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도시철도 1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은 인천광역시의 도시 철도 노선으로, 1993년 착공하여 1999년 박촌역에서 동막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연장되어 계양역, 국제업무지구역, 송도달빛축제공원역까지 운행하며, 2025년 5월에는 검단신도시까지 연장될 예정이다. 수도권 통합요금제가 적용되며,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 지하철 7호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등과 환승이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에서 운행하는 중형 전동차이며, 1998년부터 2025년까지 3차에 걸쳐 제작되었고, 8량 1편성으로 귤현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계양역에서 송도달빛축제공원역 구간을 운행한다. - 199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은 부산광역시를 동서 방향으로 운행하는 도시 철도 노선으로, 1999년 1단계 구간 개통 이후 여러 차례 연장 공사를 거쳐 현재 양산역까지 운행하며 향후 연장 계획이 있다. - 199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카타니아 지하철
카타니아 지하철은 이탈리아 시칠리아주 카타니아에서 운영되는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1895년 건설된 협궤 철도 일부를 활용하여 표준궤로 개량 후 1999년 개통되었으며, 현재 확장 공사 중이고 이탈리아 본선 철도와 동일한 가선 방식을 사용한다. - 인천광역시의 철도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인천광역시의 철도 -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서울과 인천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으로, 서울역, 김포공항역, 인천공항1터미널역 등을 지나 직통열차와 일반열차를 운행한다.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노선 이름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로마자 표기 | Incheon Il Hoseon |
한자 표기 | 仁川一號線 |
노선 종류 | 도시 철도 |
운영 체계 | 수도권 전철(인천 도시철도) |
노선 상태 | 영업 중 |
개통일 | 1999년 10월 6일 |
노선 길이 | 30.3 km |
역 개수 | 30 |
소유자 | 인천광역시 |
운영자 | 인천교통공사 |
차량 기지 | 귤현차량사업소 |
사용 차량 |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수 | 2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방식 |
신호 방식 | LZB/ATO |
운전 방식 | 수동 운전/반자동 운전 |
최고 속도 | 80km/h (LZB/ATO 구간) |
웹사이트 | 인천교통공사 |
노선 색상 | #8cadcb |
노선 정보 | |
기점 | 계양역 |
종점 | 송도달빛축제공원역 |
이미지 | |
![]() | |
![]() | |
![]() | |
역 목록 | |
역 번호 | I110 |
역 이름 | 계양역 |
역 번호 | I111 |
역 이름 | 귤현역 |
역 번호 | I112 |
역 이름 | 박촌역 |
역 번호 | I113 |
역 이름 | 임학역 |
역 번호 | I114 |
역 이름 | 계산역 |
역 번호 | I115 |
역 이름 | 경인교대입구역 |
역 번호 | I116 |
역 이름 | 작전역 |
역 번호 | I117 |
역 이름 | 갈산역 |
역 번호 | I118 |
역 이름 | 부평구청역 |
역 번호 | I119 |
역 이름 | 부평시장역 |
역 번호 | I120 |
역 이름 | 부평역 |
역 번호 | I121 |
역 이름 | 동수역 |
역 번호 | I122 |
역 이름 | 부평삼거리역 |
역 번호 | I123 |
역 이름 | 간석오거리역 |
역 번호 | I124 |
역 이름 | 인천시청역 |
역 번호 | I125 |
역 이름 | 예술회관역 |
역 번호 | I126 |
역 이름 | 인천터미널역 |
역 번호 | I127 |
역 이름 | 문학경기장역 |
역 번호 | I128 |
역 이름 | 선학역 |
역 번호 | I129 |
역 이름 | 신연수역 |
역 번호 | I130 |
역 이름 | 원인재역 |
역 번호 | I131 |
역 이름 | 동춘역 |
역 번호 | I132 |
역 이름 | 동막역 |
역 번호 | I133 |
역 이름 | 캠퍼스타운역 |
역 번호 | I134 |
역 이름 | 테크노파크역 |
역 번호 | I135 |
역 이름 | 지식정보단지역 |
역 번호 | I136 |
역 이름 | 인천대입구역 |
역 번호 | I137 |
역 이름 | 센트럴파크역 |
역 번호 | I138 |
역 이름 | 국제업무지구역 |
역 번호 | I139 |
역 이름 | 송도달빛축제공원역 |
2. 역사
1993년 김영삼 정부의 핵심 공약으로 추진된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은 인천광역시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노선이다. 경인선(수도권 전철 1호선)을 보조하고 계양구와 연수구의 신시가지에 도시 철도 교통을 제공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계양구 계양역에서 출발하여 계산, 작전, 연수 등의 주거 지역과 부평, 구월 등의 상업 지구, 부평공단과 남동공단을 거쳐 송도국제도시까지 이어진다. 부평역-간석오거리역 구간은 만월산을 관통하지 않고 경인선과 약 500m 떨어진 곳을 유사하게 운행한다.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관련된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일자 | 내용 |
---|---|
1998년 12월 17일 ~ 1999년 6월 3일 |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반입 |
2007년 10월 25일 |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2차분 초도차량(126편성) 반입 |
2009년 10월 10일 | 수도권 통합요금제 확대 적용 |
2014년 12월 6일 | 전 역사 스크린도어 설치 완료 |
2020년 11월 11일 | 검단신도시 ~ 계양 구간 착공 |
2023년 11월 8일 ~ 12월 3일 | 검단신도시 ~ 계양 구간 역명 선호도 조사 |
2. 1. 개통 및 연장
1993년 7월 5일 문민정부(김영삼 정부)의 핵심 공약으로 착공되어, 1999년 10월 6일 박촌역에서 동막역까지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다.[8] 이는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에 이어 대한민국에서 4번째로 건설된 도시철도였다.인천 도시철도 1호선은 경인선을 보조하고 계양구와 연수구의 신시가지에 도시철도 교통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인천광역시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노선으로 추진되었다.
개통 및 연장 일지는 다음과 같다.
일자 | 내용 |
---|---|
1993년 7월 5일 | 착공 |
1999년 10월 6일 | 박촌역~동막역 구간 개통[8] |
1999년 12월 7일 | 귤현역~박촌역 구간 개통 |
2007년 3월 16일 | 계양역~귤현역 구간 개통 |
2007년 3월 23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계양역 환승 개통 |
2009년 6월 1일 | 동막역~국제업무지구역 구간 개통[9] |
2020년 12월 12일 | 국제업무지구역~송도달빛축제공원역 구간 개통 |
2025년 6월 경에는 검단신도시 개발에 따른 교통난 해소를 위해 검단 연장 구간이 개통될 예정이다.
2. 2. 역명 변경
2. 3. 기타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은 1993년 7월 5일에 착공되었다.[6] 1999년 10월 6일 박촌 - 동막 구간이 처음 개통되었고,[8] 같은 해 12월 7일 귤현 - 박촌 구간이 추가로 개통되었다. 2007년 3월에는 계양 - 귤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09년 6월 1일에는 동막 - 국제업무지구 구간이 개통되었다.[9] 2020년 12월 12일에는 국제업무지구 - 송도달빛축제공원 구간이 개통되어 현재의 노선이 완성되었다.개통 이후 여러 차례 역명이 변경되기도 하였다. 1995년 4월 10일 북구청역이 부평구청역으로,[7] 2003년 12월 15일에는 인천교대역이 경인교대입구역으로 변경되었다. 2024년 1월 3일에는 검단신도시 ~ 계양 구간의 역명이 확정되었는데,[10] I109역은 아라(북부법원·검찰청)역, I108역은 신검단중앙역, I107역은 검단호수공원역으로 결정되었다.
또한, 다른 노선과의 환승역도 추가되었다. 2007년 3월 23일 인천국제공항철도 계양역 , 2012년 6월 30일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원인재역, 2012년 10월 27일 서울 지하철 7호선 부평구청역, 2016년 7월 30일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인천시청역과의 환승이 가능해졌다.
2014년 12월 6일에는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가 설치 완료되었다. 2020년 11월 11일에는 검단신도시 ~ 계양 구간이 착공되었다.
2. 4. 향후 계획
2025년 5월경, 검단신도시 개발에 따른 교통난 해소를 위해 검단 연장 구간이 개통될 예정이다.[3][4] 검단신도시 개발에 따른 교통 수요 충족을 위해 노선을 북쪽으로 3개 역을 연장하는 계획이 제시되었으며, 2020년 11월에 공사가 시작되었다.3. 운영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은 계양행과 송도달빛축제공원행 열차가 주를 이루며, 일부 박촌행 열차가 귤현기지사업소로 입고한다. 전 구간 운행에는 편도 56분이 소요된다.[5]
대부분의 열차가 전 구간을 운행하며, 일부는 박촌역 - 국제업무지구역 구간을 운행한다. 막차 시간대에는 중간역에서 종착하는 열차도 운행된다. 심야 주박역은 아래 표와 같다.
연도 | 심야 주박역 |
---|---|
2005년 | 인천시청역 |
2007년 | 계양역, 박촌역, 인천시청역, 신연수역, 동막역 |
2009년 | 계양역, 박촌역, 인천시청역, 신연수역, 국제업무지구역 |
2011년 | 계양역, 예술회관역, 신연수역, 동막역, 국제업무지구역 |
2020년 | 계양역, 예술회관역, 신연수역, 동막역, 국제업무지구역, 송도달빛축제공원역 |
차량은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를 사용하며, 부산 도시철도 1호선, 2호선, 3호선, 대구 도시철도 1호선, 2호선 등과 동일한 18m급 중형 중량 전철이다. 개통 이래 모든 열차는 8량 1편성으로 운행되며, 귤현차량사업소에 소속되어 있다.[5]
승차권으로는 1회용 교통카드, 충전식 선불 교통카드,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일부 신용카드 등을 이용한다. 수도권 통합요금제가 적용되어 수도권 전철의 다른 노선과 환승할 때 별도 정산이 필요 없다. 계양역에서 인천국제공항철도와 환승할 경우에는 환승개찰구를 통과해야 하지만, 추가 운임은 없다.
2004년 11월 30일부터 인천광역시 시내버스와의 환승할인제가 시행되었으나, 초기에는 인천 도시철도 역 개찰구에서만 적용되었다. 2009년 10월 10일 수도권 통합요금제 확대로 개찰구에 관계없이 환승할인이 가능해졌다. 개통 당시부터 수도권 전철과 운임 체계를 공유하며, 마그네틱 승차권 규격도 공유하되 도안은 독자적인 것을 사용하였다.
3. 1. 열차 운행
이 노선은 계양행과 송도달빛축제공원행이 주를 이룬다. 박촌행 열차가 운행을 마치고 귤현기지사업소로 입고한다. 전 구간 운행에는 편도 56분이 소요된다.[5]대부분의 열차가 전 구간을 운행하며, 일부는 박촌역 - 국제업무지구역 구간을 운행한다. 막차 시간대에는 중간역에서 종착하는 열차도 운행된다.
심야 주박역은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
연도 | 심야 주박역 |
---|---|
2005년 | 인천시청역 |
2007년 | 계양역, 박촌역, 인천시청역, 신연수역, 동막역 |
2009년 | 계양역, 박촌역, 인천시청역, 신연수역, 국제업무지구역 |
2011년 | 계양역, 예술회관역, 신연수역, 동막역, 국제업무지구역 |
2020년 | 계양역, 예술회관역, 신연수역, 동막역, 국제업무지구역, 송도달빛축제공원역 |
3. 2. 차량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를 사용한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2호선, 3호선, 대구 도시철도 1호선, 2호선 등 전동차와 동일한 18m급의 중형 중량 전철 차량을 사용하며, 개통 이래 모든 열차는 8량 1편성으로 운행된다. 모든 차량은 귤현차량사업소에 소속되어 있다.[5]이 노선은 8량 편성 열차 34편성을 사용한다. 1998년부터 1999년 사이에 대우중공업과 로템이 25편성을 제작했고, 2007년부터 2008년 사이에는 현대로템이 노선 연장에 따라 열차를 추가 공급하기 위해 9편성을 제작했다.
1000호대 전동차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IGBT-VVVF 인버터 제어를 채용했다. 개통 당시 도입된 1차차와 동막 - 국제업무지구 구간이 개통될 때 도입된 2차차가 있다.
3. 3. 운임
승차권으로는 수도권 전철 각 역에서 발매되는 1회용 교통카드와 충전식 선불 교통카드,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일부 신용카드 등을 이용한다. 수도권 전철의 일부로서 수도권 통합요금제가 적용되며, 수도권 전철에 속하는 다른 노선과 환승할 때 승객이 별도의 정산을 할 필요는 없다. 단, 계양역에서 인천국제공항철도와 환승할 경우에는 환승개찰구를 통과하여야 하나, 이때에도 운임이 부가되지는 않는다.2004년 11월 30일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를 대상으로, 수도권 전철을 제외한 타 교통수단과의 환승할인제가 처음 실시되었다. 그러나 이는 인천광역시가 단독으로 시행한 것이었기 때문에 인천 도시철도 역 개찰구를 통과할 때만 적용되었으며, 수도권 전철 1호선과 환승역인 부평역에서는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개찰구를 사용하는 경우 적용되지 않았다. 2009년 10월 10일 수도권 통합요금제가 확대 시행되면서 사용한 개찰구에 관계없이 환승할인이 적용되게 되었다.
운임 체계는 개통 당시부터 수도권 전철과 공유하고 있다. 승차권 또한 수도권 전철의 다른 노선에서 사용하던 마그네틱 승차권의 규격을 공유하였고, 다만 도안을 독자적인 것으로 사용하였다.
4. 역 목록
거리
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