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부 백화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이부 백화점은 1940년 세이부 철도에 의해 설립되어, 이케부쿠로점을 시작으로 일본 내 백화점 체인으로 성장했다. 1970년대 세존 그룹으로 분리된 후, 유럽 및 미국의 고급 브랜드를 도입하며 혁신적인 전략을 추구했으나, 1990년대 버블 붕괴 이후 경영난을 겪었다. 2009년 소고와 합병하여 소고·세이부로 운영되고 있으며, 현재는 이케부쿠로 본점을 중심으로 도쿄, 홍콩,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에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의 백화점 - 레인 크로퍼드
레인 크로퍼드는 1850년 스코틀랜드인에 의해 홍콩에서 시작된 고급 백화점으로, 아시아 주요 도시에 매장을 운영하며, 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에 의해 자산이 몰수되기도 했고, 2000년대 이후 매장을 확장했으며, 여러 차례 수상 경력이 있다. - 일본의 백화점 - 미쓰코시
미쓰코시는 1673년 기모노 판매점 에치고야로 시작하여 현금 판매와 정찰제를 도입, 일본 최초 백화점으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이세탄 미쓰코시홀딩스의 일부로 일본 및 해외에서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가진 백화점이다. - 일본의 백화점 - 이세탄
1886년 도쿄에서 창업하여 신주쿠에 본점을 두고 급성장한 이세탄 백화점은 혁신적인 경영과 다양한 지점 개설로 일본 백화점 업계를 선도했지만, 2008년 미쓰코시와 경영 통합 후 2011년 미쓰코시 이세탄으로 합병되었으며, 합병 후에도 브랜드는 유지되고 있다. - 이케부쿠로 - 도쿄 음악대학
도쿄 음악대학은 1907년 설립된 동양음악학교를 전신으로, 이케부쿠로, 나카메구로·다이칸야마 캠퍼스에서 음악학부, 대학원 등을 운영하며 서양음악과 동양음악의 균형을 추구하는 일본의 사립 음악대학이다. - 이케부쿠로 - 도부 철도
도부 철도는 1897년 설립되어 간토 지방 최대 규모의 민간 철도 회사로 성장했으며, 다양한 노선망과 특급 열차 및 통근형 차량을 운영하고 여러 철도 회사와 상호 직통 운행을 한다.
세이부 백화점 | |
---|---|
기본 정보 | |
회사 이름 | 주식회사 세이부 백화점 |
영어 회사 이름 | The Seibu Department Stores, Ltd. |
![]() | |
![]() | |
운영 매장 수 | 8개 (2023년 기준) |
서비스 지역 | 일본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
모회사 | 소고 & 세이부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추가 정보 | |
설립일 | 1940년 3월 14일 |
본사 주소 | 서울특별시중구을지로 |
본점 주소 | 서울특별시중구을지로 |
업종 | 소매업 |
사업 내용 | 백화점업 |
대표자 | 대표이사 사장: 야마시타 쿠니오 |
자본금 | 60억 엔 |
매출액 | 단독: 4,761억 4,300만 엔 (2006년 2월 기준) 연결: 5,559억 9,300만 엔 |
직원 수 | 2,451명 (2006년 2월 28일 기준) |
결산기 | 매년 2월 말 |
주요 주주 | 소고 & 세이부 100% |
관계 인물 | 쓰쓰미 세이지 사카쿠라 요시아키 와다 시게아키 |
특이사항 | 2009년 8월 1일에 소고, 밀레니엄 리테일링과 3사 합병하여 소고 & 세이부가 됨. |
이전 정보 (해산된 법인) | |
회사 이름 (과거) | 주식회사 세이부 백화점 |
영문 회사 이름 (과거) | The Seibu Department Stores, Ltd. |
![]() | |
![]() | |
![]() | |
본점 주소 (과거) | 東京都豊島区南池袋一丁目28番1号 |
2. 역사
세이부 백화점의 역사는 크게 설립 초기, 세존 그룹 시기, 그리고 경영난과 합병 시기로 나눌 수 있다. 각 시기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설립과 초기 성장''' (1940년대 ~ 1960년대): 세이부 철도의 전신인 무사시노 철도가 백화점을 인수하면서 시작되었으며, 이케부쿠로점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했다.
- '''세존 그룹과 혁신''' (1970년대 ~ 1980년대): 쓰쓰미 고지로의 아들 쓰쓰미 세이지가 경영을 맡아, 해외 유명 브랜드를 적극 도입하고 독자적인 이미지 전략을 펼치며 전성기를 맞이했다.
- '''경영난과 합병''' (1990년대 ~ 현재): 버블 붕괴 이후 경영난을 겪으며 여러 차례의 인수 합병을 거쳐, 현재는 소고·세이부로 운영되고 있다.
각 시대별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사건 | |||
---|---|---|---|---|
1928년 | 세이부 후쿠이점의 전신 "다루마야" 창업. | |||
1933년 | 게이힌 백화점 이케부쿠로 분점 ("키쿠야 백화점") 이케부쿠로역 동쪽 출구에 출점. | |||
1940년 | 무사시노 철도가 키쿠야 백화점 인수, 무사시노 백화점으로 개칭. | |||
1943년 | 무사시노 식량주식회사로 상호 변경 (점포명은 유지). | |||
1947년 | 테이토 백화점 흡수 합병, 주식회사 무사시노 백화점으로 상호 변경.[14] | |||
1949년 4월 27일 | 주식회사 세이부 백화점으로 상호 변경 (점포명도 변경). | |||
1952년 9월 20일 | 세이부 백화점 제1기 개점, 이후 증개축을 반복하며 대규모 터미널형 백화점으로 성장. | |||
1955년 | 쓰쓰미 세이지 이사 점장 취임. | |||
1956년 | * 6월 13일: 가루이자와점 개업. | * 세이부 스토어 설립. | ||
1957년 | * 6월 8일: 누마즈점 개점. | * 9월 24일: 가마쿠라점 개점. | ||
1960년 6월 | 자동차 계 설치 (1961년 8월 자동차과로 승격). | |||
1962년 | * 3월 14일: 로스앤젤레스점 개점. | * 10월: 세이부 자동차 판매 주식회사 독립. | ||
1963년 | * 4월: 세이유 스토어 분리.[15] | * 8월 22일: 이케부쿠로점 화재, 7명 사망. | * 8월 24일: 침수 상품 할인 판매, 약 5만 명 운집으로 중단. | |
1964년 3월 | 일본 백화점 공동 매입 기구 발족, 지방 백화점과 업무 제휴 개시. | |||
1967년 9월 22일 | 후나바시점 개점.[16] | |||
1968년 | * 2월: 도쿄 마루모토 인수, 재건 착수. | * 4월 19일: 시부야점 개점.[17] | ||
1969년 | * 6월 상순: 도쿄 마루모토 폐점. | * 11월 14일: 오미야점 개점. | * 11월 23일: 파르코 개업. | |
1970년대 이후 | 파르코 성공에 힌트를 얻어 "문화 전략" 추진. | |||
1970년 | * 4월: 주식회사 파르코로 사명 변경. | * 6월 11일: 시즈오카점 개점. | * 10월 29일: 하치오지점 개점. | |
1971년 | * 쓰쓰미 야스지로 7회 기일, 세이부 철도 그룹과 세이부 유통 그룹(후의 세존 그룹) 분리. | * 4월 27일: 주식회사 세이부 백화점 간사이 설립. | * 6월 17일: 우쓰노미야점 개점. | |
1973년 11월 23일 | 토요하시점 개점. | |||
1974년 11월 15일 | 다카츠키점 개점.[18] | |||
1975년 | * 9월: 이케부쿠로점 전면 개장, 세이부 미술관 개관, 새 CI 도입. | * 미도리야(할부 백화점)와 자본 제휴. | ||
1976년 11월 16일 | 오쓰점 개점. | |||
1980년 | * 일본 백화점 공동 매입 기구, 일본 백화점 경영 협의회(JMA)로 개칭. | * 8월: 크레디 세존으로 사명 변경. | ||
1981년 | * 5월 29일: 야오점 개점. | * 6월: 세이부 크레디트, 크레디트・파이낸스 중핵 회사로 시작. | ||
1982년 | * 8월: 세이부 카드(후의 세존 카드) 발행.[19] |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첫 리그 우승 및 일본 시리즈 우승, 각 점포 우승 세일 실시. | ||
1983년 | * 5월: 주식회사 셸 가든 설립. | * 이케부쿠로 세이부, 매출액 일본 1위 달성.[20] | ||
1984년 | * 4월 27일: "혼킨 세이부" 개업. | * 10월 6일: 유라쿠초 마리온에 세이부 백화점 진출 (1987년 2기 빌딩 완성). | ||
1985년 3월 | "세이부 세존 그룹"으로 개칭. | |||
1986년 | * 쓰쓰미 세이지, 세이부 철도 이사 사임. | * 4월 25일: 도코로자와점 개점. | ||
1988년 3월 11일 | 가와사키점 개업 | |||
1989년 | * 6월 12일: 주식회사 세이부 백화점 간사이 합병.[21]. | * 10월: 세존 그룹으로 개칭. | ||
1993년 10월 | 세이부 호쿠리쿠 흡수 합병. | |||
1995년 10월 | 셸 가든 자회사화, "더 가든 지유가오카" 첫 도입. | |||
1996년 | * 6월: 클럽 온 멤버스 시스템 전점 도입.. | * 8월: 로프트 설립, 분사.. | ||
1997년 | * 10월: "통산 대신상" 수상. | * 12월 25일: 하마마쓰점 폐점. | ||
1998년 10월 | 로열 스칸디나비아사와 업무 제휴. | |||
1999년 | * 4월: 일름스 이케부쿠로 오픈. | * 노드스트롬사와 국내 판매권 계약. | * 10월 7일: 히가시토쓰카점 개점. | |
2000년 | * 이토추상사와 업무 제휴, 유라쿠초 세이부 흡수 합병. | * 9월 22일: 오카자키점 개점. | ||
2001년 | * 세이요 환경 개발 청산, 세존 그룹 붕괴. | * 쥬고와 포괄적 업무 제휴., 일름스 재팬 설립, 분사. | ||
2002년 2월 | 쥬고・세이부 통합 상품부(SSMG) 발족.. | |||
2003년 | * 2월: 사적 정리 계획 성립.[22]. | * 5월: 쥬고, 최대 주주가 됨. | * 6월: 밀레니엄 리테일링 그룹 발족.. | * 7월: 가와사키점, 하코다테점 폐점. |
2004년 9월 | 밀레니엄 리테일링 완전 자회사. | |||
2005년 | * 3월: 혼킨 세이부 흡수 합병. | * 9월: 이케부쿠로점, "세이부 이케부쿠로 본점"으로 명칭 변경.[23]. | ||
2006년 | * 유라쿠초 세이부 구조 개선. | * 2월: 후쿠이점으로 개칭.. | * 3월: 아키타점으로 개칭.. | * 6월: 세븐&아이 홀딩스 자회사 편입.. |
2007년 | * 시부야 세이부 개장. | * 9월 14일: 도코로자와 세이부 리뉴얼 오픈. | ||
2008년 | 이케부쿠로 세이부 구조 개선 (~2010년). | |||
2009년 8월 1일 | 소고, 밀레니엄 리테일링과 합병, 소고·세이부 탄생. 점포 표기 "세이부○○점"으로 통일.[25] |
2. 1. 설립과 초기 성장 (1940년대 ~ 1960년대)
세이부 백화점은 1940년 무사시노 철도가 기쿠야 백화점을 인수하면서 시작되었다.[11] 1949년 주식회사 세이부 백화점으로 상호를 변경하고, 이케부쿠로점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했다.[11]1950년대와 1960년대는 일본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백화점 사업도 함께 성장했다.[11]
2. 2. 세존 그룹과 혁신 (1970년대 ~ 1980년대)
쓰쓰미 고지로의 아들인 쓰쓰미 세이지는 세이부 백화점을 중심으로 하는 '''세이부 유통 그룹'''(후의 세존 그룹)을 상속받았다.세이지는 일본 백화점 최초로 파리에 사무소를 설립하고, 에르메스, 입생로랑 등 유럽과 미국의 고급 브랜드를 빠르게 도입했다.[11] 1962년에는 피에르 가르뎅과 함께 컨티넨탈 룩의 선두주자로 파리에서 인기를 얻고 있던 테드 라피도스와 제휴했다. 1975년-1976년에는 제1차 조르지오 아르마니 붐을 일으켰다. 1984년에는 해외 및 국내 고급 브랜드를 일괄적으로 취급하는 전문 상사인 다이자와 상회를 자회사로 편입했다. 1980년대 초반에는 미쓰코시 니혼바시 본점을 제치고 매출 일본 1위 백화점이 되었다.
소니아 리키엘, 미쏘니, 잔프랑코 페레, 루이 페로 등의 일본 대리점이 되었고, 겐조, 이세이 미야케, 다케오 키쿠치(멘즈비기) 등을 처음으로 도입한 것도 세이부였다. 시부야세이부 시부야점에 설치된 숍 「캡슐」에서는 데뷔 초였던 가와쿠보 레이(꼼 데 가르송), 야마모토 칸사이 등을 지원했다. PB(자체 브랜드) 개발에서도 당시 일본에서는 아직 무명이었던 랄프 로렌과 계약하여 메이저 브랜드로 육성했다. 또한 「'''SEED관'''」의 시도는 현재 일반적인 편집샵의 선구자이기도 했다.
독자적인 「이미지 전략」을 내세워 「맛있는 생활」, 「신기한 것 좋아해」 등 이토이 시게리 등의 명캐치프레이즈로도 알려졌다.[11] 파르코, 로프트, 무인양품 등 다양한 업종에 진출했고, 세존 미술관, 긴자 세존 극장 등 메세나·소프트 사업도 폭넓게 전개했다. 이들은 「'''세존 문화'''」라고 불리며 한때 크게 유행했고, 세이부 백화점의 브랜드 파워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2. 3. 경영난과 합병 (1990년대 ~ 현재)
1990년대 버블 붕괴로 인해 부동산 과잉 투자의 부담이 커졌다. 세존 그룹 내에서 육성한 독자 브랜드(파르코, 패밀리마트 등)를 매각하고, 이케부쿠로 본점을 부동산투자신탁화하여 1,000억 엔 이상의 자금을 조달하는 등 재건에 나섰다. 그러나 1999년경 은행과의 관계가 악화되어 와다 시게아키(和田繁明) 회장이 사임 압력을 받았다.[11]2000년 민사재생법을 신청하고 경영난에 빠진 소고(そごう)에 와다가 특별 고문(이후 사장)으로 취임했다. 와다는 세이부 백화점의 경영 방식을 도입하면서 소고를 재건했지만, 양사의 자본 제휴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세이부 백화점 직원들이 소고로 대거 이동했다가 퇴직 후 재고용되는 형태로 인재 유출이 발생했는데, 이는 훗날 양사의 경영 통합을 염두에 둔 조치로 보인다.[11]
세이요 간쿄 개발(西洋環境開発)의 부실 채권 처리 문제로 세존 그룹(セゾングループ)의 경영 위기가 표면화되면서 세이부 백화점에도 다시 경영 불안이 발생했다. 2,200억 엔의 채권 포기를 중심으로 하는 "사적 정리" 방식으로 재건이 진행되었다. 이때 세이부 백화점을 지원한 것은 소고를 자회사로 둔 주식회사 소고였다. 2003년부터 2004년에 걸쳐 소고는 고토 타카시(後藤高志)(다이이치칸긴 은행(第一勧業銀行) → 미즈호 은행(みずほ銀行)) 등의 지원을 받아 세이부 백화점의 제3자 배정 증자를 인수하고, 주식 교환 방식으로 세이부 백화점을 완전 자회사로 만들었다. 주식회사 소고는 밀레니엄 리테일링으로 상호를 변경하여 소고와 세이부 백화점의 경영 통합을 완료했다. 이로써 국내 2위의 거대 백화점 그룹이 탄생했으며, 이러한 사업 지주회사 방식의 경영 통합은 이후 다른 대형 백화점 간 통합에 큰 영향을 주었다.[11]
밀레니엄 리테일링은 노무라 프린시펄 파이낸스(野村プリンシパル・ファイナンス) 등을 인수처로 하는 증자를 실시하고 상장을 목표로 했지만, 상장 시기를 둘러싼 의견 대립과 적대적 인수합병 방어 차원에서, 2005년 12월 와다 대표는 세븐&아이 홀딩스에 회사를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와다는 2007년 건강 문제로 은퇴했다.[11]
2006년 6월, 세븐&아이 홀딩스가 밀레니엄 리테일링을 인수하여 완전 자회사(백화점 사업의 중간 지주회사화)로 만들면서, 세이부 백화점과 소고는 세븐&아이 그룹의 일원이 되었다.[11]
세븐&아이 그룹 편입 후에도 한동안 소고와 함께 독자적인 노선을 유지했으나, 2009년 2월 자체 브랜드(PB 상품)인 "세븐 프리미엄(セブンプレミアム)"을 이케부쿠로 본점 식품 매장(지하 식품 매장(デパ地下))에 도입했고, 최종적으로 양사 전 점포에 확대했다.[12] 닛케이는 백화점 매출 부진의 원인이 고가 상품에 치우친 탓으로 보고, 일상용품인 PB 상품 도입으로 상품 구성을 다양화하고 매출을 늘리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12]
2009년 8월 1일, 소고를 존속 회사로 하여 세이부 백화점과 밀레니엄 리테일링을 흡수 합병하여 '''소고·세이부(そごう・西武)'''가 탄생했다. 세이부 백화점과 밀레니엄 리테일링은 법인으로서 해산되었고, 점포명은 "소고", "세이부"를 유지했다. 다만, 점포 표기는 "○○세이부"에서 "'''세이부○○점'''"으로 통일되었다. 이후 "세이부'''백화점'''"이라는 표기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25]
2006년 2월 기준 세이부 백화점 전점의 국내 백화점 사업 영업이익률(利益#売上高営業利益率)은 4.18%로 업계 2위였다 (1위는 다이마루(大丸) 4.4%, 3위는 한큐 백화점(阪急百貨店) 4.06%).[13]
3. 점포
세이부 백화점은 일본 외에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지에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과거 홍콩, 미국 로스앤젤레스에도 진출했으나 현재는 모두 철수했다.
3. 1. 일본 국내
세이부 백화점의 주력 매장은 이케부쿠로에 있다. 도쿄에는 시부야와 이케부쿠로에 매장이 있다. 2020년 기준으로 전국에 8개의 매장이 있었으나, 2020년 8월 매출 부진으로 오카자키와 오쓰 매장은 폐점하고 아키타와 후쿠이 매장은 규모를 축소했다.[1]세이부는 백화점 외에도 전문점 로프트와 쉘 가든 슈퍼마켓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이 두 곳은 모두 세븐&아이 홀딩스의 계열사였다. 쉘 가든 슈퍼마켓은 2023년 9월 소고&세이부와 함께 미국 투자펀드 포트리스 인베스트먼트 그룹에 매각되었다. 세이부는 이전에 파르코(현재 제이프런트 리테일링이 운영), 무인양품(독립 운영), 세이유 그룹(현재 월마트 소유)을 운영했다. 세이부, 파르코, 세이유는 이전에 해체된 세이부 세존 그룹의 계열사였으며, 무인양품은 세이유의 자체 브랜드였다.
3. 2. 해외
세이부는 과거 홍콩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지점을 냈었지만, 현재는 모두 철수했다.홍콩에서는 1990년 퍼시픽 플레이스 쇼핑몰에 첫 해외 매장을 열었으나, 1996년 딕슨 컨셉츠에 운영권을 넘겼다. 이 매장은 2013년까지 운영되었고, 윈저 하우스에도 또 다른 매장이 있었다.
로스앤젤레스에는 1962년 윌셔와 페어팩스가 교차하는 지점에 미국 본토 최초의 일본계 백화점을 열었으나, 2년 만에 문을 닫았다. 이 건물은 나중에 오르바흐(Ohrbach's)를 거쳐 현재 페터슨 자동차 박물관(Petersen Automotive Museum)으로 사용되고 있다.[8]
현재 세이부 백화점은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에서 운영 중이다.
3. 2. 1. 인도네시아

세이부의 인도네시아 첫 진출은 1995년 자카르타의 메가 파사라야(현 파사라야 블록 M) 단지 내에 문을 연 자카르타 세이부였다. 이곳은 붐비는 터미널인 블록 M 근처 자카르타에 위치해 있으며, 8층 건물 중 4개 층을 차지하고 있었다. 중앙에 아트리움을 갖춘 이 백화점은 상류층을 위한 고급 쇼핑 경험을 제공했다. 이 백화점은 대형 현지 백화점인 파사라야를 운영하는 ALatief Corporation(구 PT. Pasaraya Nusakarya)이 운영했다. 두 백화점은 인접해 있으며 보행자 통로로 연결되어 있었다.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고급스러운 백화점 중 하나로 널리 알려진 이곳에는 이브 생 로랑, Aigner, 베르사체, Testoni (azienda)|A. Testoniit, 겐조, 에스까다, 트루사르디 등의 브랜드 부티크와 프라다, 디올 등의 화장품 매장이 입점해 있었다.[2] 그러나 1997/98년 경제 위기와 입지 문제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자카르타 세이부는 목표 시장을 확보하지 못하고 1999년 문을 닫았다.
세이부는 2007년 5월 9일 그랜드 인도네시아 쇼핑 타운 서쪽 몰 지역 4개 층에 다시 입점했다. 이전 매장과 마찬가지로 세이부는 다시 한번 인도네시아 상류 중산층 시장을 겨냥하여 캘빈 클라인 진, 토미 힐피거, 돌체 앤 가바나 뷰티 플래그십 스토어 등 다양한 고급 브랜드와 편의 시설을 제공한다. 현재 인도네시아 소고(세이부의 자매 백화점 체인)와 갤러리 라파예트 백화점도 운영하는 PT. Mitra Adiperkasa Tbk가 운영하고 있으며, 2년 전 소프트 오픈에도 불구하고 2009년 5월 20일 쇼핑몰과 함께 그랜드 오픈을 개최했다.[3] 1999년 블록 M 매장이 문을 닫은 이후 8년 만에 재개장하여 일본 이외 지역에서 가장 오래 운영되는 세이부 매장이 되었다.
두 번째 세이부 지점은 2021년 12월 17일 폰독 인다 몰 3에 문을 열었다.[4] 1층 규모의 매장에는 애플 프리미엄 리셀러가 입점할 예정이다.[5]
3. 2. 2.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최초의 세이부 백화점은 2023년 11월 29일 쿠알라룸푸르의 더 익스체인지 TRX 쇼핑몰에 문을 열었다.[6]약 23226m2 규모의 이 백화점은 4개 층에 걸쳐 400~500개의 브랜드를 선보이는데, 그중 100개는 말레이시아에 처음 진출하는 브랜드이다. 이 백화점은 말레이시아 최초로 다양한 현대 패션 브랜드와 일본 패션 브랜드를 선보이며, 최대 규모의 아동 명품 패션 브랜드와 일본식품관을 갖춘 최초의 국제적인 명품 백화점이다.[7]
4. 자동차 수입 사업
1960년부터 1995년까지 세이부 백화점은 유럽과 미국의 자동차를 수입하여 판매했다. 야나세와 경쟁하며 시트로엥, 사브, 쉐보레, 피아트, 페라리, 홀덴, 푸조 등 다양한 브랜드를 취급했다.[11] 1963년부터 서유럽 자동차라는 이름으로 운영되다가 1971년 세이부가 세이부 모터스로 운영을 인수했다.[11] 이후 신세이부 자동차 판매가 1995년에 인수하여 2002년 회사가 해산될 때까지 시트로엥을 수입했다.[11]
5. 세이부 백화점과 한국
세이부 백화점은 현재 한국에 점포를 두고 있지 않다.
참조
[1]
PDF
https://www.7andi.co[...]
2022-03-01
[2]
뉴스
Jakarta Seibu, Pusat Belanja Bertaraf Internasional
Kompas
1995-08-01
[3]
웹사이트
Seibu Hadir di Jakarta 9 Mei
https://finance.deti[...]
2019-12-04
[4]
웹사이트
SEIBU DEPARTMENT STORE KINI HADIR DI PONDOK INDAH MALL 3
https://www.warnaplu[...]
2021-12-17
[5]
웹사이트
Sogo Indonesia pastikan tidak melakukan penutupan atas gerainya
http://industri.kont[...]
2021-02-05
[6]
뉴스
Seibu, Malaysia's first luxury Japanese department store, opens with over 700 brands at The Exchange TRX
https://www.malaymai[...]
The Malay Mail
2023-11-25
[7]
웹사이트
Seibu at The Exchange TRX will be the first and biggest luxury department store in Malaysia
https://firstclasse.[...]
2019-11-25
[8]
뉴스
Retailing: A Touch of Tokyo
http://content.time.[...]
Time
1962-03-23
[9]
서적
流通会社年鑑 1978年版
日本経済新聞社
1977-10-25
[10]
보도자료
連結子会社の合併及び商号変更に関するお知らせ
https://www.sogo-sei[...]
セブン&ホールディングス
2009-01-30
[11]
웹사이트
浅田彰【西武/セゾン文化を継ぐ者は誰か】
http://www.kojinkara[...]
[12]
뉴스
日本経済新聞
2009-02-10
[13]
웹사이트
女性8割だけど「ボリューム重視」の理由は・毎日2500食を提供 西武池袋本店の社食
https://wedge.ismedi[...]
[14]
웹사이트
西武百貨店・年表
http://www.k2.dion.n[...]
2010-12-01
[15]
회사소개
合同会社 西友 会社概要
[16]
뉴스
都市改造へ踏出す、西武デパート開店 面目変えゆく駅前広場 船橋
朝日新聞社
1967-09-22
[17]
웹사이트
沿革
https://www.sogo-sei[...]
[18]
기타
[19]
회사소개
株式会社クレディセゾン企業情報
[20]
기타
[21]
기타
[22]
웹사이트
「私的整理に関するガイドライン」に基づく「再建計画」成立について
https://www.sogo-sei[...]
2003-02-26
[23]
웹사이트
ミレニアムリテイリンググループ 組織再編と主要人事についてお知らせします。(6月1日付)
https://www.sogo-sei[...]
2005-05-31
[24]
웹사이트
都市生活者の輝きある暮らしを彩る百貨店「シブヤ西武」3月2日(金) 全館リニューアルオープン
https://www.sogo-sei[...]
2007-02-08
[25]
웹사이트
商品券・ギフトカードのご案内
https://www.sogo-sei[...]
[26]
웹사이트
西武・そごう 再生への365日
https://www.tv-tokyo[...]
2006-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