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든 털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든 털럭(Gordon Tullock, 1922–2014)은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공공 선택 이론의 선구자이다. 록퍼드 센트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시카고 대학교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외교관으로 잠시 활동했다. 이후 제임스 M. 뷰캐넌과 함께 공공 선택 이론을 발전시켰으며, 저서 '합의의 계산'과 '관료제의 정치' 등을 통해 지대 추구, 털럭의 역설 등의 개념을 제시했다. 그는 조지 메이슨 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학문적 업적을 쌓았으며, 1994년 시카고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록퍼드 (일리노이주) 출신 - 제이크 스몰린스키
    제이크 스몰린스키는 미국의 야구 선수로, MLB 텍사스 레인저스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에서 활동했으며, KBO 리그 NC 다이노스에서도 한 시즌을 뛴 선수이다.
  • 일리노이주의 경제학자 - 앤서니 다운스
    앤서니 다운스는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도시 문제 및 주택 정책 전문가로, 민주주의의 경제 이론, 관료제, 주택 정책, 교통 정책 등을 연구했으며, 2021년에 사망했다.
  • 일리노이주의 경제학자 - 프랭크 나이트
    프랭크 나이트는 위험과 불확실성을 구별하고 불확실성 하에서의 기업 이윤 발생 원리를 분석한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시카고 학파의 중요 인물로서, 시카고 대학교 교수를 역임하고 미국 경제학회 회장을 지냈으며, 자유 시장 경제를 지지하면서도 정부 개입을 옹호하고 밀턴 프리드먼과 조지 스티글러를 가르쳤다.
  • 시카고 대학교 동문 - 허버트 사이먼
    허버트 사이먼은 제한된 합리성 개념을 제시하고 조직 내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하여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경제학자, 인지심리학자, 컴퓨터 과학자이자 철학자이며, 인공지능 분야 초기 연구에 기여했고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인지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시카고 대학교 동문 -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은 캐나다의 최장수 총리로서 세 차례에 걸쳐 총리직을 역임하며 관세 인하, 자치권 확대, 노인 연금 도입,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캐나다 복지 국가의 기틀을 마련했다.
고든 털럭
기본 정보
이름고든 털럭
출생일1922년 2월 13일
출생지미국 일리노이주 록퍼드
사망일2014년 11월 3일
사망지미국 아이오와주 디모인
국적미국
학문 분야
학교/전통공공 선택 학파
모교시카고 대학교
직장조지 메이슨 대학교
분야법경제학, 공공 선택 이론
영향헨리 칼버트 사이먼스, 던컨 블랙, 루트비히 폰 미제스
기여렌트 추구
기타
RePEc 식별자 접두사e
RePEc 식별자ptu166

2. 생애

고든 털럭은 1922년 일리노이주 록퍼드에서 태어난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법학자이다. 그는 공공선택론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시카고 대학교에서 법학 학위를 받았으며, 이후 학계와 미국 국무부 등에서 활동했다. 2014년 아이오와주 디모인에서 향년 92세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털럭은 1922년 2월 13일 일리노이주 록퍼드에서 태어나 록퍼드 센트럴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시카고 대학교에 입학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 복무를 위해 학업을 잠시 중단했다. 전쟁 후 복학하여 1947년 시카고 대학교 법학부에서 J.D. 학위를 취득했다. 학위 취득 후에는 예일 대학교(1947년~1951년)와 코넬 대학교(1951년~1952년) 대학원에서 수학하며 중국어를 공부했다. 이 시기인 1947년부터 1956년까지는 미국 국무부 외무과에서도 근무했다.

2. 2. 경력

잠시 개인적인 활동을 한 후, 1947년 가을 외교관으로 합류하여 톈진, 홍콩, 한국 등에서 근무했다. 1956년 외교관직을 사임했다.[2] 원래는 극동 지역에서 외국 무역업자가 되려고 했지만, 저서 ''관료제의 정치'' 집필을 계기로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에서 국제 관계를 가르치게 되었고, 이후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제임스 M. 뷰캐넌과 협력하기 시작했다.[3]

털럭과 뷰캐넌의 협력은 ''합의의 계산: 헌법 민주주의의 논리적 기초''(1962)라는 결실을 보았으며, 이 책은 새로운 분야인 공공선택론에서 중요한 저작으로 즉시 인정받았다. 이후 털럭은 뷰캐넌을 따라 버지니아 대학교 교수로 합류했다. 정식으로 경제학 과정을 수강한 적은 없었지만, 뷰캐넌과 함께 4년간 경제학 연구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1966년에는 새로운 학술지 ''비시장 경제 논문''을 창간했는데, 이는 나중에 ''공공 선택''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 저널은 경제 이론을 정부 및 정치 분야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비시장 현상에 적용하는 논문을 다루었다. 책과 저널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버지니아 대학교 행정부와의 의견 불일치로 인해 털럭은 결국 학교를 떠나게 되었다.

1967년, 털럭은 핵심 논문을 통해 훗날 지대 추구 이론으로 알려지게 될 개념의 기반을 마련했다.[4]

1968년 VPI(현 버지니아 공과대학교)로 자리를 옮겼고, 1년 뒤 뷰캐넌도 합류했다. 그곳에서 그들은 공공선택학회와 저널을 계속 운영했으며, 털럭은 1990년까지 저널의 편집장을 맡았다. VPI 재직 시절 털럭은 ''사적 욕구, 공적 수단''(1970), ''법의 논리''(1971), ''사회적 딜레마''(1974), ''투표 동기''(1976) 등 영향력 있는 다수의 논문과 책을 저술했다.

1983년, 털럭과 공공선택 연구 센터는 당시 비교적 덜 알려져 있던 조지 메이슨 대학교(버지니아주 페어팩스 소재)로 이전했다. 털럭은 1983년부터 1987년까지 조지 메이슨 대학교에서, 1987년부터 1999년까지 애리조나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이 기간 동안에도 "부와 빈곤의 경제학"(1986), ''독재''(1987), ''지대 추구''(1993), ''비인간 사회의 경제학''(1994), ''투표에 관하여: 공공 선택 접근법''(1998) 등을 포함하여 총 150편 이상의 논문과 23권의 책을 출판하며 활발한 저술 활동을 이어갔다. 1999년 조지 메이슨 대학교로 돌아와 법과 경제학 교수로 재직하다 2008년에 은퇴했다.

털럭의 저서 ''관료제의 정치''는 관련 문헌 검토가 미흡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5] 또한 일부 학자들은 털럭과 공공선택론이 정치적 행동을 지나치게 단순화하여 설명한다고 비판했다.[6]

연도내용
(미상)제2차 세계 대전 중 군 복무
1947년시카고 대학교 법학부 졸업 (J.D.)
1947년~1951년예일 대학교 대학원 수학
1947년~1956년미국 국무부 외무과 근무 (톈진, 홍콩, 한국 등)
1951년~1952년코넬 대학교 대학원 수학
(미상)시카고 대학교 박사 학위 취득
1959년~1962년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 국제 관계 교수
1962년~1967년버지니아 대학교 교수
1965년공공선택학회 회장
1967년~1968년라이스 대학교 교수
1968년~1983년버지니아 공과대학교 교수
1980년남부 경제학회 회장
1983년~1987년조지 메이슨 대학교 공공선택학 센터 경제학 교수 (버지니아주 페어팩스)
1987년~1999년애리조나 대학교 교수
1999년~2008년조지 메이슨 대학교 로스쿨 법률 및 경제학 교수 (2008년 은퇴)
2011년톰슨 로이터 인용 영예상 수상


2. 3. 사망

2014년 11월 3일, 털럭은 아이오와주 디모인에서 9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1][12]

3. 학문적 업적

공공 선택 이론 분야의 주요 학자 중 한 명으로, 여러 독창적인 개념과 이론을 제시하며 경제학과 정치학 연구에 기여했다. 그의 대표적인 학문적 업적으로는 지대 추구(Rent-seeking) 이론의 발전과 '털럭의 스파이크'라는 사고 실험이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정치 과정과 인간 행동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을 심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3. 1. 지대추구

털럭은 19세기 경제학자 데이비드 리카도가 도입한 용어와 개념을 적용하여 지대 추구(Rent-seeking) 이론을 개발했다.[7] 공공 선택 이론에 따르면, 지대 추구는 시장에서의 교환 과정이 아닌 정치 과정을 통해 이윤을 확보하려는 행위를 말한다. 예를 들어, 기업, 노동조합 또는 특정 이익 집단이 정치인이나 관료에게 로비를 하여 자신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법률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지대 추구에 해당한다. 이는 정치인이 정책의 효율성이나 공익보다는 로비에 따라 정책 결정을 내리게 만들어 도덕적 해이로 이어질 수 있다.

털럭은 또한 털럭의 역설을 공식화하고 고려했는데, 이는 지대 추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익에 비해 실제 로비 등에 투입되는 비용이 왜 그렇게 적은지에 대한 역설이다.

3. 2. 털럭의 스파이크

'털럭의 스파이크'는 고든 털럭이 제안한 사고 실험을 가리킨다. 털럭은 정부가 도로 사고 사망자를 줄이는 데 진지하다면, 각 자동차의 운전대 중앙에 날카로운 스파이크를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사고 발생 시 운전자가 사망할 확률을 의도적으로 높이는 방법이다. 털럭의 생각은 이러한 조치가 운전자의 위험 보상 심리에 영향을 주어, 결과적으로 운전자들이 더욱 안전하게 운전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실제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었다.

4. 수상 및 영예

1994년 시카고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996년에는 ''미국 정치 과학 리뷰''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1998년에는 미국 경제 학회의 저명한 회원이 되었고, 2011년에는 톰슨 로이터 인용 영예상을 수상했다.

그는 공공 선택 학회(1965년), 남부 경제 학회(1980년), 국제 대서양 경제 학회(1998–1999), 서부 경제 학회 국제, 사립 기업 교육 협회의 회장을 역임했다. 때때로 노벨 경제학상 후보로 여겨지기도 했다.[10]

5. 주요 저서


  • ''The Calculus of Consent: Logical Foundation of Constitutional Democracy'' (제임스 M. 뷰캐넌과 공저),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62.
  • * 일본어 번역: 『公共選択の理論――合意の経済論理』(공공 선택의 이론 - 합의의 경제 논리), 우다가와 쇼닌·요네하라 준시치로 공역, 도요 경제 신보사, 1979년.
  • ''The Politics of Bureaucracy'', Washington, D.C.: Public Affairs Press, 1965.
  • ''Private Wants, Public Means'', New York: Basic Books, 1970.
  • * 일본어 번역: 『政府は何をすべきか――外部性の政治経済学』(정부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 외부성의 정치 경제학), 가토 히로시·오이와 유지로 공역, 슌주샤, 1984년.
  • ''The Logic of the Law'', New York: Basic Books, 1971.
  • (리처드 B. 매켄지와 공저) 『新経済学読本――人間行動の探求』(신 경제학 독본 - 인간 행동의 탐구), 가켄 메디컬 슈준샤, 1977년. (일본어 원본)
  • 『ソーシャル・ジレンマ――秩序と紛争の経済学』(소셜 딜레마 - 질서와 분쟁의 경제학), 우다가와 쇼닌·구로카와 가즈미·다나카 기요카즈 공역, 가켄 메디컬 슈준샤, 1980년. (일본어 원본)
  • ''On Voting: A Public Choice Approach'', Cheltenham, U.K.: Edward Elgar Publishing, 1998.
  • (제임스 M. 뷰캐넌, 가토 히로시와 공저) 『膠着状態の民主主義』(교착 상태에 빠진 민주주의), 킨소 쇼보, 1998년. (일본어 원본)

참조

[1] 논문 Gordon Tullock: Creative Maverick of Public Choice
[2] 웹사이트 Curriculum Vitae http://www.law.gmu.e[...] 2010-07-25
[3] 웹사이트 How I Didn't Become a Libertarian by Gordon Tullock http://archive.lewro[...] 2016-02-02
[4] 논문 The Welfare Costs of Tariffs, Monopolies, and Theft
[5] 논문 The Politics of Bureaucracy 1966-12
[6] 서적 The Rational Choice Controversy: Economic Models of Politics
[7] 웹사이트 Rent Seeking http://www.econlib.o[...] Econlib.org
[8] 뉴스 There's Actually a Name for a Steering Wheel with a Big Spike in the Middle http://jalopnik.com/[...] 2017-01-23
[9] 뉴스 Would putting a spike in the middle of your steering wheel make you safer? http://io9.gizmodo.c[...] 2017-01-23
[10] 웹사이트 Gordon Tullock http://economics.abo[...] 2011-09-09
[11] 웹사이트 Gordon Tullock http://cafehayek.com[...]
[12] 웹사이트 Gordon Tullock Obituary, des Moines, IA http://www.ilesfun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