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는 1946년 경성사범학교와 경성여자사범학교의 통합으로 설립된 학교이다. 1951년 신 학제에 따라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분리되었으며, 한국 전쟁 중 부산으로 피난하기도 했다. 1971년 현재의 종암동 교사로 이전하였고, 2001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다. 저명한 동문으로는 이건희, 이수빈 등 정계, 재계, 학계, 문화 예술계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국립 고등학교 - 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
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는 1967년 부산 한독 직업학교로 개교하여 여러 차례 교명 변경을 거쳐 2009년 마이스터고로 지정되었으며, 2025학년도 기준 4개의 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국립 고등학교 - 한국교원대학교 부설고등학교
충청북도 청주시에 있는 국립 고등학교인 한국교원대학교 부설고등학교는 1994년 개교하여 2001년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본관, 생활관, 체육관 등의 시설을 갖추고 3,900명 이상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 서울 성북구의 고등학교 - 경동고등학교
경동고등학교는 1940년 욱구공립중학교로 설립되어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며 여러 변화를 겪은 서울 성북구 소재의 공립 고등학교로, 2011년 자율형 공립고등학교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지원하고 2022년 기준 4만 명이 넘는 졸업생을 배출했다. - 서울 성북구의 고등학교 - 성신여자고등학교
1936년 이숙종 선생이 설립한 성신여자고등학교는 성신여자상업학교와 성신고등여학교를 거쳐 1951년 개편된 대한민국의 사립 여자 고등학교로, 추미애, 김혜수, 문근영 등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는 동문들을 배출했다. - 서울대학교 -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병원은 1885년 제중원으로 시작하여 대한의원, 조선총독부의원을 거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개편 후 특수법인으로 전환되었으며, 현재 본원 외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등을 운영하며 국내외 의료 활동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병원이다. - 서울대학교 - 경성제국대학
경성제국대학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설립한 대한제국 최초의 제국대학으로, 법문학부와 의학부를 시작으로 이공학부를 설치했으며, 광복 후 서울대학교에 흡수 통합되었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학교 이름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
영문 표기 | Seoul National University High School |
설립 형태 | 국립 |
개교 | 1946년 |
교훈 | 올바른 사람이 되자, 튼튼한 사람이 되자, 쓸모있는 사람이 되자, 따뜻한 사람이 되자, 끝을 맺는 사람이 되자 |
교목 | 은행나무 |
교화 | 코스모스 |
학교 법인 | 서울대학교 |
관할 관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학교 위치 | |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월곡로 6 (종암동) |
좌표 | 37.5928, 127.0378 |
학교 규모 | |
캠퍼스 크기 | 36,338 m² |
학교 현황 | |
교장 | 이화성 |
교직원 수 | 92명 (2022년 5월 1일 기준) |
학급 수 | 24학급 (한 학년 8학급) |
학생 수 | 677명 (2022년 5월 1일 기준) |
성별 | 남녀공학 |
2. 역사
1946년 9월 1일, 경성사범학교 보통과와 경성여자사범학교 심상과가 합병되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6년제)로 개교하였다. 이후 여러 차례 교사 이전과 중학교, 고등학교 분리 과정을 거쳤다. 1971년 11월 6일 종암동으로 이전했으며, 2001년 3월 1일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학교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 | 내용 |
---|---|
1946년 9월 1일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6년제) 개교 |
1947년 10월 3일 | 남자부 을지로 교사에서 용두동 교사로 이전 |
1951년 2월 20일 | 부산시 보수공원에서 피난 학교 개설 |
1951년 9월 1일 | 신 학제에 의하여 중학교, 고등학교로 분리 |
1952년 4월 15일 | 서울 본 교사(용두동)에서 분교 개설 |
1953년 9월 1일 | 서울로 복교 완료 |
1954년 12월 23일 | 용두동 교사에서 을지로 5가 교사로 이전 |
1967년 5월 26일 | 을지로 5가 교사에서 청량리 교사로 이전 |
1971년 11월 6일 | 청량리 교사에서 현 종암동 교사로 이전 |
1992년 7월 10일 | 도서관(선농당) 준공, 개관 |
2001년 3월 1일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2009년 12월 22일 | 본관 새 단장 개관 |
2010년 12월 9일 | 인조 잔디 운동장 개장 |
2014년 1월 24일 |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로 귀속 |
2021년 1월 12일 | 제73회 졸업식(8학급 234명, 졸업생 누계 27,477명) |
2021년 3월 1일 | 제18대 이화성 교장 취임 |
2. 1. 설립 초기 (1946년 ~ 1951년)
1946년 9월 1일 경성사범학교 보통과와 경성여자사범학교 심상과가 합병되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6년제)로 개교하였다.[3] 1947년 10월 3일 남자부는 을지로 교사에서 동대문구 용두동 교사로 이전하였다. 1951년 한국 전쟁으로 인해 2월 20일 부산시 보수공원에서 피난 학교를 개설하였다. 같은 해 9월 1일 신 학제에 따라 중학교, 고등학교로 분리되었다.[3]2. 2. 분리와 발전 (1951년 ~ 1971년)
1951년 9월 1일, 새 학제에 따라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중학교가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분리되었다.[3] 1952년 4월 15일 서울 본 교사(용두동)에 분교를 개설하였고, 1953년 9월 1일 서울로 복교를 완료하였다.[3] 1954년 12월 23일 용두동 교사에서 을지로 5가 교사로, 1967년 5월 26일에는 을지로 5가 교사에서 청량리 교사로 이전하였다.[3] 1971년 11월 6일 청량리 교사에서 현재의 종암동 교사로 이전하였다.[3]2. 3. 종암동 시대와 현재 (1971년 ~ 현재)
1971년 11월 6일 청량리 교사에서 현재의 종암동 교사로 이전하였다.[3] 1992년 7월 10일 도서관(선농당)을 준공하여 개관하였다.[3] 2001년 3월 1일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3]2009년 12월 22일 본관을 새 단장하여 개관하였고, 2010년 12월 9일 인조 잔디 운동장을 개장하였다.[3] 2014년 1월 24일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로 귀속되었다.[3] 2021년 1월 12일 제73회 졸업식(8학급 234명, 졸업생 누계 27,477명)이 있었다.[3] 2021년 3월 1일 제18대 이화성 교장이 취임하였다.[3]
3. 저명한 동문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출신의 저명한 동문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하위 섹션에서 이미 다루고 있는 동문들에 대한 정보는 제외되었다.
- 이광훈 - 문학평론가, 경향신문 논설위원장
- 송진동 - KIST 차세대반도체연구소 책임연구원, 광전소재연구센터장
- 이인호 - 한국방송공사 제9대, 제10대 사장, 주 러시아 대사
- 엄창섭
- 이영회
- 장수길 - 김앤장 법률사무소 변호사
3. 1. 정계/관계
- 김두성 - 공무원[1]
- 전상우 - 공무원[2]
- 김도현 - 강서구청장(2006년 7월 1일 ~ 2007년 10월 26일)
- 홍사덕 - 전 국회의원, 제16대 국회 부의장
- 이범관 - 전 국회의원, 제17대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 대검찰청 공안부장
- 김영순 - 송파구청장(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이기준 - 제47대 국무부총리, 제22대 서울대학교 총장
- 최광률 - 헌법재판소 재판관, 변호사
- 김승진 - 법무부 사법연수원 원장
- 이희범 - 제8대 산업자원부 장관, 제26대 한국무역협회 회장
- 주돈식 - 제32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 김경임 - 외교부 외교관, 주 튀니지 대사
- 전광우 - 금융감독위원회 위원장,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 김성한 - 제5대 국가안보실장
- 최명상 - 대한민국 공군 참모총장, 공군사관학교장
- 김판규 - 대한민국 해군사관학교 제49대 교장, 대한민국 해군 참모총장
- 조성태 - 제35대 국방부 장관
3. 2. 재계
- 이건희 - 삼성 회장
- 이수빈 - 삼성 라이온즈 구단주, 삼성경제연구소(삼성글로벌리서치) 소장
- 성기학 - 한국섬유산업연합회 회장
- 송필호 - 한국신문협회 회장, 중앙일보 사장 겸 대표이사
- 오권용 - SK그룹 부회장
- 권오준 - 포스코 회장
3. 3. 학계/교육계
- 어윤배 - 숭실대학교 제8대, 9대 총장[1]
- 이기준 - 서울대학교 교수[1]
- 장영희 - 교수, 번역가, 학자, 수필가[1]
- 전광우 - 연세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교수[1]
- 이기준 - 대한민국 제47대 국무부총리, 제22대 서울대학교 총장[1]
- 김종량 - 대한민국 교육부 교육행정위원, 한양대학교 총장[1]
- 이광형 - 제17대 KAIST 총장[1]
- 정준양 -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제8대 총장[1]
- http://webcatplus.nii.ac.jp/webcatplus/details/creator/1932838.html 박기동 - 서울예술대학교 교수, 문학자, 작가[1]
- 장영희 - 서강대학교 교수, 언론인, 작가[1]
- 김영길 - KAIST 재료공학과 교수, 동 대학교 이사장[1]
3. 4. 문화/예술/체육
3. 5. 기타
- 김호진 - 배우
- 김두성 - 공무원
- 전상우 - 공무원
- 김영길 - 우주선 엔지니어
- 윤석남 - 예술가
- 어윤배 - 숭실대학교 제8대, 9대 총장
- 이기준 - 서울대학교 교수
- 장수길 - 김앤장 법률사무소 변호사
- 장영희 - 교수, 번역가, 학자, 수필가
- 전광우 - 연세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교수
- 이수빈 - 삼성 라이온즈 구단주
- 이건희 - 삼성 회장
- 이영회
- 성기학 - 한국섬유산업연합회 회장
- 이희범 - LG인터내셔널 고문
- 송필호 - 한국신문협회 회장, 중앙일보 사장
- 오권용 - SK그룹 부회장
- 엄창섭
- 김도현 - 2006년 7월 1일 ~ 2007년 10월 26일 강서구청장
- 홍사덕 - 전 국회의원
- 이범관 - 전 국회의원
- 김영순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송파구청장
- 이기준 - 대한민국 제47대 국무부총리, 제22대 서울대학교 총장
- 홍사덕 - 대한민국 제16대 국회 부의장
- 최광률 -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재판관, 변호사
- 김승진 - 대한민국 법무부 사법연수원 원장
- 이희범 - 대한민국 제8대 산업자원부 장관, 제26대 한국무역협회 회장
- 김종량 - 대한민국 교육부 교육행정위원, 한양대학교 총장
- 주돈식 - 대한민국 제32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 이광형 - 제17대 KAIST 총장
- 권오준 - 포스코(浦項製鉄 Posco) 회장
- 정준양 -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제8대 총장
- 이수빈 - 삼성경제연구소(삼성글로벌리서치) 소장
- http://webcatplus.nii.ac.jp/webcatplus/details/creator/1932838.html 박기동 - 서울예술대학교 교수, 문학자, 작가
- 장영희 - 서강대학교 교수, 언론인, 작가
- 송필호 - 한국신문협회 회장, 중앙일보 대표이사
- 이광훈 - 문학평론가, 경향신문 논설위원장
- 김영길 - KAIST 재료공학과 교수, 동 대학교 이사장
- 송진동 - KIST 차세대반도체연구소 책임연구원, 광전소재연구센터장
- 이범관 -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 대검찰청 공안부장
- 김경임 - 대한민국 외교부 외교관, 주 튀니지 대사
- 이인호 - 한국방송공사 제9대, 제10대 사장, 주 러시아 대사
- 전광우 - 대한민국 금융감독위원회 위원장,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 김성한 - 대한민국 제5대 국가안보실장
- 최명상 - 대한민국 공군 참모총장, 공군사관학교장
- 김판규 - 대한민국 해군사관학교 제49대 교장, 대한민국 해군 참모총장
- 조성태 - 대한민국 제35대 국방부 장관
참조
[1]
웹사이트
학교장인사말
http://www.snu.hs.kr[...]
2015-11-23
[2]
웹사이트
학교현황
http://www.snu.hs.kr[...]
2015-11-23
[3]
웹사이트
학교연혁
http://www.snu.hs.kr[...]
2015-1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