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건국전쟁은 이승만의 생애와 대한민국 건국 과정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이승만의 독립운동, 대한민국 건국, 6.25 전쟁, 권위주의 통치, 하와이 망명과 죽음 등 그의 생애 전반을 다루며, 이승만에 대한 다양한 평가와 논쟁을 제시한다. 영화에는 이승만을 비롯한 여러 등장인물들이 등장하며, 영화 제작 과정과 관련된 일화도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 김군 (영화)
김군은 1980년 5월 광주에서 촬영된 한 남자의 사진, 즉 '김군'을 중심으로 5.18 민주화운동의 진실을 추적하는 다큐멘터리 영화로, 강상우 감독이 지만원의 주장에 의문을 품고 김군을 찾아 나서는 과정을 담고 있으며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처음 상영되어 서울독립영화제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 송환 (영화)
김동원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송환》은 비전향 장기수들의 이주를 계기로 전쟁의 상처, 사회 부적응, 탈북 새터민의 삶 등 한국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조명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대한민국의 역사 영화 - 나는 왕이로소이다
나는 왕이로소이다는 2012년 개봉한 한국 영화로, 세종대왕 즉위 전 3개월을 배경으로 왕이 되기를 거부한 충녕대군이 노비와 옷을 바꿔 입으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루며, 주지훈이 1인 2역을 맡아 연기했다. - 대한민국의 역사 영화 - 남한산성 (영화)
남한산성(영화)은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에서 청나라에 항전하는 인조와 신하들의 갈등을 그린 영화로, 주화파와 척화파의 대립과 다양한 인간 군상을 묘사하며, 2017년에 개봉하여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2024년 영화 - 에이리언: 로물루스
2142년, 웨이랜드-유타니 탐사선이 노스트로모호 잔해에서 발견한 고치에서 시작된 《에이리언: 로물루스》는 잭슨 행성 광부 레인 캐러딘과 동료들이 낡은 기지 '르네상스'에서 제노모프, 페이스허거, 체스트버스터, 오프스프링과 사투를 벌이는 이야기로, 실제 특수효과, 연기, 긴박한 전개로 호평받았으나 디지털 복원 논란과 함께 흥행에도 성공했다. - 2024년 영화 - 인사이드 아웃 2
2024년 픽사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 《인사이드 아웃 2》는 13세 소녀 라일리가 고등학교 진학과 아이스하키 팀 입단을 앞두고 겪는 이야기를 배경으로, 의인화된 내면 감정들이 펼치는 이야기와 함께 불안, 질투, 당황, 권태, 향수 등 새로운 감정들이 등장하여 라일리의 사춘기 성장과 감정 변화를 섬세하게 묘사하며, 비평적으로 긍정적인 평가와 흥행 성공을 거두었다.
건국전쟁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The Birth of Korea |
로마자 표기 | Geongukjeonjaeng |
감독 | 김덕영 |
각본 | 김덕영 |
장르 | 다큐멘터리 영화 |
출연 | 이승만, 류석춘 외 실존인물 다수 |
촬영 | 임수영, 헨리 송 (Henry Song), 김덕영 |
편집 | 신민경 |
음악 | 오현규 (오디오 믹싱) |
제작사 | 다큐스토리 프로덕션, 대한민국사랑회, 트루스포럼 |
배급사 | 다큐스토리 프로덕션 |
개봉일 | 2024년 2월 1일 (대한민국) |
상영 시간 | 101분 |
언어 | 한국어 |
2. 이승만의 생애와 독립운동
2. 1. 독립협회 활동과 투옥
2. 2. 미국 유학과 외교 활동
2. 3.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과 갈등
3. 대한민국 건국과 통치
3. 1. 제헌 헌법 제정과 정부 수립
3. 2. 농지개혁과 경제 정책
3. 3. 반공 정책과 국가 안보
4. 6.25 전쟁과 전후 복구
4. 1. 전쟁 중 이승만의 역할
4. 2. 전후 복구와 경제 발전
5. 권위주의 통치와 민주주의 후퇴
5. 1. 발췌 개헌과 사사오입 개헌
5. 2. 3.15 부정선거와 4.19 혁명
6. 하와이 망명과 죽음
6. 1. 망명 과정의 논란
7. 이승만에 대한 평가와 논쟁
7. 1. 긍정적 평가
7. 2. 부정적 평가
7. 3. 역사적 재평가 논의
8. 등장 인물
- 이승만: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 데이빗 필즈: 위스콘신 대학교 아시아연구센터 부소장
- 류석춘: 유튜브 틀딱TV 채널 운영자, 前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이호: 거룩한 대한민국 네트워크 대표
- 송재윤: 맥마스터대학교 교수
- 이한우: 경제사회연구원 사회문화센터장, 전 조선일보 기자
- 그렉 브레진스키: 조지 워싱턴 대학교 교수
- 마이클 브린: 前 주한외신기자클럽 회장
- 에드먼드 황: 하와이 동지회 회장
- 김동균: 하와이 건국대통령 이승만재단 회장
- 정안기: 前 서울대학교 경제연구소 연구원
- 김은규: 트루스포럼 대표
- 이용희: 가천대학교 교수, 에스더기도운동본부 대표
- 황준석: 우남네트워크 공동대표
- 마이클 리: 前 미국 중앙정보국 요원
- 이동욱: KBS 이사, 도서출판 자유전선 대표
- 조슈아 필립: 에포크타임스 선임기자
- 주동완: 코리안리서치센터 원장
- 에이브리 라이더: 미 육군 소령, 밴 플리트 장군의 외손녀
- 앤 고바야시: 前 호놀룰루 시의원
- 캐럴 후쿠나가: 하와이 주 상원의원
- 조혜자: 이승만 대통령의 며느리, 이인수 박사의 아내
- 최옥형: 하와이 이민역사관 운영위원장
9. 기타
영화 제작 당시 처음 제목은 '하와이로 간 대통령'이었다. 이승만 대통령은 스스로 물러난 뒤 이화장을 떠나 부인 프란체스카 여사와 함께 잠깐 하와이로 여행을 떠난 것이었지만, 윤양중 기자가 이를 망명이라 못 박은 오보를 하여 결국 돌아오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구자환 감독은 경남지역 민간인 학살 사건을 다룬 책을 민간인 학살사건 조사 20년을 정리하는 의미로 올해 연말쯤 책을 낼 계획이었으나, 3월 3일 갑자기 들어온 신고들로 페이스북 계정을 일방적으로 삭제당했다. 때마침 당시 극장가에서는 '건국전쟁'이 인기를 끌고 있어서, 항의의 의미로 "'''당신들이 빨갱이라고 죽인 사람들이 누구인지 봐라'''"라는 의미로 ''''빨갱이 무덤''''으로 짓고 7개월가량 앞당겨서 책을 냈다.
참조
[1]
뉴스
"'Birth of Korea': Filmmaker's ode to South Korea's first president"
https://www.koreatim[...]
2024-02-16
[2]
뉴스
"'There is tragedy, but ultimately there is victory': Conservative political film 'The Birth of Korea' causes a stir"
https://koreajoongan[...]
2024-02-29
[3]
뉴스
"Seoul mayor jumps into Syngman Rhee documentary's ideological minefield"
https://koreajoongan[...]
2024-02-21
[4]
뉴스
Cinema and controversy merge in South Korea's historical debate
https://koreapro.org[...]
2024-02-27
[5]
뉴스
New film champions ROK's first president, and his hardline stance on North Korea
https://www.nknews.o[...]
2024-03-05
[6]
뉴스
"'The Birth of Korea' sequel to be released next year"
https://www.koreaher[...]
2024-02-29
[7]
문서
건국전쟁은 다큐멘터리 영화이기 때문에 각본을 받고 연출에 임하는 배우가 존재하지 않는다. 영화를 구성하는 주요 인물은 과거 실존인물이었던 [[이승만]]의 실사 장면과 인터뷰어 일부들로만 구성되어있다.
[8]
문서
오디오 믹싱
[9]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
http://www.loverokor[...]
[10]
뉴스 인용
"'Birth of Korea': Filmmaker's ode to South Korea's first president"
https://www.koreatim[...]
2024-02-16
[11]
뉴스 인용
"'There is tragedy, but ultimately there is victory': Conservative political film 'The Birth of Korea' causes a stir"
https://koreajoongan[...]
2024-0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