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라쓰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라쓰번은 에도 시대에 존재했던 일본의 번으로, 1593년 데라자와 히로타카가 초대 번주가 된 이후 여러 가문을 거쳐 오가사와라 가문이 마지막까지 지배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가신이었던 데라자와 히로타카는 임진왜란 당시 공을 세워 가라쓰 지역을 하사받았으나, 그의 후손인 데라자와 가타타카가 시마바라의 난에 연루되어 가문이 몰락했다. 이후 오쿠보, 마쓰다이라, 도이, 미즈노 가문 등을 거쳐 오가사와라 가문이 1817년부터 가라쓰번을 통치했으며, 마지막 번주인 오가사와라 나가미치는 막부 말기에 로주를 역임했다.

2. 역사

데라자와 히로타카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겼으며, 1592년 임진왜란히젠국 나고야성의 건설과 후방 병참 책임자로 공을 세웠다. 1593년 히데요시는 히로타카에게 나고야를 포함한 마쓰우라 일대 약 83,000석을 주고 나가사키 부교로 임명했다. 히로타카는 임진왜란 때 조선으로 건너가 활약했고,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동군에 가담하여 전후 히고국 아마쿠사 4만 석을 추가로 받아 123,000석의 다이묘가 되었다.

1633년 히로타카가 사망하고 데라자와 가타타카가 뒤를 이었다. 1637년 시마바라의 난이 일어나 아마쿠사로 번졌는데, 가타타카도 영지민에게 가혹한 정치를 펼쳤다는 평가를 받았다. 막부는 이를 문제 삼아 아마쿠사 4만 석을 몰수했고, 가타타카는 심적 타격을 받아 자살했다. 가타타카에게는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데라자와 가문은 개역되었다.[6]

이후 여러 다이묘 가문이 가라쓰 지역을 통치했다. 하리마국 아카시번오쿠보 다다치카의 손자 오쿠보 다다모토가 83,000석으로 들어왔다. 오쿠보 다다토모는 1674년 촌장이 영내를 전근하는 '전촌 촌장 제도'를 만들었고, 이 제도는 막부 말기까지 이어졌다. 1678년 다다토모는 시모사국 사쿠라번으로 옮겨졌다.

이후 마쓰다이라 노리히사가 7만 석으로 들어왔고, 손자 마쓰다이라 노리사토시마국 도바번으로 옮겨졌다. 그 뒤를 도이 도시마스가 7만 석으로 이었고, 4대손 도이 도시사토시모사국 고가번으로 옮겨졌다.

미카와국 오카자키번에서 미즈노 다다토가 6만 석으로 들어왔다. 1771년 미즈노 다다토가 농민에게 과중한 세금을 물리자 니지노마쓰바라 봉기가 일어났고, 농민들은 무혈로 증세를 철회시켰다. 1817년 다다토의 4대손 미즈노 다다쿠니도토미국 하마마쓰번으로 옮겨졌으며, 다다쿠니는 덴포의 개혁을 실행한 것으로 유명하다.

1817년 무쓰국 다나구라번에서 오가사와라 나가마사가 6만 석으로 들어왔고, 이후 오가사와라 가문의 지배하에 메이지 시대를 맞이했다. 가라쓰번의 마지막 번주 오가사와라 나가미치는 막부 말기 노중, 외국 사무총재를 겸임하며 막부 행정을 담당했다. 1868년 보신 전쟁에서는 구 막부군에 가담하여 하코다테까지 전전하는 등 끝까지 막부에 충성했다. 그러나 이 때문에 나가미치를 역대 번주에서 제외하고, 그의 양부 오가사와라 나가구니를 마지막 번주로 기록한 사료도 많다.[6]

가라쓰번은 표면적으로는 6만 석에서 12만 석의 수입을 가졌지만, 실제로는 20만 석 정도의 수입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번주가 자주 바뀌었으며, 한 가문이 장기간 지배한 경우가 드물었다. 나가사키항을 경호하는 나가사키 순찰역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었는데, 이 임무에 전념하기 위해 가라쓰 번주는 로주에 취임할 수 없었다.

2. 1. 번의 성립과 초기

데라자와 히로타카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겼다. 1592년 임진왜란히젠국 나고야성의 건설과 후방 병참 책임자를 맡은 공로로 1593년에 히데요시로부터 나고야를 포함하여 마쓰우라군 일대 약 83,000석을 받는 나가사키 부교로 임명되었다. 임진왜란 때는 조선으로 건너가 활약했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동군에 가담하여 공을 세웠다. 전후에 히고국 아마쿠사 군 하나에 약 4만 석을 추가하여 모두 123,000석을 받는 다이묘가 되어 영화를 누렸다.

특별명승 니지노마쓰바라 (카가미산에서 본 정경). 데라자와 히로타카가 방풍림, 방사림으로 조성했다.


1633년 히로타카가 사망 후 데라자와 가타타카가 그를 계승했다. 1637년, 시마바라의 난이 일어나자 그 반란이 아마쿠사로 번졌다. 데라자와 가타타카는 마쓰쿠라 가쓰이에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역시 영지민에게 혹독한 정치를 펼치고 있었다. 전후에 그것을 막부로부터 문책당해 아마쿠사 4만 석을 몰수당한다. 가타타카는 이것으로 심적인 타격을 받아 자살했고, 가타타카는 대를 이을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데라자와 가문은 관직을 철회당하고, 개역되었다.

2. 2. 데라자와 가문의 몰락

데라자와 히로타카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겼으며, 1592년 임진왜란히젠국 나고야성의 건설과 후방 병참 책임자로 공을 세웠다. 1593년 히데요시는 히로타카에게 나고야를 포함한 마쓰우라 일대 약 83,000석을 주고 나가사키 부교로 임명했다. 히로타카는 임진왜란 때 조선으로 건너가 활약했고,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동군에 가담하여 전후 히고국 아마쿠사 4만 석을 추가로 받아 123,000석의 다이묘가 되었다.

1633년 히로타카가 사망하고 데라자와 가타타카가 뒤를 이었다. 1637년 시마바라의 난이 일어나 아마쿠사로 번졌는데, 가타타카도 영지민에게 가혹한 정치를 펼쳤다는 평가를 받았다. 막부는 이를 문제 삼아 아마쿠사 4만 석을 몰수했고, 가타타카는 심적 타격을 받아 자살했다. 가타타카에게는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데라자와 가문은 개역되었다.[6]

2. 3. 여러 다이묘 가문의 통치



데라자와 히로타카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겨 1592년 임진왜란히젠국 나고야성의 건설과 후방 병참 책임자를 맡아 공을 세웠다. 1593년 히데요시는 그에게 나고야를 포함한 마쓰우라 일대 약 83,000석을 주고 나가사키 부교로 임명했다. 히로타카는 임진왜란 때 조선으로 건너가 활약했고,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동군에 가담하여 히고국 아마쿠사 군에 약 4만 석을 추가로 받아 총 123,000석을 다스리는 다이묘가 되었다.

1633년 히로타카가 사망하고 데라자와 가타타카가 뒤를 이었다. 1637년 시마바라의 난이 일어나 아마쿠사로 번졌고, 가타타카는 마쓰쿠라 가쓰이에만큼은 아니지만 영지민에게 가혹한 정치를 펼쳤다는 이유로 막부에게 아마쿠사 4만 석을 몰수당했다. 가타타카는 심적인 타격을 받아 자살했고, 후사가 없어 데라자와 가문은 개역되었다.

이후 하리마국 아카시번오쿠보 다다치카의 손자 오쿠보 다다모토가 83,000석으로 들어왔다. 오쿠보 다다토모는 1674년 촌장이 영내를 전근하는 '전촌 촌장 제도'를 만들었고, 이 제도는 막부 말기까지 이어졌다. 1678년 다다토모는 시모사국 사쿠라번으로 옮겨졌다.

이후 마쓰다이라 노리히사가 7만 석으로 들어왔고, 손자 마쓰다이라 노리사토시마국 도바번으로 옮겨졌다. 그 뒤를 도이 도시마스가 7만 석으로 이었고, 4대손 도이 도시사토시모사국 고가번으로 옮겨졌다.

미카와국 오카자키번에서 미즈노 다다토가 6만 석으로 들어왔다. 1771년 미즈노 다다토가 농민에게 과중한 세금을 물리자 니지노마쓰바라 봉기가 일어났고, 농민들은 무혈로 증세를 철회시켰다. 1817년 다다토의 4대손 미즈노 다다쿠니도토미국 하마마쓰번으로 옮겨졌으며, 다다쿠니는 덴포의 개혁을 실행한 것으로 유명하다.

1817년 무쓰국 다나구라번에서 오가사와라 나가마사가 6만 석으로 들어왔고, 이후 오가사와라 가문의 지배하에 메이지 시대를 맞이했다. 가라쓰번의 마지막 번주 오가사와라 나가미치는 막부 말기 노중, 외국 사무총재를 겸임하며 막부 행정을 담당했다. 1868년 보신 전쟁에서는 구 막부군에 가담하여 하코다테까지 전전하는 등 끝까지 막부에 충성했다. 그러나 이 때문에 나가미치를 역대 번주에서 제외하고, 그의 양부 오가사와라 나가구니를 마지막 번주로 기록한 사료도 많다.[6]

2. 4. 미즈노 다다쿠니와 덴포 개혁

미즈노 다다쿠니미카와국 오카자키번에서 6만 석으로 가라쓰번에 들어왔다. 1771년, 다다쿠니의 선조인 미즈노 다다토가 농민에게 과중한 세금을 부과하자 니지노마쓰바라 봉기가 일어났고, 농민들은 무혈로 증세를 철회시켰다.[6] 1817년 9월, 다다쿠니는 도토미국 하마마쓰번으로 이봉되었으며, 덴포 개혁을 실행한 것으로 유명하다.

2. 5. 오가사와라 가문과 막부 말기

1817년, 무쓰국 다나구라번에서 오가사와라 나가마사가 6만 석으로 가라쓰번에 들어왔다. 이후 오가사와라 가문이 가라쓰번을 지배하며 메이지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

가라쓰번의 마지막 번주가 된 오가사와라 나가미치는 막부 말기에 노중, 외국 사무총재를 겸임하며 막부 행정을 담당했다.[6] 그는 1868년 보신 전쟁에서 구 막부군에 가담하여 하코다테까지 전전하는 등 끝까지 막부에 충성을 다했다. 그러나 이 때문에 나가미치를 역대 번주에서 제외하고, 그의 양부인 오가사와라 나가구니를 마지막 번주로 기록한 사료도 많다.

가라쓰번의 표면적인 석고는 6만 석에서 12만 석이었지만, 실질적인 석고는 20만 석 정도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6. 가라쓰 번의 특수성

가라쓰번은 표면적으로는 6만 석에서 12만 석의 수입을 가졌지만, 실제로는 20만 석 정도의 수입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7][8] 번주가 자주 바뀌었으며, 한 가문이 장기간 지배한 경우가 드물었다.

나가사키항을 경호하는 나가사키 순찰역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었는데, 이 임무에 전념하기 위해 가라쓰 번주는 로주에 취임할 수 없었다. 덴포의 개혁을 실행한 것으로 유명한 미즈노 다다쿠니가 실제 수입이 낮은 다른 번으로 옮겨가기를 원했던 것이나, 오가사와라 나가미치의 가라쓰번 계승이 막부에게 승인되지 않은 것도 나가사키 순찰역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

3. 역대 번주

테라자와 히로타카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가신으로 임진왜란에 참전했고,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동군에 가담하여 도쿠가와 이에야스로부터 영지를 받았다. 이후 가라쓰번은 1세기 동안 오쿠보 씨, 오규-마쓰다이라 씨, 도이 씨, 미즈노 다다쿠니를 포함한 미즈노 씨 등 여러 가문을 거쳐갔다.[6] 마지막으로 오가사와라 나가마사가 번주가 되었고, 그의 가문은 1871년 번이 폐지될 때까지 가라쓰를 통치했다.[6]

1771년에는 미즈노 다다노리가 농민에게 부과한 세금 인상으로 인해 니지노마쓰바라 소동이 일어났으나, 농민들은 유혈 사태 없이 세금 인상을 철회시켰다.[6]

가라쓰 번의 마지막 다이묘오가사와라 나가유키였는데, 그는 보신 전쟁에서 구 막부군 편에 서서 하코다테 전쟁까지 참전했다.[6] 그러나 많은 공식 문서에서는 그의 아버지 오가사와라 나가쿠니를 마지막 번주로 간주한다.[6]

메이지 시대일본 제국 해군 제독 오가사와라 나가나리는 가라쓰 번주였던 오가사와라 가문의 후손이었다.

3. 1. [[데라자와 가문]] (1593년 - 1647년)

데라자와 히로타카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충실한 가신이었으며, 임진왜란 당시 히젠 나고야 성의 건설과 물류 관리를 담당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했다.[6] 히데요시는 그의 공헌을 인정하여 1593년에 나고야를 포함한 영지를 하사했다. 또한 히로타카는 나가사키 부교로 임명되어 약 83,000 고쿠에 달하는 마쓰라군 전체를 통제하게 되었다.[6] 그는 게이초 시대에 한국에서 전투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6]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히로타카는 동군에 가담하여 도쿠가와 막부로부터 히고국 아마쿠사군에서 추가로 40,000 고쿠를 받았다. 이로써 그의 지위는 123,000 고쿠의 고쿠다카를 가진 다이묘로 격상되었다.[6]

그러나 히로타카의 사후, 그의 후계자 데라자와 가타타카시마바라의 난 동안 어려움에 직면했다. 반란은 아마쿠사까지 확산되었고, 가타타카는 마쓰쿠라 가쓰이에만큼 엄격하지는 않았지만, 영지 내에서 가혹한 정책을 시행했다. 그 결과 막부는 그에게 반란의 책임을 물어 아마쿠사의 40,000 고쿠를 몰수했고, 스트레스에 짓눌린 가타타카는 할복했다. 그에게는 상속자가 없었기 때문에 데라자와 가문은 몰락하게 되었다.[6]

이름재임 기간경칭관위고쿠다카
데라자와 가문 1593 - 1647 (도자마 다이묘)
1데라자와 히로타카 (寺沢広高)1593 - 1633시마노카미 (志摩守)종4위하 (従四位下)83,000 → 123,000 고쿠
2데라자와 가타타카 (寺沢堅高)1633 - 1647효고노카미 (兵庫頭)종5위하 (従五位下)123,000 → 83,000 고쿠


3. 2. [[오쿠보 가문]] (1649년 - 1678년)

오쿠보 다다모토(大久保忠職)가 1649년부터 1670년까지, 오쿠보 다다토모(大久保忠朝)가 1670년부터 1678년까지 가라쓰번을 다스렸다.[6] 이들은 후다이 다이묘로 83,000석을 다스렸다.

이름재임 기간경칭관위석고
오쿠보 가문 1649년 ~ 1678년 (후다이 다이묘)
1오쿠보 다다모토(大久保忠職)1649년 ~ 1670년가가노카미(加賀守)종4위하(従四位下)83,000 고쿠
2오쿠보 다다토모(大久保忠朝)1670년 ~ 1678년가가노카미(加賀守)종5위하(従五位下)83,000 고쿠


3. 3. [[마쓰다이라 가문]] (1678년 - 1691년)

막부의 후다이 다이묘 가문으로, 1678년부터 1691년까지 가라쓰 번을 다스렸으며, 영지는 7만 석에서 6만 석으로 조정되었다.

이름재임 기간경칭관위석고
1마쓰다이라 노리히사1678년 ~ 1686년이즈미노카미 (和泉守)종4위하 (従四位下)70,000 고쿠
2마쓰다이라 노리하루1686년 ~ 1690년이즈미노카미 (和泉守)종4위하 (従四位下)70,000 고쿠
3마쓰다이라 노리사토1690년 ~ 1691년이즈미노카미 (和泉守)종4위하 (従四位下)60,000 고쿠


3. 4. [[도이 가문]] (1691년 - 1762년)

도이 씨일본어 가문은 후다이 다이묘 가문으로, 1691년부터 1762년까지 가라쓰번을 다스렸다.[6] 이들은 7만 석의 고쿠다카를 가지고 있었다.

이름재임 기간경칭관위고쿠다카
1도이 도시마스1691년 ~ 1713년스오노카미 (周防守)종5위하70000고쿠
2도이 도시자네1713년 ~ 1736년오이노카미 (大炊頭)종5위하70000고쿠
3도이 도시노부1736년 ~ 1744년오이노카미 (大炊頭)종5위하70000고쿠
4도이 도시사토1744년 ~ 1762년오이노카미 (大炊頭)종5위하70000고쿠


3. 5. [[미즈노 가문]] (1762년 - 1817년)

미즈노 씨일본어후다이 다이묘로 60,000석을 다스렸다. (1762년 - 1817년)[6]

이름재임 기간경칭관위고쿠다카
1미즈노 다다토 (水野忠任)1762년 ~ 1775년이즈미노카미 (和泉守)종5위하 (従五位下)60,000 고쿠
2미즈노 다다카네 (水野忠鼎)1775년 ~ 1805년우코노에후 (左近将監)종5위하 (従五位下)60,000 고쿠
3미즈노 다다아키라 (水野忠光)1805년 ~ 1812년이즈미노카미 (和泉守)종5위하 (従五位下)60,000 고쿠
4미즈노 다다쿠니 (水野忠邦)1812년 ~ 1817년에치젠노카미 (越前守), 지주 (侍従)종5위하 (従五位下)60,000 고쿠



1771년, 미즈노 다다노리가 농민에게 부과한 세금 인상으로 인해 니지노마쓰바라 소동이 일어났으나, 농민들은 유혈 사태 없이 세금 인상을 철회시켰다.[6]

3. 6. [[오가사와라 가문]] (1817년 - 1871년)

小笠原氏일본어는 1817년부터 1871년까지 가라쓰번을 다스린 후다이 다이묘 가문이다. 이들의 고쿠다카는 6만 석이었다.

이름재임 기간경칭관위고쿠다카|石高일본어
1오가사와라 나가마사1817년 ~ 1823년토모로노츠카사|主殿頭일본어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60,000석
2오가사와라 나가야스1823년 ~ 1833년이키노카미|壱岐守일본어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60,000석
3오가사와라 나가에1833년 ~ 1836년노토노카미|能登守일본어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60,000석
4오가사와라 나가요시1836년 ~ 1840년사도노카미|佐渡守일본어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60,000석
5오가사와라 나가쿠니1840년 ~ 1871년나카츠카사 다이유|中務大輔일본어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60,000석



오가사와라 나가미치는 번주로 여기지 않기도 한다.[6] 가라쓰 번의 사실상 마지막 다이묘가 된 오가사와라 나가유키는 에도 시대 말기에 가로 및 외교 총재를 역임했다. 또한 1868년 보신 전쟁 동안 그는 구 막부 군 편에 서서 하코다테 전쟁까지 싸웠으며, 끝까지 막부에 충성을 다했다. 그러나 많은 공식 문서에서는 그의 아버지 오가사와라 나가쿠니를 마지막 공식 다이묘로 간주하는데, 그의 승계가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았고, 가라쓰의 번 기반 행정은 메이지 천황삿초 동맹에 군사 지원을 약속해야 했다.[6]

메이지 시대일본 제국 해군 제독 오가사와라 나가나리는 가라쓰를 통치했던 오가사와라 가문의 후손이었다.

4. 막말의 영지

데라자와 히로타카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겼다. 1592년 임진왜란히젠국 나고야성의 건설과 후방 병참의 책임자를 맡은 공적으로, 1593년에 히데요시로부터 나고야를 포함하여 마쓰우라군 일대 약 83,000석을 받는 나가사키 부교로 임명되었다. 임진왜란 때는 조선으로 건너가 활약했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동군에 가담하여 공을 세웠고, 전후에 히고국 아마쿠사군 하나에 약 4만 석을 추가, 모두 123,000석을 받는 다이묘가 되어 영화를 누렸다.[7][8]

1633년 히로타카가 사망한 후 데라자와 가타타카가 그를 계승했다. 1637년 시마바라의 난이 일어나자 그 반란이 아마쿠사로 번졌다. (데라자와 가타타카는 마쓰쿠라 가쓰이에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역시 영지민에게 혹독한 정치를 펼치고 있었다.) 난이 진압된 후, 막부로부터 문책당해 아마쿠사 4만 석을 몰수당한다. 가타타카는 이것으로 심적인 타격을 받아 자살했고, 대를 이을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데라자와 가문은 개역되었다.[7][8]

이후 하리마국 아카시번 오쿠보 다다치카의 손자 오쿠보 다다모토가 83,000석을 받으며 그 지역을 통치했다. 그를 계승한 오쿠보 다다토모는 1674년에 촌장이 영내를 전근하는 촌장제를 만들었고, 이후 이 제도는 에도 막부 말기까지 계속되었다. 1678년, 다다토모는 시모사국 사쿠라번으로 옮겨졌다. (1686년까지)[7][8]

이후 마쓰다이라 노리히사가 7만 석을 받았고, 손자인 마쓰다이라 노리사토시마국 토바번으로 이동되었다. 그 뒤를 이은 도이 도시마스도 7만 석을 받았으며, 1762년 그의 4대손인 도이 도시사토 때 시모사국 코가번으로 옮겨졌다.[7][8]

이어 미카와국 오카자키번에서 미즈노 다다토가 6만 석으로 들어왔다. 1771년 미즈노 다다토가 농민에게 과중한 세금을 올리자 니지노마쓰바라 봉기가 일어났다. 농민들은 무혈로 증세를 철회시켰다. 1817년 9월, 다다토의 4대손인 미즈노 다다쿠니 때 도토미국 하마마쓰번으로 옮겨졌다. 다다쿠니는 덴포의 개혁을 실행한 것으로 유명하다.[7][8]

1817년, 미즈노 가문의 뒤를 이어 무쓰국 다나구라번에서 오가사와라 나가마사가 6만 석으로 가라쓰번에 들어왔다. 이후 오가사와라 가문의 지배하에 메이지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 가라쓰번의 마지막 번주가 된 오가사와라 나가미치는 막부 말기에 노중, 외국 사무총재를 겸임하며 막부 행정을 담당하게 된다. 그는 1868년 발발한 보신전쟁에서 구 막부군에 가담하여 하코다테까지 전전하는 등 끝까지 막부에 충의를 다한 인물이다. 그러나 이 때문에 나가미치를 역대 번주로 하고, 그의 양부인 오가사와라 나가구니를 마지막 번주로 기록한 사료도 많다.[7][8]

가라쓰번의 표면적인 석고는 6만 석에서 12만 석이었지만, 실질적인 석고는 20만 석 정도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번주들이 중간에 바뀐 경우가 많았으며, 장기간 번주들의 특이할 만한 지배가 없었던 땅이었다.[7][8]

참조

[1] 서적 江戸三百藩大全 全藩藩主変遷表付 Kosaido Publishing 2015
[2] 서적 藩と城下町の事典―国別 Tokyodo Printing 2004
[3] 서적 Samurai: An Encyclopedia of Japan's Cultured Warrior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USA 2019-03-14
[4] 서적 Women of the Mito Domain: Recollections of Samurai Family Life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1
[5] 서적 A History of Economic Science in Japa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Economics in the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4-03
[6] 서적 Japan
[7] 서적 The Bakufu in Japa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8] 서적 Warlords, Artists, & Commoners: Japan in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