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메이 고레치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메이 고레치카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쓰와노번의 4대 번주이다. 1669년에 태어나 1731년에 사망했으며, 13세의 나이로 가문을 상속받았다. 유학, 회화 등 학문에 조예가 깊었고, 문치 정치를 따르며 막부의 업무에도 충실했다. 교토 금리 조영 지원, 화재 진압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막부와 천황으로부터 칭송을 받았다. 가메이 고레치카는 칙사 향응역을 세 번 맡았으며, 그의 만년과 죽음, 그리고 가계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쓰와노번주 - 가메이 마사노리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인 가메이 마사노리는 가노 번주를 거쳐 쓰와노 번의 초대 번주를 지냈으며 오사카 전투에 참전 후 낙마 사고로 사망했다.
  • 가메이씨 - 가메이 고레노리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인 가메이 고레노리는 아마고 씨 재흥 운동에 가담하고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겼으며, 세키가하라 전투 후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중용되어 다이묘가 되어 해외 무역을 추진하는 등 활약했다.
  • 가메이씨 - 가메이 시즈카
    가메이 시즈카는 히로시마현 출신의 일본 정치인으로, 도쿄 대학 졸업 후 경찰청 관료를 거쳐 자유민주당 중의원 의원, 운수대신, 건설대신을 역임하고, 우정 민영화 반대 후 국민신당을 창당하여 대표를 지냈으며,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에서 금융·우정 서비스 담당 장관을 역임한 후 정계 은퇴, 지역 활성화와 탈원전 정책을 주장했다.
  • 1669년 출생 - 예브도키야 로푸히나
    예브도키야 로푸히나는 표트르 1세의 첫 번째 황후로, 나탈리야 나리시키나에 의해 선택되어 차리차가 되었으나, 남편의 냉대와 보수적인 성향으로 수도원에 유폐되는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 1669년 출생 - 미즈노 다다유키
    미즈노 다다유키는 에도 시대 하타모토에서 양자 입양 후 다이묘가 되었고, 아카호 낭인 사건 처리와 교호의 개혁에서 로주로서 활약했으나 백성들의 원성을 샀으며, 그의 생애는 여러 작품에서 다루어졌다.
가메이 고레치카
기본 정보
씨명가메이 씨
이름가메이 고레치카
시대에도 시대 전기 - 중기
출생간분 9년 4월 (1669년)
사망교호 16년 5월 29일 (1731년7월 3일)
이명마쓰노스케 (통칭)
계명축선원전 법산조응대거사
묘소시마네현가노아시군쓰와노정 우시로다의 가메이 가문 묘소
관위종5위노토노카미、오키노카미
막부에도 막부
주군도쿠가와 쓰나요시、이에노부、이에쓰구、요시무네
이와미쓰와노번
씨족가메이 씨
부모시게마사、미즈사키 호안 딸
형제자매마사나오
시게쓰구
마쓰다이라 야스토미 실
시마즈 다다타카 정실
난바 무네요시 실
와슈 교교지 실
고레치카
마사스케
소세이 승정
타고 사네즈미
모리카와 도시타네 정실
이타쿠라 시게히로 정실
야규 도시카타 정실
노리토모
배우자소 요시자네의 딸 로쿠요시가키(사본:다이코다니이나리 신사본) 역대 번공
자녀시게나가
스가누마 사다요시
이오리
만키치
시게미쓰
가지노스케 등
마쓰다이라 야스토요 정실
도리이 다다토모 정실

2. 생애

덴나 원년 가메이 고레마사가 사망하고 가독을 상속받은 이후, 교호 16년 사망할 때까지 가메이 고레치카는 영지와 막부에서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고레치카는 아라이 하쿠세키에게서 유학을, 가노 도슈에게서 회화를 배우는 등 학문과 예술에 조예가 깊었다. 또한 가신들에게도 이토 토가이, 무로 큐소, 야마가 소코 등에게 배우게 하여 영내 문교 정책에 힘쓰며,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문치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막부의 여러 직책을 맡아 일했는데, 겐로쿠 9년에는 생물 연민의 령과 관련된 나카노의 개집 건설을 지원하여 시후쿠 10령을 하사받았고, 겐로쿠 10년 우시고메 화재 때는 방화 작업을 지휘하여 공을 세웠다.[2] 세 차례에 걸쳐 칙사 향응역을 맡았으며, 호에이 5년 교토의 금리 조영을 돕고 나카미카도 천황에게 칼과 책을 하사받기도 했다. 교호 2년 나카하시와 고하쿠마정에서 발생한 화재 진압에도 참여하여 막부로부터 상을 받았다.[2]

교호 16년 5월 29일, 고레치카는 쓰와노에서 63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1][2] 그의 유해는 시마네현 가노아시군 쓰와노정의 가메이 가문 묘소에 안장되었으며, 법명은 지쿠센인덴 호잔소오 다이코지이다.

2. 1. 초기 생애와 가독 상속

간분 9년(1669년) 4월, 2대 번주 가메이 고레마사의 다섯째 아들[1]쓰와노[2]에서 태어났다.

처음에는 같은 번의 에이다이로 가문인 다고 가문에 양자로 들어갔지만, 맏형이자 세자였던 마사나오가 요절하고, 둘째 형인 고레쓰구도 병에 걸려 쓰와노에서 요양하게 되었기 때문에[2] 고레치카가 대신하여 이자나리의 세자가 되어 2월 19일에 4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쓰나에게 처음 뵙게 되었다[2]. 덴나 원년 (1681년) 2월 27일에 13세의 나이로 4만 3,000석의 가독을 상속했다[1]. 조쿄 원년 (1684년) 12월 25일에 종5위(從五位) 시모노토모리(下能登守)에 서임되었고, 겐로쿠 원년 (1688년) 6월 10일에 처음으로 쓰와노에 들어갔다[2]. 겐로쿠 4년 (1691년)[2]에 오쿠즈메(奥詰)가 되었고[1], 10월 4일에 이키노카미(沖崎守)로 개명했다. 또한 겐로쿠 5년 (1692년) 6월 5일에는 도자마 다이묘로서는 이례적으로 기러기 칸막이가 허용되었다[2].

고레치카는 유학아라이 하쿠세키에게, 회화를 가노 도슈에게 배우고 가신들에게도 이토 토가이, 무로 큐소, 야마가 소코 등에게 배우게 하여 문교 정책에 힘썼으며,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문치 정치에 공손한 자세를 보였다.

2. 2. 문치 정책과 막부 근무

가메이 고레치카는 아라이 하쿠세키에게 유학을, 가노 도슈에게 회화를 배웠고, 가신들에게도 이토 토가이, 무로 큐소, 야마가 소코 등에게 배우게 하여 문교 정책에 힘썼으며,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문치 정치에 순종하는 자세를 보였다. 막부에서의 근무도 잘 수행하여, 겐로쿠 9년(1696년) 2월 14일에는 생물 연민의 령에 관한 시설인 나카노의 개집 부역 지원으로 시후쿠 10령을 하사받았으며, 겐로쿠 10년(1697년)의 우시고메 화재 때에도 방화에 힘쓴 공로를 치하받았다.[2]

세 차례에 걸쳐 칙사향응역을 맡았다. 호에이 5년(1708년) 8월에는 교토로 올라가 금리 조영을 도왔고, 35840냥이라는 거액의 돈을 썼으며, 이 공적으로 호에이 6년(1709년) 10월, 나카미카도 천황으로부터 직접 나오쓰나의 칼과 신칙선집을 하사받았고, 12월에는 막부로부터도 시후쿠 10령을 하사받았다. 같은 해에는 영내의 다카쓰 반류 호의 소수를 완성했다. 호에이 7년(1710년)에는 영내에 도다 가키모토 신사를 조영하고, 교호 8년(1723년)에는 다카쓰 가키모토 신사의 천년제를 열어, 조정으로부터 정1위를 받았다. 교호 2년(1717년) 1월 나카바시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6월 고하쿠마정 화재 때에는 다이묘 화재 진압으로 활약하여 막부로부터 포상받았다.[2]

2. 3. 키라 요시히사와의 갈등 (창작)

겐로쿠 11년(1698년), 가메이 고레치카가 야나기하라 스케카도, 오기마치 사네토요 두 칙사의 향응역을 맡았을 때, 고케 키라 요시히사에게 음습한 괴롭힘을 당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참다 못한 고레치카가 칼부림을 하려 하자, 가로인 타고 마카게가 500냥의 소전을 얇게 구운 밀가루 반죽으로 감싼 '과자'라고 속여 키라에게 뇌물로 바쳐 고레치카를 괴롭히지 말아달라고 부탁했고, 이 덕분에 무사히 해결되었다고 한다.[2]

그러나 쓰와노 번의 가메이 가문 문서에는 관련된 기록이 없다. 또한, 얇은 반죽으로 팥소를 감싼 '안마키'는 미카와의 명물인데, 본고장의 과자를 잘 아는 하타모토에게 지방 다이묘가 선물하는 것은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다. 게다가 500냥은 과자 상자에 넣어 운반할 수 있는 부피와 무게가 아니다. 타고 마카게는 키라가 3세일 때 이미 가로였고, 조쿄 3년(1686년) 이후에는 나이가 많아 더 이상 가로가 아니었다. 결정적으로, '겐지마키'는 겐로쿠 시대의 가메이 고레치카 때가 아니라, 훨씬 후대인 에도 말기 가메이 고레미의 치세 때 만들어졌다.[4]

현 당주인 가메이 고레모토(쇼와 천황의 시종이었던 가메이 고레츠네의 적자)는 키라 요시히사의 자손이며[5], 가메이 온코칸에 관련 자료가 보존되어 있다.

2. 4. 만년과 죽음

교호 16년(1731년) 5월 29일에 쓰와노에서 향년 63세로 사망했다.[1][2] 6남 고레미쓰가 뒤를 이었다. 시마네현가노아시군쓰와노정의 가메이 가문 묘소에 묻혔다. 법명은 지쿠센인덴 호잔소오 다이코지이다.

3. 평가

가메이 고레치카의 친필 족자에는 "사랑(愛)"이라는 글자가 크게 쓰여 있고, 그 밑에는 "인개고염열오애하일장(人開苦延熱五愛夏日長)"이라는 한문이 쓰여 있다. 제목을 제외한 글자는 당나라 문종 황제의 시로, 당시 폭군의 태도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와 동시에 선사[3]가 깨달음에 이른 선어로도 알려진 시이다. (사람들은 모두 염열에 시달리지만 우리는 한여름의 긴 날을 사랑한다.)

1690년경 여러 다이묘들의 평판을 기록한 『토개구수기』에서는 가메이 고레치카에 대해 "행적이 나쁘지 않다"고 평가하면서도, "재치라고는 말하기 어렵다"고 기록하고 있다.[3]

4. 가계

항목내용
아버지가메이 고레마사(1617년 ~ 1681년)
어머니미즈사키 호안의 딸
정실가쿠지인 - 소 요시자네의 딸
장남가메이 고레나가(1688년 ~ 1726년)
육남가메이 고레미쓰(1713년 ~ 1736년)
생모 불명의 자녀
양자


5. 등장 작품

다음은 가메이 고레치카가 등장한 작품이다.


  • 고갯마루의 군상 (1982년, NHK 대하드라마) - 타나베 히로아키
  • 미토코몬 제21부 제9화 "노리는 적은 꼭 닮은 두 사람 -츠와노-" (1992년 5월 18일, TBS 계 내셔널 극장) - 이부키 고로
  • 미토코몬 제23부 제21화 "츠와노 명과는 사랑의 맛 -츠와노-" (1994년 12월 26일, TBS 계 내셔널 극장) - 이바 츠요시
  • 미토코몬 외전 그림자 닌법첩 제3화 "어둠에 나비가 춤춘다 -츠와노-" (1995년 6월 5일, TBS 계 내셔널 극장) - 토미이에 노리마사

5. 1. 드라마


  • 고갯마루의 군상 (1982년, NHK 대하드라마) 배역: 타나베 히로아키
  • 미토코몬 제21부 제9화 "노리는 적은 꼭 닮은 두 사람 -츠와노-" (1992년 5월 18일, TBS 계 내셔널 극장) 배역: 이부키 고로
  • 미토코몬 제23부 제21화 "츠와노 명과는 사랑의 맛 -츠와노-" (1994년 12월 26일, TBS 계 내셔널 극장) 배역: 이바 츠요시
  • 미토코몬 외전 그림자 닌법첩 제3화 "어둠에 나비가 춤춘다 -츠와노-" (1995년 6월 5일, TBS 계 내셔널 극장) 배역: 토미이에 노리마사

참조

[1] Kotobank 亀井茲親
[2] 서적 吉賀記 太皷谷稲成神社
[3] 서적 土芥寇讎記
[4] 웹사이트 源氏巻 https://www.kankou-s[...] 2022-07-12
[5] 서적 平成新修旧華族家系大成 霞会館 1996
[6] 문서 三代藩主茲親筆掛軸 太皷谷稲成神社
[7] 시 夏日聯句 全唐詩
[8] 평론 蘇東坡 評
[9] 서적 大慧普覚禅師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