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시생쥐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시생쥐속(Acomys)은 쥐과에 속하는 설치류 속으로, 1838년 이시도르 조프루아 생틸레르에 의해 처음 명명되었다. 서사하라가시쥐, 카이로가시쥐 등 21종의 가시생쥐를 포함하며, 일부 종은 Peracomys 또는 Subacomys 아속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가시생쥐는 애완동물로도 길러지며, 꼬리를 잡으면 탈피 부상을 입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들은 고온 환경에서 잘 살며 사회적인 동물이다. 또한 당뇨병 연구의 모델 생물로 활용되며, 피부 재생 능력이 뛰어나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데오미스아과 - 메나게사붓털쥐
    메나게사붓털쥐는 에티오피아 중부 아프리카 산지림에 서식하는 붓털쥐의 일종으로, 회색빛 갈색 또는 검은색 털을 가진 몸길이 11.5~14.5cm, 꼬리 길이 9.5~12cm의 동물이다.
  • 데오미스아과 - 체르체르산맥붓털쥐
    체르체르산맥붓털쥐는 에티오피아 체르체르 산맥의 나한송 숲에 서식하는 설치류로, 불그스레한 갈색빛의 몸과 누르스름한 배를 가졌으며 씨앗, 열매, 잎 등을 먹는 야행성 육상 동물이다.
가시생쥐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동부가시쥐
동부가시쥐
학명Acomys I. 조프루아, 1838
토게마우스속
타입 종Mus cahirinus
화석 범위전기 플라이오세 - 현재
하위 분류21종, 본문 참조
학술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쥐목
쥐과
아과데오미스아과
토게마우스속 (Acomys)
명명자I. 조프루아, 1838

2. 분류

가시생쥐속(''Acomys'')은 여러 종으로 분류되며, 이들은 다시 몇 개의 아속으로 나뉜다. 대표적인 아속으로는 ''Peracomys''와 ''Subacomys''가 있다. 상세한 종 목록 및 각 아속에 대한 설명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2. 1. 가시생쥐속 (''Acomys'')

동부가시쥐 (''Acomys dimidiatus'')

  • '''가시생쥐속''' (''Acomys'')
  • * 서사하라가시생쥐 (''Acomys airensis'')
  • * 카이로가시생쥐 (''Acomys cahirinus'')
  • * 북아프리카가시쥐 (''Acomys chudeaui'')
  • * 터키가시쥐 (''Acomys cilicicus'')
  • * 회색가시생쥐 (''Acomys cineraceus'')
  • * 동부가시생쥐 (''Acomys dimidiatus'')
  • * 붉은가시생쥐 (''Acomys ignitus'')
  • * 요한가시생쥐 (''Acomys johannis'')
  • * 켐프가시생쥐 (''Acomys kempi'')
  • * 크레타가시쥐 (''Acomys minous'')
  • * 물라가시생쥐 (''Acomys mullah'')
  • * 무제가시생쥐 (''Acomys muzei'')
  • * 키프로스가시생쥐 (''Acomys nesiotes'')
  • * 응구루가시생쥐 (''Acomys ngurui'')
  • * 퍼시벌가시쥐 (''Acomys percivali'')
  • * 황금가시생쥐 (''Acomys russatus'')
  • * 쇠라가시생쥐 (''Acomys seurati'')
  • * 남아프리카가시생쥐 (''Acomys spinosissimus'')
  • * 윌슨가시생쥐 (''Acomys wilsoni'')
  • '''Peracomys''' '''아속'''
  • * 루이즈가시생쥐 (''Acomys louisae'')
  • '''Subacomys''' '''아속'''
  • * 케이프가시쥐 (''Acomys subspinosus'')

2. 2. ''Peracomys'' 아속

''Peracomys'' 아속은 F. Petter와 Roche가 1981년에 명명하였다. 이 아속에 속하는 유일한 종은 루이즈 가시쥐 ''Acomys louisae''로, 토마스가 1896년에 기술하였다.

2. 3. ''Subacomys'' 아속

''Subacomys'' 아속은 Denys, Gautun, Tranier, Volobouev가 1994년에 명명하였다. 이 아속에는 다음 종이 포함된다.

  • 수단 가시쥐 ''Acomys subspinosus'' Waterhouse, 1837

3. 애완동물

가시생쥐는 사막 환경 출신이기 때문에 약 27°C 정도의 높은 온도에서 잘 지낸다. 매우 사회적인 동물이므로 가능하면 항상 무리 지어 사육하는 것이 좋다. 또한 비만에 걸리기 쉬우므로 운동을 장려하기 위해 충분한 공간과 환경 풍부화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임신 기간은 38일에서 42일 사이이며, 한 배에 보통 2~3마리의 새끼를 낳지만 최대 6마리까지 낳을 수도 있다. 같은 사회 집단 내의 다른 암컷들이 출산을 돕고 새끼를 돌보기도 한다. 새끼는 태어날 때부터 눈을 뜨고 있으며, 생후 3일 정도면 둥지를 떠나기 시작한다. 약 5~6주 후에 젖을 떼고, 6~9주가 되면 성적으로 성숙한다. 암컷은 연중 임신이 가능하며, 1년에 최대 9번까지 출산할 수 있다. 가시생쥐의 수명은 4년에서 7년 정도이다. 어미는 출산 직후 다시 임신할 수 있다.[4][5]

가시생쥐의 한 종인 카이로가시생쥐(*A. cahirinus*)는 월경 주기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일반적인 실험쥐인 생쥐(*Mus musculus*)가 월경을 하지 않기 때문에, 월경 및 관련 생식기 질환 연구에서 중요한 모델 생물로서 가치를 지닌다.[6]

3. 1. 주의사항

말린 가시생쥐(Acomys)의 시체. 탈피 부상으로 짧아진 꼬리에 주목


아프리카 가시생쥐는 아프리카 사막이 원산지이지만, 미국과 같은 서구 국가를 포함한 세계 다른 지역에서 흔히 애완동물로 길러진다. 애완동물 시장에서는 이들을 주로 이집트 가시생쥐 또는 간단히 가시생쥐라고 부른다. 이 동물들은 애완용 쥐나 쥐와 비슷하지만, 가시생쥐의 꼬리는 훨씬 더 섬세하다. 따라서 가시생쥐는 꼬리를 잡아서는 안 되며, 탈피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조심스럽게 다루어야 한다. 또한 신체가 특정 음식에 대한 이상 반응을 보여 식단을 유지하기가 다소 어렵다.

4. 연구

사육 환경에서 가시생쥐의 당뇨병 발병 민감성이 1960년대 중반에 밝혀졌다.[7] 당시 애완동물로 사육되던 가시생쥐에게 지방 함량이 높은 호박, 참깨, 해바라기 씨 등으로 구성된 조류 사료를 먹였는데, 이러한 식단은 비만, 글루코스뇨증, 케톤증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네바 생화학 연구소의 추가 연구 결과, 가시생쥐는 췌장 섬이 비대해지고 증식함에도 불구하고 인슐린 분비 능력이 낮고 포도당에 대한 반응이 미미하며, 1단계 인슐린 방출이 약하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특히, 인슐린 저항성의 일반적인 증상은 보이지 않았다. ''A. russatus'' 종은 비슷한 식단을 섭취해도 당뇨병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시생쥐속에서 연구된 모든 종(''Acomys kempi'', ''A. percivali'', ''A. cahirinus'', ''A. dimidiatus'', ''A. russatus'')은 포식자에게 붙잡혔을 때 스스로 피부를 방출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이러한 능력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포유류는 가시생쥐가 유일하다.[8] 이들은 스스로 방출했거나 손상된 피부 조직을 완벽하게 재생할 수 있으며, 털주머니, 피부, 땀샘, 털, 연골 등을 흉터 없이 또는 거의 남기지 않고 다시 만들어낸다. 이러한 재생 유전자가 인간에게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다.[9]

2017년 5월 16일, 국제 학술지 eLife에 발표된 연구에서 켄터키 대학교 연구팀은 부위별 재생 과정에서 대식세포의 역할을 규명했다.[10] 아프리카 가시생쥐에서 발견되는 특정 유형의 대식세포는 흉터를 유발하는 다른 유형의 대식세포와는 다른 면역 반응을 일으켜 흉터 없는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5. 질병

가시생쥐는 아프리카 전역에 널리 분포한다. 일반적으로 설치류는 질병의 매개체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가시생쥐가 질병을 옮길 수 있는지에 대한 조사가 1912년 이집트에서 실시되었다.[11] 이 조사에서 가시생쥐는 일반적인 야생 가 가진 벼룩 수의 약 10분의 1 정도만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가시생쥐는 질병 확산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11]

참조

[1] 간행물
[2] 논문 Osteoderms in a mammal the spiny mouse Acomys and the independent evolution of dermal armor 2023-05-24
[3] 논문 Phylogeny and Divergence-Date Estimates of Rapid Radiations in Muroid Rodents Based on Multiple Nuclear Genes
[4] 웹사이트 The Bristol Zoo http://www.bristolzo[...] 2006-12-11
[5] 웹사이트 The Oregon Zoo http://www.oregonzoo[...]
[6] 논문 First evidence of a menstruating rodent: the spiny mouse (''Acomys cahirinus'') https://www.ajog.org[...] 2017-01-01
[7] 논문 Nutritionally Induced Diabetes in Desert Rodents as Models of Type 2 Diabetes: ''Acomys cahirinus'' (Spiny Mice) and ''Psammomys obesus'' (Desert Gerbil) 2006
[8] 논문 Skin shedding and tissue regeneration in African spiny mice (''Acomys'')
[9] 뉴스 African spiny mice can regrow lost skin http://www.nature.co[...] Nature (journal) 2012-09-26
[10] 논문 Macrophages are necessary for epimorphic regeneration in African spiny mice 2017-05-16
[11] 논문 A report on plague investigations in Egypt 1924
[12] 웹사이트 哺乳類トゲマウスに見られる皮膚の剥落および再生能力 https://www.natureas[...] Nature 다이제스트 2023-04-26
[13] 간행물
[14] 논문 Phylogeny and Divergence-Date Estimates of Rapid Radiations in Muroid Rodents Based on Multiple Nuclear Gen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