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개썰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썰매는 개가 끄는 썰매를 이용하는 이동 수단 및 스포츠로, 북아시아와 북극 지역에서 사냥과 이동에 필수적인 수단이었다. 1908년 알래스카에서 최초로 기록된 개썰매 경주가 열렸으며, 1920~30년대에 전성기를 맞이했다. 개썰매 경주는 스프린트, 중거리, 장거리 경주로 나뉘며, 아이디타로드와 유콘 퀘스트가 대표적인 대회이다. 국제 개썰매 경주 협회(ISDRA) 등 국제 기구의 승인을 받아 진행되며, 드라이랜드 개썰매 경주와 같은 변형된 형태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썰매 대회 - 유콘 퀘스트
    유콘 퀘스트는 알래스카 페어뱅크스와 캐나다 유콘 준주 화이트호스 사이를 왕복하는 약 1,600km의 개썰매 경주로, 클론다이크 골드 러시 시대의 우편 및 운송 경로를 기리기 위해 1983년에 시작되었으며 선수들의 자립심과 생존 능력을 중시하는 지구력 경주이자 극한의 추위와 험준한 지형으로 "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개 썰매 경주"로 불리며 매년 2월에 개최된다.
  • 도그스포츠 - 경주로
    경주로는 동물 또는 인간의 스포츠 경기를 위해 설계된 시설이며, 말, 전차, 자동차, 육상 등 다양한 경기를 위해 사용되고 관중의 안전을 고려하여 트랙, 관람석, 피트 레인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 도그스포츠 - 여우 사냥
    여우 사냥은 사냥개를 이용해 여우를 추적하는 스포츠로 고대부터 시작되어 전 세계로 확산되었으나, 동물 보호 인식 변화로 규제 및 금지 조치가 시행되고 있으며 윤리성, 효율성, 사회적 영향 등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고, 금지 지역에서는 대체 사냥 방식이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중 문화에서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개썰매
개썰매 경주
2012년 독일 튀링겐주 [[프라우엔발트]]에서 경주하는 11마리 [[시베리안 허스키]] 팀
2012년 독일 프라우엔발트, 튀링겐주에서 경주하는 11마리 시베리안 허스키
국제 연맹국제 개썰매 스포츠 연맹 (IFSS)
스포츠 종류개 스포츠
역사
기원북극 지역의 교통 수단에서 유래
특징
주요 품종시베리안 허스키
알래스카 맬러뮤트
알래스카 허스키
경기 방식눈 위를 썰매를 끌고 달리는 경기
다양한 거리와 코스 존재
장비썰매
하네스
개줄
경기 종류
단거리 경주스프린트
장거리 경주중거리
장거리
기타스키저링 (스키를 타고 개와 함께 달리기)
썰매견 경주 (썰매 없이 개만 달리기)
주요 대회
아이디타로드아이디타로드
유콘 퀘스트유콘 퀘스트
핀란드 썰매견 경주핀란드 썰매견 경주 (Finnish Sled Dog Race)
관련 용어
머셔 (Musher)썰매를 모는 사람
무쉬 (Mush)개에게 출발하라는 명령어
핫 (Haw)왼쪽으로 가라는 명령어
지 (Gee)오른쪽으로 가라는 명령어
기타 정보
동계 올림픽1994년 동계 올림픽 시범 종목 채택
인기도북미, 유럽, 아시아 지역에서 인기
스포츠 윤리개 복지에 대한 관심 증가
참고 자료Mush for the Rush

2. 역사

개썰매는 순록을 이용하지 않는 북아시아북극 지역 사냥꾼들에게 필수적인 이동 수단이었다. 실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된 경주도 행해졌으며, 레크리에이션으로서의 경주는 19세기 중후반에 발생했다. 유콘알래스카의 골드러시와 함께 세계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했고, 1920년대에 들어 귀환한 광부들에 의해 전파된 개썰매 경주는 큰 인기를 얻었다. 1920년대부터 30년대에 걸쳐 개썰매 경주는 전성기를 맞이했고, 그 인기는 이 스포츠의 발전에 기여했다. 스노모빌 등 새로운 이동 수단의 보급으로 개썰매 경주는 더욱 현대 스포츠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14][15]

2. 1. 기원과 발전

1910년경, 제3회 올 알래스카 스윕스테이크스에서 우승한 콜. 램지의 팀, 운전자 존 존슨


1915년 올 알래스카 스윕스테이크스 경주 시작


북아메리카에서 최초로 기록된 개썰매 경주는 1908년 알래스카에서 열린 올 알래스카 스윕스테이크스(All Alaska Sweepstakes)였다. 이 경주는 알래스카의 가장 험난한 지역 중 일부를 통과하는 노옴에서 캔들까지 왕복 약 643.74km 코스였다.[4] 국제 개썰매 경주 협회(International Sled Dog Racing Association)에 따르면, 1회 우승자는 존 헤그네스로 119시간 15분 12초를 기록했다. 1910년까지 참가자 수와 팀의 속도가 상당히 증가했고, 3회 우승자 존(아이언맨) 존슨은 74시간 14분 37초의 기록을 세웠는데, 이는 아직까지 깨지지 않고 있다.[5]

존 존슨은 시베리안 허스키로만 구성된 팀을 이끌었지만, 개들의 주인은 1909년 경주에 사용된 시베리안 허스키에 주목했던 스코틀랜드인 찰스 폭스 몰 램지였다. 램지의 다른 팀들도 시베리안 허스키가 이끌었고, 이 경주에서 2위와 4위를 차지했다. 시베리안 허스키는 작은 크기와 온순한 성격 때문에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여겨졌지만, 이후 10년 동안 알래스카 경주에서 가장 권위 있는 타이틀을 여러 개 획득하며, 특히 험난한 지형에서 뛰어난 내구성을 보였다.

1925년, 시베리안 허스키는 노옴시가 디프테리아 유행병으로 고통받고 의료품이 긴급하게 필요했을 때 더욱 유명해졌다. "자비의 위대한 경주(Great Race of Mercy)"로 알려진 이 사건에서 20명의 머셔와 150마리의 개썰매 개들이 약 1084.70km를 횡단하여 알래스카 전역으로 디프테리아 항독소를 5일 반 만에 수송했다. 머셔들과 그들의 개들은 미국 전역에서 유명해졌는데, 특히 노옴으로 가는 마지막 약 88.51km 구간을 이끈 발토(Balto)라는 시베리안 허스키가 유명했다.[6]

개썰매는 순록을 이용하지 않는 북아시아북극 지역 사냥꾼들에게 필수적인 이동 수단이었다. 실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된 경주도 행해졌으며, 레크리에이션으로서의 경주는 19세기 중후반에 시작되었다. 유콘알래스카의 골드러시와 함께 세계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했고, 1920년대에 귀환한 광부들에 의해 전파된 개썰매 경주는 큰 인기를 얻었다. 1920년대부터 30년대에 걸쳐 개썰매 경주는 전성기를 맞이했고, 그 인기는 이 스포츠의 발전에 기여했다. 스노모빌 등 새로운 이동 수단의 보급으로 개썰매 경주는 더욱 현대 스포츠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14][15]

2. 2. 올 알래스카 스윕스테이크스



북아메리카에서 최초로 기록된 개썰매 경주는 1908년 알래스카에서 열린 올 알래스카 스윕스테이크스(All Alaska Sweepstakes)였다. 이 경주는 알래스카에서 가장 험난한 지역 중 일부를 통과하는 노옴에서 캔들까지, 그리고 다시 돌아오는 약 643.74km의 코스였다.[4] 국제 개썰매 경주 협회(International Sled Dog Racing Association)에 따르면 1회 우승자는 존 헤그네스로, 기록은 119시간 15분 12초였다. 1910년까지 참가자 수와 팀의 속도는 상당히 증가했다. 3회 우승자는 존(아이언맨) 존슨으로, 아직 깨지지 않은 74시간 14분 37초의 기록을 세웠다.[5]

존 존슨은 전부 시베리안 허스키로 구성된 팀을 이끌었지만, 개들의 주인은 아니었다. 주인은 1909년 경주에서 사용된 시베리안 허스키에 주목했던 찰스 폭스 몰 램지라는 스코틀랜드인이었다. 그의 다른 팀들도 시베리안 허스키가 이끌었는데, 이 경주에서 2위와 4위를 차지했다. 시베리안 허스키는 작은 크기와 온순한 성격 때문에 경쟁력 있는 견종으로 여겨지지 않았지만, 그 이후 10년 동안 알래스카 경주의 가장 권위 있는 타이틀 중 일부를 석권하며, 특히 이 견종이 내구성으로 유명한 험난한 지형에서 두각을 나타냈다.[6]

2. 3. 자비의 위대한 경주



북아메리카에서 최초로 기록된 개썰매 경주는 1908년 알래스카에서 열린 올 알래스카 스윕스테이크스(All Alaska Sweepstakes)였다. 이 경주는 노옴에서 캔들까지 왕복 약 643.74km 코스로, 알래스카에서 가장 험난한 지역 중 일부를 통과했다.[4] 국제 개썰매 경주 협회(International Sled Dog Racing Association)에 따르면, 1회 우승자는 존 헤그네스로 119시간 15분 12초의 기록을 세웠고, 3회 우승자는 존(아이언맨) 존슨으로 74시간 14분 37초의 기록을 세웠는데, 이 기록은 아직 깨지지 않고 있다.[5] 1910년까지 참가자 수와 팀의 속도는 상당히 증가했다.

존 존슨은 전부 시베리안 허스키로 구성된 팀을 이끌었지만, 개들의 주인은 1909년 경주에서 시베리안 허스키를 주목했던 스코틀랜드인 찰스 폭스 몰 램지였다. 램지의 다른 팀들도 시베리안 허스키가 이끌었는데, 이 경주에서 2위와 4위를 차지했다. 시베리안 허스키는 작은 크기와 온순한 성격 때문에 경쟁력 있는 견종으로 여겨지지 않았지만, 이후 10년 동안 알래스카 경주의 가장 권위 있는 타이틀 중 일부를 석권하며, 특히 내구성이 중요한 험난한 지형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시베리안 허스키는 1925년 노옴시가 디프테리아 유행병으로 고통받고 의료품이 긴급하게 필요했을 때 더욱 유명해졌다. "자비의 위대한 경주(Great Race of Mercy)"로 알려진 이 사건에서 20명의 머셔와 150마리의 개썰매 개들이 약 1084.70km를 횡단하여 알래스카 전역으로 디프테리아 항독소를 기록적인 5일 반 만에 수송했다. 머셔들과 그들의 개들은 특히 노옴으로 마지막 약 88.51km 구간을 이끈 발토(Balto)라는 시베리안 허스키를 중심으로 미국 전역에서 순식간에 유명해졌다.[6]

2. 4. 현대의 개썰매 경주



개썰매는 순록을 이용하지 않는 북아시아북극 지역 사냥꾼들에게 필수적인 이동 수단이었다. 실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된 경주도 행해졌으며, 레크리에이션으로서의 경주는 19세기 중후반에 발생했다. 유콘알래스카의 골드러시와 함께 세계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했고, 1920년대에 들어 귀환한 광부들에 의해 전파된 개썰매 경주는 큰 인기를 얻었다. 1920년대부터 30년대에 걸쳐 개썰매 경주는 전성기를 맞이했고, 그 인기는 이 스포츠의 발전에 기여했다. 스노모빌 등 새로운 이동 수단의 보급으로 개썰매 경주는 더욱 현대 스포츠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14][15]

3. 경주

개썰매 경주는 머셔(개썰매 운전자)와 머셔가 조종하는 하네스를 착용한 썰매개 한 팀이 정해진 출발점과 도착점 사이의 이동 시간을 겨루는 경기이다. 경주 거리는 수 km의 짧은 단거리 스프린트 레이스부터 1000km를 넘는 장거리 레이스까지 다양하며, 경기는 수일에서 수주일에 걸쳐 진행된다.[14]

대표적인 개썰매 경주로는 미국 알래스카주 앵커리지에서 노옴까지 진행되는 아이디타로드(Iditarod Trail Sled Dog Race)와 앵커리지 북쪽 페어뱅크스캐나다 화이트호스 사이에서 진행되는 유콘 퀘스트(Yukon Quest) 등이 있다.[13]

3. 1. 경주 종류

개썰매 경주는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 스프린트 경주: 4~100마일의 비교적 짧은 거리를 달리는 경주이다. 보통 2~3일 동안 진행되며, 같은 개들이 같은 코스를 연속으로 달리는 히트 경주 방식으로 진행된다.
  • 중거리 경주: 100~300마일 거리를 달리는 경주이다.
  • 장거리 경주: 300마일에서 1,000마일 이상을 달리는 경주이다. 아이디타로드가 대표적인 장거리 경주이다. 장거리 경주는 연속 경주 또는 스테이지 경주(참가자들이 매일 다른 코스를 달리는 방식)로 진행될 수 있다.


2020년 아이디타로드 경주 중 레이니 패스 검문소를 출발하는 브렌트 Sass


경주는 거리와 각 팀에 허용되는 개의 수에 따라 분류된다. 일반적인 범주는 4마리, 6마리, 8마리, 10마리, 그리고 무제한(오픈)이다.

1917년에 시작된 미국 개썰매 더비는 아이다호주 애쉬턴에서 시작되며, 참가자들은 20마일, 40마일, 60마일 또는 100마일 범주에 참가한다.[7]

베르펜벵에서 경주하는 사모예드


경주는 "시간 기록 시작" 또는 "집중 시작" 방식으로 진행된다. 시간 기록 시작 방식에서는 팀들이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출발하여 시간과 경쟁한다. 집중 시작 방식에서는 모든 팀이 동시에 출발한다.

개썰매 경주를 관리하는 세 개의 국제 기구는 다음과 같다.

  • 국제 개썰매 경주 협회(ISDRA): 미국과 캐나다의 많은 경주를 승인한다.
  • 유럽 개썰매 경주 협회(ESDRA): 유럽에서 경주를 승인한다.
  • 국제 개썰매 스포츠 연맹(IFSS): 전 세계 월드컵 경주와 2년마다 열리는 세계 선수권 대회 경주를 승인한다.


승인된 경주에서는 다양한 규칙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ISDRA 승인 규칙에 따르면 위험 요소를 피해야 하고, 거리를 정확하게 보고해야 하며, 경로를 참가자에게 명확하게 설명해야 한다. 또한, 경주자는 개를 인도적으로 다루어야 하며, 성능 향상 물질 사용은 엄격히 금지된다.[8]

드라이랜드 개썰매 경주는 눈 대신 포장된 흙길에서 경주하는 방식이다. 경주자는 잠금 브레이크와 핸들/조향 장치가 있는 3~4륜 카트, 스쿠터, 자전거(바이크조링) 또는 도보(캐니크로스)를 사용한다.

"화물 경주"는 당 특정 무게가 썰매에 실리는 개썰매 경주의 또 다른 방식이다. 이 경주에서는 한 번에 1~5마리 정도의 개만 썰매나 스쿠터를 끈다.

영국에는 [https://www.huskyracing.org.uk 영국 시베리안 허스키 경주 협회]가 최고급 트레일에서 최고 수준의 경주를 제공한다.

미시간주 마케트에서는 거의 매년 연례 개썰매 경주가 열린다. 이 경주에서 사용하는 개 품종은 허스키이다. 미시간주 어퍼 페닌슐라에서 열리는 UP 200은 미국의 최고 수준의 개썰매 경주 중 하나로 손꼽힌다. 이 경주는 마케트, 그랜드 마리스, 웻모어, 픽처드 록스 국립 호숫가 지역을 통과하는 240마일이 넘는 험난한 지형을 따라 진행되며, 마케트의 매트슨 로어 하버 공원에서 끝난다. UP 200은 아이디타로드에 진출할 자격을 갖춘 팀을 선발하는 미국의 최고 12마리 개 중거리 개썰매 경주 중 하나이다.

개썰매 경기는 머셔(개썰매 운전자)와 머셔가 조종하는 하네스를 착용한 썰매개 1팀이 정해진 출발점과 도착점 사이를 이동하는 시간을 겨루는 경기이다. 경주 거리는 수 km의 짧은 단거리 스프린트 레이스부터 1000km를 넘는 장거리 레이스까지 다양하며, 경기는 수일에서 수주일에 걸쳐 진행된다.[14]

대표적인 개썰매 경주로는 미국 알래스카주 앵커리지에서 노옴(Nome)까지 진행되는 아이디타로드(Iditarod Trail Sled Dog Race)와 앵커리지 북쪽 페어뱅크스와 캐나다 화이트호스(Whitehorse) 사이에서 진행되는 유콘 퀘스트(Yukon Quest) 등이 있다.[13]

3. 2. 경주 방식

개썰매 경주는 스프린트, 중거리, 장거리 경주로 나뉜다. 스프린트 경주는 4마일에서 100마일 사이의 비교적 짧은 거리를 달리며, 보통 2~3일 동안 같은 코스를 반복해서 달리는 히트 경주 방식으로 진행된다. 중거리 경주는 100마일에서 300마일 사이의 연속적인 경주이다. 장거리 경주는 300마일 이상을 달리며, 연속 경주 또는 매일 다른 코스를 달리는 스테이지 경주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경주는 거리에 따라, 그리고 각 팀에 허용되는 개의 수에 따라 분류된다. 일반적인 범주는 4마리, 6마리, 8마리, 10마리, 그리고 무제한(오픈)이다.

개썰매 경주의 예로, 1917년에 시작된 미국 개썰매 더비가 있다. 참가자들은 20마일, 40마일, 60마일, 100마일 범주에 참가하며, 경주는 아이다호주 애쉬턴에서 시작된다.[7]

경주는 "시간 기록 시작" 또는 "집중 시작" 방식으로 진행된다. 시간 기록 시작 방식에서는 팀들이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출발하여 시간과 경쟁한다. 집중 시작 방식에서는 모든 팀이 동시에 출발한다.

많은 경주가 세 개의 국제 기구 중 하나에 속한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국제 개썰매 경주 협회(ISDRA)가, 유럽에서는 유럽 개썰매 경주 협회(ESDRA)가 승인을 제공하며, 국제 개썰매 스포츠 연맹(IFSS)는 전 세계 월드컵 경주와 2년마다 열리는 세계 선수권 대회 경주를 승인한다.

승인된 경주는 다양한 규칙을 따라야 한다. 예를 들어, ISDRA 승인 규칙은 위험을 피하고, 거리를 정확하게 보고하며, 경로를 명확하게 설명해야 한다고 명시한다. 경주자는 개를 인도적으로 다루어야 하며, 성능 향상 물질은 엄격히 금지된다.[8]

드라이랜드 개썰매 경주는 눈 대신 포장된 흙길에서 경주하는 변형이다. 또 다른 방식은 당 특정 무게가 썰매에 실리는 "화물 경주"이다.

영국에는 [https://www.huskyracing.org.uk 영국 시베리안 허스키 경주 협회]가 최고급 트레일에서 최고 수준의 경주를 제공한다.

미시간주 마케트에서는 거의 매년 연례 개썰매 경주가 열린다. 사용하는 개 품종은 허스키이다. 미시간주 어퍼 페닌슐라에서 열리는 UP 200은 미국의 최고 수준의 개썰매 경주 중 하나이며, 아이디타로드에 진출할 자격을 갖춘 팀을 선발하는 경주 중 하나이다.

개썰매 경주는 머셔(개썰매 운전자)와 머셔가 조종하는 하네스를 착용한 썰매개 1팀이 정해진 출발점과 도착점 사이의 이동 시간을 겨루는 경기이다. 수 km의 단거리 스프린트 레이스부터 1000km를 넘는 장거리 레이스까지 다양하며, 경기는 수일에서 수주일에 이른다.[14]

대표적인 레이스로는 미국 알래스카주 앵커리지에서 노옴까지를 경쟁하는 아이디타로드(Iditarod Trail Sled Dog Race)와 앵커리지 북쪽 페어뱅크스캐나다 화이트호스 사이에서 경쟁하는 유콘 퀘스트(Yukon Quest) 등이 있다.[13]

3. 3. 주요 국제 기구

개썰매 경주는 주로 세 개의 국제 기구에 소속되어 진행된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국제 개썰매 경주 협회(ISDRA)가 많은 경주를 승인한다. 유럽에서는 유럽 개썰매 경주 협회(ESDRA)가 승인을 제공하며, 국제 개썰매 스포츠 연맹(IFSS)은 전 세계 월드컵 경주뿐만 아니라 2년마다 세계 선수권 대회 경주를 승인한다.[8]

영국에는 [https://www.huskyracing.org.uk 영국 시베리안 허스키 경주 협회]가 최고급 트레일에서 최고 수준의 경주를 제공한다.

3. 4. 드라이랜드 개썰매 경주

드라이랜드 개썰매 경주는 눈이 아닌 포장된 흙길에서 경주하는 방식이다. 경주자는 잠금 브레이크와 핸들/조향 장치가 있는 3~4륜 카트, 스쿠터, 자전거(바이크조링), 또는 도보(캐니크로스) 등의 장비를 사용한다. 개썰매 경주의 또 다른 방식은 당 특정 무게를 썰매에 싣는 "화물 경주"인데, 이 경우 한 번에 1~5마리 정도의 개만 썰매나 스쿠터를 끈다.

영국에는 [https://www.huskyracing.org.uk 영국 시베리안 허스키 경주 협회]가 최고급 트레일에서 최고 수준의 경주를 제공한다.

3. 5. 기타

개썰매 경주는 거리와 팀당 허용되는 개 마리 수에 따라 여러 범주로 나뉜다. 단거리 경주는 보통 4~100마일, 중거리 경주는 100~300마일, 장거리 경주는 300마일 이상이다. 팀 규모는 4마리, 6마리, 8마리, 10마리, 무제한(오픈) 등으로 구분된다.

개썰매 경주의 예로는 1917년에 시작된 미국 개썰매 더비가 있으며, 참가자들은 20마일, 40마일, 60마일 또는 100마일 범주에 참가한다. 이 경주는 아이다호주 애쉬턴에서 시작된다.[7]

경주는 "시간 기록 시작" 또는 "집중 시작" 방식으로 진행된다. 시간 기록 시작 방식에서는 팀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출발하여 시간과 경쟁하고, 집중 시작 방식에서는 모든 팀이 동시에 출발한다.

국제 개썰매 경주 협회(ISDRA), 유럽 개썰매 경주 협회(ESDRA), 국제 개썰매 스포츠 연맹(IFSS) 등 세 개의 국제 기구가 개썰매 경주를 승인한다. 승인된 경주는 개의 인도적 대우, 성능 향상 물질 금지 등 다양한 규칙을 준수해야 한다.[8]

드라이랜드 개썰매 경주는 눈 대신 포장된 흙길에서 진행되며, 카트, 스쿠터, 자전거(바이크조링), 도보(캐니크로스) 등의 장비를 사용한다. 화물 경주는 개당 특정 무게를 썰매에 싣고 경주하는 방식이다.

영국에는 [https://www.huskyracing.org.uk 영국 시베리안 허스키 경주 협회]가 최고급 트레일에서 최고 수준의 경주를 제공한다.

미시간주 마케트에서는 거의 매년 개썰매 경주가 열리는데, 사용하는 개 품종은 허스키이다. 미시간주 어퍼 페닌슐라에서 열리는 UP 200은 미국의 최고 수준의 개썰매 경주 중 하나로, 아이디타로드 진출 자격을 갖춘 팀을 선발한다.

4. 주요 대회

아메리칸 독 더비와 아이디타로드 트레일 개썰매 경주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개썰매 경주이다.[9][10][11] 아메리칸 독 더비는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대회이며, 아이디타로드 트레일 개썰매 경주는 "지구상 마지막 위대한 경주"로 불릴 만큼 험난한 코스로 유명하다.

4. 1. 아메리칸 독 더비 (American Dog Derby)

아메리칸 독 더비는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개썰매 경주 대회이자[9], 국제적으로 명성을 얻은 최초의 개썰매 경주 대회였다. 1917년에 시작되어 유니온 퍼시픽 철도에 의해 적극적으로 홍보된 이 대회는 20세기 초반 켄터키 더비인디애나폴리스 500과 같은 수준의 관심과 언론 보도를 받았으며, 세계 챔피언십 개썰매 경주로 여겨졌다.[10]

아메리칸 독 더비의 머셔(musher)들은 국제적인 유명 인사였는데, 그중 리디아 허친슨(Lydia Hutchinson)이라는 외모가 뛰어난 여성 머셔는 영화 제작자에게 발탁되어 영화에 출연하기도 했다. 그녀는 1930년 폐렴으로 사망하기 전까지 영화 배우가 될 가능성이 높았다. 아메리칸 독 더비는 1920년대에 개썰매 경주를 대중화했으며, 그 영향으로 북미와 북유럽의 여러 도시와 마을에서 다른 개썰매 경주 대회가 조직되었다.

4. 2. 아이디타로드 (Iditarod)

가장 유명한 장거리 경주는 아이디타로드 트레일 개썰매 경주이다. "지구상 마지막 위대한 경주"로도 알려진 아이디타로드는 세계에서 가장 험난한 지형 중 일부를 가로지르는 약 약 1609.34km의 경주이다.[11] 이 경주는 험준한 산, 얼어붙은 강, 울창한 숲, 황량한 툰드라로 이루어져 있다. 12~16마리의 개로 구성된 각 팀은 앵커리지에서 노옴까지 달려야 한다.[11]

각 머셔(musher)마다 전략은 다르지만, 각 팀은 북극 파카, 도끼, 눈신, 그리고 날카로운 얼음과 단단하게 다져진 눈으로 인한 상처로부터 개의 발을 보호하기 위한 각 개의 부츠와 같은 특정 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개썰매 경기는 머셔(개썰매 운전자)와 머셔가 조종하는 하네스를 착용한 썰매개를 1팀으로 하여, 정해진 출발점과 도착점 사이의 이동 시간을 겨루는 경기이다. 경기는 수 km의 비교적 짧은 단거리 스프린트 레이스부터 1000km를 넘는 장거리 레이스까지 다양하며, 수일에서 수주일에 걸쳐 진행된다.[14]

대표적인 레이스로는 미국 알래스카주 앵커리지에서 서쪽 끝 노옴까지 경쟁하는 아이디타로드 트레일 개썰매 경주와 앵커리지 북쪽 페어뱅크스캐나다 화이트호스 사이에서 경쟁하는 유콘 퀘스트 등이 있다.[13]

4. 3. 유콘 퀘스트 (Yukon Quest)

개썰매 경기는 거리와 지형에 따라 개의 수가 다르지만, 머셔(개썰매 운전자)와 머셔가 조종하는 하네스를 착용한 썰매개를 1팀으로 하여, 정해진 출발점과 도착점 사이의 이동 시간을 겨루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유콘 퀘스트는 미국 알래스카주 페어뱅크스캐나다 화이트호스 사이에서 진행되는 장거리 개썰매 경주이다.[13]

5. 주요 선수


  • 이마노 미치히로
  • 후나즈 케이조

6. 개썰매

경주용 개썰매 개들은 개별적으로 마구를 착용하고, 꼬리 뿌리 근처의 고리에서 당기는 "견인줄"이 채워진다. 개들은 짝을 지어 연결되고, 그들의 견인줄은 중앙의 "총견인줄"에 연결된다. 줄은 일반적으로 개의 목줄에 채워지는 짧은 "목줄"을 포함하여 개들을 적절한 위치에 유지한다. 경주 팀에 한 번에 22마리 이상의 개가 연결되는 것은 드물며, 그 수는 가장 경쟁이 치열한 스프린트 경주 첫날에만 볼 수 있다. 개들은 그 후의 날에 팀에서 제외될 수 있지만, 추가될 수는 없다. 1908년 노옴시에서 조직적인 개썰매 경주가 시작된 이후로 대부분 시행되어 온 다른 많은 규칙들이 적용된다.

7.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개썰매 경주

남가우텡 고등법원은 2013년 12월 개썰매 경주를 일종의 개 경주로 인정하여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개썰매 경주가 불법으로 선언되었다.[12]

참조

[1] 웹사이트 Dog Sled Races Around The World index2.php?reqstylei[...] 2010-02-09
[2] 뉴스 WINTER OLYMPICS 1994 - Lillehammer, Norway - Is There a Place in Winter Games For Men Who Run With Dogs? Wall Street Journal 1994-02-17
[3] 웹사이트 Mush for the Rush http://library.think[...] 2010-02-04
[4]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Sled Dog Racing http://www.isdra.org[...] 2021-11-22
[5]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Sled Dog Racing http://www.isdra.org[...] 2021-11-22
[6] 웹사이트 Breed History https://www.huskyhav[...] 2021-11-23
[7] 웹사이트 Dog Sled Races Around The World http://www.terrificp[...] 2010-02-09
[8] 웹사이트 Safety index2.php?reqstylei[...] 2010-02-09
[9] 서적 Famous Firsts 2007
[10] 간행물 King of the Mushers Popular Mechanics 1949-02
[11] 웹사이트 Learn about the Iditarod https://web.archive.[...] 2010-02-09
[12] 웹사이트 Sleddog sports hits back at SPCA https://midrandrepor[...] 2022-04-16
[13] 웹사이트 Dog Sled Races Around The World http://www.terrificp[...] Terrific Pets 2019-03-16
[14] 서적 雪と氷のスポーツ百科 大修館書店 1997
[15] 웹사이트 Mush for the Rush http://library.think[...] Library Thinkquest 2010-0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