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마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마새는 단형속인 가마새속에 속하는 숲새이다. 몸길이는 11~16cm이며, 올리브 갈색의 윗부분과 검은색 줄무늬가 있는 흰색 아랫부분을 가지고 있다. 북아메리카 동부 지역의 낙엽수 및 혼합림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미국 남동부, 카리브해, 멕시코 등지로 이동한다. 가마새는 둥지를 땅에 짓고, 암컷이 알을 품으며, 새끼는 부모 모두가 돌본다. 둥지를 땅에 짓는 특성 때문에 뱀, 다람쥐 등 포식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갈색머리소똥개구리의 둥지 기생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가마새는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 의해 위협종으로 분류되지 않으며, 로버트 프로스트의 시 '오븐버드'의 주제가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멕시코의 새 - 검독수리
    검독수리는 몸길이 66~90cm, 날개 편 길이 180~234cm의 대형 독수리로, 검은 갈색 깃털과 황금빛 뒷머리 깃털이 특징이며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북아프리카 등 넓은 지역에 분포한다.
  • 멕시코의 새 - 큰흰죽지
    큰흰죽지는 북미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미국 남부와 멕시코로 이동하는 오리과에 속하는 오리류의 일종으로, 흰죽지보다 크고 쐐기 모양의 머리와 긴 목을 가진 철새이며, 과거 식용으로 이용되었고, 학명은 큰흰죽이가 즐겨 먹는 야생 셀러리에서, 영어 일반명은 수컷의 흰색 등에서 유래했다.
  • 1766년 기재된 새 - 파랑새
    파랑새는 한국 문화에서 동방울새를 지칭하며, 수컷은 검은 갈색 머리와 푸른색을 띤 갈색 윗등을 가지고, 곤충류를 먹으며 숲 속에서 독특한 울음소리를 내는 종이다.
  • 1766년 기재된 새 - 붉은부리갈매기
    붉은부리갈매기는 갈매기과의 새로서, 여름에는 초콜릿 갈색 머리를, 겨울에는 흰색 머리에 검은 반점을 가지며, 해안, 호수 등에서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잡식성을 띠고, IUCN 적색 목록에 관심대상종으로 등재되어 있다.
가마새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학계
상태관심 필요
어원
속명Seiurus는 고대 그리스어로 "꼬리를 흔드는 것"을 의미함
종소명aurocapilla는 "금빛 머리카락"을 의미함
생태적 특징
서식지습하고 울창한 활엽수림
분포 지역북아메리카 동부와 중부, 캐나다 남부
이동겨울에는 북아메리카 남부, 멕시코, 중앙아메리카, 카리브 해 지역으로 이동
외형
오븐새
오븐새
크기중간 크기
몸길이약 11-15cm
무게약 19g
깃털 색상등은 올리브색-갈색, 가슴은 흰색 바탕에 검은색 줄무늬가 있음
머리붉은 갈색 줄무늬가 있음
부리뾰족함
다리분홍색
행동
먹이곤충, 거미, 달팽이
번식숲 바닥에 돔 형태의 둥지를 지음. 둥지는 나뭇잎과 풀로 덮여 있으며, 옆으로 출입구가 있음
울음소리"teacher teacher teacher"와 같이 크게 반복되는 소리를 냄
분포
S. aurocapilla 분포도
S. aurocapilla의 분포 지역

2. 분류

가마새속(''Seiurus'')은 현재 단형속으로 취급되며, 가마새만을 포함한다. 유전학적 연구에 따르면 가마새속은 솔새과의 다른 모든 종과 뚜렷하게 구별되며, 솔새과 내에서 다른 종들과 가장 먼저 분리되어 진화한 속으로 추정된다.

과거에는 물까마귀도 ''Seiurus'' 속에 포함되었으나[2], 최근의 유전학 연구 결과 가마새와는 유전적으로 거리가 먼 것으로 밝혀져 현재는 별도의 속인 ''Parkesia'' 속으로 분류된다.

종명인 ''aurocapilla''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명사구이므로, 속명의 성(性)에 따라 어미가 변하지 않고 원래 형태를 유지한다. 린네는 처음 이 종을 ''Motacilla aurocapilla''로 명명했으며, 일부 문헌에서 언급되는 것처럼 어미가 -''us''로 바뀌지 않았다.[3] 어원적으로 ''aurocapilla''는 라틴어로 "금발(golden-haired)"을 의미하며, 속명 ''Seiurus''는 고대 그리스어 seiō|세이오grc(흔들다)와 oura|오우라grc(꼬리)에서 유래되었다.[4]

3. 형태

머리를 치켜세운 성체; 퀘벡 주 (캐나다)


수컷의 울음소리 비디오


새끼가 있는 둥지


생후 6일 된 새끼


가마새는 몸집이 큰 숲새로, 훈련받지 않은 사람들은 때때로 개똥지빠귀와 혼동할 수 있다. 성체의 길이는 11cm에서 16cm 사이이고 날개 길이는 19cm에서 26cm 사이이다.[5][6][7] 평균 체중은 19g이며, 14g에서 28.8g 사이의 범위를 갖는다.[5] 표준 측정값 중 날개현은 6.8cm에서 8.3cm 사이이고, 꼬리는 5cm에서 5.8cm 사이이며, 부리는 1.1cm에서 1.3cm 사이이고 부척골은 2cm에서 2.3cm 사이이다. 겨울철과 특히 이동 초기에 더 무거운 경향이 있다. 올리브 갈색의 윗부분과 검은색 줄무늬가 있는 흰색 아랫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옆구리는 올리브색을 띤다. 눈 주위에는 흰색 고리가 있고, 검은색 줄무늬가 뺨 아래로 이어진다. 머리 꼭대기에는 올리브 녹색 팁이 있는 주황색 깃털이 줄지어 있으며, 양쪽에는 검은 갈색이 있다. 주황색 깃털은 작은 볏을 형성하기 위해 세울 수 있다. 가늘고 뾰족한 부리의 눈과 윗부분은 어둡고, 아래 부리는 뿔색이며 다리와 발은 분홍빛을 띤다.

수컷과 암컷은 비슷하게 생겼다. 어린 새는 3차 날개깃에 황갈색 가장자리가 있고 때로는 황갈색 팁이 있는 바깥쪽 1차 날개덮깃을 가지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성조에서 거의 보이지 않는 머리 깃털의 올리브 녹색 팁이 어린 새에서는 훨씬 더 크고 주황색 머리 줄무늬를 거의 또는 완전히 덮는다는 것이다.

가마새의 주된 노래는 뚜렷하고 비교적 낮은 음조의 이음절 모티프가 일련으로, 약 8번 정도 멈춤 없이 반복되며 볼륨이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각 모티프의 두 번째 음절이 날카롭게 강조된다: "''chur-tee’ chur-tee’ chur-tee’ chur-tee’ chur-TEE chur-TEE chur-TEE!''" 수컷 가마새는 종달새처럼[9] 황혼에 공중에서 달콤한 수다 노래를 내며, 주요 노래의 일부를 거친 소리의 잡음과 모방으로 섞어 땅으로 다시 내려온다. https://www.mbr-pwrc.usgs.gov/id/framlst/Song/h6740ca.mp3 울음소리는 다양한 음조의 날카로운 "''chik!''"이다. 일부 변형은 쇠딱따구리의 일반적인 울음소리를 연상시킨다. 새가 흥분하면 이 울음소리를 여러 번 반복할 수 있다. 싸움 울음소리는 높고 상승하는 ''siiii''이다.

가마새의 노래, 미네소타 주에서 녹음

4. 생태

가마새는 철새로, 번식기가 끝나면 미국 남동부, 카리브해, 멕시코를 거쳐 남아메리카 북부 지역으로 이동하여 겨울을 보낸다. 일 년 내내 영토성을 보이며, 보통 단독으로 생활하지만 번식기에는 짝을 이루고 잠시 새끼와 함께 지낸다. 이동할 때는 큰 무리를 이루기도 하지만, 목적지에 도착하면 다시 흩어져 각자의 영역을 지킨다.

겨울에는 주로 저지대에 서식하지만, 코스타리카와 같이 해발 고도 1500m까지 높은 곳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가을 이동은 8월 말에 시작되어 9월 초부터 겨울 서식지에 도착하며, 10월 말까지 이어진다. 봄 이동은 3월 말에서 5월 초 사이에 이루어져 4월과 5월에 번식지에 도착한다. 지난 20세기 동안 이러한 이동 시기에는 큰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유럽에서는 드물게 관찰되는데, 이번 세기에 아조레스 제도에서 5마리가 보고되었고,[10] 노르웨이,[11] 아일랜드,[12] 영국에서도 소수의 기록이 있다.[13] 2004년 10월에는 영국 실리 제도의 세인트 메리섬에 나타난 가마새 한 마리가 상태가 좋지 않아 보호를 받았지만 결국 죽은 사례도 있다.[14] 한편,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비교적 정기적으로 관찰된다.[15][16]

주로 땅에 떨어진 마른 잎 사이에서 먹이를 찾으며, 때로는 공중을 맴돌거나 날아다니는 곤충을 잡기도 한다. 걸을 때는 꼬리를 자주 위로 치켜들고 머리를 까딱거리는 모습을 보인다. 쉬고 있을 때는 꼬리를 위로 올렸다가 천천히 내리기도 하며, 주변을 경계할 때는 꼬리를 반쯤 든 상태에서 자주 흔든다. 주된 먹이는 땅 위에서 생활하는 절지동물달팽이이며, 겨울철에는 열매를 먹기도 한다.

4. 1. 번식

캐나다미국 동부 지역의 성숙한 낙엽수 및 혼합림에서 번식하며, 특히 덤불이 적은 곳을 선호한다. 먹이를 찾기 위해 관목 덤불이 풍부한 숲을 선호하며, 원시림과 2차림이 혼합된 곳에서 가장 잘 번성한다.

"가마"라고 불리는 둥지는 땅 위에 식물을 엮어 만든 돔 형태이며, 옆쪽에 입구가 있다. 암컷은 보통 갈색 또는 회색 반점이 있는 알을 4~5개 낳는다. 알은 암컷 혼자 11일에서 14일 동안 품는다. 부화한 새끼는 어미의 돌봄이 필요한 상태이며, 암수 양쪽 부모가 먹이를 준다. 새끼는 태어난 지 8일에서 11일이 지나면 처음으로 날 수 있게 된다.

둥지를 땅에 짓기 때문에 나무에 둥지를 트는 새들보다 포식 위험이 더 크다. 주요 포식자로는 뱀, 붉은다람쥐, 얼룩다람쥐 (''Tamias'') 등이 있다. 특히 얼룩다람쥐는 새끼를 잡아먹기 위해 둥지 안으로 직접 파고 들어가기도 한다. 암컷은 잠재적인 포식자가 둥지 근처에 나타나면 부상당한 새를 흉내 내어 포식자의 주의를 끄는 주의 끌기 행동을 하기도 한다.[17]

가마새는 일부 지역에서 수가 늘어나고 있는 갈색머리소똥개구리 (''Molothrus ater'')에 의한 둥지 기생에 취약하다. 그러나 가마새의 개체 수는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보이며, 전체적으로 IUCN에 의해 위협 종으로 간주되지는 않는다.[1]

5. 분포

가마새의 번식 서식지캐나다미국 동부 지역의 성숙한 낙엽수림 및 혼합림이다. 특히 덤불이 적은 곳을 선호하며, 먹이를 찾기 위해서는 관목 덤불이 풍부한 숲을 선호한다. 본질적으로 원시림과 2차림이 섞인 환경에서 가장 잘 번성한다.

가마새는 이동하는 새로, 미국 남동부, 카리브해, 멕시코를 거쳐 남아메리카 북부까지 이동한다. 이 새들은 일 년 내내 자신의 영역을 지키며, 혼자 살거나 번식기에는 짝을 이루어 잠시 새끼와 함께 지낸다. 하지만 이동할 때는 더 큰 무리를 이루어 이동하다가 목적지에 도착하면 다시 흩어진다.

겨울에는 주로 저지대에 서식하지만, 코스타리카와 같은 지역에서는 해발 고도 1500m까지 올라가기도 한다. 첫 번째 이동 무리는 8월 말에 출발하여 9월 초에 겨울 서식지에 나타나며, 10월 말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이동이 이어진다. 번식을 위해 다시 북쪽으로 이동하는 시기는 3월 말에서 5월 초 사이이며, 4월과 5월에 번식지에 도착한다. 이러한 이동 시기는 20세기 동안 크게 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 새는 유럽에서는 드물게 발견된다. 이번 세기에 아조레스 제도에서 5마리가 보고되었고,[10] 노르웨이,[11] 아일랜드,[12] 영국에서도 소수의 기록이 있다.[13] 2004년 10월 실리 제도의 세인트 메리섬에 나타난 살아있는 가마새는 상태가 좋지 않아 보호를 받았지만 결국 죽었다.[14] 가마새는 캘리포니아에서도 정기적으로 나타난다.[15][16]

6. 문화

로버트 프로스트 "오븐버드"는 가마새를 주제로 다루고 있으며, 이 시는 1916년에 출간된 그의 시집 마운틴 인터벌에 실렸다.[18] 또한, 로버트 블라이 역시 그의 짧은 시 "The Slim Fir Seeds"에서 "날렵한 오븐버드"를 언급하였다.[19]

참조

[1] 간행물 Seiurus aurocapilla 2024-02-21
[2] 서적 The Sibley Field Guide to Birds https://archive.org/[...] Alfred A. Knopf
[3] 논문 Gender agreement of avian species names http://www.digimages[...]
[4]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https://archive.org/[...] Helm
[5] 웹사이트 Ovenbird, Life History, All About Birds – Cornell Lab of Ornithology http://www.allaboutb[...] 2012-08-24
[6] 웹사이트 Smithsonian Tropical Research Institute-Seiurus aurocapilla http://biogeodb.stri[...] 2012-08-24
[7] 웹사이트 Ovenbird (Seiurus aurocapilla) http://www.planetofb[...] 2012-08-24
[8] 웹사이트 Seiurus aurocapilla (Ovenbird) http://globalspecies[...] 2012-08-24
[9] 간행물
[10] 논문 Nearctic vagrants on Corvo, Azores, in 2005-17 https://www.research[...] 2018
[11] 서적 Norwegian Birds: Checklist in seven languages https://nibio.brage.[...] Norwegian Institute of Bioeconomy Research 2018
[12] 논문 Irish Rare Bird Report 2015 http://www.irbc.ie/r[...] 2016
[13] 논문 The British List: a checklist of birds of Britain (8th edition) 2013
[14] 뉴스 Report on rare birds in Great Britain in 2004 http://www.rbbp.org.[...] British Birds 2005
[15] 웹사이트 Ovenbird https://sdplantatlas[...] 2007
[16] 뉴스 An unusual sight was spotted atop Salesforce Park this week https://www.sfgate.c[...] 2021-10-20
[17] 논문 About the Cover: Ovenbird https://digitalcommo[...] 1999
[18] 웹사이트 The Oven Bird https://www.poetryfo[...] 2024-09-20
[19] 서적 Turkish Pears in August Eastern Washington University Press 2007
[20] 간행물 Seiurus aurocapilla 2013-1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