년 후미히토 친왕과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었으며, 결핵 예방회 총재, 은사재단 모자애육회 총재 등을 역임하며 사회 활동을 펼치고 있다. 2019년 나루히토 일왕 즉위 후 황사비가 되었으며, 해외 방문을 통해 외교 관계 개선에도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키시노노미야 - 고무로 마코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의 장녀인 고무로 마코는 국제기독교대학 졸업 후 미술사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고무로 게이와의 결혼으로 황족 신분을 상실하고 현재 미국 뉴욕에 거주하고 있다. - 아키시노노미야 - 아키시노노미야 히사히토 친왕
아키시노노미야 히사히토 친왕은 후미히토 친왕과 기코 비의 아들로 2006년 9월 6일에 태어났으며, 현재 일본 황위 계승 순위 2위인 일본 황족이다. - 일본의 친왕비·왕비 - 다카히토 친왕비 유리코
다카히토 친왕비 유리코는 1923년 도쿄에서 태어나 미카사노미야 타카히토 친왕과 결혼하여 5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모자애육회 총재, 황실회의 의원 등으로 활동하다 2016년 남편 서거 후 미카사노미야 가의 당주가 되어 2024년 101세로 사망한 일본 황족이다. - 일본의 친왕비·왕비 - 노부히토 친왕비 기쿠코
노부히토 친왕비 기쿠코는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외손녀로, 다카마쓰노미야 노부히토 친왕과 결혼하여 사회 공헌 활동을 펼쳤으며, 여성 천황 옹호 등 자신의 의견을 표명하고 남편의 일기를 공개하기도 했다. - 가쿠슈인 대학 동문 - 미시마 유키오
미시마 유키오는 1925년 도쿄에서 태어나 소설, 희곡, 평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일본의 전통과 현대 사이의 갈등을 작품에 담아낸 20세기 일본 문학의 중요한 인물이며, 1970년 자위대에서 쿠데타를 시도하다 실패하고 할복 자살했다. - 가쿠슈인 대학 동문 - 이맹희
이맹희는 삼성그룹 창업주 이병철의 장남이자 CJ그룹 명예회장으로, 삼성그룹 후계자 수업을 받았으나 사카린 밀수 사건으로 후계 구도에서 밀려난 후 제일비료 회장을 지냈고, 이건희와 상속 재산 관련 법정 다툼을 벌이다 폐암으로 별세했다.
후미히토 친왕비 기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비 |
본명 | 가와시마 기코 (川嶋紀子) |
출생 | 1966년 9월 11일 |
출생 장소 | 일본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스루가구, 시즈오카 사회복지법인 제생회 종합병원 |
배우자 | 후미히토 친왕 (1990년 6월 29일 결혼) |
자녀 | 고무로 마코 가코 내친왕 히사히토 친왕 |
왕가 | 일본 황실 |
아버지 | 가와시마 다쓰히코 |
어머니 | 스기모토 가즈요 |
존칭 | 전하 (妃殿下) |
휘장 | 히오우기아야메 (檜扇菖蒲, 붓꽃의 일종) |
훈장 | |
직함 | |
결핵예방회 | 총재 |
은사재단 모자애육회 | 총재 |
대성사 문화・호우회 | 명예 총재 |
일본 적십자사 | 명예 부총재 |
관련 정보 | |
로마자 표기 | Kōshi Fumihito Shinnō-hi Kiko |
가와시마 기코 로마자 표기 | Kawashima Kiko |
2. 생애
1966년 9월 11일, 가와시마 다쓰히코와 가즈요 부부의 장녀로 태어났다. 아버지의 유학 및 연구 활동으로 어린 시절을 미국과 오스트리아에서 보냈으며, 여러 학교를 거쳐 1979년 가쿠슈인 여자 중등과에 편입하여 가쿠슈인 여자 고등과를 졸업했다. 1985년 가쿠슈인 대학 문학부 심리학과에 입학하여 1989년 졸업 후 동 대학원에 진학했다.
1990년 6월 29일,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과 결혼하여 황족이 되었다. 이는 쇼와 천황 서거 이후 황실의 첫 경사였으며, 당시 기코가 평범한 교직원 주택에 살았던 터라 '3LDK[91]의 프린세스'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결혼과 함께 훈1등 보관장을 받았다.
결혼 후 마코 내친왕(1991년생), 가코 내친왕(1994년생), 히사히토 친왕(2006년생) 세 자녀를 두었다. 특히 히사히토 친왕은 아버지 후미히토 친왕 이후 41년 만에 태어난 황실의 남자아이였다.
1995년 가쿠슈인 대학 대학원에서 인문과학 석사 과정을 수료했으며, 이후 학업을 계속하여 2013년 오차노미즈 여자 대학에서 인문과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학업 외에도 일본 학술 진흥회 명예 특별 연구원, 오차노미즈 여자 대학 특별 초빙 연구원 등으로 활동하며 연구를 이어갔다.
2019년 5월 1일, 남편 후미히토 친왕이 황사가 되면서 기코는 황사비가 되었다.
2. 1. 어린 시절
1966년 (쇼와 41년) 9월 11일,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스루가구에 위치한 은사재단제생회 시즈오카 제생회 종합병원에서 가와시마 다쓰히코와 그의 아내 스기모토 가즈요 사이의 장녀로 태어났다.[3] 당시 병원의 총재는 도모히토 친왕이었다. '기코'라는 이름은 와카야마현의 옛 이름인 기이국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아버지 쪽 할머니 기코(이토코)와 얼굴이 닮았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82] 본적지는 가와시마 가문의 선조 땅인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였다.1967년, 아버지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대학원에 유학하게 되면서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주하여 6세까지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지냈다.[3] 아버지는 1971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지역 과학 박사 학위를 받고 그곳에서 강의했다.[4] 기코는 1969년 9월 로즈몬트 대학교 부속 로즈몬트 트리니티 스쿨에 입학했고, 이 시기에 자유학원 유아생활단 통신 그룹을 졸업했다. 1970년 9월에는 세인트 메리 유치원에, 1971년 9월에는 필라델피아 시립 헨리 C. 리 초등학교(Henry C. Lea Elementary School)에 입학했다. 미국 체류 중 4세 무렵부터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하여 고등학교 3학년까지 개인 레슨을 받았다. 5세 때는 승마도 배우기 시작했다.
1973년 아버지 다쓰히코가 가쿠슈인 대학 조교수로 부임하게 되면서 가족과 함께 일본으로 귀국했다.[3][5] 같은 해 6월, 시즈오카 시립 나카다 초등학교 1학년에 편입했으나, 9월에는 도쿄도 신주쿠구 도야마로 이사하여 신주쿠구립 와세다 초등학교로 다시 편입했다. 1975년 4월에는 도요시마구 메지로의 가쿠슈인 교직원 기숙사로 이사하면서 도요시마구립 메지로 초등학교 3학년으로 편입했고, 다음 해인 1976년에는 가쿠슈인 초등과 4학년으로 편입했다.
1977년, 아버지가 오스트리아 빈 교외 니더외스터라이히주 락센부르크에 있는 국제 응용 시스템 분석 연구소(IIASA)의 주임 연구원으로 초빙되면서 다시 가족과 함께 해외로 이주했다.[4] 약 2년간 오스트리아에서 생활하며 빈의 아메리칸 인터내셔널 스쿨 오브 비엔나(The American International School of Vienna, AIS) 6학년에 편입했다. 이 시기에 영어 실력을 더욱 향상시켰고, 독일어도 일상 회화에 능숙해졌다.[4][5] 오스트리아에서는 스키를 배웠는데, 고등학교 2학년 스키 교실에서는 학년에서 유일하게 상급 코스를 활강할 정도의 실력을 갖추게 되었다. 빈 교외의 승마 훈련 학교에서 캠프 생활을 체험하기도 했다.
1979년 9월, 일본으로 다시 귀국하여 가쿠슈인 여자 중등과 1학년에 편입했다. 중학교 1학년 때 자택 근처 테니스 스쿨에서 테니스를 배우기 시작했다. 이후 가쿠슈인 여자 고등과로 진학했다. 고등과 시절에는 반에서 후생위원으로 선출되어, 거리에서 한센병 환자 등 어려운 이웃을 위한 모금 활동을 하거나 신체 장애인이 만든 엽서를 추천하는 활동에 참여했다.[5] 고등과 시절 원내 복식 테니스 대회에서 우승하기도 했다. 학생 시절 애독서는 가미야 미에코의 『마음의 여행』이었다.
1985년 (쇼와 60년), 가쿠슈인 대학 문학부 심리학과에 입학했다.
2. 2. 결혼과 가족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과의 결혼은 쇼와 천황 서거 이후 황실 최초의 경사였다. 후미히토 친왕은 1986년 6월 26일, 두 사람이 가쿠슈인 대학 학생이던 시절 가와시마 기코에게 처음 청혼했다.[5][6] 두 사람은 대학 내 서점에서 처음 만났으며, 서클 활동 등을 통해 교제를 이어갔다.3년 후인 1989년 9월 12일, 황실 회의의 승인을 거쳐 약혼이 발표되었고,[5][6] 약혼식(납채의 의식)은 1990년 1월 12일에 거행되었다. 결혼식은 쇼와 천황의 상(喪) 기간이 끝난 후인 1990년 6월 29일 도쿄 황궁 내 신사에서 열렸다.[7] 결혼과 함께 후미히토 친왕은 천황으로부터 '아키시노노미야'(秋篠宮)라는 궁호를 받았고, 기코는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비 기코 전하'''(秋篠宮文仁親王妃紀子殿下)가 되었다. 비공식적으로는 '''기코 비'''(紀子妃)로 불린다. 황실에 들어오면서 개인 문장(오시루시, お印|오시루시일본어)으로 붓꽃과의 식물인 털붓꽃(''Iris setosa'', 檜扇菖蒲|히오기아야메일본어)을 받았다.[8]

당시 기코는 아버지가 가쿠슈인 대학 교수였기에 평범한 교직원 공동 주택(3LDK 구조)에 살고 있었는데, 이 때문에 언론에서는 그녀를 '''3LDK[91]의 프린세스'''(3LDKのプリンセス일본어)라고 불렀다. 후미히토 친왕이 신호등 아래에서 청혼했다는 이야기가 퍼지면서 '신호등 아래의 러브스토리'로 불리며 큰 호응을 얻었다. 결혼 기념 프로그램으로 후지 TV에서는 1990년 '헤이세이의 신데렐라 기코 님 이야기'(平成のシンデレラ 紀子さま物語일본어)라는 애니메이션을 방영하기도 했다. 이는 황실 관련 내용으로는 드문 일이었다.
기코 비는 미치코 황후에 이어 평민 출신으로 황실에 시집온 두 번째 여성이었지만, 미치코 황후 집안과 달리 매우 부유한 배경은 아니었기에 "아파트 공주"라는 별명도 얻었다.[5] 당시 신랑인 후미히토 친왕이 아직 대학원생이었고 형인 나루히토보다 먼저 결혼한다는 점, 평민 출신이라는 점 등 여러 면에서 선례를 깨는 결혼이었다. 이 때문에 궁내청 관계자들과 고준 황후의 반대도 있었다.[5]
후미히토 친왕과 기코 비는 슬하에 2녀 1남을 두었다.
이름 | 생년월일 | 비고 |
---|---|---|
고무로 마코 (小室 眞子|고무로 마코일본어) | 1991년 10월 23일 | 전 마코 내친왕( 眞子内親王|마코 나이신노일본어). 2021년 10월 26일 변호사 고무로 케이와 결혼하며 황실전범에 따라 황족 신분을 이탈. |
아키시노노미야 가코 내친왕 (佳子内親王|가코 나이신노일본어) | 1994년 12월 29일 | |
아키시노노미야 히사히토 친왕 (悠仁親王|히사히토 신노일본어) | 2006년 9월 6일 | 아버지 다음으로 황위 계승 서열 2위.[12] |
2006년 히사히토 친왕의 출생은 후미히토 친왕 이후 41년 만의 황실 남자아이 탄생이었다. 당시 기코 비는 부분 전치태반 진단을 받아 황족으로서는 처음으로 제왕 절개를 통한 출산이 이루어졌으며,[61] 부부는 "국민에게 도움이 된다면"이라는 뜻으로 제대혈 기증 의사를 밝혀 화제가 되기도 했다.[62][63]
1997년부터 후미히토 친왕 부부와 자녀들은 도쿄도 미나토구 모토아카사카의 아카사카 어용지 내 저택에서 주로 거주하고 있다.
2. 3. 학업 및 사회 활동
기코는 시즈오카현 스루가구의 시즈오카 자혜회 병원에서 태어났다.[3] 아버지 가와시마 다쓰히코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대학원에 유학하면서 어린 시절을 미국과 오스트리아에서 보냈다. 이 기간 동안 영어와 독일어에 능통하게 되었다.[4][5] 1979년 일본으로 귀국하여 학업을 이어갔다.연도 | 내용 |
---|---|
1969년 9월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로즈몬트 트리니티 스쿨 입학 |
1970년 9월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세인트 메리 유치원 입학 |
1971년 9월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헨리 C. 리 초등학교 입학 |
1973년 6월 | 일본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시즈오카 시립 나카타 초등학교 1학년 편입 |
1973년 9월 | 일본 도쿄도 신주쿠구 신주쿠 구립 와세다 초등학교 1학년 편입 |
1975년 4월 | 일본 도쿄도 도요시마구 도요시마 구립 메지로 초등학교 3학년 편입 |
1976년 4월 | 일본 도쿄도 가쿠슈인 초등과 4학년 편입 |
1977년 8월 | 오스트리아 빈 아메리칸 인터내셔널 스쿨 6학년 편입 |
1979년 9월 | 일본 도쿄도 가쿠슈인 여자 중등과 1학년 편입 |
1982년 9월 | 일본 도쿄도 가쿠슈인 여자 고등과 입학 |
1985년 4월 | 일본 도쿄도 가쿠슈인 대학 문학부 심리학과 입학 |
1989년 3월 | 가쿠슈인 대학 문학부 심리학과 졸업 (문학사) |
1989년 4월 | 가쿠슈인 대학 대학원 인문과학연구과 (사회심리학 전공) 입학 |
1995년 | 가쿠슈인 대학 대학원 인문과학연구과 박사 전기 과정 수료 (인문학 석사) |
2013년 3월 | 오차노미즈 여자 대학교 대학원 인문과학연구과 박사 과정 수료 (인문과학 분야 철학 박사) |
가쿠슈인 여자 고등과 시절에는 후생위원을 맡아 한센병 환자 등을 위한 모금 활동이나 신체 장애인이 만든 엽서 판매 지원 활동에 참여했다. 가쿠슈인 대학 재학 중에는 자연문화연구회, 심리연구회, 수화 서클 등에서 활동했다. 특히 수화는 문화제 공연을 보고 감동받아 시작했으며, 청각 장애 학생의 강의 수강을 돕거나 통역, 노트 필기를 지원했다. 이 외에도 신체 장애인의 휠체어 보조, 자폐증 아동 돌봄 등 다양한 봉사 활동에 참여했다. 국제 교류 단체 활동과 타 대학 강의 청강 등 학문적 관심사를 넓히기도 했다. 1987년에는 동남아시아 청소년 교류 사업(SSEAYP)에 참여했으며, 이후 이 프로그램의 후원자로 활동하고 있다.
결혼 후에도 학업에 대한 의지를 보여, 공식적인 업무를 수행하면서 1995년 가쿠슈인 대학 대학원에서 사회 심리학으로 인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오차노미즈 여자 대학교에서 연구를 계속하여 2013년 3월, "결핵 관련 지식, 인식, 믿음 및 행동: 전국지역여성단체 결핵 관리 연맹과 여대생의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한 연구"라는 논문으로 인문과학 분야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1]
기코 비는 농문화와 일본 내 청각 장애인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일본 수화에 능통한 수화 통역가이다.[9] 매년 '고등학생 수화 연설 대회', '청각 장애 자녀를 키우는 어머니를 칭찬하는 행사' 등 관련 행사에 꾸준히 참석하고 있다. 2008년에는 '제38회 전국 농 여성 회의'에 참여했으며[11], 비공식적인 청각 장애인 모임에서도 수화를 사용한다.[10]
2009년부터 일본 학술 진흥회 명예 특별 연구원으로 활동하며 오차노미즈 여자 대학에서 연구 활동을 재개했고,[81] 2017년에는 같은 대학 인간 발달 교육 과학 연구소의 특별 초빙 연구원으로 임명되었다.[81] 또한 결핵 예방회 총재(1994년 4월~), 은사 재단 모자 애육회 총재(2010년 10월~) 등 다양한 사회 공헌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59][79] 그녀는 일본 적십자사 명예 부총재이기도 하다.
2. 4. 황사비
2019년 (레이와 원년) 5월 1일, 나루히토가 제126대 천황으로 즉위하면서 남편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이 황사가 되었고, 기코는 황사비가 되었다.[88] 정부 방침에 따른 호칭은 '''황사비 전하'''(こうしひでんか)이며, 궁내청의 정식 호칭은 '''아키시노노미야 황사비 전하'''이다.[66][67][89][90]천황의 퇴위 등에 관한 황실전범 특례법 제5조에 따라, 황사비가 된 2019년 5월 1일부터 황태자비와 동등한 대우를 받게 되었다. 국외에서의 대외적 호칭 역시 황태자비와 같은 Crown Princess Kiko영어이다.[68] 같은 해 10월 22일 거행된 나루히토 천황의 즉위례정전의에서는 황태자비와 동등한 복장으로 참석했다. 1990년 (헤이세이 2년) 아키히토 천황의 즉위례정전의 당시 황태자였던 나루히토 친왕이 미혼이었기 때문에, 이는 전후 처음으로 황태자비 대우의 황족이 즉위례정전의에 참석한 사례가 되었다.
정부의 공식 표기(내각 고시, 궁내청 고시 등)에서는 황족에게 궁호를 붙이지 않으므로(‘황태자’ 제외), 이러한 고시가 실리는 관보 등에서는 ‘후미히토 친왕비 기코’ 또는 ‘황사비 기코’[87]로 표기된다. 하지만 정부 홈페이지처럼 일반 국민에게 알기 쉽게 설명해야 할 경우에는 ‘아키시노노미야비’라는 표기도 사용된다. 언론에서는 주로 ‘기코 님’으로 불린다.
3. 대외 활동
황태자 부부는 외교 관계 개선을 위해 중요한 해외 방문객들을 만나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코 비는 4,000명의 후보자 중에서 선발되어 2007년 세계경제포럼의 '세계의 젊은 지도자'(Young Global Leaders)로 선정되기도 했다.[13]
황태자 부부는 여러 차례 해외 공식 방문을 수행했다.
- 2002년 6월에는 일본과 몽골의 외교 관계 수립 30주년을 기념하여 일본 황실 가족 중 처음으로 몽골을 방문했다.[14][15] 같은 해 10월에는 네덜란드를 방문하여 클라우스 네덜란드 공의 장례식에 참석했다.[16]
- 2003년 9월에는 피지, 통가, 사모아를 친선 방문했는데, 이 역시 일본 황실 가족의 첫 방문이었다.[17][18]
- 2004년 3월에는 율리아나 네덜란드 여왕의 장례식 참석을 위해 네덜란드를 다시 방문했다.[16]
- 2005년 1월에는 룩셈부르크를 방문하여 조제핀 샤를로트 대공비의 장례식에 참석했다.[16]
- 2006년 10월부터 11월까지는 파라과이를 방문하여 일본인의 파라과이 이주 70주년을 기념했다.[19]
- 2008년 1월에는 인도네시아를 방문하여 일본과 인도네시아 공화국 간의 외교 관계 수립 5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했다.[20]
- 2009년 5월에는 '일본-다뉴브 우호의 해 2009'를 기념하여 오스트리아, 불가리아, 헝가리, 루마니아를 방문했으며,[21][22] 같은 해 8월에는 일본과 네덜란드 간 통상 관계 400주년 기념행사를 위해 네덜란드를 방문했다.[23] 부부의 방문은 일-란 통상 400주년을 기념하는 여러 행사의 정점이 되었으며, 네덜란드 왕실로부터 후한 대우를 받아 양국의 우호 관계를 더욱 증진하는 계기가 되었다.[64]
- 이 외에도 코스타리카,[24] 우간다,[25] 크로아티아,[26] 슬로바키아,[27] 슬로베니아,[28] 페루, 아르헨티나 등을 방문했다.[29][30]
- 2014년 6월부터 7월까지는 잠비아와 탄자니아를 방문했다.[31][32]

- 2019년 6월~7월, 부부는 나루히토 일왕 즉위 이후 처음으로 공식 해외 방문을 하여 폴란드와 핀란드를 찾았다. 이는 일본과 이들 두 국가 간의 외교 관계 수립 100주년 기념행사에 참여하기 위함이었다.[33] 같은 해 8월에는 아들 히사히토 친왕과 함께 부탄을 방문했다.[34]
- 2023년에는 영국 런던을 방문하여 찰스 3세 국왕과 카밀라 왕비의 대관식에 참석했다.[35]

또한 기코 비는 건강 및 복지 관련 국제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결핵 예방회 총재로서 2018년 10월 네덜란드에서 열린 '제49회 폐 건강 세계 회의'에 참석하여 국제결핵폐질환예방연합(The Union)으로부터 명예 회원 칭호를 받았다.[80] 사회복지법인·은사재단 모자애육회 총재로서는 2018년 12월 태국에서 개최된 '제11회 모자수첩 국제회의'에 참석했다.
4. 가족 관계
小室 眞子|고무로 마코일본어
佳子内親王|가코 나이신노일본어
悠仁親王|히사히토 신노일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