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구유럽의 정의와 특징
- 3. 구유럽의 주요 문화
- 4. 선(先) 인도유럽어와 구유럽
- 5. 인도유럽어족의 기원과 구유럽의 쇠퇴
- 6. 갤러리
- 6.1. 유물
- 6.1.1. 세슬로 문화 조각상
- 6.1.2. 세슬로 및 디미니 문화 도자기
- 6.1.3. 디미니 문화 도자기
- 6.1.4. 빈차 문화 조각상
- 6.1.5. 빈차 문화 도자기
- 6.1.6. 빈차 문화, 타르타리아 석판
- 6.1.7. 카라노보 문화 도자기
- 6.1.8. 바드라스타 문화 도자기 그릇
- 6.1.9. 티서 문화 도자기 제단
- 6.1.10. 구멜니차 문화 도자기
- 6.1.11. 구멜니차 문화 구리 도끼
- 6.1.12. 하망기아 문화 조각상
- 6.1.13. 하망기아 문화 도자기 조각
- 6.1.14. 보드로크케레슈투르 문화 금제 우상
- 6.1.15. 보이안 문화 도자기
- 6.1.16. 티서폴가르 문화 구리 장신구
- 6.1.17. 옥 펜던트, 카라노보 문화
- 6.1.18. 부트미르 문화 도자기
- 6.1.19. 다닐로 문화 도자기
- 6.1.20. 바르나 문화 금 펜던트
- 6.1.21. 페트레스티 문화 도자기
- 6.1.22. 쿠쿠테니-트리필리아 문화 도자기 및 구리 유물
- 6.1.23. 쿠쿠테니-트리필리아 도자기
- 6.2. 정착지
- 6.2.1. 세슬로, 세슬로 문화
- 6.2.2. 디미니 성벽으로 둘러싸인 아크로폴리스
- 6.2.3. 오콜리슈테, 부트미르 문화
- 6.2.4. 두란쿨라크, 바르나/하망기아 문화
- 6.2.5. 솔니차타, 바르나 문화
- 6.2.6. 탈리안키, 쿠쿠테니-트리필리아 문화
- 6.2.7. 마을 모형, 쿠쿠테니 문화
- 6.2.8. 가옥, 쿠쿠테니-트리필리아 문화
- 6.2.9. 마이다네츠 평면도, 우크라이나
- 6.2.10. 마이다네츠의 플랫폼이 있는 가옥, 기원전 3700년경
- 6.2.11. 네벨리우카 사원, 쿠쿠테니-트리필리아 문화
- 6.2.12. 텔 유나치테, 카라노보 문화
- 6.2.13. 마구라 텔 유적, 굼멜니차 문화
- 6.2.14. 장방형 가옥 모형, 선형토기 문화
- 6.2.15. 선형토기 문화 정착지
- 6.2.16. 신석기 가옥 재건, 카라노보 문화
- 6.1. 유물
- 참조
1. 개요
구유럽은 고고학자 마리야 김부타스가 신석기 시대 유럽의 농경 문화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한 용어이다. 기원전 5000년에서 3500년 사이에 구리 제련, 금속 공예, 도자기 제작 등에서 뛰어난 기술을 보였으며, 모계 중심 사회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구유럽 사회는 대규모 정착지를 건설했고, 다양한 문화가 존재했다. 구유럽 언어는 인도유럽어족의 확산 이전의 언어로 추정되며, 인도유럽어족의 침략과 함께 쇠퇴했다는 가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석기 시대 유럽 - 초기 유럽 농경민
초기 유럽 농경민은 기원전 7천년기 아나톨리아에서 유럽으로 이주해 농경 기술을 전파하고, 도나우 강과 지중해 연안을 따라 확산하며 유럽인의 유전적 구성에 큰 영향을 미친 집단으로, 흑발, 흑안, 밝은 피부를 가졌을 것으로 추정되며 가축을 기르고 곡물을 재배하는 농경 생활을 영위했다. - 신석기 시대 유럽 - 몰타의 거석 신전
몰타의 거석 신전은 기원전 5000년부터 2200년까지 몰타 섬에 건설된 신석기 시대의 여러 신전 유적들을 지칭하며, 거대한 석재 구조물과 독특한 건축 양식을 특징으로 하는 몰타의 선사 시대 문명을 대표하는 유적이다.
고유럽 | |
---|---|
개요 | |
명칭 | 고유럽 |
다른 이름 | 올드 유럽 |
시대 | 신석기 시대 구리 시대 선사 시대 |
연대 | 기원전 6000년 ~ 3500년경 |
지역 | 동남유럽 중앙유럽 인접 지역 동유럽 |
문화적 맥락 | |
이전 문화 | 유럽 중석기 시대 |
이후 문화 | 유럽 청동기 시대 |
상세 정보 | |
설명 | 가설적인 균질한 인도유럽 이전 문화 |
주요 유적지 | (정보 없음) |
2. 구유럽의 정의와 특징
"구유럽"이라는 용어는 마리야 김부타스가 신석기 시대 유럽의 농경 문화를 지칭하기 위해 처음 사용하였다. 이들 문화는 소규모 공동체를 이루어 생활했으며, 청동기 시대의 도시 국가나 족장 사회보다 더 평등한 사회 구조를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7]
구유럽에는 다양한 문화가 존재했으며, 각 문화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구유럽 문화는 구리 제련, 금속 공예, 도자기 제작 등에서 뛰어난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다. 특히, 기원전 5000년에서 3500년경 구유럽의 금속 세공인들은 당시 세계에서 가장 진보된 금속 공예가 중 하나였다.[5] 고고학자들은 구유럽에서 구리 약 4700kg(5ton 이상)과 금 6kg(약 5.99kg 이상)의 금속 유물을 발굴했는데, 이는 기원전 3500년 이전의 고대 세계 다른 지역에서 발견된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이다.[5]
이들은 거대한 정착지를 건설하기도 했다. 동남부 유럽의 일부 신석기 시대 공동체는 3,000~4,000명이 거주하는 요새화된 정착지(예: 그리스의 세스크로)에서 생활했다.[7]
구유럽 문화에서는 여성 조각상이 많이 발견되어 모계 중심 사회였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8] 김부타스는 남부 발칸 반도의 정착된 마을 문화를 평화롭고, 모계 사회적이며, 여신 중심적인 종교를 가지고 있다고 특징지었다.[8]
3. 구유럽의 주요 문화
기원전 4500년경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에서 최초의 도시가 건설되기 전, 구유럽은 세계에서 가장 정교하고 기술적으로 진보된 곳 중 하나였다.[5] 기원전 5000년에서 3500년경 구유럽에서는 문명의 여러 징후가 나타났는데, 일부 구유럽 마을은 메소포타미아의 초기 도시보다 더 큰 규모로 성장했다.[5] 당시 구유럽의 금속 세공인들은 세계에서 가장 진보된 금속 공예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구리 약 4,700kg(5톤 이상)과 금 6kg(13.2파운드) 이상의 금속 유물이 발굴되었다.[5] 이는 기원전 3500년 이전의 고대 세계 다른 지역에서 발견된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이다. 구리, 금, 에게해 조개 등의 귀중품에 대한 수요는 수백 킬로미터에 이르는 교역망을 형성했고, 도자기, 조각상, 심지어 집도 눈에 띄는 디자인으로 장식되었다. 거의 모든 정착지에서 발견된 여성 "여신" 조각상은 여성의 의례적, 정치적 권력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으며, 점토에 새겨진 표시는 원시 표기 체계의 가능성을 시사한다.[5]
신석기 유럽은 중석기 유럽과 청동기 유럽 사이의 시기로, 대략 기원전 7000년(신석기 그리스에서 최초의 농경 사회 시작)부터 기원전 2000년경(스칸디나비아 청동기 시대 시작)까지이다. 절정기는 기원전 5000년에서 3500년으로 추정되며, 이 기간 동안 인구 중심지는 최초의 메소포타미아 도시를 능가했다. 회수된 수 톤의 구리 유물과 소량의 금, 그리고 도자기와 조각된 물건에서 높은 수준의 공예 기술과 교역이 드러난다.[6]
많은 유럽 신석기 시대 집단은 소규모 공동체에서 생활하고, 청동기 시대의 도시 국가와 족장 사회보다 더 평등했으며, 야생 식물 채집과 사냥을 보충하여 가축 식물과 동물을 섭취하며, 물레의 도움 없이 수제 도자기를 생산하는 등 기본적인 특징을 공유한다. 다만 동남부 유럽의 일부 신석기 시대 공동체는 3,000~4,000명이 거주하는 요새화된 정착지(예: 그리스의 세스크로)에서 생활한 반면, 신석기 브리튼 제도의 신석기 시대 집단은 일반적으로 50~100명 정도의 소규모였다.[7]
마리야 김부타스는 남부 발칸 반도의 정착된 마을 문화의 문화적 발전을 연구했으며, 이를 평화롭고, 모계 사회적이며, 여신 중심적인 종교를 가지고 있다고 특징지었다.[8] 반면 그녀는 이후의 인도유럽 문화의 영향을 호전적이고, 유목적이며, 부계 사회적이라고 특징짓는다.[8]
역사 시대에 일부 민족명은 초기 구유럽 문화의 후손으로 추정되는 선-인도유럽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펠라스기아인, 미노아인, 레레게스, 이베리아인, 누라게스인, 에트루리아인, 라에티족, 카무니, 바스크인이 있다. 시칠리아의 세 개의 그리스 이전 민족 중 두 명인 시카니, 엘리미아인도 선-인도유럽인일 수 있다.
존재했던 선-인도유럽어의 수와 고대 인구에서 파생된 민족의 고대 이름이 실제로 별개의 언어 사용자를 지칭했는지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 김부타스(1989)는 냄비 등에 표시된 상징의 통일성을 보고 구유럽에서 단일 언어가 사용되었을 수 있다고 결론지었으며, 해독을 위해서는 이중 언어 텍스트의 발견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이 지역에 선-인도유럽어가 존재한다는 생각은 김부타스보다 앞서며, "펠라스기아어", "지중해어" 또는 "에게해어"와 같은 다른 이름으로 불렸다.
3. 1. 빈차 문화 (기원전 5700년 ~ 기원전 4500년)
세르비아를 중심으로 발칸 반도 중부에서 기원전 5700년에서 기원전 4500년 사이에 빈차 문화가 번성했다. 이 문화는 유럽 최초로 구리 제련 기술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 빈차 문화 사람들은 다양한 형태의 도자기와 조각상을 제작했으며, 특히 여성 조각상은 사회에서 여성의 역할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6]
타르타리아 점토판에서 발견된 기호들은 원시 문자일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6] 마리야 김부타스는 이 시기 남부 발칸 반도의 문화를 평화롭고, 모계 사회적이며, 여신 중심적인 종교를 가진 것으로 보았다.[8]
3. 2. 카라노보 문화 (기원전 6200년 ~ 기원전 4000년)
마리야 김부타스는 남부 발칸 반도의 정착된 마을 문화의 문화적 발전을 이해하기 위해 신석기 시대를 연구했으며, 이를 평화롭고, 모계 사회적이며, 여신 중심적인 종교를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8] 카라노보 문화는 불가리아를 중심으로 번성했던 문화로, 텔(Tell)이라고 불리는 언덕 위에 정착지를 건설했으며, 채색 도자기와 다양한 형태의 유물을 남겼다.
3. 3. 쿠쿠테니-트리필리아 문화 (기원전 5500년 ~ 기원전 2750년)
쿠쿠테니-트리필리아 문화는 루마니아, 몰도바, 우크라이나에 걸쳐 번성했던 문화이다. 이 문화는 거대한 정착지를 건설했으며, 채색 도자기와 여성 조각상이 특징적이다.[6] 기원전 5000년에서 3500년 사이, 이 문화권의 인구 중심지는 최초의 메소포타미아 도시를 능가할 정도로 성장했다.[6]
3. 4. 바르나 문화 (기원전 4500년)
바르나 문화는 불가리아 흑해 연안에서 번성했던 문화이다. 바르나 네크로폴리스에서 발견된 금 유물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 세공품 중 하나로 여겨진다.[5]
4. 선(先) 인도유럽어와 구유럽
신석기 유럽 시대, 인도유럽어족이 확산되기 이전의 언어를 '구유럽어'라고 부른다. 펠라스기아어, "지중해어", "에게해어"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9]
마리야 김부타스는 구유럽에 단일 언어가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했지만, 구체적으로 몇 개의 선(先)인도유럽어가 있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고대 민족의 이름이 실제로 별개의 언어 사용자를 의미하는지도 불분명하다.
구유럽어에 대한 주요 증거는 지명, 민족명 등 이름과 다른 언어의 어근에 남아있는 흔적이다. 이러한 증거를 통한 언어 재구성은 어느 정도 추측에 의존하지만, 인정받는 연구 분야이다.
역사 시대에 일부 민족은 초기 구유럽 문화의 후손, 즉 선(先)인도유럽인으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펠라스기아인, 미노아인, 레레게스, 이베리아인, 누라게스인, 에트루리아인, 라에티족, 카무니, 바스크인 등이 있다. 시칠리아의 세 개의 그리스 이전 민족 중 시카니, 엘리미아인도 선(先)인도유럽인일 가능성이 있다.
가능한 구유럽 언어로는 소린 팔리가의 우르비안,[9] 테오 베네만의 바스크어 기층 가설 등이 제안되었다.
5. 인도유럽어족의 기원과 구유럽의 쇠퇴
인도유럽어족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마리야 김부타스의 쿠르간 가설은 인도유럽어족이 말을 타는 유목민들(Kurgan culture영어)에 의해 구 유럽으로 전파되었으며, 이들은 폭력, 가부장제를 가져왔다고 주장한다.[11] 쿠르간 가설의 최근 지지자들은 구 유럽의 문화가 인도유럽어족 이전 언어를 사용했다는 점에는 동의하지만, 다른 요인으로 인한 구 유럽의 붕괴 이후 원시 인도유럽어 사용자의 장기간에 걸친 이주를 포함하여 덜 극적인 변화를 포함한다.[12][13]
콜린 렌프루의 아나톨리아 가설은 인도유럽어족이 아나톨리아에서 온 최초의 농부들에 의해 유럽 전역으로 퍼졌다고 주장한다. 이 가설의 원래 형태에서, 구 유럽의 언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했지만 그 전달에 특별한 역할을 하지 않았다.[14] 그러나 렌프루가 이 이론을 최근 수정하면서, 구 유럽은 그리스어, 아르메니아어, 그리고 발트 슬라브어족 언어 집단이 기원전 5000년경에 분화된 "이차 우르하임아트"(언어적 고향)였다고 한다.[15]
2015년의 세 가지 유전학 연구는 인도유럽어족의 기원에 대한 스텝 이론에 부분적인 지지를 보냈다. 이 연구에 따르면, 현재 유럽에서 가장 흔한 R1b와 R1a의 하플로그룹(R1a는 남아시아에서도 흔함)은 인도유럽어족 언어의 일부와 함께 폰토스-카스피 해 북쪽의 스텝에서 확장되었을 것이며, 신석기 시대 유럽인에게는 없었던 현대 유럽인에게 존재하는 상염색체 성분을 탐지했는데, 이는 부계 계통 R1b와 R1a, 그리고 인도유럽어족 언어와 함께 도입되었을 것이다.[16][17][18]
6. 갤러리

6. 1. 유물
6. 1. 1. 세슬로 문화 조각상
6. 1. 2. 세슬로 및 디미니 문화 도자기
6. 1. 3. 디미니 문화 도자기
6. 1. 4. 빈차 문화 조각상
6. 1. 5. 빈차 문화 도자기
[19]6. 1. 6. 빈차 문화, 타르타리아 석판
[19]6. 1. 7. 카라노보 문화 도자기
6. 1. 8. 바드라스타 문화 도자기 그릇
6. 1. 9. 티서 문화 도자기 제단
[19]6. 1. 10. 구멜니차 문화 도자기
6. 1. 11. 구멜니차 문화 구리 도끼
6. 1. 12. 하망기아 문화 조각상
6. 1. 13. 하망기아 문화 도자기 조각
6. 1. 14. 보드로크케레슈투르 문화 금제 우상
6. 1. 15. 보이안 문화 도자기
6. 1. 16. 티서폴가르 문화 구리 장신구
6. 1. 17. 옥 펜던트, 카라노보 문화
6. 1. 18. 부트미르 문화 도자기
6. 1. 19. 다닐로 문화 도자기
6. 1. 20. 바르나 문화 금 펜던트
6. 1. 21. 페트레스티 문화 도자기
6. 1. 22. 쿠쿠테니-트리필리아 문화 도자기 및 구리 유물
6. 1. 23. 쿠쿠테니-트리필리아 도자기
6. 2. 정착지
6. 2. 1. 세슬로, 세슬로 문화
6. 2. 2. 디미니 성벽으로 둘러싸인 아크로폴리스
6. 2. 3. 오콜리슈테, 부트미르 문화
6. 2. 4. 두란쿨라크, 바르나/하망기아 문화
6. 2. 5. 솔니차타, 바르나 문화
솔니차타와 바르나 문화는 카라노보 문화와 연관이 있으며, 불가리아의 바르나에서 발견된 유물들로 유명하다.
6. 2. 6. 탈리안키, 쿠쿠테니-트리필리아 문화
6. 2. 7. 마을 모형, 쿠쿠테니 문화
6. 2. 8. 가옥, 쿠쿠테니-트리필리아 문화
6. 2. 9. 마이다네츠 평면도, 우크라이나
6. 2. 10. 마이다네츠의 플랫폼이 있는 가옥, 기원전 3700년경
6. 2. 11. 네벨리우카 사원, 쿠쿠테니-트리필리아 문화
6. 2. 12. 텔 유나치테, 카라노보 문화
[22]텔 유나치테 유적은 카라노보 문화에 속한다.[22]
6. 2. 13. 마구라 텔 유적, 굼멜니차 문화
6. 2. 14. 장방형 가옥 모형, 선형토기 문화
6. 2. 15. 선형토기 문화 정착지
--
6. 2. 16. 신석기 가옥 재건, 카라노보 문화
참조
[1]
뉴스
The Goddess Theory: Controversial UCLA Archeologist Marija Gimbutas Argues That the World Was at Peace When God Was a Woman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1989-06-11
[2]
학술지
Europe's First Farmers
http://www.archaeolo[...]
2022-10-04
[3]
뉴스
The Lost World of Old Europe: the Danube Valley, 5000-3500BC, The Ashmolean Museum
http://www.oxfordtim[...]
The Oxford Times
2010-06-08
[4]
서적
The Mystery of the Danube Civilisation
https://books.google[...]
Marix Verlag
2020
[5]
서적
The Lost World of Old Europe: The Danube Valley, 5000-3500 BC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Institute for the Study of the Ancient World
2010
[6]
서적
The Lost World of Old Europe: The Danube Valley, 5000-3500 BC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Institute for the Study of the Ancient World
2010
[7]
서적
The Goddesses and Gods of Old Europe: Myths and Cult Imag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5-01-09
[8]
서적
Archaeology and Fertility Cult in the Ancient Mediterranean: Papers Presented at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rchaeology of the Ancient Mediterranean, the University of Malta, 2-5 September 1985
B. R. Grüner
[9]
문서
Paliga
1989
[10]
학술지
High precision Tripolye settlement plans, demographic estimations and settlement organization
https://www.jna.uni-[...]
2014
[11]
문서
Anthony
1995
[12]
문서
Mallory
1991
[13]
문서
Anthony
2007
[14]
문서
Renfrew
1987
[15]
문서
Renfrew
2003
[16]
학술지
Massive migration from the steppe was a source for Indo-European languages in Europe.
2015-06-11
[17]
학술지
Population genomics of Bronze Age Eurasia
https://depot.ceon.p[...]
[18]
학술지
Eight thousand years of natural selection in Europe
https://www.biorxiv.[...]
2022-10-04
[19]
웹사이트
Ritual and Memory: Neolithic Era and Copper Age
https://isaw.nyu.edu[...]
2022
[20]
학술지
High precision Tripolye settlement plans, demographic estimations and settlement organization
https://www.jna.uni-[...]
2014
[21]
학술지
Trypillia Megasites in Context: Independent Urban Development in Chalcolithic Eastern Europe
https://www.cambridg[...]
2020-02
[22]
학술지
Early contact between late farming and pastoralist societies in southeastern Europe
https://www.nature.c[...]
2023
[23]
뉴스
The Goddess Theory: Controversial UCLA Archeologist Marija Gimbutas Argues That the World Was at Peace When God Was a Woman
http://articles.lati[...]
Los Angeles Times
1989-06-11
[24]
학술지
Europe's First Farmers
http://www.archaeolo[...]
2022-10-04
[25]
뉴스
The Lost World of Old Europe: the Danube Valley, 5000-3500BC, The Ashmolean Museum
http://www.oxfordtim[...]
The Oxford Times
2010-06-08
[26]
서적
The Mystery of the Danube Civilisation
https://www.google.c[...]
Marix Verlag
2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