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준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곽준혁은 고대 및 중세 정치사상, 르네상스 정치사상, 공화주의, 민족주의, 헌정주의, 민주적 리더십 등 고전 사상의 현대적 적용에 초점을 맞춘 정치이론을 연구하는 학자이다. 고려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 학사 및 석사, 시카고 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쑨얏센 대학교 이셴 장학상,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 학술 도서상, 이탈리아 외무부 번역 공로상 등을 수상했으며, 한국연구재단 등에서 연구 지원을 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마키아벨리를 다시 읽다, 상상력으로 무장한 현실주의자》, 《정치철학 I & II》 등이 있으며,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 박봉식 (정치학자)
박봉식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교육자로, 서울대학교 교수 및 총장, 부산외국어대학교와 금강대학교 총장을 역임하며 국가보위입법회의 위원 활동, 총선 무소속 출마, 토지매입 알선 사기 사건 연루, 서울대학교 본부 점거 사태 관련 발언 등으로 논란이 있었다. -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 박승재
박승재는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민주정의당 소속으로 제13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으로,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한양대학교 교수 및 한국정치학회 이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 시카고 대학교 동문 - 허버트 사이먼
허버트 사이먼은 제한된 합리성 개념을 제시하고 조직 내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하여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경제학자, 인지심리학자, 컴퓨터 과학자이자 철학자이며, 인공지능 분야 초기 연구에 기여했고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인지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시카고 대학교 동문 -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은 캐나다의 최장수 총리로서 세 차례에 걸쳐 총리직을 역임하며 관세 인하, 자치권 확대, 노인 연금 도입,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캐나다 복지 국가의 기틀을 마련했다. -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 정경심
정경심은 자녀 입시 비리 혐의로 징역 4년형이 확정되어 복역 후 가석방된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대학교수였다. - 대한민국의 대학 교수 - 정태인
정태인은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위를 취득하고 참여정부에서 경제 정책에 영향을 미쳤으나 행담도 개발 사업 논란으로 물러난 후, 한미 FTA를 비판하고 진보신당 창당에 참여한 경제학자이자 대학교수, 정치인이다.
곽준혁 | |
---|---|
기본 정보 | |
이름 | 곽준혁 |
로마자 표기 | Gwak Jun-hyeok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정치 철학자, 학자 |
소속 | 중산대학교 철학과 (주해) |
학문 분야 | |
주요 관심사 | 서양 정치 철학 현대 정치 이론 공화주의 민족주의 애국심 지구적 정의 |
사상 | |
주요 사상 | 상호적 비지배 |
주요 저서 | |
저서 | Political Theories in East Asian Context |
역할 | Book series editor |
출판사 | Routledge & CRC Press |
학술 활동 | |
학술지 | Journal of Social and Political Philosophy |
출판사 | Edinburgh University Press |
2. 학력
주요 연구 분야는 소크라테스에서 마키아벨리에 이르는 고대 중세 정치사상과 르네상스 정치사상, 그리고 공화주의, 민족주의, 헌정주의, 민주적 리더십 등 고전 사상의 현대적 적용에 초점을 둔 정치이론들이다.
곽준혁은 정치 철학 분야에서 다양한 저서와 논문을 통해 학문적 기여를 해왔다. 특히 공화주의, 민족주의, 민주주의와 같은 주요 주제들을 깊이 있게 연구했으며, 동아시아라는 지역적 맥락 속에서 이러한 개념들이 어떻게 적용되고 발전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확장시켰다.
3. 연구 분야
4. 수상 및 연구 지원
연도 수상 및 연구 지원 내역 2024년 쑨얏센 대학교 이셴(逸仙) 장학상 2017년 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 연구 기금 2016년 쑨얏센 대학교 100-인재 교수 연구 기금 2015년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 학술 도서상, 『재독 마키아벨리(Re-reading Machiavelli)』(2014) 2014년 이탈리아 외무부, 번역 공로상, 마키아벨리의 『군주론(Il Principe)』 2014년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우수 학술 도서상, 『지배와 비지배(Domination & Non-domination)』(2013) 2012년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 학술 도서상, 『신공화주의(Neo-Republicanism)』(번역, 2012) 2011년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인문 분야 최우수 도서상, 『경계를 넘어 편견을 넘어(Beyond Border and Prejudice)』(2010) 2010년 한국연구재단, 기초 연구 지원, 사회과학 코리아 지원 2009년 맥아더 재단(MacArthur Foundation), EAI ASI (아시아 안보 구상) 장학금 2007년 포스코, 아시아 연구 지원 2005년 한국연구재단, 신진 연구자 지원 1999년 ~ 2001년 라인드 앤 해리 브래들리 재단(The Lynde and Harry Bradley Foundation) 박사 학위 논문 연구 지원
5. 저서 및 논문
'''주요 논문'''으로는 "Coexistence without Principle: Reconsidering Multicultural Policies in Japan", "Domination through Subordination", "Nondomination and Contestability: Machiavelli contra Neo-Roman Republicanism", "키케로의 공화주의", "민주주의와 공화주의: 헌정체제의 두 가지 원칙" 등이 있다.
5. 1. 저서
제목 | 저자 | 출판사 | 연도 | 비고 |
---|---|---|---|---|
Modernities in Northeast Asia영어 (동아시아의 근대성) | 곽준혁, 켄 청(Ken Cheng) | Routledge | 2023 | |
《西方政治哲学导论》중국어 (Introduction to Western Political Philosophy중국어, 서양 정치 철학 개론) | 곽준혁 | 중국 사회 과학 출판사 | 2023 | |
Machiavelli in Northeast Asia영어 (동아시아의 마키아벨리) | 곽준혁 | Routledge | 2022 | |
Global Justice in East Asia영어 (동아시아의 세계 정의) | 곽준혁, 휴고 엘 콜리(Hugo El Kholi) | Routledge | 2020 (페이퍼백 에디션 2021) | |
Leo Strauss in Northeast Asia영어 (동아시아의 레오 스트라우스) | 곽준혁, 박성우 | Routledge | 2019 (페이퍼백 에디션 2021) | |
《고전강의》 | 곽준혁, 최장집 외 | 민음사 | 2018 | |
《공공사회의 도전》 | 곽준혁, 강정인 외 | 민음사 | 2016 | |
《정치철학 I & II》 | 곽준혁 | 민음사 | 2016 | |
Republicanism in Northeast Asia영어 (동아시아의 공화주의) | 곽준혁, 레이 젠코(Leigh Jenco) | Routledge | 2015 (페이퍼백 에디션 2017) | |
Patriotism in East Asia영어 (동아시아의 애국심) | 곽준혁, 마쓰다 코이치로(Koichiro Matsuda) | Routledge | 2015 (페이퍼백 에디션 2017) | |
《마키아벨리를 다시 읽다, 상상력으로 무장한 현실주의자》 | 곽준혁 | 민음사 | 2014 | |
동아시아의 상속된 책임과 역사적 화해영어 | 곽준혁, 멜리사 노블스(Melissa Nobles) | Routledge | 2013 | |
《경계와 편견을 넘어서: 우리시대 정치철학자들과의 대화》 | 곽준혁 | 한길사 | 2010 | |
《아직도 민족주의인가》 | 곽준혁 (편저) | 한길사 | 2012 | |
《근대성의 역설》 | 곽준혁 (편저) | 후마니타스 | 2009 | |
《신공화주의》 | 곽준혁 (번역) | 나남 | 2012 | |
《공화주의와 정치이론》 | 곽준혁 (번역) | 까치 | 2009 | |
《선거는 민주적인가》 | 곽준혁 (번역) | 후마니타스 | 2004 |
5. 2. 편저
- 곽준혁 편저, 《아직도 민족주의인가》 (파주: 한길사, 2012).
- 곽준혁 편저, 《근대성의 역설》 (서울: 후마니타스, 2009).
5. 3. 역서
- 마우리치오 비롤리, 《신공화주의》 (서울: 나남, 2012)
- 퀀틴 스키너, 《공화주의와 정치이론》 (서울: 까치, 2009)
- 버나드 마넹, 《선거는 민주적인가》 (서울: 후마니타스, 2004)
5. 4. 주요 논문
- 로저 에임스, 탄 소훈, 양유헌 편집, 『비교 관점에서 본 천하: 지정학적 질서의 대안적 모델』, "계층 없는 관계성: 홍대용의 천하 재평가" (하와이 대학교 출판부, 2023).
- 동서철학, "관계성을 가진 개별성: 안창호의 유교에 대한 현대적 가치 변환" (2023)
- ''종교'', "기독교적 사랑에 대한 유교적 재평가: 안창호 대 한국에서 수행된 아우구스티누스 연구" (2023).
- [https://www.euppublishing.com/loi/jspp 사회정치철학 저널], "무(無)를 통한 비지배: 페팃의 민주적 숙고 이론 보충" (2023).
- [https://link.springer.com/journal/10677 윤리 이론 및 도덕 실천], "비지배를 갖춘 유교적 역할 윤리: 위기 시대의 시민적 준수" (2022)
- 필립 페팃 공저, [https://brill.com/view/journals/cpt/cpt-overview.xml 비교 정치 이론], "필립 페팃과의 인터뷰: 신로마 공화주의와 동북아시아" (2022).
- [https://www.tandfonline.com/journals/cajp20 호주 정치학 저널], "설득을 통한 숙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에서 '정치적인' 것" (2021).
- ''한국정치학회보'', "피해 의식 극복: 상호 비지배를 통한 미래 지향적 사과" (2021).
- [https://link.springer.com/journal/11712 도: 비교 철학 저널], "자기 중심주의 없는 세계 정의: 『우산대화』 속의 『천하』" (2021).
- [http://koreaobserver.or.kr/html/ 한국관찰자], "공화주의적 해방과 비지배: 민주 공화주의와 3·1 운동" (2019).
- ''호주 정치학 저널'', "공화주의적 애국심과 마키아벨리의 애국심" (2017).
- [https://www.kjis.org/main.html 한국국제정치학회보], "민족주의와 민주주의 재고: 한국 민주적 민족주의의 한계" (2013).
- ''일본 정치 사상 저널'', "열망의 정치" (2010). [일본어]
- "Coexistence without Principle: Reconsidering Multicultural Policies in Japan"
- "Domination through Subordination"
- "Nondomination and Contestability: Machiavelli contra Neo-Roman Republicanism"
- "키케로의 공화주의"
- "민주주의와 공화주의: 헌정체제의 두 가지 원칙"
참조
[1]
웹사이트
Department of Philosophy (Zhuhai), Sun Yat-sen University
https://phil-zh.sysu[...]
[2]
웹사이트
Political Theories in East Asian Context - Book Series - Routledge & CRC Press
https://www.routledg[...]
2023-11-23
[3]
웹사이트
Journal of Social and Political Philosophy
https://www.euppubli[...]
2023-11-24
[4]
서적
『신공화주의』(파주: 나남, 2012) & 『아직도 민족주의인가』(파주: 한길사, 2012)
[5]
웹사이트
http://www.routledge[...]
[6]
웹사이트
http://www.eai.or.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