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계양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계양역은 인천광역시 계양구에 있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인천국제공항철도의 환승역이다. 두 노선은 지상 2층에 승강장이 있으며,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은 상대식 승강장,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상대식 승강장으로 운영된다. 1994년 역명이 결정되었고, 2007년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인천국제공항철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2020년 검단신도시 개발에 따른 검단연장선이 착공되어 향후 역간 거리가 더욱 길어질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계양구의 전철역 - 귤현역
    귤현역은 인천광역시 계양구 귤현동에 있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지상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 2층 건물이며, 1999년 개통 이후 귤현택지지구 개발로 이용객 수 변동이 있고, 접근성 개선을 위한 추가 출입구 설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 인천 계양구의 전철역 - 박촌역
    박촌역은 1999년에 개통한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지하철역으로, 박 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 많이 살았던 데에서 역명이 유래했으며, 2개의 섬식 승강장과 3개의 선로를 갖춘 지하 2층 규모의 역이다.
  •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역 - 공덕역
    공덕역은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위치한 지하철역으로, 5호선, 6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경의·중앙선 등 4개 노선이 지나가는 환승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인천국제공항철도의 역 - 홍대입구역
    홍대입구역은 서울 지하철 2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환승하는 역으로 홍익대학교 인근 홍대 지역의 중심에 위치하며 다양한 시설이 밀집되어 있고 긴 환승 통로와 9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다.
  •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역 - 부평구청역
    부평구청역은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의 환승역으로, 1999년 1호선 개통 후 2012년 7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2022년부터 인천교통공사가 7호선 구간을 운영하고 두 노선 모두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부평구청 등 주요 시설과 인접해 있다.
  •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역 - 부평역
    부평역은 인천 부평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환승역으로, 경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해 전철역 기능 추가 및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부평역사쇼핑몰, 부평지하상가와 연결되어 다양한 상업 및 편의시설이 인접한 지역 중심지이자 영화 촬영지로도 알려져 있다.
계양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역 정보
계양역 로고
계양역 로고
주소인천광역시 계양구 귤현동 451-267, 다남로 24
운영 기관공항철도㈜
인천교통공사
노선
승강장4면
선로4선
개업일AREX: 2007년 3월 23일
인천 도시철도 1호선: 2007년 3월 16일
운영 정보 (공항철도)
역 번호A06
영업 거리서울역 기점 27.0 km
인접역 (공항철도)이전 역: A05 김포공항, 6.6km
다음 역: A07 검암, 5.5km
운영 정보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역 번호I110
영업 거리계양 기점 0.0 km
승강장 형태상대식 승강장
관리역인천교통공사 1호선 역무사업소 계양관리역
인접역 (인천 도시철도 1호선)다음 역: I111 귤현, 0.8km
한국어 이름 정보
한글계양역
한자桂陽驛
로마자 표기Gyeyang-nyeok
다국어 표기
영어Gyeyang Station
중국어桂阳
일본어桂陽(ケヤン)

2. 구조

인천교통공사공항철도 역이 나란히 배치된 계양역은 두 노선 모두 지상 2층 구조이다. 지상 1층에는 맞이방, 역무실, 개찰구 등이 있고, 승강장은 지상 2층에 있다. 두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1]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고 개찰구는 1곳이다. 역 서쪽에는 유치선 4개가 있다.[2]

인천국제공항철도 승강장도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개찰구는 김포공항 쪽과 검암 쪽 2곳에 있다.[2]

G지상출구
L1대합실개찰구, 승차권 자동 발매기, 역무실
L2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문은 오른쪽으로 열림
서쪽 방면인천 1호선 하차 전용
동쪽 방면인천 1호선 송도달빛축제공원 방면 (귤현)
상대식 승강장, 문은 오른쪽으로 열림
L3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문은 왼쪽으로 열림
동쪽 방면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2터미널 방면 (검암)
서쪽 방면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 방면 (김포공항)
상대식 승강장, 문은 왼쪽으로 열림


2. 1. 환승

인천교통공사의 역과 공항철도의 역이 나란히 있으며, 인천교통공사 역만 도로에 접한다. 공항철도 역에는 별도 출입구가 없고, 인천교통공사 역의 주출입구 1개를 공유한다. 두 역 모두 지상 2층 구조로, 지상 1층에 맞이방, 역무실, 개찰구 등이 있고, 승강장은 지상 2층에 있다. 두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1]

두 노선 간 환승은 지상 1층의 환승통로를 이용한다. 개통 초기에는 인천국제공항철도수도권 전철과 별도 운임 체계를 사용했기 때문에, 각 역의 개찰구를 통해 운임 지역 밖으로 나간 후 다시 환승하려는 노선의 개찰구를 지나야 했고, 운임도 별도로 계산되었다. 이후 인천국제공항철도서울역-청라국제도시 구간에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를 도입하면서, 기존 통로를 확장하고 운임 지역을 구분하는 펜스를 설치하고 개찰구를 이전하여 2010년 12월 29일부터 추가 운임 없이 환승이 가능해졌다.[1]

2. 2.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한쪽은 계양 종착 열차가, 다른 한쪽은 송도달빛축제공원 방면 열차가 사용한다. 역 서쪽에는 4편성 규모의 유치선이 있어 회차나 주박에 사용된다. 인근의 귤현차량사업소와 직접 연결되는 선로는 없다. 승강장 벽면에는 계양산성을 형상화한 벽화가 그려져 있다.[1]

2020년 11월 11일검단신도시 개발에 따른 교통난 해소의 일환으로, 검단연장선이 착공됐으며, 향후 경인아라뱃길 하저통과를 위해 32‰의 하구배가 현 본선과 연결된 유치선의 연장선에 생길 예정이다. 인천1호선 검단연장선 기본계획 변경 문서에 의하면, 본 역과 101역간거리는 4.052km로, 현재 본 노선에서 역간거리가 가장 긴 동막-캠퍼스타운(1.67km)보다 두 배 이상 길다.[1]

1호선 홈


인천 1호선 홈 (2007년 7월 22일)

상행당역 종착 (검단호수공원 예정)
하행부평구청 · 인천시청 · 원인재 · 송도달빛축제공원 방면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고가역이다. 인천 도시철도에서 처음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이다. 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가 완비되어 있다. 역 서쪽에는 유치선이 4개 있다. 개찰구는 1곳 있다.[2]

1호선 개통 당시에는 이 역이 설치되지 않았지만, 인천국제공항철도와의 연계를 확보하기 위해 연장・연락역 설치를 결정했다.[2] 안내상의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2]

2. 3. 인천국제공항철도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승강장 (2007년 3월 24일)

3. 역사

4. 역 주변

계양역 앞에는 환승 주차장과 버스 정류장이 있다. 역 주변은 개발제한구역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대개 논·밭이나 임야이다. 인근 주거 지역과는 주로 버스를 통해 연결된다.

5. 이용객 변동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
인천 도시철도 1호선승차3,2154,0474,6415,9462,6762,9523,647[5]
하차2,9953,7824,3955,6852,5693,0003,703
승하차6,2107,8299,03611,6315,2455,9527,350
인천국제공항철도승차2,0573,3354,1025,70810,42823,36426,954[6]
하차1,9643,1944,0365,42610,20222,83526,194



연도인천 도시철도 1호선[2]인천국제공항철도[3]전체 합산비고
합계1일 평균합계1일 평균합계1일 평균
2007년승차935,4923,215716,9922,5251,652,4844,527인천 도시철도 1호선은 291일 운용
인천국제공항철도는 284일 운용
전체 합산은 365일 운용 기준
하차871,4792,995750,9852,6441,622,4644,445
합계1,806,9716,2101,467,9775,1693,274,9488,972
2008년승차1,481,1444,0471,169,0533,1942,650,1977,241rowspan="3" style="text-align: center;" |
하차1,384,3473,7821,220,6033,3352,604,9507,117
합계2,865,4917,8292,389,6566,5295,255,14714,358
2009년승차1,693,8624,6411,473,0814,0363,166,9438,677rowspan="3" style="text-align: center;" |
하차1,604,1814,3951,497,3604,1023,101,5418,497
합계3,298,0439,0362,970,4418,1386,268,48417,174
2010년승차2,170,2215,946rowspan="3" style="text-align: center;" |
하차2,075,0975,685
합계4,245,31811,631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2007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7년 3월 16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291일 기준으로, 인천국제공항철도의 2007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7년 3월 23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284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5][6]

6. 인접한 역


참조

[1] 웹사이트 계양역 http://terms.naver.c[...] Doopedia 2015-09-02
[2] 간행물 일반자료실 http://www.incheonme[...] 인천교통공사
[3] 간행물 《2009 철도통계연보》 http://info.korail.c[...] 코레일공항철도,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 코레일공항철도 2010-11-20
[4] 문서 인천직할시고시 제94-35호 1994-03-19
[5] 웹인용 인천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 일반 자료실 http://www.ictr.or.k[...] 2016-10-06
[6] 자료실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http://info.korail.c[...]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