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노르웨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노르웨이어는 18~19세기 노르웨이인과 러시아인 사이의 무역에서 사용된 혼성 언어이다. 이 언어는 노르웨이어와 러시아어를 기반으로 하며, 두 언어의 문법과 어휘가 혼합되어 있다. 1923년 마지막 노르웨이-러시아 무역이 종료되면서 소멸되었다. 러시아노르웨이어는 노르웨이어 문법의 영향을 받았으며, 일부 학자들은 이를 러시아어의 영향을 받은 노르웨이어의 변종으로 간주한다. 어휘는 러시아어, 노르웨이어, 기타 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약 400단어의 코퍼스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수르지크어
수르지크어는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의 혼합어로, 러시아의 지배로 인한 언어적 동화 과정에서 발생하여 우크라이나의 언어 및 문화적 정체성과 관련된 복잡한 쟁점을 내포한다. - 러시아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러시아어식 영어
러시아어식 영어(렁글리시)는 러시아어와 영어의 혼합 언어로, 브라이턴 비치와 국제 우주 정거장 같은 환경에서 사용되며, 어휘 변화, 문법 오류 등의 특징을 보이고 언어 순수성 논쟁을 야기하기도 한다. - 동슬라브어군 - 루신어
루신어는 카르파티아 산맥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는 동슬라브어로, 카르파티아 루신어와 판노니아 루신어로 나뉘며, ISO 639-3 코드 'rue'를 부여받아 독립적인 언어로 인정받고 있고, 여러 국가에서 소수민족 언어로 보호받지만 우크라이나에서는 우크라이나어의 방언으로 간주된다. - 동슬라브어군 - 루테니아어
루테니아어는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의 조상 언어로, 학자들은 '루테니아어'라는 외부 명칭을 포함한 다양한 명칭으로 이 언어와 변종을 지칭하며, 리투아니아 대공국에서 행정 언어로 발전했다. - 노르웨이어 - 뉘노르스크
뉘노르스크는 이바르 오센이 노르웨이어 방언을 기반으로 창안하여 덴마크어 영향을 받은 기존 문어에 대한 반발과 민족주의 운동의 결과로 탄생한 노르웨이의 두 공식 서면어 중 하나이며, 특히 서부 노르웨이 지역에서 널리 사용된다. - 노르웨이어 - 이바르 아센
이바르 아센은 노르웨이의 언어학자이자 작가로서 란스몰(후일 뉘노르스크)이라는 새로운 노르웨이어 문어 체계를 창시하고 노르웨이어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업적은 노르웨이 민족주의 운동과 문화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러시아노르웨이어 | |
---|---|
기본 정보 | |
이름 | 루세노르스크 |
다른 이름 | 루소노르스크 |
시대 | 18세기~19세기 |
지역 | 노르웨이 북부 |
언어 정보 | |
언어 계통 | 러시아어 - 노르웨이어 피진 |
ISO 639-3 | 해당 없음 |
Linglist | qcu |
Glottolog | russ1267 |
Glottolog 이름 | Russenorsk |
2. 역사
러시아노르웨이어의 역사는 18~19세기로 한정된다. 러시아 혁명 때 이 언어의 사용이 끝났고, 마지막 노르웨이-러시아 무역이 있었던 1923년에 이 언어가 소멸했던 것으로 알려진다.
러시아노르웨이어는 문법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속어와 구별된다. 많은 사람들이 러시아노르웨이어를 피진으로 취급하지 않으며, 라이덴 대학의 프레데리크 코르틀란트는 러시아노르웨이어가 노르웨이어에 러시아어가 첨가된 변종이라고 주장한다.[13] 러시아노르웨이어는 주로 노르웨이어 문법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러시아의 영향을 받은 노르웨이어의 변종이라고 결론 내리기도 했다.[13]
러시아인과 노르웨이인 사이의 물물교환은 Troms와 Finnmark에서 150년 동안 이루어졌다. 이 물물교환은 노르웨이 정부의 지원을 받았으며, 크리스티안 7세 국왕은 이를 촉진하기 위해 Tromsø와 같은 여러 정착지에 도시 지위를 부여했다.[3] 노르웨이인들은 주로 생선을 러시아인에게서 밀가루와 밀로 교환했다. 이 무역은 일년 중 햇볕이 잘 드는 달 동안 계속되었으며 양측 모두에게 이익이 되었다. 노르웨이인들은 여름에 저렴한 생선을 얻을 수 있었고, 러시아인들은 잉여 밀을 얻을 수 있었다.[4] 상인들은 무르만스크와 백해 인근 지역에서 왔으며, 대부분 Vardø, Hammerfest 및 Tromsø에 왔고, 가끔 더 남쪽의 로포텐 제도까지 오기도 했다.[5]
Russenorsk의 가장 초창기 기록은 1785년에 있었다. 그것은 가장 많이 연구된 북부 피진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많은 언어학자 Olaf Broch가 이를 연구했다. 적도 피진과는 달리, 그것은 노르웨이어와 러시아어의 두 언어로만 형성되었다. 또한, 이 언어들은 인도유럽어족의 같은 분파에서 나오지 않았다. 또한 적도 피진과는 달리, Russenorsk는 한 사회 계급에서 형성되었다.[7]
1850년까지 Russenorsk는 모든 사회 계급에서 사회적으로 용인되었다. 1850년에 Russenorsk는 노르웨이 어부들에게 더 제한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노르웨이 상인들은 아르한겔스크와 러시아 무역 중심지에서 노출을 통해 러시아어를 배웠다.[1] 그들은 종종 기본적인 러시아어로 소통할 수 있을 정도로 언어를 정식으로 공부했다. 이러한 러시아어 연구의 증가는 Russenorsk의 사회적 지위가 평가 절하되는 결과를 낳았다.[5]
1917년, 핀란드 독립 선언으로 인해 러시아-노르웨이 국경이 크게 감소했다. 1919년에는 국경이 완전히 사라졌다.[8] 또한, 소비에트 연방은 국제적 접촉을 크게 제한하여 노르웨이인과 러시아인 사이의 공통 언어의 필요성을 감소시켰다. 마지막 노르웨이-러시아 무역은 1923년에 이루어졌다.
3. 문법
러시아노르웨이어 화자들은 메타언어적 인식이 부족하여, 상대방의 언어를 사용한다고 믿었을 수 있다. 즉, 러시아인들은 노르웨이어를, 노르웨이어 화자들은 러시아어를 사용한다고 믿었을 것이다.
동사 활용은 명확하지 않으며, 동사의 주요 지표는 -omcrp 접미사이다. 예를 들어, kapitan på kajuta slipomcrp (선장이 선실에서 잠을 자다)와 같다. 주격 명사는 보통 -acrp로 끝난다. 복문 또는 종속절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접속사는 jacrp, icrp, 그리고 jescrp이다. Kakcrp는 의문사로 사용된다. 일반적인 어순은 SVO이며, 의문문과 부사가 있는 문장의 경우 약간의 변형이 있다.[14]
형태론은 광범위하지 않지만, 몇 가지 독특한 특징이 있다. 어미 -ommis은 러시아어나 노르웨이어에서 유래하지 않았지만, 솔롬발라 영어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 노르웨이어에서 유래한 어미 -mannmis은 국적이나 직업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예를 들어 russmanncrp ('러시아인'), burmanncrp ('노르웨이인'), kukmanncrp ('상인')이 있다. 다른 형태론적 특징으로는 morra-morradagcrp ('모레')와 같은 중복, 그리고 kuacrp ('소')와 sjortacrp ('셔츠')를 kuasjortacrp ('소가죽')로 만드는 합성이 있다.
러시아노르웨이어의 구문상 특징은 문장에 부사가 있을 때 동사를 마지막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는 러시아어와 노르웨이어 모두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또 다른 특징은 부정어(ikkeno, )가 동사 앞에 오지만, 동사에서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러시아어나 노르웨이어의 부정과는 다르지만, 핀란드어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물물 교환에 초점을 맞춘 언어의 사용은 문장에서 빈번한 의문문 사용을 확립했다.[1]
3. 1. 전치사
Påcrp는 사격의 유일한 전치사로 사용된다.[12]
4. 음운론
러시아노르웨이어는 노르웨이어와 러시아어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많은 음소를 사용하며, 둘 중 하나에서만 사용되는 음소를 변경한다.[9] 발음은 화자의 언어적 배경에 따라 달랐다.[1]
- много ли|mnogo li|얼마나 많으냐?ru → nogolicrp: 은 노르웨이어에 존재하지 않지만, 이 되었다.
- хорошо|khorosho|좋다ru → koroshocrp: 는 노르웨이어에 존재하지 않지만, 가 되었다.
- halcrp ('반') → galcrp: 는 러시아어에 존재하지 않지만, 가 되었다.
- gavcrp ('바다') → gafcrp: 러시아어에 존재하지 않는 최종 유성 자음은 무성음이 되었다.
양순 | 치/치경 | 후치경 | 경구개 | 연구개 | ||||||
---|---|---|---|---|---|---|---|---|---|---|
비음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
파열음 | colspan=2| | colspan=2| | ||||||||
마찰음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
접근음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
탄음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양순 | 치/치경 | 후치경 | 경구개 | 연구개 | ||||
---|---|---|---|---|---|---|---|---|
비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파열음 | ||||||||
파찰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마찰음 | colspan="2" | | |||||||
접근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전동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대부분의 러시아노르웨이어 텍스트가 노르웨이어에 의해 작성되었기 때문에, 노르웨이어 러시아노르웨이어에 대해 더 많은 것이 알려져 있다. 러시아어 기록에는 를 사용한 노르웨이어와는 달리 prezentomecrp('주다') 및 printsipalcrp('선장')과 같은 단어에서 와 의 예가 있다. chajcrp('차')와 같은 단어의 러시아어 파찰음 는 노르웨이어에서 마찰음 로 대체되었다.
전설 | 중설 | 후설 | |
---|---|---|---|
폐 | |||
중설 | |||
개 | colspan=2| |
5. 어휘
유스트 크누드 크비그스타드와 같은 언어학자들이 편집한 러시아노르웨이어의 코퍼스는 개별 단어와 구문의 목록뿐만 아니라 대화 기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퍼스는 약 400개의 단어를 포함하며, 그 중 약 절반은 기록에 한 번만 나타나는 일회용어이다.[10] 따라서 어휘는 150~200개의 핵심 단어만 포함했다.[5]
어휘의 기원은 일반적으로 약 40%는 러시아어, 50%는 노르웨이어, 나머지 10%는 네덜란드어, 저지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 사미어, 스웨덴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11]
러시아노르웨이어의 많은 단어들은 다른 주요 언어에서 유래된 동의어를 가지고 있다.
- , (대구)
- , (남자)
- , (이것)
- , (아니다)
일부 단어는 노르웨이어와 러시아어 모두에서 어원을 찾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vin|빈no (노르웨이어)과 вино|비노ru (러시아어)가 있다. 어떤 단어들은 어원이 불분명한데, 예를 들어 또는 는 러시아어, 스웨덴어 또는 핀란드어에서 유래되었을 수 있다.
일부 러시아노르웨이어 단어는 바르되 방언에서 살아남았다.
- kralle|크랄레no (러시아노르웨이어: , красть|크라스티ru, '훔치다')
- klæba|클레바no (хлеб|흘레프ru, '빵')
Moja|모야crp | på|포crp | tvoja.|트보야.crp |
мой|모이ru моя́|마야ru | på|포no (노르웨이어) по|포ru (러시아어) | твой|트보이ru твоя́|트바야ru |
my | in | your |
'나는 당신의 언어로 말합니다.' |
Kak|칵crp | sprek|스프레크crp? | Moja|모야crp | njet|니에트crp | forsto.|포르스토.crp |
как|칵ru | språk|스프라크no | мой|모이ru моя́|마야ru | нет|녜트ru | forstå|포르스토no |
how | speak? | my | no | understand |
'무슨 말을 하시는 겁니까? 이해하지 못하겠어요.' |
6. 예시
- "Moja på tvoja" - "당신과 나"
- "Kak sprek? Moje niet forsto" - "말하는 게 뭡니까? 나는 잘 모르겠습니다."
- - 일하다
- - 빵
나는 당신의 언어로 말하고 있습니다. | |
무슨 말을 하는 겁니까? 이해가 안 됩니다. | |
일하다 | |
빵 | |
당신은 내 사무실에 올 거라고 말했습니다. | |
생선을 살 건가요? | |
명태를 사서 아르한겔스크에서 수영할 겁니다. | |
가격이 얼마입니까? 얼마입니까? | |
이것은 매우 비쌉니다. 가격을 낮춰주세요! |
참조
[1]
논문
Russenorsk — et pidginspråk i Norge. (Tromsø-studier i Språkvitenskap III.) Oslo: Novus, 1981. Pp. 164
1983
[2]
서적
The verb phrase and prediction In Pidgins, Creoles & Mixed Languages edited by Miriam Meyerhoff and Umberto Ansaldo.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3]
웹사이트
Port of Tromso
http://www.worldport[...]
2014-11-08
[4]
서적
The Nordic Languages: An International Handbook of the History of the North Germanic Languages
Walter de Gruyter GmbH
2005
[5]
서적
On the pidgin status of Russenorsk." In Language Contact in the Arctic: Northern Pidgins and Contact Languages edited by Ernest Håkon Jahr and Ingvild Broch.
De Gruyter Mouton.
[6]
웹사이트
Pomor trade
http://www.ub.uit.no[...]
2011-11-01
[7]
웹사이트
Russenorsk
https://web.archive.[...]
2011-11-02
[8]
웹사이트
Russenorsk – A Language Sketch
https://web.archive.[...]
2011-11-02
[9]
웹사이트
Pidgin – Russisch – Am Beispiel von Russenorsk
https://archive.toda[...]
2011-11-01
[10]
서적
Atlas języków: Pochodzenie i rozwój języków świata
Oficyna Wydawnicza Atena
1998
[11]
웹사이트
Руссенорск
http://www.kolamap.r[...]
2011-11-01
[12]
서적
Theories on the formation processes of pidgins In Pidgins, Creoles & Mixed Languages edited by Miriam Meyerhoff and Umberto Ansaldo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13]
웹사이트
On Russenorsk
http://www.kortlandt[...]
2011-11-01
[14]
웹사이트
Some Fragments of Russenorsk Grammar
http://www.philol.ms[...]
2011-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