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대 노르웨이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대 노르웨이어는 11세기경 자음 조합 hl-, hn-, hr-의 h가 사라지는 등 고대 아이슬란드어와 차이를 보였으며, 높이 기반 모음 조화 체계를 가지는 등 특징을 보였다. 또한, 공통 노르드어의 대명사와 다른 대안적 형태를 사용했다. 노른어는 북게르만어파에서 유래된 사멸 언어로, 오크니, 셰틀랜드, 케이즈니스 등지에서 사용되었으나 19세기 후반 또는 20세기 초에 사멸했다. 흑사병으로 인해 중세 노르웨이어는 격 체계 소멸, 어미 활용 단순화 등의 변화를 겪었으며 음소 목록에도 변화가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어 - 러시아노르웨이어
    러시아노르웨이어는 18세기에서 20세기 초 노르웨이 북부와 러시아 간의 무역에서 발생한 피진으로, 노르웨이어와 러시아어 어휘가 혼합되어 물물교환에 사용되다가 1920년대에 소멸되어 현재는 언어학 연구 대상이다.
  • 노르웨이어 - 뉘노르스크
    뉘노르스크는 이바르 오센이 노르웨이어 방언을 기반으로 창안하여 덴마크어 영향을 받은 기존 문어에 대한 반발과 민족주의 운동의 결과로 탄생한 노르웨이의 두 공식 서면어 중 하나이며, 특히 서부 노르웨이 지역에서 널리 사용된다.
고대 노르웨이어
언어 정보
이름고대 노르웨이어
로마자 표기gammelnorsk
원어 이름norrǿnn mál
사용 지역노르웨이 왕국 (872–1397)
사용 시기11세기–14세기
어족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게르만어파
어군북게르만어군
분파서스칸디나비아어군
하위 언어노르웨이어
계통
조상 언어인도유럽조어
게르만조어
노르드조어
고대 노르드어
고대 서노르드어
문자 체계
문자중세 룬 문자
라틴 문자
언어 부호
ISO 639-3해당 없음
글롯톨로그해당 없음
고대 노르드어
방언서노르드어
동노르드어
고대 고틀란드어
서노르드어고대 아이슬란드어
고대 노르웨이어
그린란드 노르드어
동노르드어고대 덴마크어
고대 스웨덴어
사용철자법
룬 문자
라틴 문자
문법
음운론
형태론
문학시문학
에다
스칼드
사가
포르날다르 사가
아이슬란드 사가
사트르
제1문법논문
조상 언어인도유럽조어
게르만 조어
노르드 조어
후손 언어덴마크어
페로어
아이슬란드어
노른어(사멸)
노르웨이어
스웨덴어
기타노르드 어원의 영어 낱말 목록

2. 고대 노르웨이어의 특징

고대 노르웨이어는 고대 서부 노르드어의 한 형태로, 고대 아이슬란드어와 여러 차이점을 보인다.

11세기경 고대 노르웨이어에서는 자음 조합 hl-, hn-, hr-의 h가 사라졌다. 또한, 고대 노르웨이어에는 공통 노르드어의 ''vit'', ''vér''에 대한 대안적인 2인칭 복수 및 1인칭 복수 대명사 ''mit'', ''mér''이 있었다.[8]

2. 1. 고대 노르웨이어와 고대 아이슬란드어의 차이점

11세기경 고대 노르웨이어에서는 자음 조합 hl-, hn-, hr-의 h가 사라졌지만, 고대 아이슬란드어에서는 보존되었다. 예를 들어 고대 아이슬란드어 ''hlíðmis'' (비탈), ''hnígamis'' (), ''hringrmis'' (반지)는 고대 노르웨이어에서 각각 ''líðmis'', ''nígamis'', ''ringrmis''로 나타난다.[3][4]

많은 고대 노르웨이어 방언들은 높이 기반의 모음 조화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강세를 받는 높은 모음(,, , , , )과 이중모음(, , ) 다음에 무강세 모음 와 는 'i', 'u'로 나타나지만, 긴 높지 않은 모음(, , , , ) 다음에는 'e', 'o'로 나타난다. 강세를 받는 짧은 높지 않은 모음(, , , , , ) 다음의 상황은 많은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개별 방언에서 분명히 달랐다.[5]

''u''-변화음을 받은 짧은 (표준화된 고대 노르드어에서는 'ǫ'로 표기)는 특히 동부 방언 지역의 문헌에서 고대 아이슬란드어처럼 일관되게 음운론적으로 구분되지 않는다.[3][6][7] 이것이 음운론적으로 변화음의 부재로 해석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단순히 그래픽 표현의 부재로 해석되어야 하는지는 여전히 학계에서 논쟁 중이다.[7]

고대 노르웨이어에는 공통 노르드어의 ''vit'', ''vér''에 대한 대안적인 2인칭 복수 및 1인칭 복수 대명사 ''mit'', ''mér''이 있었다.[8]

3. 노른어

노른어는 19세기 후반 또는 20세기 초에 사멸한 북게르만어파 언어이다. 오크니(Orkney, Orkneyjar), 셰틀랜드(Shetland, Hjaltland), 스코틀랜드 북단의 케이즈니스(Caithness) 등 북부 제도에서 사용되었다. 케이즈니스 노른어는 15세기에 사멸하여 스코틀랜드어로 대체된 것으로 추정되며, 오크니 노른어와 셰틀랜드 노른어로 된 몇몇 문헌만 남아 있다.

3. 1. 노른어의 쇠퇴

노른어는 19세기 후반 또는 20세기 초에 사멸한 북게르만어파에서 유래한 사멸 언어이다. 주로 북부 제도, 즉 오크니와 셰틀랜드, 그리고 스코틀랜드 북단의 케이즈니스에서 사용되었다. 케이즈니스 노른어는 15세기에 사멸하여 스코틀랜드어로 대체된 것으로 추정되며, 오크니 노른어와 셰틀랜드 노른어로 된 몇몇 문헌(문학 작품)만 남아 있다.

17세기와 18세기의 자료에 따르면 노른어는 종종 덴마크어, 고대 노르드어, 또는 노르웨이어로 잘못 분류되었지만, 오크니보다 셰틀랜드에서 더 많이 사용되었고 급격히 쇠퇴하고 있었다. 1850년에 사망한 월터 서덜랜드가 일반적으로 마지막 원어민 화자로 여겨지지만, 20세기까지도 풀라와 언스트 섬에서, 아마도 시와 노래 형태로 노른어가 사용되었다는 주장이 많다.

4. 중세 노르웨이어

1349년 흑사병노르웨이에 전파되면서 노르웨이어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9][10] 1350년부터 1550년까지 사용된 중세 노르웨이어는 여러 변화를 겪었다. 문법적으로 체계가 사라지고 동사 변화가 단순화되었으며, 일부 방언에서는 모음약화 현상이 나타났다. 음소 목록에서는 마찰음 /θ/, /ð/가 각각 파열음 /t/, /d/로 통합되었다.

4. 1. 중세 노르웨이어의 변화

흑사병이 1349년 노르웨이를 강타하여 인구의 60% 이상이 사망했다.[9] 이는 이후 노르웨이어의 발전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10] 1350년부터 약 1550년까지 노르웨이에서 사용된 언어는 일반적으로 중세 노르웨이어로 불린다. 이 언어는 여러 가지 변화를 겪었다. 어미 활용이 단순화되었고, 그 결과 이 사라지고 동사의 인칭 어미가 통합되었다. 일부 방언, 특히 노르웨이의 일부 지역에서는 모음 축약도 일어나, 단어 끝의 많은 무성모음이 공통적인 "e"로 축약되었다.

음소 목록도 변화를 겪었다. 문자 þ와 ð로 표기되는 치찰음은 노르웨이어에서 사라졌는데, 각각 t와 d로 표기되는 동등한 파열음과 합쳐지거나 완전히 소실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Ordbøkene.no - Bokmålsordboka og Nynorskordboka https://ordbokene.no[...] 2023-12-15
[2] 서적 The Nordic Languages: An International Handbook of the History of the North Germanic Languages Walter de Gruyter
[3] 서적 The Nordic Languages: An International Handbook of the History of the North Germanic Languages Walter de Gruyter
[4] 서적 The Germanic Languages Routledge
[5] 웹사이트 Homepage of a symposium on Old Norwegian vowel harmony, held in Bergen in March 2015 http://folk.uib.no/h[...]
[6] 서적 An Introduction to Old Norse Clarendon Press
[7] 학술지 Some Aspects of Nordic Umlaut and Breaking https://www.jstor.or[...] 1963
[8] 서적 An Icelandic-English Dictionary http://lexicon.ff.cu[...]
[9] 웹사이트 Svartedauden enda verre enn antatt http://www.forskning[...] Forskning.no 2004-08-01
[10] 서적 The Languages of Scandinavia: Seven Sisters of the North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7-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