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레스탄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골레스탄주는 이란 북부에 위치한 주로, 1997년 마잔다란주에서 분리되었다. 이 지역은 기원전 10,000년 전부터 인류가 정착했으며, 고대 도시 조르잔의 유적이 실크로드에 위치해 있었다. 지리적으로는 평원과 알보르즈산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골레스탄 국립공원과 히르카니아 숲이 있다. 주요 민족은 투르크멘족, 마잔다라니족, 시스탄족, 페르시아인, 발루치족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06년에는 159만 명, 2016년에는 187만 명 이상이 거주했다. 골레스탄 주에는 곤바데 카부스 타워와 같은 문화 유산이 있으며, 여러 대학교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란의 주 - 테헤란주
테헤란주는 이란 북부에 위치하며, 이란의 수도 테헤란을 포함하고, 오랜 역사를 지닌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로서, 풍부한 자원과 많은 인구를 바탕으로 이란 국내총생산의 큰 부분을 차지하지만,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환경 및 사회 문제에 직면하고 있어 정치적 안정과 경제 개혁이 요구된다. - 이란의 주 - 후제스탄주
후제스탄주는 고대 엘람 문명의 중심지이자 이란 남서부에 위치한 주로, 이란 원유 매장량의 57%를 차지하는 주요 석유 생산 지역이며, 고대 유적과 다양한 민족, 언어가 공존하지만, 물 부족, 환경 문제, 민족 갈등과 같은 사회 문제도 겪었다.
| 골레스탄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 |
![]() | |
![]() | |
| 기본 정보 | |
| 로마자 표기 | Ostān-e Golestān |
| 위치 | 이란 |
| 지역 | 제1지역 |
| 중심 도시 | 고르간 |
| 면적 | 20367 km² |
| 인구 (2016년) | 1868819 명 |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 시간대 | IRST |
| UTC 오프셋 | +03:30 |
| 지역 번호 | 017 |
| 웹사이트 | 골레스탄주 공식 웹사이트 |
| 행정 구역 | |
| 군 | 14개 |
| 언어 | |
| 주요 언어 | 페르시아어 마잔다란어 투르크멘어 |
| 사회 경제 지표 | |
| HDI (2017년) | 0.778 |
| HDI 순위 | 20위 |
2. 역사
이 지역의 인류 정착은 기원전 10,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도시 ''조르잔'' (곤바드 카부스 시 근처)은 실크로드에 위치한 페르시아의 중요한 도시였다.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에는 파르티아의 하위 주로 관리된 것으로 보이며, 헤로도토스는 그리스 침공 당시 메가파누스의 지휘 아래 있는 히르카니아인들을 언급했다.[9][8]
부와이흐 왕조, 지야르 왕조 등 이란 왕조들은 이 지역에서 흥했으며, 이슬람 이전 시대의 이란 문명 부흥을 이끌었다. 이 지역에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벽돌 탑인 곤바데 카부스가 있다.
오늘날의 골간은 1937년 이전에는 에스테라바르 혹은 아스타라바드라고 불렸으며, 1997년 마잔다란주에서 골레스탄주가 분리되었다.
2. 1. 고대
이 지역의 인류 정착은 기원전 10,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도시인 '조르잔'의 유적은 현재 곤바드 카부스 시 근처에서 여전히 볼 수 있다. 이곳은 실크로드에 위치한 페르시아의 중요한 도시였다.[9][8]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에는 파르티아의 하위 주로 관리된 것으로 보이며, 다리우스와 크세르크세스의 주 목록에는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다. 그러나 헤로도토스는 그리스 침공 당시 크세르크세스 군대의 목록에서 메가파누스의 지휘 아래 있는 히르카니아인들을 언급했다.
2. 2. 중세
이 지역의 인류 정착은 기원전 10,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도시 ''조르잔''의 유적은 현재 곤바드 카부스 시 근처에서 여전히 볼 수 있다. 이곳은 실크로드에 위치한 페르시아의 중요한 도시였다.
부와이흐 왕조나 지야르 왕조 등의 이란 왕조는 이 지역에서 흥했으며, 이슬람 이전 시대의 이란 문명 부흥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부와이흐 왕조의 군주는 사산 왕조의 지배자들이 사용했던 شاهنشاه|샤한샤fa(왕 중의 왕)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주 내에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벽돌로 지어진 탑인 곤바데 카부스가 있다. 이는 이 지역의 유명한 아미르가 건설한 것이다.
2. 3. 현대
이 지역에 사람들이 거주하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10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현재 골간 도시 근교에서 고대 도시 조르잔의 유적을 볼 수 있다. 조르잔은 실크로드 위에 위치해 있었으며, 이란의 중요한 도시였다.오늘날의 골간은 1937년 이전에는 에스테라바르 혹은 아스타라바드라고 불렸다.
1997년 마잔다란주에서 골레스탄주가 분리되었다.
3. 지리
골레스탄 주는 대체로 온화하고 쾌적한 기후를 보이며, 평야 지대와 알보르즈 산맥의 산악 지대로 나뉜다. 알보르즈 산맥은 동쪽으로 가면서 점차 북동쪽으로 낮아지는 지형을 보인다. 주에서 가장 높은 곳은 샤르발 산으로 해발 3945m이다. 주요 강으로는 가라수 강과 고르간루드 강이 있다.
주 내에는 이란 최초의 국립공원인 골레스탄 국립공원이 있으며, 알보르즈 산맥 동부에는 히르카니아 숲이 있어 표범과 불곰 등이 서식한다. 이 지역의 일부는 1976년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다.[29]
3. 1. 위치 및 지형
골레스탄 주는 연중 대부분 온화한 날씨와 온대 기후를 보인다. 지리적으로는 평원과 알보르즈산맥 산악 지대로 나뉜다. 알보르즈 동부 지역의 산맥은 북동쪽으로 뻗어 있으며 점차 고도가 낮아진다. 골레스탄 주에서 가장 높은 지점은 해발 3,945미터의 샤바르 산이다. 주요 강으로는 가라수 강과 고르간루드 강이 있다.주 내에는 1976년에 설립된 이란 국내 최초의 국립공원인 골레스탄 국립공원이 있다.[28] 알보르즈 산맥의 동부에는 히르카니아 숲이 있으며, 그 안에 표범과 불곰이 서식하고 있다. 1976년에 그 일부는 유네스코의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다.[29]
3. 2. 기후
골레스탄주는 연중 대부분 온화한 날씨와 온대 기후를 보인다. 지리적으로는 평원과 알보르즈산맥 산악 지대로 나뉜다. 알보르즈 동부 지역의 산맥은 북동쪽으로 뻗어 있으며 점차 고도가 낮아진다. 골레스탄주에서 가장 높은 지점은 해발 3,945미터의 샤바르산이다.[28] 주요 강으로는 가라수 강과 고르간루드 강이 있다.주 내에는 1976년에 설립된 이란 국내 최초의 국립공원인 골레스탄 국립공원이 있다.[28] 또한 알보르즈 산맥의 동부에는 히르카니아 숲이 있으며, 그 안에 표범과 불곰이 서식하고 있다. 1976년에 그 일부는 유네스코의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다.[29]
3. 3. 주요 강
가라수 강, 고르간루드 강이 있다.3. 4. 국립공원 및 자연환경
골레스탄 국립공원은 이란 북부에 위치해 있으며, 이란 지리 및 환경 문제와 관련이 있다.이란 북부에 위치한 골레스탄 국립공원은 숲을 관통하는 도로 건설에 직면해 있다. 이는 마을 주민과 벌목꾼의 교통 편의를 위한 것이라고 주장되지만, 이란에서 다양한 기후(카스피해 인근의 습도와 남쪽의 사막)가 펼쳐지는 유일한 국립공원을 잃는 대가를 치르게 된다.
골레스탄 국립공원은 이란에서 가장 큰 국립공원으로, 골레스탄, 마잔다란, 북호라산 등 3개 주에 걸쳐 있다. 당국은 동물과 식물 생명을 더 이상 위협하지 않도록 숲을 관통하는 대신 주변에 도로를 건설하라는 전문가들의 반복적인 요구를 무시하고 있다.
골레스탄 주의 기후는 연중 온화하고 쾌적하다. 지리적으로는 평야부와 알보르즈 산맥의 산악부로 나뉜다. 알보르즈 산맥은 동부에서는 북동쪽으로 고도를 낮춰간다. 주 내 최고 지점은 샤르발 산의 해발 3945m이다.
주 내에는 1976년에 설립된 이란 국내 최초의 국립공원인 골레스탄 국립공원(Golestan National Park영어)이 있다[28] . 또한 알보르즈 산맥의 동부에는 히르카니아 숲이 있으며, 그 안에 표범과 불곰이 서식하고 있다. 1976년에 그 일부는 유네스코의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다[29] .
4. 행정 구역
골레스탄주의 행정 구역 인구 통계와 구조적 변화는 3차례의 인구 조사에 걸쳐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골레스탄주에는 반다르에토르카만, 반다르에가즈, 알리아바드, 코르드쿠이, 고르간, 곤바데카부스(세계 유산 "곤바데 카부스"가 있음), 미누다슈트 등의 군(샤흐레스탄)이 있다.
분류:골레스탄주의 군
5. 인구와 민족

골레스탄 주는 다양한 민족이 어우러져 사는 지역이다. 2006년 이란 교육부의 추정에 따르면, 투르크멘족이 34.2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마잔다라니족이 30.40%로 그 뒤를 잇는다.[10][11][12] 이 외에도 시스탄족과 페르시아인(14.90%), 발루치족(10.90%), 키질바시족(7.30%), 그리고 아제르바이잔인, 카자흐족, 쿠르드족, 아르메니아인, 조지아인 등 기타 민족(2.3%)이 함께 살고 있다.
마잔다라니족은 샤 파산드 산기슭에 주로 거주하며, 공식 통계에서는 "페르시아인"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이들은 골레스탄 주의 원주민으로 여겨지며, 다른 민족들은 과거 이주해 온 것으로 간주된다. 각 민족들은 고유한 문화와 언어를 유지하며 살아가고 있다.
5. 1. 인구 통계
جمعیتشناسی استان گلستان|골레스탄 주의 인구 통계fa2006년 인구 조사 당시 골레스탄 주의 인구는 379,354 가구, 1,593,055명이었다.[19] 2011년 조사에서는 482,842 가구, 1,777,014명으로 증가했다.[20] 2016년 조사에서는 550,249 가구, 1,868,819명으로 측정되었다.[21]
5. 2. 민족 구성
2006년 이란 교육부는 골레스탄 주의 민족 구성을 다음과 같이 추정했다.
| 민족 | 비율 |
|---|---|
| 투르크멘족 | 34.20% |
| 마잔다라니족 | 30.40%[10][11][12] |
| 시스탄족 & 페르시아인 | 14.90% |
| 발루치족 | 10.90% |
| 키질바시족 | 7.30% |
| 기타 (아제르바이잔인, 카자흐족, 쿠르드족, 아르메니아인 및 조지아인 포함) | 2.3% |
공식 통계에서 "페르시아인"으로 분류된 마잔다라니족은 샤 파산드의 산기슭에 거주한다. 페르시아인/마잔다라니인은 주의 거의 모든 주민들에게 "오래된 원주민"으로 여겨지는 반면, 다른 모든 민족은 과거의 이민자로 여겨진다.
대부분의 마잔다라니족은 고르간, 알리 아바드, 코르드쿠이, 반다르-에 가즈 및 곤바드-에 카부스에 거주하며 마잔다라니어를 사용한다.[11][13][10][12][14]
투르크멘족은 투르크멘 사흐라라고 불리는 주의 북쪽 평원에 거주한다. 15세기부터 이 지역에 거주해 온 이들은 이전에는 유목 생활을 했다. 주요 도시는 곤바드-에 카부스와 반다르 토르크만이다. 투르크멘족은 수니파 무슬림이며, 고르간, 알리 아바드, 칼랄레 및 많은 동부 읍에서 상당한 소수를 차지한다.
아제르바이잔인과 키질바시는 투르크멘보다 수 세기 앞서 왔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완전히 시아파가 되었고, 따라서 페르시아인 및 다른 시아파와 문화적으로 연관되었다.
시스탄 페르시아인과 발루치는 비교적 최근에 도착했으며 20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들은 시스탄의 고향 지역의 지속적인 가뭄으로 인해 여전히 이 지역에 어느 정도의 숫자로 도착하고 있다.
코르드쿠이 사람들은 원래 이란 서부의 쿠르드 지역, 케르만샤 및 쿠르디스탄 주 출신이다. 이들은 코르드-로스타미 부족에 속하며, 고르간과 반다르-에 가즈와 같은 다른 도시에서도 상당수가 발견된다. 코르드-로스타미 부족의 하위 부족은 아길리 부족과 세판루 부족이다. 마라베 타페시는 수니파 투르크멘족과 시아파 쿠르드족이 혼합된 인구를 가지고 있다.[15]
카자흐족, 호라산 쿠르드족, 조지아인, 아르메니아인과 같은 다른 민족 집단도 이 지역에 거주하며, 그들의 전통과 의식을 보존해 왔다.
바하이 신앙의 소수 신봉자도 골레스탄(샤파산드에서)에 거주한다.[16][17][18]
5. 3. 언어
2006년 이란 교육부는 골레스탄 주의 민족 구성을 다음과 같이 추정했다.
| 민족 | 비율 |
|---|---|
| 투르크멘족 | 34.20% |
| 마잔다라니족 | 30.40% |
| 시스탄족 & 페르시아인 | 14.90% |
| 발루치족 | 10.90% |
| 키질바시족 | 7.30% |
| 기타 (아제르바이잔인, 카자흐족, 쿠르드족, 아르메니아인 및 조지아인 포함) | 2.3% |
마잔다라니족은 샤 파산드의 산기슭에 거주하며, 이 공식 통계에서는 "페르시아인"으로 분류되었다. 페르시아인/마잔다라니인은 주의 거의 모든 주민들에게 "오래된 원주민"으로 여겨지는 반면, 다른 모든 민족은 과거의 이민자로 여겨진다.
대부분의 마잔다라니족은 고르간, 알리 아바드, 코르드쿠이, 반다르-에 가즈 및 곤바드-에 카부스에 거주하며, 마잔다라니어를 사용한다.[11][13][10][12][14]
투르크멘족은 주의 북쪽, 투르크멘 사흐라라고 불리는 평원에 거주한다. 15세기부터 이 지역에 거주해 왔으며, 주요 도시는 곤바드-에 카부스와 반다르 토르크만이다. 이들은 이전에는 유목 생활을 했다. 투르크멘족은 수니파 무슬림이다. 그들은 고르간, 알리 아바드, 칼랄레 및 많은 동부 읍에서 상당한 소수를 차지한다.
아제르바이잔인과 키질바시는 투르크멘보다 수 세기 앞서 왔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완전히 시아파가 되었고, 따라서 페르시아인 및 다른 시아파와 문화적으로 연관되었다.
시스탄 페르시아인과 발루치는 비교적 최근에 도착했으며 20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들은 시스탄의 고향 지역의 지속적인 가뭄으로 인해 여전히 이 지역에 어느 정도의 숫자로 도착하고 있다.
코르드쿠이 사람들은 원래 이란 서부의 쿠르드 지역, 케르만샤 및 쿠르디스탄 주 출신이다. 그들은 코르드-로스타미 부족에 속하며, 고르간과 반다르-에 가즈와 같은 다른 도시에서도 상당수가 발견된다. 코르드-로스타미 부족의 하위 부족은 아길리 부족과 세판루 부족이다. 또한, 마라베 타페시는 수니파 투르크멘족과 시아파 쿠르드족이 혼합된 인구를 가지고 있다.[15]
카자흐족, 호라산 쿠르드족, 조지아인 및 아르메니아인과 같은 다른 민족 집단도 이 지역에 거주하며, 그들의 전통과 의식을 보존해 왔다.
바하이 신앙의 소수 신봉자도 골레스탄(샤파산드에서)에 거주한다.[16][17][18]
5. 4. 종교
이 절의 추가 편집이 필요하다.6. 문화
부와이흐 왕조나 지야르 왕조 등 이란 왕조는 이 지역에서 흥했으며, 이슬람 이전 시대의 이란 문명 부흥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부와이흐 왕조의 군주는 사산 왕조의 지배자들이 사용했던 شاهنشاه|샤한샤fa(왕 중의 왕)라는 칭호를 사용했다.[1]
주 내에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벽돌로 지어진 곤바데 카부스 탑이 있다.[1]
6. 1. 문화 유산
곤바드-에 카부스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벽돌 구조물로, 이 주에 위치해 있다.[1]이 지역에 사람들이 거주하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10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현재 골가르 도시 근교에서 고대 도시 조르잔의 유적을 볼 수 있다. 조르잔은 실크로드 위에 위치해 있었으며, 이란의 중요한 도시였다.[1]
오늘날의 골간은 1937년 이전에는 에스테라바르 혹은 아스타라바드라고 불렸다.[1]
골레스탄주는 1997년 마잔다란주에서 분리되었다.[1]
부와이흐 왕조나 지야르 왕조 등의 이란 왕조는 이 지역에서 흥했으며, 이슬람 이전 시대의 이란 문명 부흥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부와이흐 왕조의 군주는 사산 왕조의 지배자들이 사용했던 شاهنشاه|샤한샤fa(왕 중의 왕)라는 칭호를 사용했다.[1]
주 내에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벽돌로 지어진 곤바데 카부스 탑이 있다. 이 탑은 이 지역의 유명한 아미르가 건설한 것이다.[1]
7. 교육
참조
[1]
지도
Golestan Province
https://www.openstre[...]
2024-10-15
[2]
웹사이트
استانهای کشور به ۵ منطقه تقسیم شدند
http://www.hamshahri[...]
2014-06-22
[3]
웹사이트
Iranian Statistical Yearbook 1385
http://www.sci.org.i[...]
[4]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5]
웹사이트
Golestan Province establishment law
https://lamtakam.com[...]
Guardian Council
1376-09-16
[6]
웹사이트
اقوام ساکن در استان گلستان
http://shoaresal.ir/[...]
[7]
웹사이트
Golestan
http://iranrahno.com[...]
2018-03-19
[8]
웹사이트
Gorgān
http://www.iranicaon[...]
Encyclopaedia Iranica
2009-12-23
[9]
문서
Herodotus, Histories, 7.62
[10]
웹사이트
زبان تبری
http://ahouraa.ir/13[...]
2018-09-28
[11]
웹사이트
GORGĀNI DIALECT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12]
문서
میردیلمی، سیدضیاء، تاریخ کتول، ناشر مؤلف، ص ۲۸ و ۲۱.
[13]
문서
احسن التّقاسیم فی معرفة الاقالیم، ص ۳۶۸
[14]
문서
واژهنامه بزرگ تبری، گروه پدید آورندگان به سرپرستی: جهانگیر نصراشرفی و حیسن صمدی، سال 1377، جلد اول، ص 31
[15]
웹사이트
https://tuhra.org/?p[...]
[16]
웹사이트
آشنایی با استان گلستان
http://hamshahrionli[...]
2007-03-16
[17]
웹사이트
Shodhganga : a reservoir of Indian theses @ INFLIBNET
http://shodhganga.in[...]
2023-06-09
[18]
문서
The Geography of Golestan Province, Educational Ministry of Iran, 2006
[19]
보고서
Censu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1385 (2006): Golestan Province
http://www.amar.org.[...]
The Statistical Center of Iran
2022-09-25
[20]
보고서
Censu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1390 (2011): Golestan Province
https://irandataport[...]
The Statistical Center of Iran
2022-12-19
[21]
보고서
Census of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1395 (2016): Golestan Province
https://www.amar.org[...]
The Statistical Center of Iran
2022-12-19
[22]
웹사이트
Introduction of Galikash County
https://www.galikesh[...]
Revolutionary Guard Corps, Gonbad-e Kavus County
2024-04-09
[23]
보고서
Approval letter regarding national divisions in Torkaman County
https://lamtakam.com[...]
Ministry of the Interior, Council of Ministers
2024
[24]
보고서
Letter of approval regarding the reforms of national divisions in Golestan province
https://rc.majlis.ir[...]
Ministry of the Interior, Political-Defense Commission of the Government Board
1392-09-02
[2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goums.ac.[...]
[26]
웹사이트
Home
http://www.aliabadia[...]
[27]
웹사이트
Population-and-Households.xlsx
https://irandataport[...]
2024-05-13
[28]
웹사이트
Golestan National Park 2023 {{!}} Gorgan, Golestan {{!}} Sights - ITTO
https://www.itto.org[...]
2023-01-26
[29]
웹사이트
Golestan Biosphere Reserve, Islamic Republic of Iran
https://en.unesco.or[...]
2019-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