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아시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아시아는 유라시아 대륙 북부에 위치하며, 러시아의 우랄 산맥 동쪽 지역을 가리킨다. 지리적으로 서쪽은 유럽, 북쪽은 북극해, 동쪽은 베링 해, 남쪽은 동아시아 및 중앙아시아와 접한다. 주요 지형으로는 서시베리아 평원, 중앙 시베리아 고원, 동시베리아 산지가 있다. 기후는 냉대 기후가 대부분이며, 겨울 기온이 매우 낮다. 인구는 약 3천 3백만 명으로 추산되며, 러시아인이 다수를 차지하며, 슬라브계, 우랄계, 튀르크계, 퉁구스계, 몽골계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한다. 행정 구역은 우랄 연방관구, 시베리아 연방관구, 극동 연방관구로 나뉘며, 러시아어가 공용어로 사용되고, 다양한 소수 민족 언어 또한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아시아 - 시베리아
    우랄 산맥 동쪽에 위치한 시베리아는 러시아 영토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양한 유목 민족의 터전이었으나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어 자원 개발이 이루어졌고, 현재는 러시아 연방의 일부로서 경제 성장과 함께 환경 문제, 민족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는 지역이다.
  • 북아시아 - 알타이 제어
    알타이 제어는 튀르크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 한국어, 일본어 등이 공통 조상에서 기원했다는 가설로, 알타이어족의 존재와 구성에 대해 학계에서 논쟁이 이어지고 있으며 언어 연합의 결과로 유사성이 발생했다는 주장도 있다.
  • 러시아의 지리 - 시베리아
    우랄 산맥 동쪽에 위치한 시베리아는 러시아 영토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양한 유목 민족의 터전이었으나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어 자원 개발이 이루어졌고, 현재는 러시아 연방의 일부로서 경제 성장과 함께 환경 문제, 민족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는 지역이다.
  • 러시아의 지리 - 북캅카스
    북캅카스는 대캅카스산맥 북쪽 사면과 캅카스산맥 북쪽 스텝 지대를 포함하는 지리적 명칭으로, 아조프해, 흑해, 카스피해에 접하며 비옥한 흑토 지대에서 농경과 목축이 이루어지고 다양한 언어와 종교를 가진 민족들이 거주하며 러시아에서는 높은 생명 기대 수명을 보이는 지역이다.
  • 러시아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러시아 - 키이우
    키이우는 우크라이나의 수도이자 동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로, 키예프 루스의 중심지였으나 몽골 침략 후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쳐 소비에트 우크라이나의 수도가 되었고, 현재는 우크라이나의 중심지로서 2022년 러시아 침공 이후 재건 노력을 하고 있으며, 'Kyiv' 표기가 국제적으로 사용된다.
북아시아
지도
기본 정보
면적13,100,000 km²
인구3,700만 명 (2021년 인구 조사)
인구 밀도2.6명/km² (7.4명/mi²)
명목 GDP6,000억 달러 (2022년)
구매력평가(PPP) GDP1조 3천억 달러 (2022년)
1인당 GDP16,000달러 (2022년)
주요 민족슬라브인 (대다수)
퉁구스족, 몽골족, 튀르크족, 기타 시베리아 원주민 (소수)
주요 종교정교회 (대다수)
통칭시베리아인, 북아시아인
국가러시아
공용어러시아어
기타 언어아이누어
축치캄차카어
에스키모알류트어
몽골어
퉁구스어
튀르크어
우랄어
예니세이어
유카기르어
기타
시간대UTC+5 / MSK+2
UTC+6 / MSK+3
UTC+7 / MSK+4
UTC+8 / MSK+5
UTC+9 / MSK+6
UTC+10 / MSK+7
UTC+11 / MSK+8
UTC+12 / MSK+9
인터넷 국가 코드.ru
국제전화 코드존 7
주요 도시바르나울
첼랴빈스크
이르쿠츠크
케메로보
하바롭스크
크라스노야르스크
노보쿠즈네츠크
노보시비르스크 (가장 큼)
옴스크
톰스크
튜멘
블라디보스토크
야쿠츠크
예카테린부르크
치타
M49 코드151동유럽
150유럽
001 – 세계
명칭
러시아어Северная Азия (세베르나야 아지야)
중국어北亚 (Běi Yà, 베이 야)
영어North Asia, Northern Asia
일본어北アジア (키타아지아)
한국어북아시아

2. 지리

캄차카 반도


푸토라나 고원


북아시아는 유럽아시아에 걸쳐 있는 러시아의 동쪽 지역을 말한다. 국제 연합 지리 체계 등에서는 러시아 전체를 유럽 또는 동유럽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북아시아는 북극에서 불어오는 찬 기류를 막아주는 산맥이 없어, 시베리아와 투르키스탄의 평원으로 찬 공기가 그대로 내려온다.[11]

지리적으로 북아시아는 서쪽으로 우랄 산맥을 경계로 유럽과 접하고, 북쪽으로 북극해, 동쪽으로 베링 해를 사이에 두고 북아메리카 대륙과 마주한다. 남쪽으로는 동아시아중앙아시아와 인접한다. 서시베리아 평원이 넓게 펼쳐져 있으며, 오브 강과 예니세이 강이 흐른다. 반면 동부와 남부는 해발 고도가 높다.

고위도에 위치한 북아시아는 대부분 냉대 기후에 속하며, 겨울철 기온이 매우 낮다.[11] 특히 북극해 연안 지역은 한대 기후를 보인다.

2. 1. 지형

북아시아는 광활한 고원과 평원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주요 지형으로는 서시베리아 저지대와 앙가라 순상지가 있다. 앙가라 순상지에는 타이미르 반도, 해안 저지대(동시베리아 저지대와 북시베리아 저지대), 그리고 중앙 시베리아 고원(아나바르 고원, 레나 고원, 레나-앙가라 고원, 푸토라나 고원, 퉁구스카 고원, 빌류이 고원 포함)과 중앙 야쿠티아 저지대가 포함된다.[12]

북아시아의 지형은 예니세이 강과 레나 강 사이에 있는 안가라 순상지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안가라 순상지는 주로 선캄브리아기 결정질 암석, 편마암, 편암 및 곤드와나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로라시아의 파편으로부터 발달했다. 이러한 암석들은 가장자리를 따라 조산 운동을 겪어 고원과 산맥의 복잡한 지형을 형성했다.[12]

북아시아에서는 여러 차례에 걸쳐 산맥 형성이 일어났지만, 크게 세 가지 주요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후기 고생대의 칼레도니아 조산 운동과 바리스칸 조산 운동, 알프스 조산 운동은 테티스 해 지향사의 중생대와 초기 제3기 퇴적암의 광범위한 습곡과 단층 작용을 일으켰다. 인도 판이 로라시아에 충돌하면서 발생한 응력은 티베트 고원과 몽골 고원, 그리고 타림 분지, 차이담 분지, 준가르 분지의 구조 분지를 경계 짓는 주요 동서 방향의 암석권 단층을 만들었다.[12]

북아시아는 플라이스토세에 빙하 작용을 겪었지만, 북아메리카유럽에 비해 그 영향은 적었다. 스칸디나비아 빙상은 우랄 산맥 동쪽으로 확장되어 오브 강 유역의 북쪽 3분의 2를 덮고, 예니세이 강과 레나 강 사이의 안가라 순상지까지 확장되었다. 동시베리아 산맥, 캄차카 반도 산맥, 알타이 산맥, 톈산 산맥 등에서 산악 빙하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12]

몇몇 산악 지역은 화산 활동이 활발하며, 코랴크 산맥과 캄차카 반도에는 활화산이 있다. 아나디르 고원은 화성암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몽골 고원에는 현무암용암과 화산 콘이 분포한다.[12]

안가라 순상지는 오브 강 저지대의 기반을 이루지만, 남쪽과 동쪽의 중앙아시아 산맥과 동시베리아 산맥에는 하부 고생대 암석의 습곡 및 단층 산맥이 있다.[12]

2. 2. 기후

북아시아는 고위도에 위치하여 냉대에 속하는 지역이 많으며, 겨울 기온이 매우 낮다.[11] 북극해 연안 지역은 한대 지역이다.

2. 3. 자연환경



북아시아에는 북극에서 불어오는 기류가 시베리아와 투르키스탄의 평원으로 내려오는 것을 막는 산맥이 없다.[11]

북아시아의 고원과 평원은 서시베리아 저지대, 앙가라 순상지(타이미르 반도, 해안 저지대(동시베리아 저지대와 북시베리아 저지대), 중앙 시베리아 고원(아나바르 고원, 레나 고원, 레나-앙가라 고원, 푸토라나 고원, 퉁구스카 고원, 빌류이 고원 포함)와 중앙 야쿠티아 저지대를 포함한다.[12]

유라시아 대륙 북부에 위치하며, 서쪽은 우랄 산맥을 경계로 유럽과 접하고, 북쪽은 북극해에 면하며, 동쪽은 베링 해를 사이에 두고 북아메리카 대륙과 인접하고, 남쪽은 동아시아중앙아시아에 인접한다. 북아시아 서부에는 서시베리아 평원이 펼쳐져 있으며, 오브 강과 예니세이 강이 흐른다. 동부와 남부는 해발 고도가 높다.

고위도에 위치하여 냉대에 속하는 지역이 많으며, 겨울 기온이 매우 낮다. 북극해 연안 지역은 한대 지역이다.

3. 역사



북아시아는 오랜 역사를 가진 지역으로,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거쳐 갔다.

16세기 러시아 차르국에 정복되기 전까지 시비르 칸국은 북아시아의 마지막 독립 튀르크 국가였다.[9] 러시아는 1860년 베이징 조약을 통해 이 지역을 완전히 합병했다.[9] 1917년 10월 혁명 이후 볼셰비키와 백군 사이에 쟁탈전이 벌어졌고, 1923년 소비에트 연방이 통제권을 확보했다.[6]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이후 러시아가 이 지역을 관리하고 있다.[6]

3. 1. 고대 ~ 중세

이 지역은 약 10만 년 전 플라이스토세 후기에 호미닌이 처음 거주하기 시작했으며,[6] 현생 인류는 4만 5천 년 전에 이 지역에 도착한 것으로 확인되었고,[7][8] 초기 인류는 서유라시아 기원이었다.[9] 이 지역의 신석기 시대 문화는 독특한 석기 제작 기술과 동쪽 기원의 토기가 특징이다.[9]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3천년에 시작되었고,[10] 안드로노보 문화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인도-이란인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기원전 1천년에는 스키타이와 흉노와 같은 정치체가 등장하여 남쪽의 페르시아와 중국 역사상의 왕조 이웃들과 종종 충돌했다. 돌궐은 1천년대에 남시베리아를 지배했고, 2천년대 초에는 몽골 제국과 그 후계 국가가 이 지역을 지배했다. 시비르 칸국은 16세기에 러시아 차르국에 정복당하기 전까지 북아시아의 마지막 독립적인 튀르크 국가 중 하나였다.

3. 2.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과 식민지화

시비르 칸국은 16세기에 러시아 차르국에 의해 정복되기 전까지 북아시아의 마지막 독립적인 튀르크 국가 중 하나였다.[9] 이후 러시아는 1860년 베이징 조약을 통해 이 지역을 합병하였다.[9]

3. 3. 소비에트 연방 시대

1917년 10월 혁명 이후 이 지역은 볼셰비키와 백군 사이에 쟁탈전이 벌어졌고, 1923년에 소비에트 연방이 완전한 통제권을 확보했다.[6]

3. 4. 러시아 연방 시대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이후 러시아가 이 지역의 관리자가 되었다.[6]

4. 인구와 민족

우랄 산맥 동쪽 북아시아 지역에는 약 3천 3백만 명의 러시아 시민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대부분은 슬라브계 출신의 러시아인과 러시아화된 우크라이나인이다.[13]

지난 3세기 동안 러시아화 과정을 거치면서, 시베리아 일부 지역의 토착민인 튀르크계 민족, 퉁구스계 민족, 몽골계 민족은 현재 북아시아에서 소수민족이 되었다. 러시아 인구 조사 기록에 따르면 이들은 지역 인구의 약 10%를 차지한다. 이들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민족은 부랴트인(445,175명)과 야쿠트인(443,852명)이다. 200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시베리아 타타르인은 50만 명이지만, 그중 30만 명은 식민지 시대에 시베리아에 정착한 볼가 타타르인이다.[14] 이 지역에 거주하며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는 다른 민족으로는 약 40만 명의 독일인이 있다.[15]

1875년, 체임버스는 북아시아 인구를 800만 명으로 보고했다.[11] 1801년부터 1914년까지 약 700만 명의 정착민이 유럽 러시아에서 시베리아로 이주했으며, 그중 85%가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25년 동안 이주했다.[16]

북아시아에는 다양한 민족이 분포하고 있으며, 주요 민족은 다음과 같다.

4. 1. 인구 구성

러시아 태평양 연안의 블라디보스토크에 있는 러시아인


우랄 산맥 동쪽에는 약 3천3백만 명의 러시아 시민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시베리아에 거주하는 러시아 시민들 대부분은 슬라브계 출신의 러시아인과 러시아화된 우크라이나인이다.[13] 시베리아 일부 지역의 토착민인 튀르크계 민족, 퉁구스계 민족, 몽골계 민족은 지난 3세기 동안의 러시아화 과정으로 인해 현재 북아시아에서 소수민족이 되었다. 러시아 인구 조사 기록에 따르면 이들은 지역 인구의 약 10%를 차지하며, 그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민족은 445,175명의 부랴트인과 443,852명의 야쿠트인이다. 200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50만 명의 시베리아 타타르인이 있지만, 그중 30만 명은 식민지 시대에 시베리아에 정착한 볼가 타타르인이다.[14] 이 지역에 거주하며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는 다른 민족으로는 약 40만 명의 독일인이 있다.[15]

1875년, 체임버스는 북아시아 인구를 800만 명으로 보고했다.[11] 1801년부터 1914년까지 약 700만 명의 정착민이 유럽 러시아에서 시베리아로 이주했으며, 그중 85%가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25년 동안 이주했다.[16]

2010년 인구 조사[18]에 따른 북아시아의 주요 도시는 다음과 같다.[17]


4. 2. 민족 분포

대부분의 추정에 따르면, 우랄 산맥 동쪽에는 약 3천3백만 명의 러시아 시민이 거주하고 있다. 시베리아에 거주하는 이들 중 대부분은 슬라브계 출신의 러시아인과 러시아화된 우크라이나인이다.[13]

지난 3세기 동안의 러시아화 과정으로 인해, 시베리아 일부 지역의 토착민인 튀르크계 민족, 퉁구스계 민족, 몽골계 민족은 현재 북아시아에서 소수민족이 되었다. 러시아 인구 조사 기록에 따르면 이들은 지역 인구의 약 10%를 차지하며, 그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민족은 445,175명의 부랴트인과 443,852명의 야쿠트인이다. 200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50만 명의 시베리아 타타르인이 있지만, 그중 30만 명은 식민지 시대에 시베리아에 정착한 볼가 타타르인이다.[14] 이 지역에 거주하며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는 다른 민족으로는 약 40만 명의 독일인이 있다.[15]

1875년, 체임버스는 북아시아 인구를 800만 명으로 보고했다.[11] 1801년부터 1914년까지 약 700만 명의 정착민이 유럽 러시아에서 시베리아로 이주했으며, 그중 85%가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25년 동안 이주했다.[16]

북아시아의 민족 분포는 다음과 같다.

5. 행정 구역

북아시아는 러시아의 연방관구 단위 행정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크게 우랄 연방관구, 시베리아 연방관구, 극동 연방관구로 나뉘며, 각 연방관구는 여러 개의 연방주체로 구성된다.

북아시아의 연방관구
연방관구행정 중심지구성 연방주체 수
우랄 연방관구예카테린부르크6개
시베리아 연방관구노보시비르스크10개
극동 연방관구블라디보스토크11개



각 연방관구에 속하는 연방주체, 행정 중심지, 면적, 인구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연방관구

북아시아에는 우랄 연방관구, 시베리아 연방관구, 극동 연방관구가 있다. 우랄 연방관구의 중심 도시는 예카테린부르크이고, 시베리아 연방관구의 중심 도시는 노보시비르스크이며, 극동 연방관구의 중심 도시는 블라디보스토크이다.


5. 2. 연방주체

아시아 러시아(시베리아)의 행정 구역


북아시아는 러시아의 연방관구 단위 행정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연방관구는 여러 개의 연방주체로 나뉜다.

북아시아의 연방주체
연방관구연방주체행정 중심지면적 (km2)인구 (2010년)
우랄 연방관구쿠르간주쿠르간71000km2910,807
스베르들롭스크주예카테린부르크194800km24,297,747
튜멘주튜멘143520km23,395,755
한티만시 자치구(유그라)한티만시스크534800km21,532,243
첼랴빈스크주첼랴빈스크87900km23,476,217
야말로네네츠 자치구살레하르트750300km2522,904
시베리아 연방관구알타이 공화국고르노알타이스크92900km2206,168
알타이 지방바르나울168000km22,419,755
이르쿠츠크주이르쿠츠크774800km22,248,750
케메로보주케메로보95700km22,763,135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크라스노야르스크2366800km22,828,187
노보시비르스크주노보시비르스크177800km22,665,911
옴스크주옴스크141100km21,977,665
톰스크주톰스크314400km21,047,394
투바 공화국키질168600km2307,930
하카스 공화국아바칸61600km2532,403
극동 연방관구아무르주블라고베시첸스크361900km2830,103
부랴트 공화국울란우데351300km2971,021
유대인 자치주비로비잔36300km2176,558
자바이칼스크 지방치타431900km21,107,107
캄차카 지방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464300km2322,079
마가단주마가단462500km2156,996
프리모르예 지방블라디보스토크164700km21,956,497
사하 공화국야쿠츠크3083500km2958,528
사할린주유즈노사할린스크87100km2497,973
하바롭스크 지방하바롭스크787600km21,343,869
추코트카 자치구아나디르721500km250,526


6. 언어

북아시아에서는 다양한 언어가 사용된다. 러시아어가 공용어로서 널리 쓰이며, 그 외에도 여러 소수 민족 언어들이 존재한다.



고려인 사회에서는 한국어의 방언인 고려말이 사용되기도 한다.

참조

[1] 간행물 Валовой региональный продукт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в 2016–2022 гг. https://rosstat.gov.[...] rosstat.gov.ru
[2] 서적 Siberia: A Cul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3] 웹사이트 ВПН-2010 https://web.archive.[...] 2016-04-03
[4] 웹사이트 ВПН-2010 http://www.gks.ru/fr[...] 2016-04-03
[5] 웹사이트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2-12-30
[6] 논문 A fourth Denisovan individual 2017-07
[7] 웹사이트 45,000-Year-Old Man's Genome Sequenced http://www.scientifi[...] 2014-10-23
[8] 논문 Genome sequence of a 45,000-year-old modern human from western Siberia 2014-10-23
[9] 논문 Investigating Holocene human population history in North Asia using ancient mitogenomes 2018-06-12
[10] 서적 Online Only -- Archaeology 2016-06-02
[11] 서적 Chambers's Information for the People https://archive.org/[...] W. & R. Chambers
[12] 서적 World Geomorph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웹사이트 Ukrainians in Russia's Far East try to maintain community life https://web.archive.[...] 2003-05-04
[14] 웹사이트 Фотоатлас "Сибирские татары" https://web.archive.[...] 2002-02-27
[15] 웹사이트 Siberian Germans https://www.encyclop[...]
[16] 논문 Reviewed work: The Great Siberian Migration: Government and Peasant in Resettlement from Emancipation to the First World War, Donald W. Treadgold
[17] 웹사이트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4-07-20
[18] ru-pop-ref 2010Census
[19] 웹사이트 方法論 http://unstats.un.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