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센 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센 땅은 성경의 창세기와 출애굽기에 언급된 지역으로, 야곱과 그의 가족들이 이집트로 이주하여 정착한 곳이다. 요셉은 이집트의 고위 관리로서 가족들이 고센 땅에 정착하도록 허락했으며, 출애굽기에서는 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의 재앙을 피해 거주하는 곳으로 묘사된다. 여호수아기에도 고센이라는 지명이 등장하지만, 이는 이집트가 아닌 유다 지파 동쪽에 위치한 지역을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고센 땅의 어원에 대해서는 이집트어, 셈어, 케다르 왕국 등 다양한 설이 존재하며, 그 위치는 와디 투밀라트 지역을 중심으로 추정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세기 - 노아의 방주
    노아의 방주는 창세기에 기록된 대홍수로부터 노아의 가족과 동물들을 구원하기 위해 신의 명령으로 노아가 만든 배로, '테바'라고도 불리며 크기와 구조에 대한 논쟁과 아브라함계 종교에서 중요한 의미, 기원 및 상징적 의미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창세기 - 므두셀라
    므두셀라는 창세기에 등장하는 아담과 노아 사이의 족장으로, 성경에서 가장 장수한 인물(969세)로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종교 문헌과 현대 문화에서 장수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나일강 삼각주 - 헬리오폴리스 (이집트)
    헬리오폴리스는 고대 이집트의 도시로, 태양신 라 숭배의 중심지였으나 현재는 카이로 근교에 흔적만 남아있는 고대 유적지이다.
  • 나일강 삼각주 - 무누피아주
    무누피아주는 이집트 북부 나일 강 삼각주에 위치한 농업 중심의 주로, 시빈 엘 콤을 주도로 하며 마르카즈와 낌으로 나뉜 행정 구역을 가지고 있고, 두 명의 대통령을 배출한 보수적인 정치 성향을 가진 지역이다.
고센 땅
지리적 위치
일반 정보
다른 이름고센 지방
고센 지역
히브리어고셴 (에레츠 고셴)
로마자 표기Gošen
그리스어게산
역사적 맥락
관련 인물요셉
관련 사건야곱의 가족 이주
히브리인의 거주지
성경적 언급창세기 45:9-10
현대적 위치 추정
위치 추정파쿠스 근처
사프트 엘-헤나 지역
위치이집트

2. 성경 본문에서

고센 땅은 성경창세기, 출애굽기, 여호수아기에 언급된다. 창세기 마지막 장을 구성하는 요셉 이야기에서 족장 야곱은 기근에 직면하여 곡식을 사기 위해 그의 아들 열 명을 이집트로 보냈다. 야곱의 또 다른 아들인 요셉은 이집트의 고위 관리였으며 그의 아버지와 형제들이 이집트에 정착하도록 허락했다. 창세기 45장 10절에서는 고센을 바로의 궁정에 사는 요셉과 가까운 곳으로 묘사하고, 창세기 47장 5절에서는 고센을 이집트 땅의 “가장 좋은 곳”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요셉이 그의 가족에게 가축을 지키는 자로서 파라오에게 나아가 '너희가 고센 땅에 거하게 하리니 이는 모든 목자를 가증히 여기기 때문이라'라고 한 것처럼 이는 이집트의 나머지 사람들과 어느 정도 구별됨을 암시하기도 한다. 창세기 47장 11절은 "라암셋 땅"을 고센과 바꾸어 사용한다.[1][2][3][4][5]

출애굽기에서 야곱의 후손인 이스라엘 백성은 계속해서 이집트에 거주하며 번성한다. 고센이라는 이름은 출애굽기에서 이집트의 재앙에 대한 이야기에서 단 두 번만 등장하는데, 이스라엘 백성이 거주하는 고센은 이집트인들을 괴롭히는 파리 재앙과 우박 재앙을 피했다.[6]

여호수아기에도 고센이라는 장소가 언급되는데, 이스라엘 백성은 약속의 땅을 정복하는 일을 계속하고 있다. 여호수아 11장 16절에는 "이에 여호수아가 그 온 땅 곧 산지와 네겝과 고센 온 땅과 평지 및 아라바와 이스라엘의 산지와 평지를 쳤으니"라고 기록되어 있다.[7] 그러나 이 고센은 일반적으로 이집트의 고센이 아니라 유다 지파 동쪽, 네게브와 유다 산지 사이에 위치한 지역을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과거에는 람세스 2세(기원전 1290-1224년경)가 건설한 곳이 라메세스라고 여겨졌고, 출애굽은 람세스의 통치기 이전으로는 거슬러 올라갈 수 없다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그 이전부터 그 땅에는 힉소스인이 거주하며 대규모 도시를 건설하고 있었다. 고센=라메세스는 단순한 지명일 뿐이라는 논의도 많다. 셉투아진타에서는 "히브리인의 땅인 고센은 파르쿠스를 중심으로 하는 동 델타의 노모스이다"라고 기술하고 있다. 이 지역은 원래 고대 이집트어로 구슴으로 읽혔으며, 고센과 일치한다. 주변의 테르 알-다바아는 과거 힉소스가 건설한 아바리스로 비정되었으며, "히브리인의 거주지"로서 동일 셈어의 힉소스 소유지를 포함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2. 1. 창세기

고센 땅은 성경창세기출애굽기에 언급되어 있다. 창세기 마지막 장을 구성하는 요셉 이야기에서 족장 야곱은 기근에 직면하여 열 명의 아들을 곡식을 사기 위해 이집트로 보냈다.[1] 야곱의 또 다른 아들인 요셉은 이집트의 고위 관리로, 아버지와 형제들이 이집트에 정착하도록 허락했다.[2] 창세기 45장 10절에서 고센은 파라오의 궁정에 살고 있는 요셉과 가깝게 취급되며, 창세기 47장 5절에서는 고센이 이집트 땅의 "가장 좋은 부분"이라고 불린다.[3] 그러나 요셉이 그의 가족에게 파라오에게 스스로를 가축을 치는 자로 소개하라고 말함으로써 다른 이집트와는 다소 분리되어 있음을 암시하기도 한다. "그리하면 여러분은 고센 땅에 정착할 수 있을 것이오. 모든 목자들은 이집트인들에게 혐오스럽기 때문이오."[4] 창세기 47장 11절은 "라암세스 땅"을 고센과 바꿔 사용한다. "요셉은 그의 아버지와 그의 형제들을 정착시키고 파라오가 지시한 대로 이집트 땅의 가장 좋은 부분인 라암세스 땅에 그들에게 소유지를 주었다."[5]

2. 2. 출애굽기

출애굽기에서 야곱의 후손인 이스라엘 백성은 이집트에 계속 거주하며 번성했다.[6] 고센이라는 이름은 출애굽기에서 이집트의 재앙에 대한 이야기에서 단 두 번 나타나는데, 이스라엘 백성이 거주하는 고센은 이집트인들을 괴롭히는 파리와 우박의 재앙을 피했다.

2. 3. 여호수아기

여호수아기에서 이스라엘 백성은 약속의 땅을 정복하는 일을 계속하고 있는데, 고센이라는 장소가 언급된다.[7] 여호수아 11장 16절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에 여호수아가 그 온 땅 곧 산지와 네겝과 고센 온 땅과 평지 및 아라바와 이스라엘의 산지와 평지를 쳤으니"[7] 그러나 이 고센은 일반적으로 이집트의 고센이 아니라 유다 지파 동쪽, 네게브와 유다 산지 사이에 위치한 지역을 지칭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3. 어원

고센 땅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 셈어 기원설: 일부 이집트학 학자들은 파피루스 아나스타시 IV에 나오는 호수 이름인 'gsm'과의 연관성을 제시한다. 'gsm'은 와디 투밀라트에서 지명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셈어족에서 빌려온 단어일 가능성이 있다. '비'나 '폭풍'을 뜻하는 셈어 'gšm'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
  • 케다르 기원설: 도널드 레트포드는 고센 땅의 위치는 그대로 두면서, 기원전 7세기 동부 삼각주를 점령한 베두인 케다르인 통치자 '가스무'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존 밴 세터스는 이 주장이 가능성이 낮다고 보았고, 마크 얀젠은 기원전 6세기 이후 성경에 고센 땅이 언급되지 않는다는 점을 들어 레트포드의 주장이 설득력이 없다고 반박했다.
  • 기타: 과거에는 람세스 2세가 건설한 곳이 라메세스라고 여겨져 출애굽 시기를 람세스 통치 이전으로 볼 수 없었다. 그러나 그 이전부터 힉소스인이 거주하며 대규모 도시를 건설하고 있었다. 고센과 라메세스는 단순한 지명일 뿐이라는 주장도 많다. 셉투아진타에서는 "히브리인의 땅인 고센은 파르쿠스를 중심으로 하는 동 델타의 노모스이다"라고 기술하고 있다. 이 지역은 원래 고대 이집트어로 구슴으로 읽혔으며, 고센과 일치한다. 주변의 테르 알-다바아는 과거 힉소스가 건설한 아바리스로 비정되었으며, "히브리인의 거주지"로서 동일 셈어의 힉소스 소유지를 포함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3. 1. 셈어 기원설

일부 이집트학 학자들은 파피루스 아나스타시 IV에 나오는 호수를 지칭하는 이름인 ''gsm''과의 연관성을 제시해 왔으며, 이 이름은 와디 투밀라트에서 지명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1] 이 ''gsm''이라는 이름은 일부 학자들에 의해 아마도 셈어족 차용어일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지며,[2] 셈어 근어 ''gšm'' "비, 폭풍"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3]

3. 2. 이집트어 기원설

일부 이집트학 학자들은 파피루스 아나스타시 IV에 나오는 호수를 지칭하는 이름인 ''gsm''과의 연관성을 제시해 왔으며, 이 이름은 와디 투밀라트에서 지명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1][2] 이 ''gsm''이라는 이름은 일부 학자들에 의해 아마도 셈어족 차용어일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지며,[2] 셈어 근어 ''gšm'' "비, 폭풍"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3] 도널드 레트포드는 고센 땅의 위치를 반박하지 않으면서도, 기원과는 다른 설명을 제시하며, 기원전 7세기부터 동부 삼각주를 점령한 베두인 케다르인의 통치자 "가스무"에서 유래되었다고 주장하지만, 존 밴 세터스는 이를 가능성이 낮다고 생각한다.[4] 마크 얀젠은 기원전 6세기 이후의 성경 텍스트에 고센 땅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을 들어 레트포드의 주장을 설득력이 없다고 주장한다.[5]

3. 3. 케다르 기원설

일부 이집트학 학자들은 파피루스 아나스타시 IV에 나오는 호수를 지칭하는 이름인 ''gsm''과의 연관성을 제시해 왔으며, 이 이름은 와디 투밀라트에서 지명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1][2] ''gsm''이라는 이름은 일부 학자들에 의해 셈어족 차용어일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지며,[2] 셈어 근어 ''gšm'' ("비", "폭풍"을 뜻함)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3] 도널드 레트포드는 고센 땅의 위치를 반박하지 않으면서도, 기원과는 다른 설명을 제시하며, 기원전 7세기부터 동부 삼각주를 점령한 베두인 케다르인의 통치자 "가스무"에서 유래되었다고 주장하지만, 존 밴 세터스는 이를 가능성이 낮다고 생각한다.[4] 마크 얀젠은 기원전 6세기 이후의 성경 텍스트에 고센 땅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을 들어 레트포드의 주장을 설득력이 없다고 주장한다.[5]

4. 위치 비정

과거에는 람세스 2세 (기원전 1290-1224년경)가 건설한 곳이 라메세스라고 여겨졌고, 출애굽이 람세스 통치기 이전으로는 거슬러 올라갈 수 없다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그 이전부터 힉소스인이 이 땅에 거주하며 대규모 도시를 건설하고 있었다. 고센과 라메세스는 단순한 지명일 뿐이라는 주장도 많다. 셉투아진타는 "히브리인의 땅인 고센은 파르쿠스를 중심으로 하는 동 델타의 노모스이다"라고 기술한다. 이 지역은 원래 고대 이집트어로 구슴으로 읽혔으며, 고센과 일치한다. 주변의 테르 알-다바아는 과거 힉소스가 건설한 아바리스로 비정되었으며, "히브리인의 거주지"로서 동일 셈어의 힉소스 소유지를 포함하고 있었다.[1]

4. 1. 와디 투밀라트설

1885년, 에두아르 나빌은 고센 땅을 이집트의 제20 노모스로 확인했으며, 동부 삼각주에 위치해 이집트 제26왕조 (기원전 672-525년) 동안 "게셈" 또는 "케셈"으로 알려졌다.[1] 이곳은 와디 투밀라트의 서쪽 끝부분을 포함하며, 동쪽 끝은 피톰이 주요 도시인 수콧 지구였으며, 피-라암세스 ( "라암세스의 땅")의 폐허까지 북쪽으로 뻗어 있었고, 농경지와 목초지를 모두 포함했다.[1]

학자 아이작 라비노비츠, 이스라엘 에팔, 얀 레초, 데이비드 F. 그라프는 고센 땅을 나일 삼각주 동쪽과 피톰 주변에 위치한 "아라비아"의 케다르 왕국의 일부 지역으로, 고대 이집트인들에게 𓎤𓊃𓅓𓏏𓊖|게셈egy, 유대인들에게 אֶרֶץ גֹּשֶׁן|에레츠 고셴he, 즉 게셈의 땅으로 알려진 곳과 동일시한다.[2] 이는 케다르 왕 게셈 또는 그의 왕조에서 유래했다.[2] 학자 존 반 세터스는 와디 투밀라트 지역을 케다르인이 통치한 적이 없다는 주장을 근거로 에레츠 고셴을 이집트 동부 케다르 영토와 동일시하는 것에 반대했지만, 알-라트 여신을 모시는 사당과 같은 케다르 유물이 와디 투밀라트 지역에서 발견되면서, 반 세터스의 이러한 주장은 더 이상 타당성을 잃게 되었다.[2]

학자 사라 이스라엘리트 그롤, 만프레드 비에탁 및 마크 얀젠은 고센 땅과 케다르 왕 게셈의 영토 사이의 어떤 연관성도 거부하며, 대신 성경의 지명이 '파피루스 아나스타시 IV'에 언급된 호수 'gsm'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3] 그들은 성경에 나오는 땅을 큰 범람 호수가 있는 와디 투밀라트의 서쪽 부분과 동일시해야 한다고 본다.[3]

4. 2. 케다르 왕국 영토설

학자 아이작 라비노비츠, 이스라엘 에팔, 얀 레초, 데이비드 F. 그라프는 고센 땅을 나일 삼각주 동쪽과 피톰 주변에 위치한 "아라비아"의 케다르 왕국의 일부 지역으로 보았다. 이곳은 고대 이집트인들에게 Gsm|게셈egy, 유대인들에게 ʾEreṣ Gōšen|에레츠 고셴he으로 알려졌는데, 케다르 왕 게셈 또는 그의 왕조에서 유래했다고 한다.[1]

하지만, 학자 존 반 세터스는 와디 투밀라트 지역을 케다르인이 통치한 적이 없다는 주장을 근거로 ʾEreṣ Gōšen을 이집트 동부 케다르 영토와 동일시하는 것에 반대했다. 그러나 알-라트 여신을 모시는 사당과 같은 케다르 유물이 와디 투밀라트 지역에서 발견되면서, 반 세터스의 이러한 주장은 더 이상 타당성을 잃게 되었다.[1]

4. 3. 아바리스 인근설

에두아르 나빌은 1885년에 고센 땅을 이집트 제20 노모스로 확인했으며, 이곳은 동부 삼각주에 위치하여 이집트 제26왕조 (기원전 672-525년) 동안 "게셈" 또는 "케셈"으로 알려졌다고 보았다. 고센 땅은 와디 투밀라트의 서쪽 끝부분을 포함하며, 동쪽 끝은 피톰이 주요 도시인 수콧 지구였고, 피-라암세스 ("라암세스의 땅")의 폐허까지 북쪽으로 뻗어 있어 농경지와 목초지를 모두 포함했다.[1]

아이작 라비노비츠, 이스라엘 에팔, 얀 레초, 데이비드 F. 그라프 등의 학자들은 고센 땅을 나일 삼각주 동쪽과 피톰 주변에 위치한 "아라비아" 케다르 왕국의 일부 지역으로 보았다. 이 지역은 고대 이집트인들에게 Gsm|𓎤𓊃𓅓𓏏𓊖egy , 유대인들에게 ʾEreṣ Gōšen|אֶרֶץ גֹּשֶׁןhe (게셈의 땅)으로 알려졌으며, 케다르 왕 게셈 또는 그의 왕조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1] 존 반 세터스는 케다르인이 와디 투밀라트 지역을 통치한 적이 없다는 이유로 이러한 주장에 반대했지만, 알-라트 여신을 모시는 사당 등 케다르 유물이 와디 투밀라트 지역에서 발견되면서 그의 주장은 타당성을 잃게 되었다.[1]

사라 이스라엘리트 그롤, 만프레드 비에탁, 마크 얀젠 등의 학자들은 고센 땅과 케다르 왕 게셈의 영토 사이의 연관성을 부정하며, 성경의 지명이 '파피루스 아나스타시 IV'에 언급된 호수 'gsm'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성경에 나오는 땅을 큰 범람 호수가 있는 와디 투밀라트의 서쪽 부분과 동일시해야 한다고 본다.[1]

과거에는 람세스 2세(기원전 1290-1224년경)가 건설한 곳이 라메세스라고 여겨졌고, 출애굽이 람세스 통치기 이전으로는 거슬러 올라갈 수 없다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그 이전부터 힉소스인이 이 땅에 거주하며 대규모 도시를 건설하고 있었다. 고센=라메세스는 단순한 지명일 뿐이라는 주장도 많다. 셉투아진타는 "히브리인의 땅인 고센은 파르쿠스를 중심으로 하는 동 델타의 노모스이다"라고 기술한다. 이 지역은 원래 고대 이집트어로 구슴으로 읽혔으며, 고센과 일치한다. 주변의 테르 알-다바아는 과거 힉소스가 건설한 아바리스로 비정되었으며, "히브리인의 거주지"로서 동일 셈어의 힉소스 소유지를 포함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1]

5. 역사적 배경

과거에는 람세스 2세(기원전 1290-1224년경)가 건설한 곳이 라메세스라고 여겨졌고, 출애굽은 람세스 통치기 이전으로는 거슬러 올라갈 수 없다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그 이전부터 그 땅에는 힉소스인이 거주하며 대규모 도시를 건설하고 있었다. 고센=라메세스는 단순한 지명일 뿐이라는 논의도 많다. 셉투아진타에서는 "히브리인의 땅인 고센은 파르쿠스를 중심으로 하는 동 델타의 노모스이다"라고 기술하고 있다. 이 지역은 원래 고대 이집트어로 구슴으로 읽혔으며, 고센과 일치한다. 주변의 테르 알-다바아는 과거 힉소스가 건설한 아바리스에 비정되었으며, "히브리인의 거주지"로서 동일 셈어의 힉소스 소유지를 포함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참조

[1] 성경
[2] 성경
[3] 성경
[4] 성경
[5] 성경
[6] 성경
[7] 성경
[8] 언어
[9] 기타
[10] 성경
[11] 성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