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춘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헝춘진은 타이완 핑둥 현에 위치한 도시로, 헝춘반도의 최남단에 자리 잡고 있으며, 동쪽은 태평양, 서쪽은 타이완 해협, 남쪽은 바시 해협에 접해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다. 열대 몬순 기후의 영향을 받아 연중 온난하며, 1982년 타이완 최초의 국가공원인 컨딩 국가공원이 설립되었다. 헝춘진은 역사적으로 랑교(瑯嶠)로 불렸으며, 청나라 시대에 헝춘(恆春)으로 개칭되었고, 일본 통치 시대에는 고슌(Kōshun)으로 불렸다. 현재는 관광 도시로 유명하며, 헝춘 옛 시가지와 컨딩 국가공원, 출화 등 다양한 관광 명소와 헝춘고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핑둥현의 행정 구역 - 차오저우진
차오저우진은 중화민국 핑둥 현 서부에 위치한 진으로, 핑둥 평원에 자리 잡고 있으며, 광둥성 차오저우시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21개 마을로 구성되어 있고, 타이완 철로관리국 핑둥 선의 차오저우 역과 국도 3호선, 88번 성도가 지나가며, 바다 삼림 공원, 차오린 사 등이 주요 관광지이고 코코넛, 빈랑, 장어 등이 특산물이다. - 핑둥현의 행정 구역 - 린뤄향
린뤄향은 핑둥 현 북부에 위치하며 핑둥 평원에 자리한 평탄한 지형의 향으로, 린뤄역과 국도 3호선을 통해 교통이 편리하고 개대성왕묘 등의 관광 명소가 있으며 추리엔후이와 천자화와 같은 인물을 배출했다.
헝춘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헝춘진 · 恆春鎮 |
기타 명칭 | 고슌 (Kōshun) |
별칭 | 롱키아우 (Longkiau) |
위치 | 타이완 남부 타이완 |
소재지 | 헝춘진 |
면적 | 136.76 km² |
인구 (2024년 2월) | 29,702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가구수 | 10,568 |
행정 구역 | 17개 리, 272개 린 |
우편 번호 | 946 |
웹사이트 | 헝춘진 공식 웹사이트 |
정치 | |
시장 | 루 위퉁 (盧玉棟) |
지리 | |
좌표 | 22°00′N 120°45′E |
기타 정보 | |
중국어 | 恆春鎮 (Héngchūn Zhèn) |
일본어 | 恒春 (こうしゅん) |
가나 | ヘンチュン |
한어 병음 | Héngchūn |
웨이드-자일스 | Hêng-ch‘un |
통용 병음 | Héngchun |
민난어 | Hêng-chhun |
객가어 | Hèn-chhûn |
템플릿 | [[파일:heitou kousyuntin.svg|150px]] |
방언 | 瑯 |
민난어 | Hîng-tshun |
로마자 표기 | Héngchūn |
한국어 | 항춘진 |
2. 지리
헝춘진은 열대 기후에 속하며, 남쪽 해안에는 산호초 지형이 있어 자연 생태가 풍부하다. 1982년에 타이완 최초의 국가공원인 컨딩 국가공원이 창립되었다.
2. 1. 지형
헝춘은 섬의 최남단 행정 구역으로, 북서쪽으로는 처청 향, 북동쪽으로는 만저우 향과 접한다. 헝춘진은 동쪽의 태평양, 서쪽의 타이완 해협, 남쪽의 바시 해협으로 둘러싸인 헝춘반도의 최남단에 위치하며, 면적은 136.763km2이다.[17] 헝춘반도는 서쪽에 헝춘 서부 대지와 중앙산맥이 남북으로 뻗어 있으며, 그 사이에 중심 시가지인 항춘고성영어과 공항 등이 있는 헝춘 종곡이라는 평지가 펼쳐져 있다.매년 9월부터 다음 해 3월까지, 시베리아로부터의 계절풍이 중앙산맥을 따라 남쪽으로 불어오기 때문에, 헝춘반도에서는 계절풍이 해양으로 빠르게 불어 나가, 바람이 강한 "뤄산펑"을 형성한다.
열대 기후에 속하며, 남쪽 해안은 산호초 지형이 있어 자연 생태가 풍부하다. 1982년에 타이완 최초의 국가공원인 컨딩 국가공원이 창립되었다.
2. 2. 기후
헝춘진은 열대 몬순 기후로, 연중 온난하며 뚜렷한 건기와 우기가 나타난다. 매년 9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시베리아에서 불어오는 계절풍의 영향으로 중양산맥을 따라 남쪽으로 불다가, 헝춘 반도에서는 해양을 향해 급속히 불어 강한 바람이 부는 낙산풍(落山風)이 형성된다.[8]헝춘은 섬의 최남단 행정 구역으로, 열대 몬순 기후로 잘 알려져 있으며, 지명과 같이 연중 따뜻한 기온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시원한 겨울이나 극심한 더위가 없으며, 월 평균 기온은 21°C에서 28°C 사이이다. 12월 초부터 이듬해 3월 말까지는 시원하고 건조한 계절로 강수량이 비교적 적으며, 기온은 18°C에서 26°C 사이이다. 맑고 화창한 날에는 기온이 28°C에서 30°C까지 올라가기도 한다. 따뜻하고 습한 계절에는 기온이 24°C에서 32°C 사이이며, 특히 태평양 태풍 시즌의 영향으로 5월부터 10월까지 강수량이 비교적 많다.
헝춘의 봄과 같은 기후는 주변을 둘러싼 바다의 위치에 의해 크게 좌우되며, 핑둥의 다른 대부분의 읍보다 주야간 기온차가 눈에 띄게 작다. 헝춘은 낮에는 일반적으로 군 내 다른 읍보다 시원하고, 밤에는 다른 읍보다 따뜻하다. 특히 겨울철에는 일 최저 기온이 헝춘에서는 보통 18°C~20°C, 핑둥 시에서는 15°C~18°C 정도이며, 일 최고 기온은 읍에서는 보통 24°C~26°C, 핑둥 시에서는 25°C~28°C 정도이다. 기온이 15°C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는 평균적으로 3년에 한 번 정도이며, 주로 대만에서 한랭 전선의 영향을 받는 1월 초 아침에 발생한다.
기후는 또한 헝춘 반도 전체를 덮고 있는 열대 우림 (열대 몬순 우림)을 지원하며, 야자수와 다른 열대 식물은 핑둥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해안선에서 자란다.
헝춘진은 예전에는 파이완어로 '난초'를 뜻하는 '랑교(瑯嶠)'라고 불렸다. 청나라 동치 연간에 헝춘반도에서 모란사 사건이 발생했을 때, 선바오전이 이곳에 성벽을 쌓도록 조정에 건의하여 핑둥에 최초의 현이 랑교에 설치되었다. 선보정은 기후가 온난하여 사계절이 봄과 같다고 하여 지명을 헝춘(恒春)으로 바꾸었다.[1]
3. 역사
초기 기록에는 네덜란드인들이 헝춘진 지역을 론키우(Lonkjouw), 량키아우(Liangkiau), 롱키아우(Long-kiau),[4] '''롱키아우'''(Longkiau), 론크주(Loncjou), 론크자우(Lonckjau), 론키아우(Lonckiau), 론키아우(Lonkiauw), 론크주우(Lonckjouw), 론크퀴우우(Lonckquiouw) 등으로 불렀다고 나타난다.[2] 이 이름은 18세기에 한족의 식민 지배가 시작되기 전 이 지역에 살았던 파이완족의 파이완어에서 유래되었다. 롱키아우 마을은 네덜란드령 포르모사가 타이완 섬에서 점령했던 최남단의 마을이었다. 이 지역은 주로 파이완족과 다른 타이완 원주민들이 거주하고 있었다.
로버 사건 이후, 난파된 미국 선원들이 현지인들에게 학살당한 사건이 발생하자, 샤를르 르 장드르 아모이 주재 미국 영사가 이 지역을 방문했다. 그는 롱키아우가 롱키아우 만을 형성하는 곡선의 가장 먼 지점에 위치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당시 인구 약 1,500명은 주로 땅콩, 쌀, 고구마, 약간의 사탕수수를 재배하고 어업에 종사했다.
3. 1. 청나라 시대
1871년 모란사 사건으로 류큐 선원들이 현지인들에게 학살당하자, 일본 제국은 1874년 대만 출병을 감행했다.[3] 청 제국은 대만 원주민들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거부했고, 이는 외세의 간섭 및 식민지화 위험을 야기했다. 양강 총독 선바오전은 1875년 대만 행정 개혁을 준비하기 위해 대만을 순방하면서 헝춘 지역의 작물이 일 년 내내 "푸르고 번성하는" 쾌적한 기후에 주목했다.[3] 그는 섬 남부에 요새화된 등대를 포함한 건설을 시작하고, 외국 선원들을 수용 및 보호하기 위해 헝춘에 새로운 도시를 건설할 것을 상주했다.[3] 그는 더 좋은 의미를 가진 "헝춘(恒春, 늘 봄)"이라는 이름을 부여했고, 이 요청은 받아들여졌다.[3]
펑산 현의 팡랴오 강 남쪽 지역은 새로운 헝춘 현이 되었고,[3] 옛 롱키아우 남쪽에 위치한 취락을 새로운 현청 소재지로 요새화했다.[4] 대만부는 푸젠 성의 일부로 섬 전체를 포함했으나, 1887년 섬이 자체 성이 되면서 헝춘 현은 타이난부의 일부가 되었다.
3. 2. 일본 통치 시대
일본 통치 시대에 이 마을은 고슌(Kōshun)으로 알려졌다. 1920년 다카오 주 고슌 구의 소재지가 되었다.[5] 1913년부터 1915년까지, 그리고 1920년부터 1943년까지 이 지역에서 상업적 포경이 이루어졌다.[5]
3. 3. 현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중화민국이 타이완을 접수하면서 헝춘진은 중화민국의 통치 하에 들어갔다. 1955년 헝춘의 포경 산업이 다시 시작되었으나, 1981년에 공식적으로 금지되었다.[5]
2006년 12월 26일, 중앙기상국 핑둥 헝춘 지진 관측소는 서쪽으로 22.89km 떨어진 루손 해협(바시 해협) 해역에서 규모 7.0의 지진을 관측했다. 같은 날 헝춘 남서쪽 약 22.8km 해역에서 규모 7.0~7.2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으로 헝춘의 많은 주택과 역사적 중심지에 있는 15채의 역사적 건물이 파괴되었고,[6] 2명이 사망하고 많은 사람들이 부상을 입었다. 이는 헝춘을 강타한 지난 100년 동안 가장 강력한 지진이었다.[7] 지진으로 인해 타이완에서 사상자와 건물 손괴가 발생했고, 여러 가닥의 해저 케이블이 끊어져 동아시아 지역의 인터넷과 국제 전화 서비스가 중단되어 경제적 손실을 입었다.
4. 행정 구역
헝춘진은 17개의 리(里)로 구성되어 있다.
리(里) |
---|
정베이리, 정난리, 정시리, 다광리, 더허리, 어롄리, 자후리, 컨딩리, 롱수이리, 난완리, 런서우리, 산하이리, 산자오리, 쉐이취안리, 스거우리, 터우거우리, 왕샤리 |
5. 경제
헝춘진은 강렬한 햇빛이 '낙산풍'을 뜨겁게 달구고 건조시켜 양파 재배에 적합하며, 양파가 풍부하게 생산된다.[1] 1901년 사이잘 삼(瓊麻)을 도입하여 밧줄, 마대 등의 생활용품을 생산하면서 일본 통치 시대 경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며, 한때 '동양의 빛'이라는 명성을 얻기도 했다.[1] 현재는 사이잘 삼 산업이 쇠퇴했지만, 사이잘 삼은 여전히 헝춘의 상징이 되고 있다.[1]
5. 1. 관광업


'''헝춘고성(恒春古城)'''은 중앙산맥과 헝춘 서부 대지에 둘러싸인 헝춘 종곡에 건설된 성곽도시이다. 청나라에서 대만을 통치하기 위해 파견된 흠차대신 선보정(沈葆楨)에 의해 광서 원년(1875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광서 5년(1879년)에 완성되었다.[18]
헝춘고성은 컨딩 국가공원을 비롯한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더불어 중요한 관광 자원이다. 헝춘고성은 대만에서 유일하게 군사적 목적으로 만들어진 방어 도시이며, 대만에서 가장 당시의 상태가 보존된 유적 도시이기도 하다.
- '''남문(명도문)''':컨딩을 경유하여 어롄비로 향하는 주요 도로가 지나가며, 문은 도로의 로터리(원형 교차로) 중앙에 세워져 있다.
- '''서문''':고성의 북북서쪽에 있지만, 명칭은 "서문"이다. 많은 주민들이 고성의 서쪽에 거주하고 있으며, 이 문 근처에는 '''노가'''와 많은 사찰이 있다. 문 남쪽의 헝둥산에는 '''헝춘진 석패공원'''이 있으며, 일본 통치 시대의 충혼비와 병기정비기념비 등이 남아 있다.[20]
- '''북문''':호두산에 정대하는 위치에 만들어진 문. 문의 성 안쪽에 M41 경전차가 야외 전시되어 있다.
- '''동문''':만주향(滿州郷)・비남향(卑南郷)으로 이어지는 길이 통과하는 문.
5. 2. 농업
온난한 기후와 강한 바람을 이용하여 양파를 재배한다. 강렬한 햇빛이 '낙산풍'을 뜨겁게 달구고 건조시켜 양파 재배에 적합하며 풍부하게 생산된다.[1] 1901년 사이잘 삼(瓊麻)을 도입하여 밧줄, 마대 등의 생활용품을 생산하면서 일본 통치 시대의 경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며, 한때 '동양의 빛'이라는 명성을 얻었다.[1] 현재는 쇠퇴했지만, 사이잘 삼은 헝춘의 상징이 되었다.[1]6. 교통
이 지역은 타이베이 쑹산 공항에서 출발하는 국내선 항공편이 운행되던 헝춘 공항의 서비스를 받았다. 정기 항공편은 2014년에 중단되었다.[1]
종류 | 노선 명칭 | 기타 |
---|---|---|
철도 | 헝춘선 | 계획 노선 |
버스 | 가오슝-헝춘선 | 컨딩 쾌속선・9189선(신쭤잉역과 어뤈비 사이를 잇는 급행 버스) 88 쾌속선・9188선(가오슝역과 어뤈비 사이를 잇는 각 정류장 정차 버스) |
7. 교육
헝춘진에는 다양한 교육 기관이 있다.
학교 종류 | 학교명 |
---|---|
직업고등학교 | 국립 헝춘 고급 공업 상업 직업 학교 |
중학교 | 핑둥 현 헝춘 국민 중학교 |
초등학교 | 핑둥 현 헝춘 진 헝춘 국민 소학교 |
핑둥 현 헝춘 진 헝춘 국민 소학교 난완 분교 | |
핑둥 현 헝춘 진 챠오융 국민 소학교 | |
핑둥 현 헝춘 진 다광 국민 소학교 | |
핑둥 현 헝춘 진 산하이 국민 소학교 | |
핑둥 현 헝춘 진 쉐이취안 국민 소학교 | |
핑둥 현 헝춘 진 룽취안 국민 소학교 | |
핑둥 현 헝춘 진 다핑 국민 소학교 | |
핑둥 현 립 켄팅 국민 소학교 |
8. 관광
헝춘은 컨딩 국가공원 내에 위치하여, 컨딩의 열대 해변 리조트와 야시장으로 가는 관문 역할을 하기 때문에 대만에서 가장 유명한 관광 도시 중 하나이다.
헝춘 옛 시가지(恆春古城)는 4개의 문과 성벽의 약 절반이 남아 있는, 대만에서 가장 잘 보존된 역사적인 도시 중 하나이다. 1875년 청나라 시대에 건설되어 1879년에 완공되었다. 북문, 동문, 남문, 서문이 있으며 해자 외곽 둘레는 약 2682.24m이다. 1988년 실제 길이를 측정한 결과 총 길이는 2550m였다.
헝춘의 관광 성수기는 보통 4월부터 10월 말까지이며, 이 시기에는 낮 기온이 매우 높다. 비수기는 다음 해 11월부터 3월까지이나, 중국 설날 연휴 기간(보통 1월 말 또는 2월)은 예외이다. 이 기간에는 대만 북부 지역을 포함한 전국 각지에서 많은 관광객들이 반도의 따뜻한 날씨를 즐기기 위해 헝춘과 컨딩으로 여행을 온다.
타이뎬 남부 원자력 전시관과 융기된 산호초 곶인 마오비터우가 난완 근처에 있다. 컨딩 근처 해안선에는 어롄비로 향하는 국도 26호선을 따라 칭와스와 판판스 등의 기암괴석이 있다.
8. 1. 헝춘고성
'''헝춘고성(恒春古城)'''은 중앙산맥과 헝춘 서부 대지에 둘러싸인 헝춘 종곡에 건설된 성곽도시이다. 청나라에서 대만을 통치하기 위해 파견된 흠차대신 선보정(沈葆楨)에 의해 광서 원년(1875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광서 5년(1879년)에 완성되었다.[18]성벽의 길이는 880장(약 2.6km), 너비는 2장(약 6m), 성 바깥쪽 높이는 1장 4척 5촌(약 4.4m)이며, 동서남북에 4개의 성문(동문, 서문, 명도문(남문), 북문)이 설치되었다.[18] 이는 대만에서 유일하게 군사적 목적으로 만들어진 방어 도시이며, 대만에서 가장 당시의 상태가 보존된 유적 도시이기도 하다.
일본 통치 시대에는 주택 건축 자재를 얻기 위해, 대만 광복 후에는 도로와 학교 건설을 위해 성벽의 일부가 파괴되기도 했다. 1935년 대만총독부는 사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법에 따라 헝춘성을 사적으로 지정하고 보호했으며, 광복 후 1985년 대만 정부에 의해 2급 국정 고적으로 지정되었다.
- '''남문(명도문)''':컨딩을 경유하여 어롄비로 향하는 주요 도로가 지나가며, 문은 도로의 로터리(원형 교차로) 중앙에 있다. 성루가 복원되어 있다.[20]
- '''서문''':고성의 북북서쪽에 있지만, "서문"으로 불린다. 많은 주민들이 고성 서쪽에 거주하며, 이 문 근처에는 '''노가'''와 많은 사찰이 있다. 청나라 말기 고성 건설 당시에는 남문과 함께 물자 반출입 게이트로 기능했다. 문 남쪽의 헝둥산에는 '''헝춘진 석패공원'''이 있으며, 일본 통치 시대의 충혼비와 병기정비기념비 등이 남아 있다.[20]
- '''북문''':호두산에 정대하는 위치에 만들어진 문이다.
- '''동문''':만주향(滿州郷)・비남향(卑南郷)으로 이어지는 길이 통과하는 문이다.
8. 2. 컨딩 국가공원
헝춘은 컨딩 국가공원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컨딩의 열대 해변 리조트와 야시장으로 통하는 관문이기 때문에, 대만에서 가장 잘 알려진 관광 도시 중 하나이다. 헝춘의 관광 성수기는 보통 4월부터 10월 말까지이며, 이 시기에는 낮 기온이 매우 높다. 비수기는 다음 해 11월부터 3월까지이며, 중국 설날 연휴 기간 (보통 1월 말 또는 2월)은 예외이다. 이 기간에는 대만 북부 지역을 포함한 전국 각지에서 많은 관광객들이 반도의 따뜻한 날씨를 즐기기 위해 헝춘과 컨딩으로 여행을 온다.

8. 3. 출화 특별 경관구

헝춘 고성 동문에서 동쪽으로 약 800m 떨어진 곳의 지하에서는 천연가스가 자갈밭으로 분출되어 불이 붙어 붉은 불꽃이 이는 현상이 나타나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 천연가스는 끊임없이 이동하기 때문에 출화구도 이동한다. 불꽃은 그리 크지 않지만, 예전에 관광객이 화상을 입는 사고도 발생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8. 4. 기타
타이뎬 남부 원자력 전시관과 융기된 산호초 곶인 마오비터우가 난완 근처에 있다. 컨딩 근처 해안선에는 어롄비로 향하는 국도 26호선을 따라 칭와스와 판판스 등의 기암괴석이 있다.9. 문화
헝춘진은 독특한 지역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핑둥 그림 같은 논 생활 축제[14], 민속 음악 축제[15] 등이 열린다.
9. 1. 헝춘 삼보와 삼괴
헝춘에는 삼보(三寶)와 삼괴(三怪)가 있다. 헝춘 삼보는 경마, 항커우차港口茶|강구차중국어, 양파이고,[14] 헝춘 삼괴는 뤄산펑落山風|낙산풍중국어, 빈랑檳榔|빈랑중국어, 스샹치思想起|사상기중국어이다.[15]10. 자매 도시
참조
[1]
서적
How Taiwan Became Chinese: Dutch, Spanish, and Han Colonization in the Seventeenth Century
http://www.gutenberg[...]
Columbia University Press
[2]
서적
Formosa under the Dutch: described from contemporary records, with explanatory notes and a bibliography of the island
Kegan Paul
[3]
간행물
[4]
간행물
[5]
뉴스
Taiwan in Time: From whaling to whale watching
https://www.taipeiti[...]
Taipei Times
2023-02-26
[6]
뉴스
恆春古城 城倒15座
http://tw.news.yahoo[...]
UDN
2006-12-27
[7]
뉴스
2 KILLED IN STRONGEST EARTHQUAKE IN HENGCHUN IN 100 YEARS
http://www.cna.com.t[...]
Central News Agency
2006-12-27
[8]
웹사이트
Sea alert for In-Fa could be issued today, CWB says
https://www.taipeiti[...]
Taipei Times
2021-07-21
[9]
웹사이트
Monthly Mean
https://www.cwb.gov.[...]
Central Weather Bureau
2022-11-29
[10]
웹사이트
氣象站各月份最高氣溫統計
https://www.cwb.gov.[...]
Central Weather Bureau
2022-11-29
[11]
웹사이트
氣象站各月份最高氣溫統計(續)
https://www.cwb.gov.[...]
Central Weather Bureau
2022-11-29
[12]
웹사이트
氣象站各月份最低氣溫統計
https://www.cwb.gov.[...]
Central Weather Bureau
2022-11-29
[13]
웹사이트
氣象站各月份最低氣溫統計(續)
https://www.cwb.gov.[...]
Central Weather Bureau
2022-11-29
[14]
웹사이트
RICE ART – Taipei Times
http://www.taipeitim[...]
2018-04-16
[15]
웹사이트
HEAR HERE
https://zh-tw.facebo[...]
[16]
웹사이트
屏東縣恆春鎮與日本北海道稚內市簽署交流協定 促台日友好
https://www.pthg.gov[...]
屏東縣政府傳播暨國際事務處
2023-11-28
[17]
문서
認識恒春
http://www.hengchuen[...]
屏東縣恆春鎮公所
[18]
문서
恆春古城 公告資料
https://nchdb.boch.g[...]
文化部文化資產局
[19]
문서
清代至日治時期恆春城內空間變遷研究
https://www.ntl.edu.[...]
臺北藝術大學 楊怡瑩
[20]
문서
觀光景點導覽 第六版
http://www.hengchuen[...]
屏東縣恆春鎮公所
[21]
웹사이트
屏東縣恆春鎮與日本北海道稚內市簽署交流協定 促台日友好
https://www.pthg.gov[...]
屏東縣政府傳播暨國際事務處
2023-11-28
[22]
웹인용
Monthly Mean
https://www.cwb.gov.[...]
중앙기상국
2022-11-29
[23]
웹인용
氣象站各月份最高氣溫統計
https://www.cwb.gov.[...]
중앙기상국
2022-11-29
[24]
웹인용
氣象站各月份最高氣溫統計(續)
https://www.cwb.gov.[...]
중앙기상국
2022-11-29
[25]
웹인용
氣象站各月份最低氣溫統計
https://www.cwb.gov.[...]
중앙기상국
2022-11-29
[26]
웹인용
氣象站各月份最低氣溫統計(續)
https://www.cwb.gov.[...]
중앙기상국
2022-1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