Ŋ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Ŋ은 소리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문자이다. 12세기에 사용된 고대 아이슬란드어 문헌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이후 다양한 언어와 음성 표기법에서 사용되었다.
ŋ의 형태는 소문자 n에 갈고리를 추가한 모양으로, 대문자는 N에 갈고리를 더하거나 소문자를 확대한 형태가 있다. 이 문자는 국제 음성 기호, 아프리카 언어,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 사미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되며, 학술적인 표기에도 활용된다. 영어에서는 ⟨ng⟩로 표기되며, 발음은 단어의 위치에 따라 /ŋ/ 또는 /ŋg/로 나타난다. 컴퓨터에서는 유니코드 U+014A와 U+014B로 인코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자 - 가로쓰기와 세로쓰기
가로쓰기와 세로쓰기는 글자를 배열하는 방식의 차이를 말하며, 역사적으로 세로쓰기가 표준이었으나 현대에는 가로쓰기가 일반적이고, 글자 배열, 구두점 및 기호, 루비 문자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 문자 - 십자
십자는 두 선의 교차점으로, 기독교에서는 예수의 십자가형 상징이자 다양한 문화권과 분야에서 활용되는 기호 또는 도형이다.
Ŋ | |
---|---|
문자 정보 | |
![]() | |
이름 | 엥 |
종류 | 알파벳 |
문자 체계 | 라틴 문자 |
용도 | 문자와 표어 |
사용 시작 | 1619년 ~ 현재 |
유사 문자 | N n Ņ ņ ng |
관련 문자 | ʩ |
발음 (IPA) | ŋ ŋ̊ ɛŋ |
유니코드 | |
유니코드 | U+014A, U+014B |
2. 역사
알렉산더 길 더 엘더와 윌리엄 홀더가 ŋ 음가를 나타내기 위해 이 문자를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널리 채택되지는 못했다. 이후 벤자민 프랭클린의 음성 문자에서 현재의 음성 값을 가지고 사용되었지만, 영어에는 사용되지 못했다.[1][2]
2. 1. 초기 사용
12세기에 쓰인 고대 아이슬란드어의 음운론에 관한 저서인 ''제1 문법 논고''는 ŋ 소리에 획이 그어진 g 모양의 단일 문자소 ǥ를 사용했다.알렉산더 길 더 엘더는 1619년의 ''Logonomia Anglica''에서 같은 소리를 나타내기 위해 갈고리 꼬리가 있는 대문자 G와 필기체 g의 갈고리 꼬리가 있는 소문자 n ŋ을 사용했다.[1] 윌리엄 홀더는 1669년에 출판된 ''Elements of Speech: An Essay of Inquiry into the Natural Production of Letters''에서 이 문자를 사용했지만, 의도한 대로 인쇄되지는 않았다. 그는 자신의 정오표에서 "Ng에 대한 문자가 의도되었으며, 즉., g와 같은 꼬리가 있는 n인데, 이는 인쇄업자가 n이나 y로 모방한 경우 이해해야 한다"고 언급했다.[2]
이후 벤자민 프랭클린의 음성 문자에서 현재의 음성 값을 가지고 사용되었지만, 영어에는 사용되지 못했다.
2. 2. 벤자민 프랭클린의 음성 문자
알렉산더 길 더 엘더는 1619년 ''Logonomia Anglica''에서 같은 소리를 나타내기 위해 갈고리 꼬리가 있는 대문자 G와 필기체 g의 갈고리 꼬리가 있는 소문자 n (ŋ영어)을 사용했다.[1] 윌리엄 홀더는 1669년 출판된 ''Elements of Speech: An Essay of Inquiry into the Natural Production of Letters''에서 이 문자를 사용했지만, 의도한 대로 인쇄되지 않았다.[2]이후 벤자민 프랭클린의 음성 문자에서 현재의 음성 값을 가지고 사용되었지만, 영어에는 채택되지 못했다.
3. 형태
소문자 ŋ은 n에서 파생되었으며, 오른쪽 다리에 갈고리가 추가되어 j와 다소 유사하다. 대문자는 크게 두 가지 형태가 있는데, 일반적인 대문자 N에 갈고리를 추가한 형태("N형")와 소문자를 확대한 형태("n형")이다. 사미어에서는 N형 대문자를, 아프리카 언어에서는 n형 대문자를 선호한다.[3] 초기 인쇄에서는 ŋ을 나타내는 글자가 없어 대문자 G를 회전시키거나 그리스 문자 η(에타)를 대신 사용하기도 했다.
3. 1. 다양한 형태의 Ŋ
소문자 ŋ은 n에서 파생되었으며, 오른쪽 다리에 갈고리가 추가되어 j와 다소 유사하다. 오늘날 대문자는 두 가지 주요 변형이 있다. 일반적인 대문자 N을 기반으로 갈고리를 추가한 형태(또는 "N형")일 수도 있고, 소문자의 확대 버전일 수도 있다(또는 "n형"). 전자는 ŋ을 사용하는 사미어에서 선호되며, 후자는 아프리카 언어에서 선호된다.[3] 예를 들어 1931년부터 1955년까지의 쇼나어와 현재 서부 및 중앙 아프리카의 여러 언어에서 사용된다. 아이작 피트먼의 포노타입 알파벳에서 대문자는 역 N 형태를 가졌다.초기 인쇄업자들은 ŋ에 대한 특정 글리프가 없었기 때문에 때때로 대문자 G를 회전시키거나 그리스 문자 η(''에타'')를 대체하여 근사했다. 후에 이 글리프는 현재 형태(유니코드에서는 긴 다리가 있는 라틴 문자 n으로 인코딩됨: Ƞ ƞ)로 수정되었다.

4. 발음
대부분의 언어에서 ŋ 소리는 라틴 문자에 존재하지 않지만, 단어 속의 n에서 그 소리가 나타날 수 있다. 영어 등 여러 언어에서 nc(경음 c), ng(경음 g), nk, nq, nx와 같은 이중 자음을 통해 이 소리를 들을 수 있으며, 단어 끝에서 자주 나타난다.
4. 1. 영어에서의 발음
영어에서 ŋ영어 소리는 라틴 문자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단어 속의 n에서 나타날 수 있다. 영어에서는 nc(경음 c), ng(경음 g), nk, nq, nx와 같은 잠재적인 이중 자음에서 들을 수 있으며, 단어의 끝에서 자주 나타난다. ng가 ŋ영어 소리로 발음되는 경우, 'singer'(가수)와 'hanged'(매달린)와 같은 단어와 단어의 마지막 위치에서는 /ŋ/로 발음될 수 있고, 'finger'(손가락)와 'angle'(각도)와 같은 단어에서는 /ŋg/로 발음될 수 있다.영국 영어에서는 접두사 en-과 in-이 c, g, q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 오면 n이 ŋ영어 소리로 발음되며, 예를 들어 'encroachment'(침해), 'engagement'(약혼), 'enquiry'(문의), 'incursion'(급습), 'ingredient'(성분), 'inquiry'(조사) 등이 있다. 다른 영어 방언에서는 n이 /n/로 발음된다. 많은 영국 방언에서 'strength'(힘)와 'length'(길이)의 ng는 단순히 /n/로 발음되며, g는 묵음이고, 다른 경우에는 ng가 /ŋ/로 발음된다.
5. 사용
ŋ은 여러 언어에서 사용된다.
언어 종류 | 언어 |
---|---|
아프리카 언어 | 바리어, 벰바어, 다그바니 어, 딩카어, 에피크어, 에웨어, 프라프라어, 풀라어, 간다어, 만딩어군, 누에르어, 쇼나어†, 송가이어군, 월로프어, 자르마어 |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 | 이누피아크어, 라코타어, 오다어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텅가어 |
호주 원주민 언어 | 반잘랑어, 욜구 |
중국어 | 좡어† (1986년에 이중 문자 ng로 대체됨), 한어 병음† (ng의 약식 형태로 ŋ을 사용했다.) |
폴리네시아어족 | 아누탄어, 에메어, 라파누이어 (세 언어 모두 키보드에서 ⟨ŋ⟩을 사용할 수 없을 때 ⟨g⟩ 또는 ⟨ng⟩ 사용) |
사미어족 | 이나리 사미어, 룰레 사미어, 북부 사미어, 우메 사미어, 스코트 사미어, 킬딘 사미어 (1930년대 라틴 문자화 동안) |
튀르크어족 | 1930년대 라틴 문자화 동안 Ꞑ ꞑ를 사용했는데, 이는 때때로 ŋ의 변형으로 간주된다., 카자흐어† (2019년 라틴 문자 개정; 2021년 4월 제안에서 Ñ로 대체됨) |
마푸체어 | 마푸체어 (Wirizüŋun 문자) |
칼람어군 | 칼람어[6] |
†표시된 언어는 더 이상 ŋ을 사용하지 않지만, 과거에는 사용했다.
5. 1. 학술적 표기
- 미국식 음성 기호에서는 구개수 비음을 나타낼 수 있다.
- 때때로 호주 원주민 언어 음성 기록에 사용된다.
- 국제 음성 기호에서 사용된다.
- 우랄 음성 기호에서 사용된다. (Ŋ|응mul 포함)[4]
- 토이토니스타 음성 기록 시스템에서 사용된다.[5]
- 라인 지역 문서의 중부 서부 독일어 방언, 저지 라인어, 그리고 몇몇 관련 언어에 대한 음성 알파벳에서 사용된다.
5. 2. 여러 언어에서의 사용
ŋ은 여러 언어에서 사용된다.언어 종류 | 언어 |
---|---|
아프리카 언어 | 바리어, 벰바어, 다그바니 어, 딩카어, 에피크어, 에웨어, 프라프라어, 풀라어, 간다어, 만딩어군, 누에르어, 쇼나어†, 송가이어군, 월로프어, 자르마어 |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 | 이누피아크어, 라코타어, 오다어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텅가어 |
호주 원주민 언어 | 반잘랑어, 욜구 |
중국어 | 좡어† (1986년에 이중 문자 ng로 대체됨), 한어 병음† (ng의 약식 형태로 ŋ을 사용했다.) |
폴리네시아어족 | 아누탄어, 에메어, 라파누이어 (세 언어 모두 키보드에서 ⟨ŋ⟩을 사용할 수 없을 때 ⟨g⟩ 또는 ⟨ng⟩ 사용) |
사미어족 | 이나리 사미어, 룰레 사미어, 북부 사미어, 우메 사미어, 스코트 사미어, 킬딘 사미어 (1930년대 라틴 문자화 동안) |
튀르크어족 | 1930년대 라틴 문자화 동안 Ꞑ ꞑ를 사용했는데, 이는 때때로 ŋ의 변형으로 간주된다., 카자흐어† (2019년 라틴 문자 개정; 2021년 4월 제안에서 Ñ로 대체됨) |
마푸체어 | 마푸체어 (Wirizüŋun 문자) |
칼람어군 | 칼람어[6] |
†표시된 언어는 더 이상 ŋ을 사용하지 않지만, 과거에는 사용했다.
6. 컴퓨터 인코딩
Ŋ는 유니코드에서 U+014A LATIN CAPITAL LETTER ENG 및 U+014B LATIN SMALL LETTER ENG로 인코딩되며, 이는 라틴어 확장-A 범위에 속한다. ISO 8859-4 (라틴-4)에서 대문자는 BD, 소문자는 BF에 위치한다.
벰바어와 같은 아프리카 언어에서는 ŋ을 재현하기 어려운 매체에서 ''ng''(작은따옴표 포함)가 ŋ을 대신하여 널리 사용된다.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Encyclopedia of the English Language
2003
[2]
서적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1958
[3]
웹사이트
Essay Archives and Poetry
http://www.aessay.or[...]
2004-06-10
[4]
웹사이트
L2/02-141: Uralic Phonetic Alphabet characters for the UCS
https://www.unicode.[...]
2002-03-20
[5]
웹사이트
L2/11-202: Revised proposal to encode "Teuthonista" phonetic characters in the UCS
https://www.unicode.[...]
2011-06-02
[6]
서적
Birds of my Kalam Country
Auckland University Press
197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