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톤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톤증은 케톤체의 혈중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한 상태를 의미하며, 생리적 케톤증과 케토산증으로 구분된다. 생리적 케톤증은 지방산 산화 증가로 인한 정상적인 케톤체 상승으로 금식, 장기간 운동, 저탄수화물 식단 등이 원인이며, 케토산증은 조절되지 않는 케톤 생성으로 인한 병리학적 상태로 대사성 산증을 유발한다. 케톤증은 지방산 산화, 뇌의 에너지원 고갈, 외부 케톤 섭취 등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소변, 혈액, 호흡 검사를 통해 측정한다. 케톤증은 간질 치료에 사용되기도 하지만, 일부 약물과 부작용, 금기 사항이 존재하며, 수의학에서는 젖소와 양에서 발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톤증 | |
|---|---|
| 개요 | |
| 질병 종류 | 내분비 질환 |
| 관련 질병 | 당뇨병, 기아, 알코올 남용 |
| 증상 | |
| 주요 증상 | 해당 사항 없음 |
| 원인 | |
| 주요 원인 | 탄수화물 섭취 부족 인슐린 결핍 |
| 위험 요인 | 제1형 당뇨병 임신성 당뇨병 알코올 의존증 |
| 진단 | |
| 검사 방법 | 혈액 검사 소변 검사 아세톤 측정 |
| 예방 | |
| 예방 방법 | 탄수화물 섭취 인슐린 투여 (당뇨병 환자) |
| 치료 | |
| 치료 방법 | 수액 요법 전해질 보충 인슐린 투여 |
| 예후 | |
| 예후 | 적절한 치료 시 양호 |
| 빈도 | |
| 빈도 | 다양함 |
| 사망 | |
| 사망률 | 다양함 |
| 추가 정보 | |
| 주의 사항 | 케톤산혈증과 구별 필요 |
2. 정의
케톤체의 정상 혈청 수치는 0.5mM 미만이다. ''고케톤혈증''은 일반적으로 1mM을 초과하는 수치로 정의된다.[13]
지방산 산화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생리적 케톤증은 병리학적이지 않은(정상적인 기능) 케톤체의 상승을 말하며, 혈청 케톤 수치는 일반적으로 3mM 미만으로 유지된다.[13]
케토산증은 조절되지 않는 케톤 생성으로 인한 병리학적 상태이며, 상당한 대사 장애를 유발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 의료 상황이다.[1] 케토산증은 케톤체 생성의 정상적인 조절 실패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생리적 케톤증과 다르다.[5][4]
2. 1. 생리적 케톤증
생리적 케톤증은 지방산 산화가 증가하여 나타나는 병리학적이지 않은 (정상적인 기능) 케톤체 상승을 의미한다. 금식, 장기간 운동, 또는 케톤 생성 다이어트와 같이 탄수화물 섭취가 매우 낮은 식단에서 발생한다.[4] 생리적 케톤증에서 혈청 케톤 수치는 일반적으로 3mM 미만으로 유지된다.[13]2. 2. 케토산증
케토산증은 조절되지 않는 케톤 생성으로 인한 병리학적 상태로, 대사성 산증을 유발하며 혈청 케톤 수치가 일반적으로 3mM를 초과한다.[13] 케토산증은 제1형 당뇨병 또는 말기 제2형 당뇨병에서 인슐린 결핍으로 인해 가장 흔하게 발생하지만, 만성적인 과도한 알코올 섭취, 살리실산 중독, 또는 이소프로필 알코올 섭취의 결과로도 발생할 수 있다.[13][1] 이는 상당한 대사 장애를 유발하며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 의료 상황이다.[1] 케토산증은 케톤체 생성의 정상적인 조절 실패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생리적 케토시스와는 다르다.[5][4]3. 원인
지방산 산화가 증가하면 케톤체가 높아질 수 있는데, 이는 병리학적이지 않은(정상적인 기능) 현상이다. 금식, 장기간의 운동, 케톤 생성 다이어트와 같이 탄수화물 섭취가 매우 낮은 식단이 이에 해당한다.[4] 생리적 케톤증에서 혈청 케톤 수치는 보통 3mM 미만이다.[13]
케토산증은 조절되지 않는 케톤 생성으로 인한 병리학적 상태이며, 대사성 산증을 일으켜 혈청 케톤 수치가 보통 3mM를 넘는다. 케토산증은 제1형 당뇨병이나 말기 제2형 당뇨병에서 인슐린 결핍으로 인해 가장 흔하게 발생하지만, 만성적인 과도한 알코올 섭취, 살리실산 중독, 이소프로필 알코올 섭취의 결과로도 발생할 수 있다.[13][1] 케토산증은 심각한 대사 장애를 일으키며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 의료 상황이다.[1] 케토산증은 케톤체 생성의 정상적인 조절 실패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생리적 케톤증과 다르다.[5][4]
케톤 수치 증가는 대부분 케톤 생성 가속화로 인해 발생하지만, 외부 케톤 또는 전구체 섭취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다.
글리코겐과 혈중 포도당 저장량이 낮아지면 뇌는 에너지를 위해 지방산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뇌에 포도당을 공급하기 위해 대사 변화가 일어난다. 이러한 변화에는 간에서 지방산 산화 및 케톤 생성이 증가하는 것이 포함되며, 이는 뇌뿐만 아니라 골격근, 심장, 신장에도 대체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1][2] 낮은 수준의 케톤은 혈액에 항상 존재하며, 포도당 가용성이 낮을 때 증가한다. 예를 들어, 밤새 금식 후에는 에너지의 2~6%가 케톤에서 나오며, 3일 금식 후에는 30~40%로 증가한다.[13][1]
케톤증을 유도하는 데 필요한 탄수화물 제한량은 활동 수준, 인슐린 민감성, 유전, 나이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하루 50g 미만의 탄수화물을 최소 3일 동안 섭취하면 케톤증이 발생한다.[6][7]
신생아, 임산부, 수유부는 금식이나 질병과 같은 에너지 부족 상황에서 특히 빠르게 생리적 케톤증을 보인다. 이는 질병 상황에서 케톤산증으로 진행될 수 있지만 드물다. 신생아의 케톤 생성 성향은 고지방 모유 섭취, 상대적으로 큰 중추 신경계, 제한된 간 글리코겐 때문이다.[13][8]
4. 생화학
글리코겐과 혈중 포도당 저장량이 낮아지면, 뇌가 에너지를 위해 지방산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뇌에 포도당을 공급하기 위한 대사 변화가 일어난다. 이러한 변화에는 간에서 뇌뿐만 아니라 골격근, 심장 및 신장에 대체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지방산 산화 및 케톤 생성이 증가하는 것이 포함된다.[1][2] 낮은 수준의 케톤은 항상 혈액에 존재하며 포도당 가용성이 낮을 경우 증가한다. 예를 들어, 밤새 금식 후 에너지의 2~6%가 케톤에서 나오며, 3일 금식 후에는 30~40%로 증가한다.[13][1]
케톤체의 전구체는 지방 조직 또는 식단에서 유래한 지방산과 케톤 생성 아미노산이 있다.[9][10] 케톤체는 간세포의 미토콘드리아 기질에서 케톤 생성을 통해 만들어진다.
지방산은 높은 글루카곤 및 에피네프린 수치와 낮은 인슐린 수치의 아디포카인 신호 전달에 의해 지방 조직에서 방출될 수 있다. 높은 글루카곤과 낮은 인슐린은 단식과 같이 포도당 이용 가능성이 낮은 시기에 해당한다.[11] 조효소 A에 결합된 지방산은 미토콘드리아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결합된 지방산은 세포에서 주로 베타 산화를 통해 연료로 사용되며, 각 사이클에서 아실-CoA 분자에서 두 개의 탄소를 잘라 아세틸-CoA를 생성한다. 아세틸-CoA는 구연산 회로에 들어가 옥살아세트산과 알돌 축합을 거쳐 구연산을 형성하며, 구연산은 원래의 지방산의 탄소당 매우 높은 에너지 수율을 얻는 트라이카복실산 회로(TCA)에 들어간다.[12]
아세틸-CoA는 모든 세포에서 TCA 회로를 통해 대사될 수 있지만, 간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서 케톤 생성을 겪을 수도 있다.[13] 포도당 이용 가능성이 낮을 때 옥살아세트산은 TCA 회로에서 벗어나 대신 포도당 신생을 통해 포도당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포도당 신생에서 옥살아세트산의 이러한 활용은 옥살아세트산이 아세틸-CoA와 축합하여 TCA 회로에 들어가는 것을 막는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케톤 생성 과정을 통해 아세틸-CoA에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케톤 생성에서 두 개의 아세틸-CoA 분자는 티올라제를 통해 축합하여 아세토아세틸-CoA를 형성한다. 아세토아세틸-CoA는 HMG-CoA 합성효소를 통해 또 다른 아세틸-CoA와 잠시 결합하여 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릴-CoA를 형성한다. 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릴-CoA는 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릴-CoA 분해효소를 통해 케톤체 아세토아세테이트를 형성한다. 그런 다음 아세토아세테이트는 D-β-하이드록시부티르산 탈수소효소를 통해 또 다른 케톤체인 D-β-하이드록시부티르산으로 가역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는 아세토아세테이트는 자발적으로 세 번째 케톤체(아세톤) 및 이산화 탄소로 분해될 수 있으며, 이는 아세토아세테이트 및 D-β-하이드록시부티르산의 농도를 훨씬 더 많이 생성한다. 결과적으로 생성된 케톤체는 간에서 에너지를 위해 사용할 수 없으므로 뇌와 말초 조직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간에서 내보내진다.
지방산 외에도 탈아미노화된 케톤 생성 아미노산도 구연산 회로의 중간체로 전환되어 케톤체를 생성할 수 있다.[10]
5. 측정
케톤 수치는 소변, 혈액, 호흡 검사로 측정할 수 있다. 이 방법들은 서로 다른 케톤체를 측정하므로 직접 비교하기는 어렵다. 
5. 1. 소변 검사
요 검사는 케톤을 검사하는 가장 흔한 방법이다. 요 검사 스트립은 아세토아세트산과의 니트로프루시드 반응을 이용하여 스트립의 색상 변화에 따라 반정량적 측정을 제공한다. 베타-하이드록시부티르산이 주요 순환 케톤임에도 불구하고, 요 검사 스트립은 아세토아세트산만 측정한다. 요 케톤은 신장의 케톤 배설의 가변성, 수분 상태의 영향, 신장 기능 등으로 인해 혈청 수치와 상관관계가 낮은 경우가 많다.5. 2. 혈청 검사
혈당 측정기와 유사하게, 손가락 채혈식 케톤 미터를 이용하여 혈액 내 베타-하이드록시부티르산 수치를 즉시 측정할 수 있다. 혈액 내 베타-하이드록시부티르산 수치는 실험실에서도 측정할 수 있다.[13]6. 의학적 이용
케톤 생성 식단으로 유도된 케톤증은 난치성 간질 치료에 효과가 있으며,[14] 대사 증후군 지표를 개선할 수 있다.[6][15] 대사 증후군 지표 개선에는 혈청 트리글리세라이드 감소, 고밀도 지단백질(HDL) 증가, 저밀도 지단백질(LDL) 입자의 크기 및 부피 증가 등이 있으며, 이는 콜레스테롤 수치의 잠재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개선된 지질 프로파일과 일치한다.
6. 1. 간질
케톤 생성 식단으로 유도된 케톤증은 난치성 간질의 오래전부터 인정된 치료법이다.[14]6. 2. 비만 및 대사 증후군
케톤증은 혈청 트리글리세라이드 감소, 고밀도 지단백질(HDL) 증가, 저밀도 지단백질(LDL) 입자의 크기 및 부피 증가를 통해 대사 증후군 지표를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콜레스테롤 수치의 잠재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개선된 지질 프로파일과 일치한다.[6][15]7. 안전성
저탄수화물 식단으로 유도된 케톤증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임상의, 연구자, 언론에서 자주 의문을 제기한다.[16][17][18] 이는 생리적 케톤증과 병적 케톤산증의 차이를 오해하는 데서 비롯된 우려가 많다.[5][6] 또한 만성 케톤증이 건강한 상태인지, 아니면 피해야 할 스트레스 요인인지에 대한 논쟁도 있다.
일부에서는 인간이 케톤증을 피하도록 진화했으므로 장기간 케톤증 상태를 유지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18] 반면, 포도당 신생합성과 케톤 생성을 통해 에너지를 무한정 만들 수 있으므로 식이 탄수화물 섭취는 생리적으로 필수적이지 않다는 반론도 있다.[19] 케톤 상태와 섭취 상태 간의 전환이 신진대사와 신경학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2]
간질이나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엄격한 케톤 생성 식단을 최대 2년까지 적용한 연구를 통해 케톤증을 장기간 유지했을 때의 영향이 알려져 있다. 여기에는 단기 부작용이 장기적인 부작용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포함된다.[20] 그러나 간헐적 케톤증의 장기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20]
7. 1. 약물 고려 사항
케톤증 상태에서는 일부 약물, 특히 여러 종류의 당뇨병 치료제에 주의가 필요하다. SGLT2 억제제는 정상 혈당 케톤산증과 관련된 사례가 보고되었는데, 이는 혈당 수치는 정상이지만 케톤 수치가 높아 대사성 산증을 유발하는 드문 상태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약물 복용 중 인슐린 투여를 놓치거나, 질병, 탈수 또는 저탄수화물 다이어트를 하는 경우에 발생한다.[21] 또한, 인슐린 및 설포닐우레아를 포함하여 혈당을 직접 낮추는 데 사용되는 약물은 케톤증을 유발하는 식단을 시작하기 전에 용량을 조절하지 않으면 저혈당증을 유발할 수 있다.[20]7. 2. 부작용
포도당 대사에서 지방 대사로 전환할 때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22] 케톤 생성 식단을 시작한 후 처음 며칠 및 몇 주 동안 두통, 피로, 현기증, 불면증, 운동 능력 저하, 변비 및 메스꺼움이 나타날 수 있다.[20] 아세톤이 휘발성이 높아 배출되면서 호흡에서 달콤하고 과일 향이 날 수 있다.[6]장기간 케톤증의 부작용은 대부분 소아 간질 치료법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었기 때문에 어린이에게서 나타난다. 여기에는 뼈 건강 저하, 성장 부진, 고지혈증, 신장 결석이 포함된다.[23]
7. 3. 금기 사항
케톤 생성 식이요법은 높은 식이 지방 함량 때문에 췌장염 환자에게는 권장되지 않는다. 또한 피루브산 카르복실라제 결핍증, 포르피린증, 기타 희귀한 지방 대사 유전 질환에도 금기이다.[24]8. 수의학
젖소에서 케톤증은 송아지 출산 후 첫 몇 주 동안 흔히 발생하며, 때로는 '아세톤혈증'이라고도 한다. 이는 젖 분비의 증가된 대사 요구를 보충하기에 섭취가 불충분할 때의 에너지 부족 때문이다. 상승된 β-하이드록시부티르산 농도는 포도당 신생성, 사료 섭취 및 면역 체계를 억제할 수 있으며, 우유 성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25] 현장 진단 검사는 소의 케톤증을 선별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26]
양에서 케톤증은 혈액 내 베타-하이드록시부티르산이 0.7mmol/L 이상으로 나타나는 고케톤혈증으로 증명되며, '임신 중독증'이라고도 한다.[27][28] 이는 여러 태아를 임신한 암컷 양의 임신 후기에 발생할 수 있으며, 임신의 상당한 대사 요구와 관련이 있다.[29][30] 반추 동물은 소화관 내 대부분의 포도당이 반추위 미생물에 의해 대사되기 때문에 포도당 신생성을 통해 포도당을 공급해야 한다.[31] 임신 중독증은 빠른 태아 성장에 따른 대사 요구로 인해 임신 후기에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기상 조건, 스트레스 또는 기타 원인으로 인한 불충분한 사료 에너지 섭취로 인해 유발될 수 있다.[28] 자연 분만, 제왕 절개 또는 유도 낙태를 통해 신속하게 회복될 수 있다. 적절한 사료 공급 및 기타 관리 조치를 통한 예방이 임신 중독증의 진행된 단계를 치료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다.[32]
참조
[1]
간행물
Ketone Body Metabolism
https://www.diapedia[...]
2015
[2]
간행물
Intermittent metabolic switching, neuroplasticity and brain health
2018
[3]
간행물
Implementing a low-carbohydrate, ketogenic diet to manage type 2 diabetes mellitus
2018-09-15
[4]
간행물
Fuel metabolism in starvation
2006
[5]
간행물
The regulation of the release of ketone bodies by the liver
1966-01
[6]
간행물
Beyond weight loss: a review of the therapeutic uses of very-low-carbohydrate (ketogenic) diets
2013
[7]
간행물
The therapeutic implications of ketone bodies: the effects of ketone bodies in pathological conditions: ketosis, ketogenic diet, redox states, insulin resistance, and mitochondrial metabolism
2004
[8]
간행물
Ketone body metabolism and its defects
2014
[9]
간행물
Biochemistry of adipose tissue: an endocrine organ
2013
[10]
서적
Nutrient metabolism : structures, functions, and genes
Elsevier Science
2015-05-22
[11]
간행물
Ketone bodies as a fuel for the brain during starvation
2005-07
[12]
서적
Biochemistry
W.H. Freeman and Company
1995
[13]
간행물
Ketone bodies: a review of physiology, pathophysiology and application of monitoring to diabetes
1999-11
[14]
간행물
Clinical aspects of the ketogenic diet
2007
[15]
간행물
Nutritional Ketosis for Weight Management and Reversal of Metabolic Syndrome
2018
[16]
웹사이트
Is the keto diet safe? USC experts have some serious concerns
https://news.usc.edu[...]
2019-02-19
[17]
웹사이트
7 Dangers of Going Keto
https://www.health.c[...]
2019-10-03
[18]
간행물
On the Essentiality of Dietary Carbohydrate
2003-09
[19]
간행물
Metabolic effects of the very-low-carbohydrate diets: misunderstood 'villains' of human metabolism
2004
[20]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19
[21]
간행물
SGLT2 Inhibitor-associated Diabetic Ketoacidosis: Clinical Review and Recommendations for Prevention and Diagnosis
2016
[22]
웹사이트
Side effects of a ketogenic diet
https://planketogeni[...]
2017-03-06
[23]
간행물
Ketogenic diets: an update for child neurologists
2009
[24]
간행물
Optimal clinical management of children receiving the ketogenic diet: recommendations of the International Ketogenic Diet Study Group
2009
[25]
간행물
Review: Metabolic challenges in lactating dairy cows and their assessment via established and novel indicators in milk
2019
[26]
간행물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diagnostic accuracy of point-of-care tests for the detection of hyperketonemia in dairy cows
2016
[27]
문서
Sheep and goat medicine
Saunders, Philadelphia
2002
[28]
문서
Jensen and Swift's diseases of sheep
Lea & Febiger, Philadelphia
1988
[29]
간행물
Pregnancy toxemia and ketosis of ewes and does
1988
[30]
간행물
Studies on the carbohydrate metabolism of sheep. IX. Metabolic effects of glucose and glycerol in undernourished pregnant ewes and in ewes with pregnancy toxaemia
1960
[31]
문서
Nutritional ecology of the ruminant
Cornell Univ. Press
1994
[32]
서적
Merck Veterinary Manual
Merck & Co.
[33]
간행물
Multi-dimensional Roles of Ketone Bodies in Fuel Metabolism, Signaling, and Therapeutics
2017-02-07
[34]
간행물
Mitochondria: The ketogenic diet--A metabolism-based therapy
2015-06
[35]
간행물
Nutritional Ketosis Alters Fuel Preference and Thereby Endurance Performance in Athletes
2016-08-09
[36]
논문
Safety and tolerability of sustained exogenous ketosis using ketone monoester drinks for 28 days in healthy adults.
2019-12
[37]
논문
Why a d-β-hydroxybutyrate monoester?
2020-02-28
[38]
논문
Why a d-β-hydroxybutyrate monoester?
2020-02-28
[39]
논문
A ketone monoester drink reduces the glycemic response to an oral glucose challenge in individuals with obesity: a randomized trial.
2019-12-01
[40]
논문
Safety and tolerability of sustained exogenous ketosis using ketone monoester drinks for 28 days in healthy adults.
2019-12
[41]
논문
Kinetics, safety and tolerability of (R)-3-hydroxybutyl (R)-3-hydroxybutyrate in healthy adult subjects.
2012-08
[42]
논문
Invited review: β-hydroxybutyrate concentration in blood and milk and its associations with cow performance.
2019-08
[43]
논문
Beta-hydroxybutyrate in milk as screening test for subclinical ketosis in dairy cows.
2017-09-26
[44]
서적
The Art and Science of Low Carbohydrate Performan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