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려대역은 2000년 12월 15일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 ~ 상월곡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서울교통공사 소속의 지하철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형태의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6개의 출구가 있다. 인접한 역으로는 안암역과 월곡역이 있다. 고려대학교 안암캠퍼스가 역명의 유래이며, 역은 대학 건물 지하에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성북구의 전철역 - 석계역
석계역은 서울특별시 성북구와 노원구 경계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6호선의 환승역으로, 1호선은 1985년, 6호선은 2000년에 개통되었으며, 주변에 대학교와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이용객 수가 많다. - 서울 성북구의 전철역 - 길음역
길음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의 지하역으로 1985년 개통하여 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미아사거리역과 성신여대입구역 사이에 위치하며, 주변에 다양한 시설이 있지만 일평균 승하차 인원은 감소 추세에 있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2000년 개업한 철도역 - 삼각지역
삼각지역은 서울 지하철 4호선과 6호선이 환승하는 지하철역이며, 1985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 6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삼각지 고가도로에서 유래하고 "베호 만남의 광장"이 있으며, 국방부, 전쟁기념관 등 주요 국가기관과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2000년 개업한 철도역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고려대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역 정보 | |
| 역 이름 | 고려대 (종암)역 |
| 로마자 표기 | Goryeodae-yeok |
| 한자 표기 | 高麗大驛 |
| 역 번호 | 640 |
|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동 1-2 (종암로 145) |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
| 개업일 | 2000년 12월 15일 |
| 역 구조 | 지하역 |
| 승강장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 노선 | 6호선 |
| 영업 거리 | 응암역 기점 28.7 km |
| 승차 인원 (2015년) | 10,253명 |
| 승강 인원 (2015년) | 20,204명 |
| 위치 정보 | |
| 역사 | |
| 개통 | 2000년 12월 15일 6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 시작 |
| 역 시설 | |
| 출구 | 8개 |
| 인접 역 | |
| 이전 역 | 안암역 |
| 이전 역 간 거리 | 0.8 km |
| 다음 역 | 월곡역 |
| 다음 역 간 거리 | 1.4 km |
| 이미지 | |
![]() | |
![]() | |
2. 역사
- 2000년 12월 15일: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역~상월곡역 구간 개통과 함께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소속 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 2017년 5월 31일: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와 서울메트로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 소속 역이 되었다.
3. 역 구조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지하역으로,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총 6개가 있으며, 1번과 2번 출구는 성북구에, 3번부터 6번까지의 출구는 동대문구에 위치한다. 안내상의 승강장 번호는 별도로 지정되어 있지 않다.
3. 1. 승강장
섬식 승강장 2면 2선의 지하역이다. 지하철 12호선(계획 중지) 공간을 고려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6호선 승강장은 지상보다 다소 깊은 곳에 위치한다.| 지상 | 지상층 | 출구 |
|---|---|---|
| L1 대합실 | 로비 | 고객센터, 상점, 자동판매기, ATM |
| L2 승강장 | 섬식 승강장, 오른쪽 문이 열림 | |
| 서행선 | ← 6호선 응암 방면 (안암) | |
| 동행선 | → 6호선 신내 방면 (월곡) | |
| 섬식 승강장, 오른쪽 문이 열림 | ||

4. 출구 및 주변 정보
5. 이용객 변동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0년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 6호선 | 승차 | 3,723 | 6,401 | 8,689 | 9,450 | 9,774 | 9,986 | 10,378 | 10,144 | 10,224 | 10,258 | [5] |
| 하차 | 3,667 | 6,496 | 8,497 | 9,198 | 9,393 | 9,610 | 10,046 | 9,805 | 9,911 | 10,012 | ||
| 승하차 | 7,390 | 12,897 | 17,186 | 18,648 | 19,166 | 19,596 | 20,423 | 19,949 | 20,135 | 20,270 |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 6호선 | 승차 | 10,535 | 10,543 | 10,462 | 10,454 | 10,381 | 10,253 | 10,098 | 9,675 | |||
| 하차 | 10,297 | 10,262 | 10,192 | 10,213 | 10,059 | 9,951 | 9,746 | 9,379 | ||||
| 승하차 | 20,832 | 20,806 | 20,654 | 20,667 | 20,440 | 20,204 | 19,844 | 19,054 | ||||
6. 인접한 역
(응암 순환 방면)
(신내 방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