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풍은 가족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다음 세대로 전승하는 관습, 신념, 태도를 의미한다. 사회학자 어니스트 W. 버제스는 가풍을 생물학적 유산과 함께 물려받는 심리적 유산으로 정의했다. 가족 전통은 세대 간의 영적 의미를 부여하고, 가족의 기억과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며, 명절 음식 준비와 같은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가족 전통은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그 중요성이 강조되며, 특히 현대 사회에서 정체성, 친밀감, 안정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동아시아, 특히 일본에서는 가문의 계승을 위해 가풍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베트남에서도 기제사 등 특정 관습을 통해 가풍을 유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족과 문화 - 이혼
    이혼은 법적으로 유효한 혼인 관계를 당사자가 생존 중에 해소하는 것으로, 시대와 문화에 따라 방식과 사유가 다양하며 현대에는 협의이혼과 재판상 이혼 등의 방식이 존재하고 이혼 시 재산분할, 위자료, 자녀 양육권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 가족과 문화 - 가족의식
    가족의식은 가족 내 도덕적, 윤리적 원칙으로 전통적으로 가족 기능과 사회 구조 강화에 기여했으나, 사회 변화에 따라 재해석되고 정치적으로 가족주의 이데올로기의 기반이 되며, 서구 사회의 비전통적 가족 형태 증가, 아랍 문화권의 이슬람 교리 영향, 한국 사회의 유교적, 현대적 가치관 공존 등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가풍

2. 가족 전통에 대한 현대적 연구

가족 전통과 성격에 대한 연구는 사회 과학자들의 관심을 끌어왔다. 시카고 대학교 사회학 교수였던 어니스트 W. 버제스는 이 용어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A child inherits from his parents and other ancestors not only his biological heritage, but also a heritage of attitudes, sentiments, and ideals, which may be called family traditions, or the culture of the family.영어

:자녀는 부모와 다른 조상으로부터 생물학적 유산뿐만 아니라, 태도, 감정, 그리고 이상과 같은 유산도 물려받는데, 이를 가족 전통 또는 가족 문화라고 할 수 있다.한국어

가족 전통은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해지는 관행과 믿음과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전달 과정에서 오라의 영성을 얻기도 한다. 가족 전통이 전달되며 영적인 의미를 얻는 것은 대부분 직관적인 현상이며, 가족 전통의 흐름은 의도 없이 계속해서 다음 세대로 이어진다. 대부분의 가족에게 가족 전통은 주로 가족 구성원에게 국한되지만, 때로는 외부인이 특정 가족의 가족 전통과 관련될 수도 있다.

2. 1. 가족 전통의 기능

할바흐스는 그의 저서 《집단 기억》에서 "가족의 기억은 구성원들에게만 드러난다. 그러나 이러한 기억들은 고대 가족의 종교적 전통에서와 같이, 과거의 일련의 개별적인 이미지들로만 구성되지 않는다. 그것들은 동시에 모델이자, 예시이며, 가르침의 요소들이다. 그것들은 집단의 일반적인 태도를 표현한다; 그것들은 집단의 역사를 재현할 뿐만 아니라, 집단의 본질과 강점, 약점을 정의한다."라고 하였다.[1]

특정 명절에 특별한 음식을 준비하는 것과 같은 가족 전통을 유지하는 것은 정서 노동의 한 형태이며, 친족 유지라고 불린다.[2]

3. 가족 전통의 역사

가족 전통은 사회의 단위로서 가족이라는 개념과 시스템이 구체화된 선사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모든 시대와 모든 문명에서 가족은 그들의 전통에 자부심을 가져왔다. 핵가족 시스템이 주류가 되기 전에는 두 세대, 심지어 세 세대가 함께 사는 공동 가족 시스템이 있었다.

3. 1. 가족 전통 관리자

과거에도 그랬고 지금도 몇몇 가족은 특정 인물을 ''가족 전통의 관리자''로 지정하고 그 관리자에게 특정 이름을 부여하는 것을 좋아한다. 따라서 현대 영국에 거주하는 특정 가족은 가족 전통 준수를 보장하는 책임을 맡은, 식별된 가족 구성원에게 "''불꽃의 관리자''"와 같은 매력적인 이름을 부여할 수 있다. 지구 반대편의 인도와 같은 국가에서는 사회가 힌두 분할되지 않은 가족(HUF), 즉 공동 가족 형태의 수장에게 일반적인 명칭을 부여했다. 이러한 가족의 수장은 "''카르타''"(कर्ता|카르타hi, 문자적 의미: '행하는 자')라고 불리며, 실질적으로 "카르타"는 무엇보다도 가족 전통 준수를 보장하는 책임을 부여받았다. 심지어 현대 인도의 법률 시스템은 힌두 공동 가족의 수장으로서 "''카르타''"의 개념을 인정하고 있다.

4. 가족 전통의 예시

젓가락과 함께 있는 밥 한 상자
많은 가족들은 명절에 특정 음식을 먹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일부 유대인 가족들은 크리스마스에 중국 음식을 먹는다.


현대 시대의 고전적인 가족 전통의 예시 중 하나는 현재 영국 왕족의 가족 전통이다. 영국 왕실은 남성 구성원에게 군 복무를 의무화하는 전통이 있다.[3]

많은 가족들은 특정 음식이나 활동과 같은 명절을 기념하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

4. 1. 영국 왕실의 전통

영국 왕실의 가족 전통 중 하나는 남성 구성원에게 군 복무를 의무화하는 것이다. BBC는 2003년 6월 12일에 "해리 왕자의 육군 입대 결정은 그가 군대에서 복무하는 오랜 가족 전통을 따르게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3]

앤드루 왕자는 1979년에 해군에 입대했고, 에드워드 왕자는 1983년에 영국 해병대에 소위로 입대했다. 웨일스 공은 1969년에 윌스 왕립 연대의 명예 대령으로 임명되었고, 에든버러 공작은 1939년에 해군에 입대하여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4. 2. 명절 전통

많은 가족들은 명절에 특정 음식이나 활동을 하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일부 유대인 가족들은 크리스마스에 중국 음식을 먹는 전통이 있다.

5. 현대 사회와 가족 전통

의미 있는 가족 전통은 부모와 어른들이 아이들을 양육하고 사회적 가치와 윤리를 심어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가족 전통은 가족 유대감의 따뜻함과 친밀함을 보장한다. 현대 사회에서도 가족 전통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것은 초기 시대만큼이나 중요하다. 적극적인 가족 전통과 의미 있는 참여는 가족이 사회적 엔트로피를 피하는 데 도움이 된다. 물리학에서 엔트로피라는 용어는 일정 기간 동안 물리 시스템이 에너지를 잃고 응집력을 잃는 경향을 의미한다. "엔트로피 가족"은 구성원들이 가족의 내면과 공동체적 유대감을 소홀히 하여 감정적 친밀감을 잃는 가족을 의미한다.[1]

5. 1. 의도적인 가족

사회 과학자들은 효과적인 가족 전통이 오늘날의 빠르고, 바쁘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상에서 정체성, 친밀감, 안정감, 확신을 심어준다는 데 동의한다. 사회 과학자인 윌리엄 도허티(William Doherty)는 그의 저서 ''의도적인 가족''에서 바쁜 생활양식으로 인해 가족 유대감이 약해짐에 따라, 가족은 중요한 의식과 전통을 유지하는 데 의도적으로 임해야만 연결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5. 2. 사회적 엔트로피 방지

의미 있는 가족 전통은 항상 부모와 어른들이 아이들을 양육하고 사회적 가치와 윤리를 심어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가족 전통은 가족 유대감의 따뜻함과 친밀함을 보장한다. 현대 사회에서도 가족 전통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것은 초기 시대만큼이나 중요하다. 적극적인 가족 전통과 의미 있는 참여는 가족이 사회적 엔트로피를 피하는 데 도움이 된다. 물리학에서 엔트로피라는 용어는 가스가 소멸되는 것처럼 일정 기간 동안 물리 시스템이 에너지를 잃고 응집력을 잃는 경향을 의미한다. "엔트로피 가족"은 구성원들이 가족의 내면과 공동체적 유대감을 소홀히 하여 감정적 친밀감을 잃는 가족을 의미한다.

사회 과학자들은 효과적인 가족 전통이 오늘날의 빠르고, 바쁘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상에서 정체성, 친밀감, 안정감, 확신을 심어준다는 데 동의한다. 사회 과학자인 윌리엄 도허티(William Doherty)는 그의 저서 "''의도적인 가족''"에서 바쁜 생활양식으로 인해 가족 유대감이 약해짐에 따라, 가족은 중요한 의식과 전통을 유지하는 데 의도적으로 임해야만 연결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6. 동아시아의 가족 전통

한국에서는 '가풍'이라는 용어가 일본처럼 명확하게 정의되거나 널리 사용되지는 않았지만, 각 가문마다 고유의 전통과 가치관이 존재했다. 이러한 전통은 가족 구성원들의 행동과 의사 결정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조상 숭배, , 형제간의 우애 등을 강조하는 유교적 가치관이 한국 가족 전통의 근간을 이루었다.

하지만, 급격한 사회 변화와 핵가족화, 개인주의 확산 등으로 인해 전통적인 가족 가치는 약화되고 있다.

6. 1. 일본의 가풍

일본에서는 고대 씨족 제도 이래, 일족의 가계, 가격, 가제, 가업, 가산, 가문, 가직의 유지 및 계승이 상류 계층, 특히 본가·적류라고 불리는 집안에서 가장 중요시되었고, 이를 위한 일정한 관습·방식으로서 정비된 것이 가풍이었다. 집안 계승이 중요했던 일본에서는 가업이나 가산 등의 물질적 계승과 함께 가풍으로 대표되는 정신적 계승도 중요하게 여겨졌다. 이를 위해 공가무가에서는 일찍부터 가훈, 가헌, 가법 등으로 불리는 가풍의 성문법화(「가풍서」)가 진행되었고, 당주 이하 구성원이 지켜야 할 원칙으로 여겨졌다.[1]

에도 시대 막번 체제 하에서는 어느 다이묘 가문에도 확실한 가풍과 가훈이 존재했다고 하며, 더 나아가 일부 상인이나 농민 사이에서도 가풍 확립과 가훈·가헌 제정이 이루어졌다. 각 다이묘 가문에서는 당주나 가로 이하 가신을 불문하고 가풍을 존중·유지하는 것이 어가에 대한 충성의 증표로 여겨졌다. 한편, 다른 가문에서 온 양자가 다이묘 가문을 계승한 경우에는 친가의 가풍에 익숙한 새 당주가 양자 간 가풍에 익숙하지 않아 가신들과 반목하여 오이에 소동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었다. 아키즈키 가문에서 양자로 들어간 우에스기 하루노리는 친가인 아키즈키 가문의 가로로부터 우에스기 가문의 작법에 어긋나지 않도록 훈계를 받았고, 타야스 가문에서 히사마츠 마츠다이라 가문으로 양자로 들어간 마츠다이라 사다노부는 친가인 타야스 가문의 가로로부터 타야스 가문의 가풍을 자랑하여 마츠다이라 가문 사람들의 반감을 사지 않도록 훈계를 받았다.[1]

메이지 시대 이후, 재벌 확립과 함께 본가를 중심으로 한 일족 및 간부들에 의한 경영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가헌·가훈이 제정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에도 시대 이래의 상가, 메이지 이후의 신흥을 불문하고 이루어졌으며, 사장 권한이 강한 미쓰비시 재벌에서는 「외복(畏服)」, 본가와 반토(간부) 관계가 강한 미쓰이 재벌에서는 「호종(扈従)」, 반토(간부)가 중용되는 스미토모 재벌에서는 「경애(敬愛)」가 가풍이라고 불렸다. 또한, 가족 제도와 함께 「가풍」이라는 개념은 일반 가정에도 침투하여, 남편이나 그 부모에게 반항하는 「가풍에 맞지 않는」 며느리의 방출은 이혼의 정당한 이유가 되었다. 마찬가지로 양부모에게 반항하는 양자의 방출도 이혼의 정당한 이유가 되었다.[1]

일본에서는 전후 가족 제도의 해체와 핵가족화 진행과 함께 가풍의 변질·소멸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1]

6. 2. 베트남의 가풍

베트남에서 "가풍"은 gia phong|지아 퐁vi이라고 한다.[4]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기제사는 조상의 기일에 제사를 계승하는 장남 계열의 집안에서 그 세대의 지출로 치러지지만, 가풍에 따라 차남 이하가 기제사를 맡는 것을 금지하는 경우가 있다.[4]

6. 3. 한국의 가족 전통

한국에서는 '가풍'이라는 용어가 일본처럼 명확하게 정의되거나 널리 사용되지는 않았지만, 각 가문마다 고유의 전통과 가치관이 존재했다. 이러한 전통은 가족 구성원들의 행동과 의사 결정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조상 숭배, , 형제간의 우애 등을 강조하는 유교적 가치관이 한국 가족 전통의 근간을 이루었다.

하지만, 급격한 사회 변화와 핵가족화, 개인주의 확산 등으로 인해 전통적인 가족 가치는 약화되고 있다.

6. 3. 1. 전통적 가족 가치

일본에서는 고대 씨족 제도 이래로, 일족의 가계, 가격, 가제, 가업, 가산, 가문, 가직의 유지 및 계승이 상류층, 특히 본가나 적류 집안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졌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정비된 일정한 관습이나 방식을 가풍이라고 불렀다. 집안의 계승을 중요시했던 일본에서는 가업이나 가산 등의 물질적인 계승뿐만 아니라, 가풍으로 대표되는 정신적인 계승도 중요하게 여겼다. 이를 위해 공가무가에서는 일찍부터 가훈, 가헌, 가법 등으로 불리는 가풍을 성문화(「가풍서」)하는 것이 진행되었고, 당주 이하 구성원들이 지켜야 할 원칙으로 여겨졌다.[1]

에도 시대 막번 체제 하에서는 각 다이묘 가문마다 확실한 가풍과 가훈이 존재했으며, 일부 상인이나 농민들 사이에서도 가풍의 확립과 가훈·가헌 제정이 이루어졌다. 각 다이묘 가문에서는 당주나 가로 이하 가신을 불문하고 가풍을 존중하고 유지하는 것이 주군에 대한 충성의 증표로 여겨졌다. 한편, 다른 가문에서 온 양자가 다이묘 가문을 계승하는 경우에는 친가의 가풍에 익숙한 새 당주가 양자로 간 가문의 가풍에 익숙하지 않아 가신들과 반목하여 오이에 소동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었다. 아키즈키 가문에서 양자로 들어간 우에스기 하루노리는 친가인 아키즈키 가문의 가로로부터 우에스기 가문의 작법에 어긋나지 않도록 훈계를 받았고, 타야스 가문에서 히사마츠 마츠다이라 가문으로 양자로 들어간 마츠다이라 사다노부는 친가인 타야스 가문의 가로로부터 타야스 가문의 가풍을 자랑하여 마츠다이라 가문 사람들의 반감을 사지 않도록 훈계를 받았다.[1]

메이지 시대 이후, 재벌이 확립되면서 본가를 중심으로 한 일족 및 간부들에 의한 경영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가헌·가훈이 제정되었다. 이는 에도 시대 이래의 상가, 메이지 이후의 신흥 재벌을 불문하고 이루어졌으며, 사장의 권한이 강한 미쓰비시 재벌에서는 「외복(畏服)」, 본가와 반토(간부)의 관계가 강한 미쓰이 재벌에서는 「호종(扈従)」, 반토(간부)가 중용되는 스미토모 재벌에서는 「경애(敬愛)」가 가풍이라고 불렸다. 가족 제도와 함께 「가풍」이라는 개념은 일반 가정에도 침투하여, 남편이나 그 부모에게 반항하는 「가풍에 맞지 않는」 며느리의 방출은 이혼의 정당한 이유가 되었다. 마찬가지로 양부모에게 반항하는 양자의 방출도 이혼의 정당한 이유가 되었다.[1]

일본에서는 전후 가족 제도의 해체와 핵가족화가 진행되면서 가풍의 변질·소멸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1]

6. 3. 2. 현대 사회의 변화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 이후, 재벌이 확립되면서 본가를 중심으로 한 일족 및 간부들에 의한 경영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가헌·가훈이 제정되었다. 이는 에도 시대 이래의 상가, 메이지 이후의 신흥 재벌을 불문하고 이루어졌으며, 사장의 권한이 강한 미쓰비시 재벌에서는 「외복(畏服)」, 본가와 반토(간부)의 관계가 강한 미쓰이 재벌에서는 「호종(扈従)」, 반토(간부)가 중용되는 스미토모 재벌에서는 「경애(敬愛)」가 가풍이라고 불렸다.[1] 가족 제도와 함께 「가풍」이라는 개념은 일반 가정에도 침투하여, 남편이나 그 부모에게 반항하는 「가풍에 맞지 않는」 며느리의 방출은 이혼의 정당한 이유가 되었다.[1] 마찬가지로 양부모에게 반항하는 양자의 방출도 이혼의 정당한 이유가 되었다.[1]

일본에서는 전후, 가족 제도의 해체와 핵가족화가 진행되면서 가풍의 변질·소멸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1]

6. 3. 3. 현대 한국 사회와 가족 전통의 과제

家風일본어은 일본에서 고대 씨족 제도 이래, 특히 본가·적류라고 불리는 상류 계층 집안에서 가계, 가격, 가제, 가업, 가산, 가문, 가직의 유지 및 계승이 가장 중요하게 여겨졌던 관습이나 방식을 의미한다. 공가무가에서는 가훈, 가헌, 가법 등으로 불리는 家風書일본어가 성문화되어, 당주 이하 구성원이 지켜야 할 원칙으로 여겨졌다.

에도 시대 막번 체제 하에서는 다이묘 가문뿐만 아니라 일부 상인이나 농민 사이에서도 가풍의 확립과 가훈, 가헌의 제정이 이루어졌다. 다이묘 가문에서는 당주나 가신을 불문하고 가풍을 존중하고 유지하는 것이 가문에 대한 충성의 증표로 여겨졌다. 타 가문에서 온 양자가 다이묘 가문을 계승한 경우에는 친가의 가풍에 익숙한 신 당주가 양자 간 가문의 가풍에 익숙하지 않아 가신들과 반목하여 오이에 소동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었다.

메이지 시대 이후, 재벌 확립과 함께 본가를 중심으로 한 일족 및 간부들에 의한 경영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가헌, 가훈이 제정되었다. 이는 에도 시대 이래의 상가, 메이지 이후의 신흥 재벌 모두에서 이루어졌으며, 사장의 권한이 강한 미쓰비시 재벌에서는 「외복(畏服)」, 본가와 간부의 관계가 강한 미쓰이 재벌에서는 「호종(扈従)」, 간부가 중용되는 스미토모 재벌에서는 「경애(敬愛)」가 가풍이라고 불렸다. 또한, 가족 제도와 함께 「가풍」의 개념은 일반 가정에도 침투하여, 남편이나 그 부모에게 반항하는 「가풍에 맞지 않는」 며느리나 양부모에게 반항하는 양자를 내보내는 것은 이혼의 정당한 이유가 되었다.

일본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가족 제도의 해체와 핵가족화가 진행되면서 가풍의 변질 및 소멸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ultural Memories http://www.losingtom[...]
[2] 뉴스 The Constant Work to Keep a Family Connected Has a Nam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4-05-18
[3] 뉴스 Harry follows family tradition http://news.bbc.co.u[...] 2003-06-12
[4] 간행물 ベトナムにおける忌日祭祀の歴史的変化 http://id.nii.ac.jp/[...] アジア文化研究所 2022-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