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자가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자가어》는 공자와 제자들의 담론을 기록한 책으로, 공자의 가계, 생애, 제자들에 대한 내용과 공자의 말씀을 담고 있다. 《논어》와 유사한 내용을 포함하며, 여러 고대 텍스트에서 유교 관련 지식을 찾아볼 수 있다.

이 책은 한때 위작 논란에 휩싸였으나, 청나라 시대에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현대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공자가어》의 진본성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졌으며, 현재는 공자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여겨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서 - 관자
    《관자》는 관중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고대 중국의 문헌으로, 법가, 유교, 도가 사상이 혼합된 황로 사상을 표현하며 경제 및 금융에 대한 통찰을 담고 있다.
  • 위서 - 화랑세기
    《화랑세기》는 남당 박창화가 필사했다고 주장하는 신라 화랑 제도 관련 한문 필사본으로, 풍월주 32명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으며, 진위 논란에도 불구하고 신라 사회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 한나라의 문학 - 논형
    《논형》은 후한 시대 왕충이 사회 현상과 통념을 비판적으로 논하며 저울질하는 의미를 담아 쓴 30권 85편의 철학 서적으로, 19세기 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번역되었다.
  • 한나라의 문학 - 태평경
    태평경은 혼란한 시대를 극복하고 태평성대를 구현하기 위한 도교 경전으로, 우주 균형 회복, 개인 수양, 천사의 역할을 강조하며, 한나라 시대에 다양한 판본이 존재했으나 현재는 일부 내용만 전해진다.
  • 중국의 책 - 실천론
    실천론은 마오쩌둥이 발표한 논문으로, 실천을 통해 지식이 형성되고 검증되며, 변증법적 유물론이 지식을 얻는 적절한 철학이라고 주장한다.
  • 중국의 책 - 모순론
    마오쩌둥의 저서 모순론은 마르크스주의 변증법적 유물론에 근거하여 사회 및 자연 현상의 발전 원동력인 모순을 분석하고, 모순의 보편성과 특수성, 주요 모순과 비주요 모순, 모순의 두 측면 간의 동일성과 투쟁을 논하며, 사회 변혁의 방향을 제시하고 중국 사회주의 건설에 이념적 기반을 제공했다.
공자가어 - [서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제孔子家語 (Kǒngzǐ Jiāyǔ)
다른 이름공씨가어(孔氏家語)
의미공자 학파의 말
상세 정보
저자공안국(공자가어) (추정)
편집자왕숙
언어한문
주제공자의 말

2. 내용

제1장: 노나라 재상이 되다


《공자가어》는 공자의 상세한 가계, 부모, 출생, 생애에서 일어난 사건과 일화, 말씀 등을 담고 있다.[3] 제자들 또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공자가 가장 아꼈던 안회에게 전적으로 할애된 장도 있다.[4] 모두 76명의 제자가 이름으로 언급된다.

2. 1. 구성

《공자가어》의 발문에 따르면, 이 책은 공자가 제자들 및 다른 사람들과 나눈 담론을 제자들이 기록한 것이다. 선택된 담론은 《논어》로 출판되었고, 나머지는 《가어》에 수집되었다.[1] 《공자가어》는 《좌전》, 《국어》, 《맹자》, 《한비자》, 《예기》, 《한시외전》, 《여씨춘추》, 《회남자》 등 다양한 고대 텍스트에서 발견되는 거의 모든 유교 지식을 포함하고 있으며, 《논어》, 《효경》 및 다른 몇몇 작품에 포함된 내용은 제외한다.[2]

3. 영향과 논란

기원전 2세기에 살았던 공자의 후손이자 학자인 공안국(孔安國)은 공자의 제자들이 남긴 공자의 어록을 기록한 것을 엮었다고 주장했다. 왕숙(王肅)이 《가어》를 출판한 직후, 정현(鄭玄)의 추종자였던 마소(馬昭)는 왕숙이 이를 "개정하고 확대했다"고 주장했다.[1]

이러한 진위 여부에 대한 의구심에도 불구하고, 《가어》는 당나라송나라 시대를 거쳐 영향력을 행사했다. 사마천의 《사기(史記)》에 중요한 주석을 쓴 사마정은 《가어》를 《사기》만큼 높이 평가했으며, 주희를 비롯한 주요 신유학자들 또한 이를 높이 평가했다.

20세기, 고대사 의심 학파의 주도자인 고개강(顧頡剛)은 《공자가어》가 왕숙의 위작이라는 청나라 학자들의 결론을 재확인하고, 공자 연구에 "가치가 없다"고 칭했다. 그 결과, 소수의 현대 학자들만이 이 저작을 연구했다.[1] 그러나 1970년대에 정주 한묘 죽간 『유가자언』이나 쌍고퇴 한간 목독에서 『공자가어』와 겹치는 내용이 발견되면서, 왕숙 위작설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지게 되었다.[3]

3. 1. 위작 논란과 청나라 시대의 비판

청나라 시대에 한학(漢學)이라는 새로운 합리주의 지적 운동이 영향력을 얻으면서 《공자가어》와 기타 고대 저작물에 대한 철저한 비판이 시작되었다.[1] 손지조(孫志祖), 범가상(范家相), 요제항(姚際恒), 최술(崔述), 피석예(皮錫瑞), 왕빙진(王聘珍), 정안(丁晏)을 포함한 많은 학자들이 《가어》가 위작이라는 동일한 결론에 도달했다. 손지조와 범가상은 그들의 결론을 뒷받침하는 상세한 분석을 저술했다.[1] 비록 진사각(陳士珂)이 대표하는 《가어》 옹호자들도 있었지만, 그들은 소수였다.[1]

4. 서양 학계의 연구

초기 서양 한학자들은 《공자가어》를 둘러싼 논란과 그 내용의 상당 부분이 다른 고대 텍스트에서 알려져 있었다는 사실 때문에 이 작품에 큰 주목을 하지 않았다.[1] 그러나 제임스 레그, 알프레드 포르케, 리하르트 빌헬름을 포함한 소수의 학자들은 중국 학자들의 위작 판결에도 불구하고 《가어》가 진본이라고 믿었다.[2]

로버트 폴 크라머스는 1950년에 《공자가어》의 처음 10개 부분을 영어로 번역하여 《K'ung Tzu Chia Yü: The School Sayings of Confucius》라는 제목으로 출판했다.[3] 크라머스는 그의 서문에서 왕숙이 작품 전체를 위조했을 가능성을 부인했다.[4]

5. 현대 고고학적 발견과 재평가

1973년, 중국 고고학자들은 허베이성 딩저우의 바자오랑에서 기원전 55년으로 추정되는 서한 왕조의 대규모 무덤을 발굴했다.[2] 무덤에서 발견된 죽간 중에는 ''Ru Jia Zhe Yan''(儒家者言|유가(공자) 가문의 말중국어)이라는 텍스트가 있었는데, 이는 《공자가어》와 매우 유사하다.[2]

1977년, 고고학자들은 안후이성 푸양에서 기원전 165년에 봉인된 솽구두이 무덤을 발견했다. 무덤에서 발견된 나무 판에는 ''Ru Jia Zhe Yan''의 목차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공자가어》의 현존하는 텍스트와 매우 유사하다.

1970년대에 출토된 정주 한묘 죽간 『유가자언』이나 쌍고퇴 한간 목독에서 『공자가어』와 겹치는 내용이 발견되면서, 왕숙 위작설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지게 되었다.[3]

이러한 고고학적 발견들은 상하이 박물관 죽간에 대한 연구와 대영 도서관의 국제 둔황 프로젝트에서 출판된 《공자가어》 텍스트와 함께, 많은 학자들에게 《공자가어》의 현존하는 텍스트가 왕숙에 의해 위조되었을 리 없고,[1][2] 왕숙이 주장한 것처럼 공안국에 의해 편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확신을 심어주었다.[1] 학자들은 현재 이 텍스트에 대해 새로운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양차오밍(楊朝明)은 2005년 저서 ''Kongzi Jiayu Tongjie''(孔子家語通解)에서 《공자가어》가 공자 연구에 있어 《논어》 못지않게 가치 있다고 평가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http://culture.china[...] 2010-04-22
[2] 웹사이트 http://www.guoxue.co[...] 2014-09-18
[3] 서적 『説苑』『孔子家語』に見える「孔子祭魚」説話について https://doi.org/10.1[...] 大阪大学中国学会
[4] 웹사이트 校名の由来 http://www.koran.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