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동서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동서로는 북송 시대에 설치된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허난성, 산둥성, 장쑤성 일대에 걸쳐 있었다. 응천부, 습경부, 서주, 흥인부, 동평부, 제주, 단주, 복주, 공주, 광제군 등의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지역은 특산물을 공납하고, 주요 속현을 두었다. 특히 응천부는 송 고종이 즉위한 곳이며, 동평부에는 수호전의 배경이 된 양산박이 위치해 있었다.

2. 행정 구역

송나라 시대에 설치된 로(路) 중 하나로, 1072년(희녕 5년) 기존의 경동로가 경동동로와 경동서로로 분리되면서 설치되었다. 경동서로는 여러 부(府), 주(州), 군(軍)을 관할했으며, 주요 행정 구역은 다음과 같다.


  • '''응천부(應天府)''': 하남군(河南郡), 귀덕군절도(歸德軍節度)가 설치되었다.
  • '''습경부(襲慶府)''': 노군(魯郡), 태녕군절도(泰寧軍節度)가 설치되었다.
  • '''서주(徐州)''': 팽성군(彭城郡), 무녕군절도(武寧軍節度)가 설치되었다.
  • '''흥인부(興仁府)''': 제음군(濟陰郡), 창신군절도(彰信軍節度)가 설치되었다.
  • '''동평부(東平府)''': 동평군(東平郡), 천평군절도(天平軍節度)가 설치되었다.
  • '''제주(濟州)''': 제양군(濟陽郡)이라는 군명을 가졌으며 방어(防禦)가 설치되었다.
  • '''단주(單州)''': 탕군(碭郡)이라는 이명을 가졌으며 단련(團練)이 설치되었다.
  • '''복주(濮州)''': 복양군(濮陽郡)이라는 이명을 가졌으며 단련(團練)이 설치되었다.
  • '''공주(拱州)''': 보경군절도(保慶軍節度)가 설치되었다.
  • '''광제군(廣濟軍)''': 군(軍) 단위 행정 구역이었다.

2. 1. 응천부(應天府)

'''하남군(河南郡), 귀덕군절도(歸德軍節度)'''가 설치되었던 곳이다. 원래 당나라 시기에는 '''송주(宋州)'''였으며, 지도 연간에 경동로 소속이 되었다. 1006년(경덕 3년)에는 '''응천부(應天府)'''로 격상되었고, 1014년(대중상부 7년)에는 '''남경(南京)'''이라는 명칭이 추가로 설치되었다. 1072년(희녕 5년) 경동로가 경동동로와 경동서로로 분리되면서 경동서로의 관할이 되었다. 현재의 허난성 상추 시 일대에 해당한다.

정강의 변으로 인해 수도 개봉성이 금나라에 함락된 후인 1127년, 송 고종이 이곳 응천부에서 황제로 즉위하고 연호를 '''건염(建炎)'''으로 바꾸었다. 그러나 금나라 군대의 거센 공격으로 인해 송 고종은 곧 응천부를 떠나 강녕부로 이동해야 했다.

숭녕 연간의 기록에 따르면 79,741호, 157,400명의 주민이 거주했으며, 명주를 공물로 바쳤다. 응천부에는 아래 표와 같이 6개의 현이 속해 있었다.

응천부의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영릉현寧陵縣상추 시 닝링 현초구현(楚丘縣)과 함께 공주(拱州)에 속했다가 1110년(대관 4년) 본부에 이관되었다. 1114년(정화 4년) 다시 공주로 이관되었다가 1124년(선화 6년)에 최종적으로 응천부 소속이 되었다. 응천부의 치소가 있었다.
송성현宋城縣상추 시 쑤이양 구
곡숙현穀熟縣상추 시 위청 현 곡숙진(穀熟鎭)
하읍현下邑縣상추 시 샤이 현
우성현虞城縣상추 시 위청 현
초구현楚丘縣상추 시 량위안 구영릉현과 함께 공주에 속했다가 1110년 본부에 이관되었다.



또한, 중국 4대 서원 중 하나로 유명한 '''응천서원'''이 이곳에 있어 북송 시대 교육의 중요한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2. 2. 습경부(襲慶府)

원래 연주였으며, '''노군 태녕군절도'''가 설치되었다. 1008년(대중상부 원년)에는 대도독을 두었고, 1118년에 부(府)로 승격되었다. 숭녕 연간에는 71,777호, 217,734명이 거주했다. 공납품으로는 대화릉(大花綾), 먹, 운모, 자수정, 방풍나물, 복령(茯苓) 등을 바쳤다. 총 7개의 현을 관할했으며, 현재의 산둥성 지닝 시 일대에 해당한다.

속현 목록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하현瑕縣지닝 시 옌저우 구1111년에 대악진(岱嶽鎮)으로 치소를 옮겼다. 습경부의 치소가 이곳에 있었다.
봉부현奉符縣타이안 시 타이산 구 태안성(泰安城)한나라 건봉현(乾封縣)이었다. 972년(개보 5년)에 대악진(岱嶽鎮)으로 치소를 옮겼고, 1008년(대중상부 원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사수현泗水縣지닝 시 쓰수이 현
공현龔縣타이안 시 닝양 현
선원현仙源縣지닝 시 취푸 시위나라 곡부현(曲阜縣)이었다. 1012년(대중상부 5년)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래무현萊蕪縣라이우 시
추현鄒縣지닝 시 쩌우청 시1072년에 진(鎮)으로 격하되어 선원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084년에 복구되었다.


2. 3. 서주(徐州)

현재의 쉬저우 시에 위치했다. 대도독과 팽성군, 무녕군절도를 두었다. 1078년 경동로가 경동서로와 경동동로로 분리될 때 경동서로로 이관되었다. 숭녕 연간에는 64,430호 152,237명의 주민이 살았다. 쌍사릉(雙絲綾), 고(槹), 명주를 공납으로 바쳤다. 5현을 두었으며, 주의 치소는 팽성현에 두었다.

속현 목록
현명한자대략적 위치
팽성현彭城縣쉬저우 시
패현沛縣쉬저우 시 페이 현
소현蕭縣쑤저우 시 샤오 현
등현勝縣짜오좡 시 텅저우 시
풍현豊縣쉬저우 시 펑 현


2. 4. 흥인부(興仁府)

제음군 창신군 절도(彰信軍節度)가 있었다. 본래 조주(曺州)였는데, 1101년(건중정국 원년)에 절도를 폐지하고 군명을 창신군에서 흥인군으로 변경했다. 1102년에는 조주를 흥인부로 승격시키고 옛 절도를 다시 설치했다. 공주(拱州)를 동보(東輔)로 승격시키면서 독부(督府)로 삼았으나, 1111년에 독부를 폐지하고 보군(輔郡)으로 격하시켰다. 숭녕 연간에는 35,980호, 66,931명의 주민이 살았으며, 명주와 두루미냉이의 씨앗(葶藶子)을 공납으로 바쳤다. 흥인부는 4개의 현을 관할했다.

속현 목록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제음현濟陰縣허쩌 시 차오 현 서북부의 치소가 있었다.
완정현宛亭縣허쩌 시 서남1086년에 원구현(冤句縣)에서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승씨현乘氏縣허쩌 시본래 허쩌 시 쥐예 현 용고진에 있던 현을 북위 시대에 현재의 허쩌 시 위치로 옮겼다.
남화현南華縣허쩌 시와 허쩌 시 둥밍 현 사이1942년에 폐지되었다.


2. 5. 동평부(東平府)

현재의 산둥성 둥핑 현 일대에 위치했으며, 이명은 동평군이다. 이곳에는 '''천평군절도(天平軍節度)'''가 설치되었다. 1042년(경력 2년)에는 운주(鄆州)에 '''경동서로무안사(京東西路安撫使)'''가 설치되었으나, 1107년(대관 원년) 운주대도독부가 들어섰다. 이후 1114년(정화 4년) 무안사는 응천부로 옮겨졌고, 1119년(선화 원년)에 이르러 동평부로 이름이 바뀌었다.

숭녕 연간에는 130,305호, 396,063명의 주민이 거주했으며, 명주와 아교를 공물로 바쳤다. 동평부는 총 6개의 현을 관할했다.

속현 목록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수성현須城縣타이안 시 둥핑 현 부자파(埠子坡)에서 동평주성(東平州城)으로 이동.1003년(경덕 3년)에 치소를 맹점(孟店)으로 옮겼으며, 부의 치소가 이곳에 있었다.
양곡현陽穀縣랴오청 시 양구 현
중도현中都縣지닝 시 원상현
수장현壽張縣랴오청 시 양구 현 수장진(壽張鎭)
동아현東阿縣랴오청 시 둥어 현
평음현平陰縣지난 시 핑인 현



수호전의 배경으로 잘 알려진 늪과 습지대인 양산박이 동평부 서남쪽에 자리 잡고 있었다.

2. 6. 제주(濟州)

현재의 산둥성 지닝시 서북쪽에 위치했던 상급주(上級州)이다. 제양군(濟陽郡)이라는 군명을 가지고 있었으며, 방어(防禦)가 설치되었다. 총 50,718호, 159,137명의 주민이 살았으며, 아교를 공납으로 바쳤다. 4개의 현을 관할했다.

속현 목록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거야현鉅野縣허쩌시 쥐예 현주의 치소(治所)가 있었다. 양산박 근처에 있다.
임성현任城縣지닝시 런청 구
금향현金鄕縣지닝시 진샹 현
운성현鄆城縣허쩌시 윈청 현양산박 근처에 있다.



주(州) 서북쪽에는 양산박(梁山泊)이 있었다.

2. 7. 단주(單州)

단주는 상급주였으며, 탕군이라는 다른 이름으로도 불렸다. 960년(건륭 원년)에 단련(團練)이 설치되었다. 숭녕 연간에는 61,409호의 가구와 116,969명의 인구가 살았다. 주요 공납품으로는 뱀도랏(蛇床)과 방풍나물이 있었다. 총 4개의 현을 관할했으며, 주의 치소는 단부현(單父縣)에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
단부현單父縣허쩌 시 산 현
탕산현碭山縣쑤저우 시 당산 현
성무현成武縣허쩌 시 청우 현
어태현魚台縣지닝 시 위타이 현


2. 8. 복주(濮州)

상급주로 이명은 복양군이고 단련(團練)이 있었다. 숭녕 연간에는 31,747호 52,681명의 주민들이 살았다. 명주(明紬)를 공납으로 바쳤다. 4개의 현을 관할했으며, 주치소는 견성현(鄄城縣)에 두었다.

속현 목록
현명한자대략적 위치
견성현鄄城縣허쩌 시 쥐안청 현
뇌택현雷澤縣허쩌 시 쥐안청 현 팽루진(彭楼鎭)
임복현臨濮縣허쩌 시 쥐안청 현 임복진(臨濮鎭)
범현範縣푸양 시 판 현


2. 9. 공주(拱州)

현재의 허난성 상추시 일대에 위치했던 행정 구역이다. 본래 경기로 소속의 양읍현(襄邑縣)이었다가 1105년(숭녕 4년)에 주로 승격되면서 보경군절도(保慶軍節度)가 설치되었다. 군액을 받고 동보(東輔)가 되었다. 처음 주로 승격되었을 때는 고성현(考城縣), 응천부의 영릉현(永陵縣), 초구현(楚丘縣), 자성현(柘城縣)을 관할했다.

그러나 1110년에는 다시 양읍현으로 격하되어 개봉에 속하게 되었다. 1114년에 주가 복구되면서 보군(保軍) 역시 다시 설치되었다. 1120년에는 보군이 폐지되고 경동서로 소속으로 변경되었으며, 양읍현, 태강현(太康縣), 영릉현, 여귀현(閭丘縣)을 속현으로 두었다. 4년 뒤인 1124년에는 영릉현은 응천부로, 태강현은 개봉으로 이관되었고, 자성현이 다시 속현으로 편입되었다. 최종적으로 아래의 2개 현을 관할했으며, 주의 치소는 양읍현에 두었다.

속현 목록
현명한자대략적 위치
양읍현襄邑縣상추시 쑤이현
자성현柘城縣상추시 저청 현


2. 10. 광제군(廣濟軍)

963년(건덕 원년) 발운모(發運務)가 설치되었으며, 976년(개보 9년) 보운사(轉運司)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977년(태평흥국 2년) 군(軍)으로 승격되었다. 979년에는 잠시 전주(澶州), 복주(濮州), 제주(濟州), 조주(曺州)를 속주(屬州)로 두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현(縣)으로 격하되었다. 1071년(희녕 4년) 군이 폐지되면서 속현이었던 정도현(定陶縣)은 조주(曺州)에 소속되었다. 이후 1086년(원우 원년) 다시 군으로 복귀하였으며, 1개의 현을 관할했다. 광제군은 현재의 허쩌 시 딩타오 현 일대에 위치했다.

속현 정보
현명한자대략적 위치
정도현定陶縣허쩌 시 딩타오 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