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계양산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계양산성은 삼국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알려진 산성으로,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양산 중턱에 위치해 있다. 한강 하류에 위치하여 백제, 고구려, 신라 시대의 군사적 요충지였으며, 고려와 조선 시대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1.2km의 둘레를 가지며, 외부 성벽은 돌로, 내부는 흙으로 쌓았다. 10차례의 학술 조사를 통해 다양한 유물이 발굴되었으며, 2020년에는 계양산성 박물관이 개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광역시의 기념물 - 교동읍성
    교동읍성은 조선 인조 때 교동도에 돌로 쌓은 읍성으로, 동문, 남문, 북문을 두었으며, 1921년 남문이 붕괴되었으나 2018년 문루가 복원되었다.
  • 인천광역시의 기념물 - 계룡돈대
    계룡돈대는 적의 공격에 대비하여 해안 지역에 설치된 초소로, 조선 숙종 5년에 윤이제가 설치했으며 김포시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어 역사 교육의 장으로 활용된다.
  • 인천광역시의 성 - 강화 초지진
    강화 초지진은 조선 시대 강화 해협 방어를 위해 건설된 요새로, 중요한 수비 역할을 수행했으나 신미양요와 운요호 사건으로 파괴된 후 복원되어 현재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인천광역시의 성 - 강화산성
    강화산성은 고려시대 몽골 침입에 대항하기 위해 강화도에 축조된 산성으로, 내성과 외성으로 구성되었고 조선시대 석성으로 개축되었으며, 현재 동문, 서문, 남문, 북문 등의 성문과 일부 성벽이 복원되어 있다.
계양산성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계양산성
잔존하는 성곽의 모습
잔존하는 성곽의 모습
국가대한민국
위치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2동 산 8번지 외 14필지
유형기념물
지정 번호10
지정일1992년 5월 15일
시대삼국시대
소유자인천광역시 외 42인
면적10만4000m²

2. 역사

한강 하류 초입에 위치하여 백제고구려, 신라의 중요한 군사 거점이었고 고려 시대에도 군사적,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5] 조선 시대에는 부평도호부와 가까운 산성으로서 역사, 교통, 통신, 전략 면에서 중요한 지역이었다.[5] 성의 둘레는 약 1.2km이고, 성벽의 외부는 잘 다듬은 돌로 약 5m 높이로 쌓아 올리고 내부는 흙으로 쌓았다.[5]

2006년 5월 기준으로 동문과 북문 및 수문이 존재하던 터가 남아 있으나, 성 내부에 헬기장과 체육 시설 등이 들어서면서 성의 원형이 많이 훼손되었다.[1] 2020년 5월 28일에는 계양산성 관련 유물과 자료를 전시하는 계양산성 박물관이 개관했다.[4]

2. 1. 삼국시대 ~ 통일신라시대

성을 쌓은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삼국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증보문헌비고》의 〈관방성곽조〉에 의하면 성 둘레가 1,937보(步)라고 기록되어 있다. 1530년의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계양산 고성은 석축으로 둘레가 1,937척으로 지금은 무너져 내렸다"라고 기록되어 있다.[1]

10차례의 학술조사를 통해 한성백제 시기의 목간과 원저단경호(둥근바닥 항아리)와 함께 통일신라 시대의 대표적인 토기인 인화문 토기(찍은 무늬 토기) 등의 유물이 발굴됐다.[3] 화살촉·문확쇠·자물쇠·쇠솥·동곶(대패의 덧날막이)·철정(덩이쇠) 등 다양한 금속유물들도 출토됐다.[3]

2015년 8월에는 방축동 49-3에 위치한 치(雉)가 '토심석축기법'으로 축조되었음이 밝혀졌다.[2]

2. 2. 고려시대 ~ 조선시대

성을 쌓은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삼국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 기록인 《증보문헌비고》 〈관방성곽조〉에는 성 둘레가 1937보(步)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1530년(중종 25년)에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계양산 고성은 석축으로 둘레가 1,937척이며 지금은 무너져 내렸다"고 기록되어 있어[1] 조선 중기에는 이미 폐허 상태였음을 알 수 있다.

3. 구조

계양산성은 계양산(해발 395m) 중턱에 있는 삼국 시대의 퇴뫼식 산성이다.[5] 한강 하류 초입에 위치하여 백제, 고구려, 신라의 중요한 군사 거점이었으며,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도 군사적, 전략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5]

3. 1. 성벽

산성의 둘레는 약 1.2km이고, 성벽의 외부는 잘 다듬은 돌로 약 5m 높이로 쌓아 올렸으며, 내부는 흙으로 다져 쌓았다.[5]

4. 발굴 조사 및 유물

10차례의 학술조사를 통해 한성백제 시기의 목간과 원저단경호(둥근바닥 항아리), 통일신라 시대의 대표적인 토기인 인화문(찍은 무늬) 토기 등 다양한 유물이 발굴되었다. 또한 화살촉, 문확쇠, 자물쇠, 쇠솥, 동곶(대패의 덧날막이), 철정(덩이쇠) 등 여러 금속 유물들도 함께 출토되었다.[3]

2015년 8월에는 방축동 49-3에 위치한 치(雉)가 '토심석축기법'으로 축조된 사실이 확인되었다.[2]

발굴된 유물을 전시하고 연구하기 위해 2020년 5월 28일 계양산성 박물관이 개관하였다.[4]

5. 계양산성 박물관

2020년 5월 28일 계양산성 박물관이 개관했다.[4]

참조

[1] 서적 文化遺蹟分布地圖 : 仁川廣域市 桂陽區·富平區·西區·甕津郡 인천광역시 2007
[2] 뉴스 인천 계양산성 축조 기법은 '토심석축'…국내 첫 발견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08-11
[3] 웹인용 삼국시대 한강유역 교두보 ‘인천 계양산성’ 사적 지정 http://www.korea.kr/[...] 문화체육관광부 2020-05-27
[4] 웹인용 인천 계양산성 박물관 28일 개관 http://news.khan.co.[...] 경향미디어 2020-05-26
[5] 문서 현지 안내문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