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는 사도 바울이 고린도 교회에 보낸 서신으로, 자신의 사도직을 변호하고 교회와의 관계 회복을 시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편지는 바울의 내면적 갈등, 예루살렘 교회를 위한 자선 활동 권유, 자신에 대한 비판에 대한 반론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바울의 개인적인 경험과 신학적 가르침이 드러난다. 둘째 편지는 여러 편지를 엮은 것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바울이 고린도 교회에 보낸 여러 편지 중 하나로 추정된다. 이 편지는 바울의 인간적인 면모와 영적 강인함, 그리고 고린도 교회에 대한 애정을 보여주는 특징을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코린토스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는 사도 바울이 고린토 교회의 여러 문제에 대한 가르침과 권면을 담아 보낸 서신으로, 기독교 신앙의 핵심 교리들을 다루며 특히 13장의 '사랑'에 대한 메시지로 유명하고, 기원후 53-57년경 에페소에서 쓰여진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편지이다.
  • 고대 코린토스 - 코린토스 양식
    코린토스 양식은 고대 그리스 건축 양식으로, 아칸서스 잎 모양의 화려한 주두 장식이 특징이며, 웅장함과 아름다움을 더해 서양 건축 전반에 널리 사용되었다.
  • 로마 제국의 기독교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는 사도 바울이 고린토 교회의 여러 문제에 대한 가르침과 권면을 담아 보낸 서신으로, 기독교 신앙의 핵심 교리들을 다루며 특히 13장의 '사랑'에 대한 메시지로 유명하고, 기원후 53-57년경 에페소에서 쓰여진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편지이다.
  • 로마 제국의 기독교 - 미트라교
    미트라교는 로마 제국에서 널리 퍼진 고대 종교로, 페르시아의 미트라 신앙에서 기원하여 지하 신전에서 만찬과 비전 의식을 행하고, 기독교와 유사한 점이 있어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바울로 서신 - 에페소인들에게 보낸 편지
    에베소인들에게 보낸 편지는 그리스도의 희생을 통한 구원과 성도들의 연합 및 순결을 강조하며, 하나님의 사랑을 본받아 서로 사랑하고 하나됨을 유지하며 거룩한 삶을 살 것을 권면하는 신약성서의 서신이다.
  • 바울로 서신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는 사도 바울이 고린토 교회의 여러 문제에 대한 가르침과 권면을 담아 보낸 서신으로, 기독교 신앙의 핵심 교리들을 다루며 특히 13장의 '사랑'에 대한 메시지로 유명하고, 기원후 53-57년경 에페소에서 쓰여진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편지이다.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
개요
다른 이름고린도후서
저자사도 바울로
기록 연대기원후 55-56년경
수신자고린토의 그리스도인
주요 내용바울로의 사도직 변호, 화해, 헌금 독려, 거짓 교사 경계
구성
인사1:1-2
바울로의 고난과 위로1:3-7:16
디도의 방문7:5-16
예루살렘 교회를 위한 헌금8:1-9:15
바울로의 사도직 변호10:1-13:10
마지막 인사13:11-13
특징
강조점하느님의 위로
고난 속의 영광
화해의 사역
헌금의 중요성
바울로의 사도직 권위
신학적 주제고난과 위로
자기 희생적 사랑
화해
사도직의 본질
그리스도의 능력
관련된 성경 구절
고린도 교회의 문제고린토전서
헌금에 대한 가르침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 15:25-27
추가 정보
참고 서적"고린도후서, 새로운 관점으로 읽기" (N.T. 라이트)
"바울로의 편지 연구" (F.F. 브루스)
한국어 위키백과
관련 문서고린토전서
사도 바울로
신약성경

2. 구성

대부분의 학자들은 사도 바울로가 이 서신의 저자라는 것에 동의하지만, 이 서신이 본래 하나의 편지인지 아니면 여러 편지를 엮은 것인지에 대해서는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18]

신약성경에는 코린토스(고린토) 교회에 보낸 편지들 중 두 개만 실려있지만, 본문에는 최소한 네 개 이상의 편지가 교회에 전달되었고 한 장 이상의 답장이 바울로에게 전달되었음을 나타내는 증거들이 있다.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 7장 1절에서는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가 이전에 고린토 교회에서 바울로에게 전송한 질문에 대한 답변하고 있음이 나타난다.

이전까지는 부드러운 어조로 적히던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가 10-13장에서 따끔하게 책망하는 어조로 급히 전환되는 것을 보고, 많은 사람들이 엄중한 편지의 일부가 어떤 경로로 본문에 첨가되었을 것으로 추측한다.[19] 그러나 이 내용은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 본래의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과,[20] 10-13의 내용이 혹독한 편지가 아닌 후의 다른 편지들로부터 첨가된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 역시 존재한다.[21]

8-9장에서 글의 주제가 이전과 달리 갑작스레 바뀌는 것을 보고, 몇몇 학자들은 8-9장이, 심지어는 8장과 9장의 내용 역시 각각 다른 편지의 내용이었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이러한 주장에 반대한다.[22]

일부 학자들은 경고 편지의 내용을 1-9장에서 찾는데,[23] 6:14-7:1에 그 내용이 보존되어 있다는 식의 주장이다.[19] 그러나 이와 같은 주장은 말 그대로 일부에 불과하다.[24]

3. 구조

일반적으로 다음의 네 부분으로 나뉜다.


  • 1:1–11 – 문안인사
  • 1:12 – 7:16 – 사도 바울이 자신의 사도권을 보호하며 고린토 교회에 대한 사랑을 표현
  • 8:1 – 9:15 – 예루살렘 교회의 가난한 성도들을 위한 헌금을 모을 것을 권면
  • 10:1 – 13:10 – 바울로의 사도권에 대한 변호
  • 13:11–13 – 축도


학자들 사이에서는 바울로가 저자라는 데에는 거의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이 서신이 원래 한 통의 편지였는지, 아니면 바울의 두 개 이상의 편지를 모아 구성한 것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5]

고린도후서 10–13장은 이전의 조화로운 분위기에서 격렬한 비난으로 갑작스럽게 내용이 바뀌는데, 이 때문에 많은 학자들은 10–13장이 바울의 주요 편지에 부록으로 첨부된 "눈물의 편지"의 일부라고 추론한다.[7] 이러한 평가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눈물의 편지"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한다.[8] 다른 사람들은 눈물의 편지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더라도 10–13장은 나중에 쓴 편지에서 나온 것이라고 주장한다.[9]

7장에서 8–9장으로 갑작스럽게 주제가 변경되는 것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8–9장이 원래 별도의 편지였다고 결론짓기도 하며, 심지어 이 두 장이 원래 각각 다른 편지였다고 간주하기도 한다.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이러한 주장에 이의를 제기한다.[10]

일부 학자들은 1–9장에서 "경고의 편지" 또는 다른 편지의 단편을 발견하기도 한다.[11] 예를 들어, "경고의 편지"의 일부가 고린도후서 6:14–7:1에 보존되어 있다는 주장이 있지만,[12] 이러한 가설은 덜 인기가 있다.[13]

이 책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나뉜다:[8]

  • 1:1–11 – 인사말
  • 1:12–7:16 – 바울은 자신의 행동과 사도직을 옹호하며 고린도인들에 대한 애정을 확인한다.
  • 8:1–9:15 – 예루살렘 교회의 가난한 자들을 위한 연보에 대한 지침.
  • 10:1–13:10 – 자신의 사도직에 대한 논쟁적 방어
  • 13:11–13 – 맺음 인사

4. 내용

사도 바울로가 이 서신의 저자라는 데에는 대부분의 학자들이 동의하나, 이 서신이 본래 하나의 편지인지 아니면 여러 편지를 엮은 것인지에 대해서는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18]

신약성경에는 코린토스(고린토) 교회에 보낸 편지들 중 두 개만 실려있지만, 본문에는 최소한 네 개 이상의 편지가 교회에 전달되었고 한 장 이상의 답장이 바울로에게 전달되었음을 나타내는 증거들이 있다.

# 첫째 편지 5:9("내가 여러분에게 쓴 편지에서 음란한 사람들과 사귀지 말라고 했지만", 공동번역 성서)에서 이전에 보낸 편지의 내용을 참조하고 있다. 이 편지는 경고 편지(warning letter) 또는 이전 편지(previous letter)라고 불린다.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

# 둘째 편지 2:3-4와 7:8에서는 엄중한 편지(severe letter) 또는 눈물의 편지라고 불리는 편지를 참조하고 있다. 첫째 편지에서는 이 편지를 언급하고 있지 않으니, 마음을 아프게 한 편지는 첫째둘째 편지 사이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

첫째 편지 7장 1절에서는 첫째 편지가 이전에 고린토 교회에서 바울로에게 보낸 질문에 대한 답변임을 나타낸다.

이전까지는 부드러운 어조로 적히던 둘째 편지가 10-13장에서 따끔하게 책망하는 어조로 급히 전환되는 것을 보고, 많은 사람들이 엄중한 편지의 일부가 어떤 경로로 본문에 첨가되었을 것으로 추측한다.[19] 그러나 이 내용은 둘째 편지 본래의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과,[20] 10-13장의 내용이 혹독한 편지가 아닌 후의 다른 편지들로부터 첨가된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 역시 존재한다.[21]

8-9장에서 글의 주제가 이전과 달리 갑작스레 바뀌는 것을 보고, 몇몇 학자들은 8-9장이, 심지어는 8장과 9장의 내용 역시 각각 다른 편지의 내용이었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이러한 주장에 반대한다.[22]

일부 학자들은 경고 편지의 내용을 1-9장에서 찾는데,[23] 6:14-7:1에 그 내용이 보존되어 있다는 식의 주장이다.[19] 그러나 이와 같은 주장은 말 그대로 일부에 불과하다.[24]

바울로는 둘째 편지에서 자신을 하느님에 의해 임명된 예수 그리스도의 사도라고 언급하며, 고린토 교회가 고통스러운 방문을 다시 받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안심시키는 동시에 그가 하는 말은 고통을 주기 위함이 아닌 사랑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둘째 편지고린토전서에 비하면 짧은 길이를 가지고 있지만, 고린토 교회의 사회, 종교, 경제적 상황을 알지 못하면 헷갈릴 만한 부분이 조금 있다. 바울로는 고린토 교회의 상황이 복잡하며 또한 공격받고 있다고 느꼈다.

바울로는 갈라디아 등 그의 사도권을 받아들인 다른 교회들과 비교했을 때, 고린토 교인 일부가 바울로의 사도됨에 도전하는 것에 대해 염려하고 있다. 그는 자신이 말하고 쓴 것에 대해 비판받는 가운데, 자신의 중요한 가르침들로부터 자기 자신을 변호하기 위한 내용을 찾는다. 바울로는 다른 사람들을 용서하는 것의 중요성, 살아계신 하느님의 성령(고린도후서 3:3)으로 쓴 새 언약, 그리스도의 사람이 되는 것, 예루살렘의 성도들을 관대히 돕는 것에 대해 서술하고 있으며, 하느님께서 그의 인생을 어떻게 바꾸셨는지에 대한 경험으로 편지를 마친다.[25]

전체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내용
1장~7장바울의 내면적 어려움, 고린도 신자들에 대한 생각
8장~9장자선 활동 권유, 특히 예루살렘 공동체 지원의 소망
10장~13장바울에 대한 비판에 대한 반론, 고린도 신자에 대한 배려, 맺음 인사.



11장에는 바울의 인생에서 겪었던 수많은 어려움이 열거되어 있으며, 12장에서는 "셋째 하늘까지 이끌려 올라간" 신비 체험에 대해, 자신에게 주어진 "가시"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이 서신에서는 다른 어떤 서신보다 바울이 자신에 대해 더 많이 이야기하고 있다. 고린도 공동체가 그 후 어떻게 되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사도행전』 20:2에 따르면 바울은 이후 고린도를 방문하여 3개월 동안 머물렀고, 그곳에서 『로마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를 집필했다.

5. 배경

바울은 고린도전서를 쓴 지 약 1년 후인 서기 55년 또는 56년에 마케도니아에서 고린도후서를 썼으며, 그로부터 1년 후에 고린도에서 로마서를 썼다는 증거가 있다.[14][15] 바울이 고린도 교회와 맺은 관계는 다음과 같이 재구성할 수 있다.[8]

순서내용
1바울은 고린도를 처음 방문하여 약 18개월을 그곳에서 보낸다(사도행전 18:11). 그 후 바울은 고린도를 떠나 약 3년 동안 에베소에서 보낸다(사도행전 19:8, 19:10, 20:31). (대략 서기 53년부터 57년까지, 고린토전서 기사 참조).
2바울은 에베소에서 첫 해에 "경고의 편지"를 쓴다(고린도전서 5:9).
3바울은 에베소에서 두 번째 해에 고린도전서를 쓴다.
4바울은 고린도전서 16:6에서 언급했듯이 두 번째로 고린도 교회를 방문한다. 아마도 에베소에서의 마지막 해에 방문했을 것이다. 고린도후서 2:1은 이것을 "고통스러운 방문"이라고 부른다.
5바울은 "눈물의 편지"를 쓴다.
6바울은 고린도 교회를 세 번째 방문하고 싶다는 뜻을 담아 고린도후서를 쓴다(고린도후서 12:14, 고린도후서 13:1). 이 편지는 그가 어디에서 쓰고 있는지 밝히지 않지만, 보통 바울이 에베소를 떠나 마케도니아로 간 후(사도행전 20), 빌립보 또는 마케도니아의 데살로니가에서 쓴 것으로 추정한다.[16]
7바울은 고린도후서를 쓴 후 세 번째 방문을 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사도행전 20:2-3에 따르면 그가 그리스에서 3개월을 보냈기 때문이다. 이때 쓴 로마서에서, 그는 교회 주요 구성원 중 몇 명의 문안 인사를 로마인들에게 보냈다.[16]



고린도후서를 기록한 후, 바울은 소아시아의 도시 에페소를 떠나 마케도니아 주로 향하기로 했다. 에페소에서의 선교 활동은 성공을 거두었고, 그 때문에 바울은 반대자들의 활동으로 인해 에페소에 머무르는 것이 어려워지기도 했다. 에페소에서 육로로 드로아에 도착한 바울은 그곳에서 해로로 마케도니아 주로 들어갈 작정이었다. 그러나 첫 번째 서신을 가지고 고린도로 갔던 디도와 드로아에서 합류하려던 계획은 잘 풀리지 않아 불안해했다. 그러나 마케도니아의 빌립보에서 디도와 재회할 수 있었고, 두 사람은 기뻐했다. 바울은 디도로부터 고린도 공동체의 상황에 대해 들을 수 있었다. 총 1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자들은 이 서신이 빌립보나 데살로니가에서 서기 58년 초에 기록된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이 편지를 고린도에 전달한 것은 아마 디도였을 것이다. 첫 번째 편지와의 차이점은, 이 편지는 고린도 공동체의 구성원뿐만 아니라 아카이아 주 전체의 공동체에 보내는 서신이라는 것이다.

6. 독특성

이스턴 성서사전에서는 이 서신이 다른 어떤 서신보다도 사도의 개성을 잘 드러내고 있다고 설명한다. 리아스는 "인간의 연약함, 영적 강건함, 부드러운 애정, 상처받은 마음, 엄격함, 힐난함, 자기변호에 열중함, 겸손, 정당한 자아존중, 약한 자와 상처받은 자에 대한 열정, 예수 그리스도교회와 그 교인의 영적 성숙에 대한 열정이 그가 간구하는 중에 다 드러나있다."[26]라고 언급했다.

바울은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에 비해 길이가 짧은 이 편지에서 다시 한번 자신을 예수 그리스도의 사도로, 하나님의 뜻에 따라 세워진 자라고 언급하며, 고린토 사람들에게 고통스러운 방문을 다시 하지 않을 것이라고 안심시킨다. 그러나 그가 하려는 말은 고통을 주기 위함이 아니라, 그들에 대한 자신의 사랑을 확신시키기 위함이다.

이 편지는 독자가 당시 고린도 공동체의 사회적, 종교적, 경제적 상황을 모른다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바울은 고린토의 상황이 여전히 복잡하고 자신이 공격받고 있다고 느꼈다. 일부 사람들은 그의 사도로서의 권위에 도전했고, 그는 갈라디아서와 같이 그를 받아들인 다른 도시들과의 어려움의 정도를 비교한다. 그는 자신의 말과 글쓰는 방식에 대해 비판을 받았으며, 자신의 중요한 가르침들을 가지고 자신을 변호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여겼다.

그는 다른 사람을 용서하는 것의 중요성과, 살아있는 하나님의 영으로부터 오는 하나님의 새 언약(고린도후서 3:3)의 중요성, 그리고 그리스도의 사람이 되어 예루살렘에 있는 하나님의 백성에게 아낌없이 주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마지막으로 하나님이 자신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에 대한 자신의 경험으로 끝맺는다(Sandmel, 1979).

7. 통일성

대부분의 학자들은 바울로가 이 서신의 저자라는 것에 동의하지만, 이 서신이 본래 하나의 편지인지 아니면 여러 편지를 엮은 것인지에 대해서는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18]

신약성경에는 고린토 교회에 보낸 편지들 중 두 개만 실려있지만, 본문에는 최소한 네 개 이상의 편지가 교회에 전달되었고 한 장 이상의 답장이 바울로에게 전달되었음을 나타내는 증거들이 있다.

편지 종류관련 구절 및 내용
경고 편지 (이전 편지)첫째 편지 5:9 ("내가 여러분에게 쓴 편지에서 음란한 사람들과 사귀지 말라고 했지만")에서 이전에 보낸 편지의 내용을 참조.[6]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
엄중한 편지 (눈물의 편지)둘째 편지 2:3-4와 7:8에서 언급. 첫째 편지에서는 이 편지를 언급하고 있지 않으니, 첫째와 둘째 편지 사이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



첫째 편지 7장 1절에서는 첫째 편지가 이전에 고린토 교회에서 바울로에게 전송한 질문에 대한 답변하고 있음이 나타난다.

둘째 편지가 10-13장에서 따끔하게 책망하는 어조로 급히 전환되는 것을 보고, 많은 사람들이 엄중한 편지의 일부가 어떤 경로로 본문에 첨가되었을 것으로 추측한다.[19] 그러나 이 내용은 둘째 편지 본래의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과,[20] 10-13의 내용이 혹독한 편지가 아닌 후의 다른 편지들로부터 첨가된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 역시 존재한다.[21]

8-9장에서 글의 주제가 이전과 달리 갑작스레 바뀌는 것을 보고, 몇몇 학자들은 8-9장이, 심지어는 8장과 9장의 내용 역시 각각 다른 편지의 내용이었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이러한 주장에 반대한다.[22]

일부 학자들은 경고 편지의 내용을 1-9장에서 찾는데,[23] 6:14-7:1에 그 내용이 보존되어 있다는 식의 주장이다.[19] 그러나 이와 같은 주장은 말 그대로 일부에 불과하다.[24]

이 서신에는 바울의 문체의 분위기가 갑자기 바뀌거나, 이야기의 연결이 매끄럽지 않은 부분이 종종 보인다. 그 때문에, 이 서신은 복수의 서신을 편집한 것이 아니냐는 가설이 제기되었고, 현재는 귄터 본캄 등에 의한 5개의 서신의 복합체라는 설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지지받고 있다.[17]

서신내용
서신 A제2장 14절 ~ 제7장 4절
서신 B제10장 1절 ~ 제13장 13절
서신 C제1장 1절 ~ 제2장 13절과 제7장 5절 ~ 16절
서신 D제8장
서신 E제9장


8. 신학적 관점

바울로는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에서 자신을 하느님에 의해 임명된 예수 그리스도의 사도라고 언급하며, 고린토 교회가 고통스러운 방문을 다시 겪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안심시켰다. 그는 자신의 말이 고통을 주기 위함이 아닌 사랑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한다.[25]

바울로는 갈라디아 등 자신의 사도권을 받아들인 다른 교회들과 비교했을 때, 고린토 교인 일부가 자신의 사도됨에 도전하는 것에 대해 염려했다. 그는 자신이 말하고 쓴 것에 대해 비판받는 가운데, 자신의 중요한 가르침들로부터 자신을 변호했다.[25]

바울로는 다른 사람들을 용서하는 것의 중요성, 살아계신 하느님의 성령으로 쓴 새 언약(둘째 편지 3:3), 그리스도의 사람이 되는 것, 예루살렘의 성도들을 관대히 돕는 것의 중요성을 서술했으며, 하느님께서 그의 인생을 어떻게 바꾸셨는지에 대한 경험으로 편지를 마친다.[25]

9. 현대적 의의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둘째 편지는 바울로가 자신의 사도직을 변호하고, 고린토 교회와의 관계를 회복하려는 노력을 보여주는 서신이다. 이 편지는 바울로의 개인적인 감정과 신학적 통찰을 동시에 담고 있어, 그의 다른 서신들보다 그의 개성이 더 잘 드러난다는 평가를 받는다.[16]

바울로는 고린토 교인들 일부가 자신의 사도 됨에 도전하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25] 자신의 말과 글이 비판받는 상황에서 중요한 가르침들을 통해 자신을 변호한다.[25] 그는 다른 사람들을 용서하는 것, 살아계신 하느님의 성령으로 쓴 새 언약, 그리스도의 사람이 되는 것, 예루살렘의 성도들을 돕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25]

이스턴 성경 사전은 이 서신이 바울로의 인간적인 연약함, 영적인 강함, 깊은 애정, 상처받은 감정, 엄격함, 반어법, 꾸짖음, 자기 변호, 겸손, 자존심, 약자에 대한 열정, 교회 발전을 위한 열정 등 다양한 면모를 보여준다고 평가한다.[16]

10. 관련 학자

참조

[1] 서적 ESV Pew Bible https://books.google[...] Crossway
[2] 웹사이트 Bible Book Abbreviations https://www.logos.co[...] 2022-04-21
[3] bibleverse 2Corinthians
[4] 문서 Jerome, Letter 120: "Therefore Titus served as an interpreter, as Saint Mark used to serve Saint Peter, with whom he wrote his Gospel..."
[5] 서적 The Second Epistle to the Corinthians Eerdmans
[6] 문서 1 Cor. 5:9
[7] 문서 Adolph Hausrath, ''Der Vier-Capitel-Brief des Paulus an die Korinther'' (Heidelberg: Bassermann, 1870); similarly, James Houghton Kennedy, "Are There Two Epistles in 2 Corinthians?" ''The Expositor'' 6 (1897); reprinted in idem, ''The Second and Third Epistles of St. Paul to the Corinthians'' (London: Methuen, 1900). More recently see L. L. Welborn, “The Identification of 2 Corinthians 10-13 with the ‘Letter of Tears’," ''Novum Testamentum'' 37 (1995): 138-153.
[8] 웹사이트 2 Corinthians: Introduction, Argument, and Outline http://www.bible.org[...] Daniel Wallace at bible.org
[9] 서적 Exploring Second Corinthians: Death and Life, Hardship and Rivalry B. J. Oropeza
[10] 서적 2 Corinthians: An Exegetical and Theological Exposition of Holy Scripture B&H Publishing Group
[11] 웹사이트 New Testament Letter Structure http://catholic-reso[...] Felix Just, S.J.
[12] 웹사이트 THE SECOND LETTER TO THE CORINTHIANS http://www.earlychri[...] Edgar J. Goodspeed
[13]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Bible John Drane
[14] 문서 Acts 20:2-3
[15] 서적 ESV Study Bible Crossway 2008
[16] 웹사이트 Corinthians, Second Epistle to the http://www.ccel.org/[...] Easton's Bible Dictionary
[17] 문서 たとえば、青野太潮「パウロ書簡」(岩波書店)
[18] 서적 The Second Epistle to the Corinthians Eerdmans
[19] 웹사이트 THE SECOND LETTER TO THE CORINTHIANS http://www.earlychri[...] Edgar J. Goodspeed
[20] 웹사이트 2 Corinthians: Introduction, Argument, and Outline http://www.bible.org[...] Daniel Wallace at bible.org
[21] 문서 B. J. Oropeza, ''Exploring Second Corinthians: Death and Life, Hardship and Rivalry'' (Atlanta: SBL Press, 2016), 2-15; Victor Paul Furnish, ''II Corinthians'' (Garden City, NY: Doubleday, 1984).
[22] 서적 2 Corinthians: An Exegetical and Theological Exposition of Holy Scripture B&H Publishing Group
[23] 웹사이트 New Testament Letter Structure http://catholic-reso[...] Felix Just, S.J.
[24]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Bible John Drane
[25] 서적 Philo of Alexandria, an introduction http://worldcat.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79
[26] 웹사이트 Corinthians, Second Epistle to the http://www.ccel.org/[...] Easton's Bible Diction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