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베 하버랜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베 하버랜드는 고베시의 항구 지역에 위치한 상업 시설로, 한신·아와지 대지진 이후 재개발을 통해 상업 중심지로 부상했다. 한때 방문객 수와 매출이 증가했으나, 산노미야와 모토마치의 복구, 교외 쇼핑센터의 등장으로 인해 방문객 수가 감소했다. 대형 점포의 철수와 운영 체제 변화를 겪었으며, 현재는 umie, 프로메나 고베, umie MOSAIC이 주요 시설로 자리 잡고 있다. 지리적 특성상 주변 역과의 접근성이 제한적이며, 관광객 중심의 지역 특성으로 인해 독창적인 상품 및 브랜드 경쟁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베 하버랜드 - 구 고베항 신호소
    1921년 고베항에 건설되어 1990년까지 운영된 르네상스풍의 벽돌 건물인 구 고베항 신호소는 초기 백열전구 신호기에서 발광 신호 방식으로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고베항의 상징적인 역사적 건축물로 보존되고 있다.
  • 고베 하버랜드 - 모자이크 가든
    1995년 개장한 고베의 유원지 모자이크 가든은 세계 최초로 일루미네이션 기능을 갖춘 관람차와 고베항 야경 명소로 유명했으나, 2012년 이후 대부분 어트랙션 운영이 중단되었다.
  • 일본의 재개발 지역 - 오사카 가든 시티
    오사카 가든 시티는 오사카 니시우메다 지역의 대규모 복합 개발 사업으로, 고급 호텔, 기업 본사, 쇼핑몰, 공연장, 병원, 녹지 공간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교통 인프라 구축과 지하 보행로 개통으로 지역 발전에 기여했다.
  • 일본의 재개발 지역 - 린쿠타운
    린쿠타운은 간사이 국제공항 건설과 함께 계획된 오사카부 이즈미사노시의 해안 도시로, 버블 경제 시기에 개발되었으나 버블 붕괴로 계획이 축소되었고, 현재는 다양한 상업, 공공 시설과 관광 명소를 갖추고 간사이 국제공항과의 편리한 교통망을 통해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 고베시의 관광지 - 롯코산
    롯코산은 효고현 고베시와 오사카부에 걸쳐 있는 높이 931m의 산맥으로, 고베와 오사카의 상징이며, 서구 문화의 영향을 받아 고급 휴양지로 개발되어 다양한 관광 시설을 갖추었지만, 산림 황폐화로 인해 녹화 사업과 재해 방지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 고베시의 관광지 - 고베항
    고베항은 10세기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진 일본 효고현 고베시의 주요 국제 무역항으로, 한때 동양 최대의 항구였으나 지진 피해 이후 현재는 국제 컨테이너 전략 항만으로 육성되며 관광 및 문화 도시로 발전 중이다.
고베 하버랜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명칭고베 하버랜드
로마자 표기Kōbe Hābārando
일본어 표기神戸ハーバーランド
개업1992년
위치
소재지일본 효고현고베시주오구
역사
배경미쓰비시 중공업 고베 조선소 철거지
개업일1992년
10주년2002년 11월 1일
시설
주요 시설고베 메리켄 파크 오리엔탈 호텔
고베 브릭 웨어하우스
모자이크 가든
캐널 가든
고베 하버랜드 umie
고베 컨벤션 센터
프로메나 고베
하버랜드 센터 빌딩
교통
철도고속 고베 역
기타
웹사이트고베 하버랜드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1982년 11월, 구 일본국유철도의 미나토가와 화물역[1]과 가와사키제철(현재의 JFE홀딩스)·가와사키중공업 등 연안 공장 부지 약 23ha[1]의 재개발이 1985년에 시작되어 1992년 9월에 완료되었다.[1]

일반 시민의 접근이 어려웠던 항만 시설 부지를 시민에게 개방하는 워터프런트 개발이 이루어졌으며,[1] 당시 정부의 민간 활력 도입 방침에 따라 고베 시와 민간 기업이 협력하여 총 사업비 3조 규모로 진행되었다.[3]

1981년 준공된 포트 아일랜드와 함께 림해부 도심 개발 사례로 꼽히며,[4] 1993년 일본도시계획학회 '이시카와상' 수상 및 국토교통성 '도시경관 100선'에 선정되었다.[5][6]

고베역(JR고베선)·하버랜드역(해안선)·고속고베역(한큐선)·(한신선)·(산요선) 등 여러 노선이 듀오 고베를 통해 연결되어 철도 이용이 편리하다.[8]

맞은편 메리켄파크에는 고베 포트타워, 고베해양박물관 등 관광 시설이, 하버랜드에는 고베 모자이크 등 복합상업시설이 위치하여 경쟁하고 있다.

1992년 도시 개발 완료와 함께 고베 세이부, 고베 한큐 등 백화점과 다카시마야, 다이에, 세이덴샤 등 대형 점포들이 개점하여 대규모 상업 지구가 형성되었다.[1] 요코하마의 미나토미라이 21과 함께 주목받는 워터프런트 개발 지역이 되었다.[9]

상업 시설, 사무실, 주택이 혼재하는 복합 도시[10]로, 가와사키중공업 본사, 효고현 고베 하버랜드 청사[12], 고베가스빌[13] 등 다양한 시설이 들어서 있다. 효고현립 고베 생활 창조 센터[14], 고베시 산업 진흥 센터[15] 등 공공 시설도 설치되어 있다.

2. 1. 개발 배경

1982년(쇼와 57년) 11월에 화물역으로서의 영업을 종료한 구 일본국유철도(国鉄)의 미나토가와 화물역[1]과, 가와사키제철(현재의 JFE홀딩스)·가와사키중공업 등 연안 일대 공장 부지 약 23ha[1]를 1985년(쇼와 60년)에 재개발하기 시작하여, 1992년(헤이세이 4년) 9월에 도시 개발을 완료한 시가지이다.

오사카 만에 면한 동쪽 끝은, 종래 공장이나 창고 등 항만 시설로 점유되어 일반 시민이 접근할 수 없었던 림해부를 시민에게 개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워터프런트가 개발되었다.[1]

당시 정부가 장려하고 있던 민간 활력 도입 방침에 따라 고베 시가 매입한 토지에서 민간 기업이 사업을 전개하는 방식으로 개발이 진행되었으며,[1] 총 사업비는 고베 시와 민간 기업을 합쳐 3조을 넘었다.[3]

1981년(쇼와 56년)에 준공된 포트 아일랜드와 함께 림해부의 도심적인 개발 사례이다.[4]

일본 국내에서는 당시로서는 선진적인 방식이었기 때문에, 1993년(헤이세이 5년)에 일본도시계획학회로부터 ‘이시카와상’을 수상[5]하는 동시에 국토교통성의 ‘도시경관 100선’에도 선정되었다.[6]

2. 2. 한신·아와지 대지진과 그 이후

1995년 1월 17일에 발생한 '''한신·아와지 대지진'''의 피해는 고베 최대 상업 중심지인 산노미야보다 적었다.[20] 지진 당시 다이에의 현지 대책 본부가 이곳에 설치되었고, 다음 날인 1월 18일부터 다이에가 점포 일부를 영업 재개했으며,[21] 약 2개월 후에는 고베 한큐가 영업을 재개하는 등[22] 다른 지역보다 빨리 복구되었다.[1] 그 직후 고객 유치력이 향상되어 매출이 증가, 1997년 방문객 수는 약 3,600만 명, 매출액은 9000억을 넘었다.[1]

이후 산노미야모토마치의 복구, 교외 쇼핑센터의 성장으로 방문객 수는 감소세로 돌아섰다.[23] 2001년에는 약 3,460만 명,[10] 2003년에는 약 3,000만 명으로 감소했다.[23]

2. 3. 대형 점포 철수와 운영 체제 변화

1994년 12월, 고베 세이부(神戸西武)는 경영 악화로 일찍 철수했다.[1] 1996년 4월, 파소나(パソナ)가 고베 하버 서커스(神戸ハーバー・サーカス)를 개업했으나, 경영 부진으로 2004년 3월 말 철수했다.[24]

스미토모 생명보험(住友生命保険)은 약 30억을 들여 개조하고,[26] 지오 아카마츠(ジオ・アカマツ)의 운영으로[26] 2004년 12월 3일 비즈키스(ビーズキス)를 개업했다.[27] 그러나 고베 스위츠 하버(神戸スイーツハーバー)가 2007년 11월 25일에,[28] 토이저러스(トイザらス)가 2008년 1월에 폐점하는 등[29] 유력 점포들이 철수하면서, 2008년 3월에는 테넌트 수가 약 30개 점포까지 감소했다.[30]

일본관재(日本管財)는 가족 단위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전략을 세우고,[30] 2008년 4월 25일, 독특한 푸드코트 플레이(プレイ)를 개업시키고,[31] 전체 점포 이름을 파밀리오(ファミリオ)로 변경했다.[31] 그러나 2011년 1월 31일, 파밀리오의 의류 등 테넌트 14개 점포가 일제히 폐점하면서 대부분의 테넌트가 철수했다.[32]

2000년 7월, 세이덴샤(星電社)가 철수하고, 같은 해 12월에 콤사 스토어(コムサストア)가 개업했다.[1] 오가스타 플라자(オーガスタプラザ)는 경영 부진이 계속되어,[1] 2002년 6월 7일에 모건 스탠리(モルガン・スタンレー) 그룹에 매각되었다.[33] 고시마야(高島屋)는 2002년 9월 말 임대 계약 기간 만료와 함께 폐점하고, 운영 회사 오가스타도 해산했다.[33]

2005년 11월 30일, 다이에이(ダイエー)가 철수하면서,[34] 개업 당시부터 영업을 계속하고 있는 대형 상업 시설은 고베 한큐(神戸阪急)와 고베 모자이크(神戸モザイク)만 남게 되었다.[20] 고베 한큐는 2004년에 아카짱혼포(赤ちゃん本舗)를 유치하고,[20] 2006년 3월에 한큐 오아시스(阪急オアシス)를 도입하는 등[35] 노력했지만, 1995년과 1996년의 2년을 제외하고는 적자가 계속되었다.[37]

결국 고베 한큐는 2012년 3월 11일에 폐점했다.[37] 에이치투오 리테일링(エイチ・ツー・オー リテイリング)은 고베 모자이크의 운영 회사 탁토(タクト)의 주식 전부를 미쓰비시 창고(三菱倉庫)에 양도하여 경영권을 이전하고, 이 지역에서 완전히 철수했다.[39]

2. 4. 새로운 체제와 재개발

고베 모자이크 남서쪽에 인접한 하버랜드 5구역에는 1897년(메이지 30년)에 건설되어 2007년(헤이세이 19년) 고베시의 「경관 형성 중요 건축물」로 지정된 적벽돌 창고가 있었다. 이 창고는 고베 하버랜드 개업 당시 미쓰비시 창고가 고베시에 기증한 것이다.[40] 그러나 상업 지역으로서 하버랜드의 지위 저하로 인해 개발 사업자를 모집했으나 일체 개발은 실현되지 않았다.[9][41]

2007년 10월, 일본유선 소유지가 미쓰비시 그룹의 미쓰비시 지소에 분양 주택 건설 용지로 매각되었다.[42] 2009년(헤이세이 21년) 3월에는 다이쿄가 도시재생기구가 보유하는 토지를 약 19억에 낙찰받아[40] 이 지역 최초의 민간 아파트가 건설되는 등, 주택 기능이 상업 시설 중심 지역에도 도입되기 시작했다.[9]

프로메나 고베는 2009년 1월부터 '''신에이 부동산 비즈니스'''로 운영 관리 위탁처가 변경되었고,[43] 2010년(헤이세이 22년) 7월 23일에는 상층부를 개조하여[44] 최상층인 18층에 발 담그고 고베의 경치를 즐길 수 있는[9] 대형 온천 시설 '''고베 하버랜드 온천 만요 클럽'''을 개업했다.[45]

고베 하버랜드 센터 빌딩은 2009년 리먼 쇼크 이후 불황의 영향으로 소유하고 있던 퍼시픽 홀딩스가 도산하여, 쿠시먼 앤드 웨이크필드가 운영을 계속하면서 매각 협상이 진행되었다.[46] 도산한 호텔이나 여관을 매수하여 재생하는 수법으로 성장한 호텔 매니지먼트 인터내셔널 그룹[47]이 약 50억에 상업동과 사무동을 포함한 당 빌딩을 취득한 것을 2011년 10월 3일에 동사가 공식 발표했고,[48] 2012년 7월 26일에 '''호텔 크라운 팰리스 고베'''가 개업했다.[49]

고베 킨테츠 자리의 상업 시설 운영을 부동산 소유자인 미쓰비시 창고 등이 이온몰에 위탁하게 되었다. 미쓰비시 창고가 일부를 보유하고 동점 자리와 연락 통로로 연결되어 있는 '''Ha・Re'''와 고베 모자이크도 양사가 공동으로 일체적으로 운영하게 되어, 2012년 11월 20일에 전체의 새로운 명칭이 umie(우미에)으로 발표되었다.[51] 2013년 4월 18일에 오픈했다.

1995년 12월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부터의 부흥의 상징으로 미쓰비시 창고가 고베 모자이크 남쪽에 개업한 입장료 무료의 거리 놀이 공원 모자이크 가든도 노후화 등으로 내원자 수가 감소했다는 이유로, 2012년 3월 15일에 미니 코스터, 같은 해 5월 6일에 회전목마나 유령의 집 등 시설의 영업을 종료하고, 관람차만 영업을 계속하게 되었고,[52] 잔여지는 umie에 맞춰 재개발하여[52] 2013년 4월 19일, 애니메이션 캐릭터 안빵맨의 테마파크와 상업 시설로 구성된 고베 안빵맨 어린이 박물관&몰이 개업했다.[53]

3. 지리적 특징 및 문제점

고베 하버랜드는 동쪽으로 오사카만에 면해 있으며, 과거 공장과 창고 등 항만 시설이 있던 곳을 시민들에게 개방하기 위해 워터프런트(Waterfront)로 개발되었다.[1] 맞은편의 메리켄파크에는 고베 포트타워와 고베해양박물관 같은 관광 시설이, 하버랜드에는 고베 모자이크 등의 복합 상업 시설이 있어 고객 확보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주변 역인 고베역이나 모토마치역 등에서 산노미야로 가는 길은 한신고속도로 3호 고베선과 국도 2호선(하마테 바이패스 포함)으로 막혀 있다.[17] 고베역에서 오는 경우 지하상가인 듀오 고베를 지나거나 2층 데크를 건너야 한다.[17] 이 때문에 주요 역과 가까운데도 쇼핑객들이 "들르기 어렵다"고 느껴 고객 유치력이 약하다.[3]

하버랜드는 대형 상업 시설 위주로 건설되어 각 점포가 상업 시설 내 통로에 면해 있고 도로변에는 배치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새로 만들어진 도로가 있음에도 사람들이 걷지 않아 하버랜드 전체로 사람들이 이동하지 않는 문제점도 있다.[18]

일상적인 쇼핑객보다 관광객이 많아 매출로 이어지는 고객 유치가 약한 것도 상업 시설 운영을 어렵게 한다.[19] 대규모 재개발로 인해 자금력이 있는 대형 매장 위주로 입점하여, 이 지역만의 독창적인 상품, 서비스, 브랜드 파워가 부족한 면도 있었다.[1]

고베 포트 타워에서 바라본 하버랜드

4. 주요 시설



메이지 천황 어용저 터
(1886년 현재의 다이아파크 빌딩 남동쪽 위치에 메이지 천황의 어용저가 있었다)


고베 모자이크에서 포트 타워·롯코산 방면을 바라봄


고베 하버랜드는 1982년 화물역 영업을 종료한 일본국유철도의 미나토가와 화물역과 연안 공장 터를 재개발하여 1992년에 완성된 지역이다.[1]

맞은편 메리켄파크에는 고베 포트타워, 고베해양박물관 등 관광 시설이, 하버랜드에는 고베 모자이크 등 복합 상업 시설이 들어서 있다. 1992년에는 고베 세이부, 고베 한큐 등 대형 점포가 개점하여 주목을 받았다.[1]

상업 시설, 사무실, 주택이 혼재하는 복합 도시로,[10] 가와사키중공업 본사, 효고현 고베 하버랜드 청사[12], 고베 신문사 등이 입주한 오피스 빌딩도 많다. 효고현립 고베 생활 창조 센터[14], 고베시 산업 진흥 센터[15] 등 공공 시설도 설치되어 있다.

고베 모자이크 남서쪽에는 1897년 건설된 적벽돌 창고가 보존되어 있다.[40][41] 2007년 이후 일본유선, 미쓰비시지소, 다이쿄 등이 토지를 매입하여 주택 기능이 도입되기 시작했다.[42][40][9]

프로메나 고베는 2010년 대형 온천 시설 '''고베 하버랜드 온천 만요 클럽'''을 개업했다.[44][9][45] 고베 하버랜드 센터 빌딩은 2012년 '''호텔 매니지먼트 인터내셔널''' 그룹에 인수되어 '''호텔 크라운 팰리스 고베'''가 개업했다.[46][47][48][49]

2012년, 이온몰이 '''umie(우미에)'''를 개장했고,[51] 2013년에는 '''고베 안빵맨 어린이 박물관&몰'''이 개업했다.[53]

4. 1. 현존 시설

고베 하버랜드의 현존 시설은 다음과 같다.

  • 고하마 여객터미널(고하마 안벽)
  • * 고베 콘체르토(유람선 레스토랑)
  • * 하버워크
  • * 구 고베항 신호소
  • * 벽돌 창고 레스토랑 거리
  • 호텔 라 스위트 고베 하버랜드 - 2008년에 개업한 럭셔리 호텔.
  • umie MOSAIC(고하마 모자이크)
  • * 바다 광장 - 고베 모자이크 내에 있는 광장으로, 크리스마스 시즌에는 크리스마스트리가 장식된다.[54]
  • * 고베 앙팡맨 어린이 박물관&몰
  • * 고베 디저트 팩토리
  • 고베 하버랜드 다이아닛세이 빌딩
  • * umie
  • * OS시네마즈 하버랜드 - 2012년 이전에는 한큐백화점·한큐전철과의 공동 출자로 「시네모자이크」를 고베 모자이크 내에서 운영하고 있었다.
  • 고베 하버랜드 센터 빌딩(하버센터)
  • 프로메나 고베(구 「오거스타 플라자」)
  • 고베 정보문화 빌딩(칼메니)
  • * 고베 신문사
  • ** 고베 신문 마쓰카타 홀 - 고베 신문 회관(현재의 민트 고베의 전신 빌딩)이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전파되었기 때문에, 1995년 2월부터 1996년 8월까지 하버랜드 다이아닛세이 빌딩(현재의 Ha・Re에 해당)에 입주하고 있었다.[55] 그러나 당 빌딩의 완성과 함께 이전했다.
  • ** 데일리 스포츠 고베 본사 - 고베와 도쿄에서 발행되는 데일리 스포츠의 총본부.
  • * 라디오 간사이
  • 고베 크리스탈 타워
  • * 가와사키 중공업 본사
  • * 효고현 고베 하버랜드 청사[12]
  • ** 고베 생활창조센터(소비생활센터) - 현민 갤러리 등을 포함한 효고현립의 복합시설[14]
  • * 후생노동성 효고노동국
  • 고베시 종합아동센터(코벡코랜드)[16]
  • 고베시 산업진흥센터[15] - 창업을 목표로 하는 사람들을 지원하는 「SOHO 플라자 창업준비 오피스」와 연구개발형의 창업 초기 중소기업이나 신분야 개척을 목표로 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한 기업 육성실 등도 있다.[56]
  • 듀오 고베
  • 하우징 디자인 센터 고베
  • 하버랜드 풋살 스타디움 - 1999년(헤이세이 11년) 7월에 오픈한 3면의 코트가 있는 조명이 갖춰진 풋살 전용 경기장.[57]
  • 팔티레 고베 웨딩 빌리지
  • 하네코 광장 - 광장 만입의 배 정박에 1990년(헤이세이 2년)에[58] 길이 19m, 폭 3m의 철제로 중앙에서 분할되어 모터의 힘으로 뿌리부터 각각 약 75도 튀어 오르는 「하네코」라는 애칭으로 알려진 가동교가 놓여진[59] 것에서, 이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바닷가에 있기 때문에, 불꽃놀이 대회 등의 회장으로도 사용된다.[60]
  • 코난 - 원래의 하버랜드 지역이 아닌, 인접하는 중추제 서측 지역의 해운 창고 터에 2001년(헤이세이 13년) 9월에 개업한 홈센터.[57]
  • 고베 에키마에 저스트 스퀘어 - 산테레비의 신사옥(1 - 4층)과 호텔 주락 고베(1·5 - 12층)와의 복합 빌딩.[61]

4. 2. 과거 시설

1992년에 고베 세이부와 고베 한큐 백화점 2곳과, 다카시마야가 오사카가스와 공동으로 개발·운영하는 패션 빌딩 오거스타 플라자가 개점하였다.[1] 또한, 고베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대형 슈퍼 다이에와 당시 대형 가전 양판점 중 하나였던 세이덴샤가 개점하였고,[1] 한큐 백화점 등이 공동 출자하여 개발한 오픈 에어 복합 상업 시설 고베 모자이크 등, 간사이 지역 자본을 중심으로 한 대형 점포들이 거의 동시에 영업을 시작하였다.[1]

이후 여러 점포들이 철수하거나 변경되었다.

  • 고베 한큐(神戸阪急)는 2012년 철수하였다. 2019년 10월 소고 고베점(そごう神戸店)의 상호를 변경하여 산노미야(三宮)에서 고베 한큐(神戸阪急)가 영업하고 있다.[62]
  • 고베 세이부(神戸西武)
  • 고베 하버 서커스(神戸ハーバーサーカス)
  • 뉴 오타니(ニューオータニ) 고베 하버랜드
  • 다이에(ダイエー) 하버랜드 시티(→하버랜드점)
  • 세이덴샤(星電社) 하버랜드점
  • 오거스타 플라자(オーガスタプラザ)는 다카시마야를 중심으로 한 상업 시설로, 현재의 「프로메나 고베」의 전신이다. 오사카가스의 자회사 「어버넥스」가 운영했으나, 2002년 9월 모건 스탠리(モルガン・スタンレー)에 매각되었고, 2004년 11월 「프로메나 고베」로 개칭되었다. 부속 오피스 빌딩(고베 가스 빌딩)에는 현재도 오사카 가스가 입주해 있다.
  • NHK 고베방송국(神戸放送局)은 한신·아와지 대지진 직후, 일시적으로 하우징 디자인 센터 고베 내로 이전했으나, 토아로드(トアロード) 연안의 구청사 자리에 신청사가 재건되었기 때문에, 2005년 1월 17일에 재이전되었다.

5. 교통

JR 고베역, 고속 고베역, 하버랜드역에서 듀오 고베를 통해 북쪽(산쪽)으로 가면 고베역(JR고베선), 하버랜드역(해안선), 고속고베역(한큐선), (한신선), (산요선) 등 여러 노선의 역을 이용할 수 있다.[8]


  • 철도 (각 역에서 듀오 고베(デュオこうべ)를 남쪽(바다 쪽)으로 걸어서 수 분)
  • * JR 고베 선(JR神戸線) - 고베 역(神戸駅)(효고현)
  • * 고베 시영 지하철 해안선(神戸市営地下鉄海岸線) - 하버랜드 역(ハーバー랜드駅)
  • * 고베 고속선(神戸高速線)(한큐・한신) - 고속고베 역(高速神戸駅), 니시모토마치 역(西元町駅)
  • 버스
  • * 신키 버스(神姫バス) 시티 루프 모토마치·산노미야·키타노 이진관 방면 (우미에 북쪽)
  • * 신키 버스 포트 루프(연결 버스) 메리켄 파크·신코항정·산노미야·신고베 역(新神戸駅) 방면 (안팡맨 뮤지엄 서쪽)
  • * 신키 버스 신코항정·포트 아일랜드 방면 (안팡맨 뮤지엄 서쪽·평일 한정)
  • * 미나토 관광 버스(みなと観光バス) 22번 시스템 산노미야·신고베·사쿠라모리초 버스 센터 방면 (모자이크 앞)
  • 자동차
  • * 오사카 방면에서는 한신 고속도로(阪神高速道路)의 교바시 출입구(京橋出入口)(효고현)를 이용.
  • * 아와지, 아카시, 히메지 방면에서는 한신 고속도로의 야나기하라 출입구(柳原出入口)를 이용.


추토제(中突堤)·메리켄 파크(メリケンパーク)를 거쳐 신항(신코항)(新港)(고베시)까지의 구간에 도시 케이블카(都市索道)가 구상되고 있다.[63][64]

참조

[1] 뉴스 News ANGLE2002 神戸ハーバーランド開業10年 神戸新聞社 2002-11-01
[2] 문서 例として、当地の最寄り駅の一つ・神戸市営地下鉄海岸線の「ハーバーランド駅」がある。
[3] 뉴스 イオン中心に再開発 読売新聞社 2012-03-11
[4] 서적 ウォーターフロント開発の理論と実践 (都市政策論集, 第15集) 神戸都市問題研究所,勁草書房 1993-01
[5] 간행물 旧居留地連絡協議会「石川賞」受賞 こうべまちづくりセンター 2007-08
[6] 보고서 全国初 流通科学大が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と「ふらっと案内」を活用した地域活性化社会実験を開始 流通科学大学 2010-03-30
[7] 뉴스 潮風に船乗り気分 日本丸見学会に6300人 神戸新聞社 2005-06-06
[8] 보고서 屋内測位普及発展に関する調査研究報告書 https://hojo.keirin-[...] 財団法人ニューメディア開発協会 2009-03
[9] 뉴스 テナント撤退続く神戸ハーバーランド、「住」で再生-高層マンション開発進む(街が動く) 日本経済新聞社 2010-09-25
[10] 뉴스 潮香る街 神戸ハーバーランド10年 上.玄関口 神戸新聞社 2002-10-22
[11] 뉴스 「にぎわい復活」へ期待 神戸ハーバーランド 神戸新聞社 2011-10-28
[12] 뉴스 「イーブン保育付きライブラリー」の参加者を募集(7月3日、8月7日、9月11日) 兵庫県少子対策本部 2008-07
[13] 뉴스 オーガスタプラザ売却 大阪ガス 神戸新聞社 2002-05-11
[14] 뉴스 昭和40年代の三宮を「路面電車の見た神戸」展 神戸新聞社 2002-11-13
[15] 뉴스 兵庫県内のIT業界に特化 就職セミナー初開催 神戸新聞社 2012-04-27
[16] 뉴스 ハーバーランドでお化け屋敷 学生企画 神戸新聞社 2005-08-12
[17] 뉴스 歩行者導線見直しへ 神戸ハーバーランド20年 神戸新聞社 2012-02-28
[18] 뉴스 潮香る街 神戸ハーバーランド10年 下.連携 神戸新聞社 2002-10-24
[19] 뉴스 モルガンに委ねる再生 神戸新聞社 2002-05-11
[20] 뉴스 11日閉店、神戸阪急の後継店舗 子育て世代に照準 神戸新聞社 2012-03-08
[21] 뉴스 奮闘ダイエー一冊につづる 初動の重要性紹介 神戸新聞社 2005-01-15
[22] 뉴스 神戸阪急、惜しまれ閉店 19年半の歴史終える 産経新聞社 2012-03-12
[23] 뉴스 家族向けで勝負 ビーズキス、神戸で開業 神戸新聞社 2004-12-04
[24] 뉴스 神戸ハーバーサーカス、月内にも大半閉鎖 運営会社撤退 神戸新聞社 2004-03-11
[25] 뉴스 ソフマップがダイエーに移転 神戸新聞社 2003-07-11
[26] 뉴스 お菓子の国にようこそ 神戸に「ビーズキス」開業 神戸新聞社 2004-12-02
[27] 뉴스 神戸に新名所「ビーズキス」オープン にぎわい再び 神戸新聞社 2004-12-03
[28] 뉴스 神戸スイーツハーバー、11月に閉鎖 観光に打撃 神戸新聞社 2007-10-27
[29] 뉴스 神戸ハーバーランドの「トイザらス」 来月閉鎖へ 神戸新聞社 2007-12-20
[30] 뉴스 ビーズキス「ファミリオ」に改称、家族向けに 神戸新聞社 2008-03-25
[31] 뉴스 神戸ハーバーランドに新施設「ファミリオ」開店 神戸新聞社 2008-04-25
[32] 뉴스 ファミリオのテナント大半が撤退 ハーバーランド 神戸新聞社 2011-02-01
[33] 뉴스 オーガスタ 9月解散を正式発表 高島屋 神戸新聞社 2002-06-14
[34] 뉴스 記者が選んだ2005年兵庫の大ニュース 神戸新聞社 2005-12-31
[35] 뉴스 兵庫経済2006 4.出店ラッシュ 規制見越し駆け込み? 神戸新聞社 2006-12-24
[36] 보고서 阪急百貨店 第87期営業報告書 阪急百貨店 2006-06-29
[37] 뉴스 神戸阪急 惜しまれ閉店 神戸新聞社 2012-03-12
[38] 뉴스 H2O、神戸阪急の閉鎖検討、赤字店見直し急ぐ。 日本経済新聞社 2010-11-11
[39] 뉴스 モザイク経営権三菱倉庫に譲渡 神戸ハーバーランド 神戸新聞社 2012-02-11
[40] 뉴스 神戸ハーバーランド 大京が分譲マンション 19億円で土地落札 日本経済新聞社 2009-03-09
[41] 뉴스 赤れんが倉庫、長期保存へ ハーバーランド 神戸新聞社 2009-03-06
[42] 뉴스 三菱地所:神戸・ハーバーランド遊休地にマンション建設、モザイク隣接地…活性化へ有効利用 神戸新聞社 2007-10-12
[43] 간행물 「プロメナ神戸」PM業務開始 新栄不動産ビジネス株式会社 2009-05-01
[44] 뉴스 神戸港眺め「白浜」に浸る…ハーバーランドに温泉施設 読売新聞社 2010-07-24
[45] 간행물 注目温浴施設ビジュアルレポート 開発&リニューアルの要点-地域一番店づくりの道を解く 綜合ユニコム 2010-09-28
[46] 뉴스 神戸・旧ニューオータニ後継ホテル 来春開業へ 神戸新聞社 2011-10-03
[47] 뉴스 旧ニューオータニ神戸棟などHMI買収 ハーバーランド活性化に期待感 日本経済新聞社 2011-10-05
[48] 뉴스 神戸・旧ニューオータニの施設取得 HMIが正式発表 神戸新聞社 2011-10-04
[49] 뉴스 ホテルクラウンパレス神戸開業 ハーバー再生なるか 神戸新聞社 2012-07-27
[50] 뉴스 旧ニューオータニ神戸の後継ホテル、7月に開業 神戸新聞社 2012-03-13
[51] 웹사이트 「神戸ハーバーランド商業施設 新名称決定のお知らせ」三菱倉庫株式会社 ニュースリリース http://www.mitsubish[...]
[52] 뉴스 モザイクガーデン 観覧車除き5月6日営業終了 神戸新聞社 2012-04-04
[53] 뉴스 アンパンマンミュージアム開業へ 神戸ハーバーランド 神戸新聞社 2012-06-15
[54] 뉴스 ひと足早くクリスマス「海の広場」にツリーお目見え 神戸新聞社 2003-11-08
[55] 문서 登記上の本社は西神ニュータウンにある印刷所「神戸新聞製作センター」に置いていたが、実質的な本社機能は当地にあった。
[56] 뉴스 SOHOプラザ創業準備オフィス ハーバーランドに開設 神戸新聞社 2001-05-03
[57] 뉴스 潮香る街 神戸ハーバーランド10年 中.相乗効果 神戸新聞社 2002-10-23
[58] 뉴스 神戸ハーバーランドのはねっこ橋が水陸両用船のコースに 神戸新聞社 2007-12-21
[59] 뉴스 阪神大震災で損傷、12年間開かずの跳ね橋が開閉へ 朝日新聞社 2008-03-14
[60] 뉴스 記念イベントを開催 神戸ハーバーランド10周年 神戸新聞社 2002-10-04
[61] 웹사이트 JR神戸駅前における放送局とホテルの複合開発「神戸駅前JUSTスクエア」竣工 https://www.nttud.co[...] NTT都市開発 2020-12-24
[62] 뉴스 そごうに関しても阪神・淡路大震災で神戸店の一部が崩壊した後、ハーバーランド進出を持ち掛けられたが、副社長だった山田恭一が否定している(神戸新聞1995年2月6日) 1995-02-06
[63] 웹사이트 神戸港に海上ロープウエー構想 21年度調査へ https://www.kobe-np.[...] 神戸新聞NEXT 2021-01-03
[64] 웹사이트 神戸港海上に都市型ロープウェイ建設構想が遂に浮上! 21年度に調査検討実施へ https://koberun.net/[...] こべるん 2021-0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