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원지방도 제90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지원지방도 제90호선은 경상북도 울릉군을 순환하는 도로이다. 1962년 울릉도 일주도로 개설 건의를 시작으로 1976년 일부 구간이 착공되었으며, 2019년 완전 개통되었다. 주요 경유지는 울릉읍, 서면, 북면이며, 울릉순환로라는 도로명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릉군의 교통 - 울릉공항
울릉공항은 2020년에 착공하여 2028년 상반기 개항을 목표로 건설 중인 공항으로, 1200m 활주로와 여객터미널을 갖춰 50인승 이하 소형 항공기가 운항할 예정이다. - 울릉군의 교통 - 울릉군의 농어촌버스
울릉군의 농어촌버스는 2019년 1월 14일 노선 개편을 통해 운행 중인 울릉군 내 대중교통 수단으로, 일반, 청소년, 어린이 요금으로 구분되며,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하고 다양한 노선이 운행된다. - 국가지원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제9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7호선 번영로는 서귀포시 표선면에서 제주시 건입동을 잇는 도로로, 제주목사 행차길에서 유래하여 지방도를 거쳐 국가지원지방도로 승격되었고, 제주시와 동부 지역을 연결하는 주요 간선도로이다. - 국가지원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은 충청남도 청양군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까지 약 187km를 잇는 도로로, 과거 국도 승격 계획이 있었으나 재정 문제로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되어 1996년 개통되었으며, 현재 충청남도,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를 연결하는 주요 간선 도로이다. - 경상북도의 도로 노선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경상북도의 도로 노선 -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7호선은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경기도 파주시까지 총 연장 405km에 걸쳐 6개 도를 연결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노선 변경에 따른 주민 불편과 일부 구간의 교통 혼잡 문제도 안고 있는 일반국도이다.
| 국가지원지방도 제90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노선 정보 | |
| 도로 종류 | 국가지원지방도 |
| 노선명 | 울릉순환로 |
| 노선명2 | 울릉도 일주도로 |
| 노선 번호 | 국가지원지방도 제90호선 |
| 총 연장 | 44.55 km |
| 기점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
| 주요 경유지 | 경상북도 울릉군 |
| 종점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
| 폐지된 노선 정보 | |
| 도로 종류 | |
| 노선명 | (폐지) |
| 노선 번호 | |
| 총 연장 | 44.2 km |
| 기점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
| 주요 경유지 | 경상북도 울릉군 |
| 종점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
2. 역사
울릉도 일주도로 건설은 1963년 3월 8일 국가재건최고회의에서 의결된 울릉도 종합개발계획의 핵심 사업으로 시작되었다.[1] 1976년 8월 첫 구간이 착공된 이후 단계적으로 도로가 개설되었으며, 1995년 11월 8일에는 '''지방도 제926호선'''으로 지정되어 총 연장 44.2km가 인가되었다.
그러나 사업 주체인 경상북도의 예산 부족 문제로 울릉읍 저동리 내수전에서 북면 천부리 섬목까지의 구간은 오랫동안 미개통 상태로 남아 있었다. 이에 울릉군 주민들은 국가 차원의 사업 추진을 요구하였고, 그 결과 2008년 11월 17일 국토해양부는 이 도로를 '''국가지원지방도 제90호 울릉도순환선'''으로 승격시켰다.[2]
국가지원지방도 승격 이후 2011년 12월부터 미개통 구간 연결 공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3] 마침내 2019년 3월 26일, 마지막 미개통 구간이었던 내수전-섬목 4.745km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로써 1963년 도로 건설 계획이 확정된 지 56년 만에 울릉도 일주도로 전 구간이 연결되어 완전 개통되었다. 완전 개통으로 섬 내 주요 지점 간 이동 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되었다.[4][5]
향후 경상북도와 울릉군은 초기에 건설되어 도로 환경이 열악한 약 20km 구간에 대해 1차선 터널 확장 등을 포함한 개량 공사를 추진할 계획이다.[6]
2. 1. 건설 배경 및 초기 계획
1962년 10월, 당시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이던 박정희가 울릉군을 순시했을 때 주민들로부터 일주도로 개설 건의를 받았다. 박정희 의장은 이 건의를 받아들였고, 이듬해인 1963년 3월 8일 국가재건최고회의는 울릉도 일주도로 건설을 핵심 내용으로 하는 울릉도 종합개발계획을 의결하였다.2. 2. 1976년 착공 및 부분 개통
1962년 10월, 당시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이던 박정희가 울릉군을 방문했을 때 주민들로부터 일주도로 개설 건의를 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이듬해인 1963년 3월 8일, 국가재건최고회의는 울릉도 일주도로 건설을 포함한 울릉도 종합개발계획을 의결하였다.본격적인 공사는 1976년 8월에 시작되어 일주도로 구간 중 39.5km가 착공되었다. 공사가 진행됨에 따라 1979년 8월 15일부터는 울릉군 최초로 도동리와 저동리 사이를 오가는 버스가 운행되기 시작했다. 1989년 10월에는 착공된 구간 중 13.8km가 완공되었으며, 착공 후 25년이 지난 2001년 11월 13일에는 1차 개설 구간 39.8km가 최종 완공되었다. 이날 도로 개통식은 내수전에서 열렸다.[1]
2. 3. 국가지원지방도 승격 및 미개통 구간 연결
1995년 11월 8일, 울릉도 일주도로는 '''지방도 제926호선'''으로 지정되어 총 연장이 44.2km로 인가받았다. 그러나 사업 주체인 경상북도는 예산 부족을 이유로 울릉읍 저동리 내수전부터 북면 천부리 섬목까지의 미개통 구간 개설을 계속 미루었다.결국 울릉군 주민들은 국가에서 미개통 구간을 개설해 줄 것을 요구하였고, 2008년 11월 17일 국토해양부는 이 도로를 '''국가지원지방도 제90호 울릉도순환선'''으로 승격시켰다.[2] 이에 따라 2011년 12월, 미개통 구간 연결 공사가 착공되었으며, 2012년 10월부터는 터널 공사에 들어갔다. 토지보상협의가 완료된 2014년 초부터 공사에 속도가 붙기 시작했다.[3]
2019년 3월 26일, 미개통 구간이었던 울릉읍 저동리 내수전부터 북면 천부리 섬목까지 4.745km 구간이 마침내 개통되었다. 이로써 도로 개설 계획이 확정된 1963년부터 56년 만에 울릉도 일주도로가 완전 개통되었다. 섬의 서북쪽 구간이 연결되면서, 개통 전에는 반대쪽으로 돌아 1시간 30분이나 걸리던 저동-천부리 구간을 15분 만에 오갈 수 있게 되었다.[4][5]
2. 4. 도로 개선 및 향후 계획
2019년 3월 26일, 마지막 미개통 구간이었던 울릉읍 저동리 내수전부터 북면 천부리 섬목까지 4.745km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로써 1963년 도로 건설 계획이 확정된 지 56년 만에 울릉도 일주도로 전 구간이 연결되었으며, 완전 개통으로 섬 서북쪽 구간이 이어지면서 이전에는 반대 방향으로 돌아 1시간 30분이나 걸렸던 저동-천부 구간을 15분 만에 오갈 수 있게 되었다.[4][5]그러나 일주도로 전체 구간 중 초기에 건설된 약 20km 구간은 여전히 도로 환경이 열악하다. 이 구간들은 1976년부터 공사가 시작되어 2001년에 1차 완공된 곳으로[1], 당시 기술 및 예산의 한계로 인해 1차선 터널이 많고 도로 폭이 좁아 차량 교행이 어렵고 사고 위험이 있다.[6]
이에 경상북도와 울릉군은 해당 구간에 대한 개량 공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1차선 터널 확장, 도로 폭 확장 등을 통해 도로의 안전성과 기능성을 높여 울릉도 순환도로망을 개선해 나갈 예정이다.[6]
3. 주요 경유지 및 노선
이 도로는 경상북도 울릉군의 울릉읍 내수전에서 시작하여 서면, 북면을 거쳐 다시 울릉읍 내수전으로 돌아오는 울릉도 순환 노선이다.[10] 울릉도의 해안선을 따라 주요 마을과 항구, 관광지를 연결한다.
상세한 경유지 및 터널 정보는 아래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3. 1. 울릉읍 구간
wikitext| 이름[10]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 내수전 | 저동4길 | 울릉군 | 울릉읍 | 기점 |
| 저동항 저동항여객선터미널 | 저동1길 | |||
| (독도호텔) | 봉래길 | |||
| (수협공판장) | 봉래1길 | |||
| 울릉고등학교 울릉한마음회관 저동재 | ||||
| 도동삼거리 | 도동길 | |||
| 울릉군보건의료원 대원교 울릉119안전센터 | ||||
| (울릉터널 북단) | 무릉길 | |||
| 울릉터널 | 연장 340m | |||
| (울릉터널 남단) | 무릉길 사동2길 | |||
| 울릉군선거관리위원회 사동1리사무소 사동2리사무소 | ||||
| 장흥초등학교(폐교) | 옥천길 | |||
| 장흥교 | ||||
| (몽돌식당) | 신리길 | |||
| (간령) | 간령길 | |||
| 사동파출소 울릉신항(사동항) | ||||
| 가두봉터널 | 연장 35m | |||
| 와달리터널 | 울릉읍 | 연장 1955m | ||
| 내수전터널 | 연장 1527m | |||
| 내수전교 | ||||
| 내수전 | 저동4길 | 종점 | ||
3. 2. 서면 구간
wikitext| 이름 | 접속 노선 | 비고 |
|---|---|---|
| 통귀리피암터널 | 연장 약 265m | |
| 통구미몽돌해수욕장 | ||
| (통구미) | 통구미길 통구미1길 | |
| 통구미터널 | 연장 142m | |
| 남통터널 | 연장 280m | |
| 남양터널 | 연장 96m | |
| 남양피암터널 | 연장 47m | |
| 남양교 | 남양길 남양1길 | |
| 남서교 | 남서길 | |
| 남양선착장 | ||
| 남서터널 | 연장 10m | |
| 구암터널 | 연장 49m | |
| (피암터널) | 연장 약 40m | |
| 사태감터널 | 연장 약 195m | |
| 울릉도국민여가캠핑장 구암새마을회관 | ||
| (곰바위) | 구암길 | |
| 곰바위터널 | 연장 59m | |
| 수층교 | ||
| 수층터널 | 연장 360m | |
| 삼막터널 | 연장 460m | |
| 산막교 | ||
| (학포) | 학포길 | |
| 울릉노인복지센터 (송담요양원) | ||
| 태하터널 | 연장 280m | |
| 태하교 | 태하령길 | |
| 울릉군공설운동장 | ||
| 태하리 | 태하길 | |
| 현포령 |
3. 3. 북면 구간
wikitext| 이름[10]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현포령 | 북면 | 서면 경계 | |
| 현포항 | 현포1길 | 북면 | |
| 울릉예림원 | 북면 | ||
| 평리교 | 평리길 | 북면 | |
| 용천교 | 북면 | ||
| (이름 없음) | 추산길 | 북면 | |
| 천부항 | 천부길 | 북면 | |
| 천부정류장 | 북면 | ||
| 천부해중전망대 | 천부1길 | 북면 | |
| 죽암1교 죽암몽돌해수욕장 삼선교 | 북면 | ||
| 선창선착장 | 석포길 | 북면 | |
| 섬목터널 | 북면 | 구 관선터널 연장 77m |
3. 4. 터널 정보
| 이름[10] | 소재지 | 연장 | 비고 |
|---|---|---|---|
| 울릉터널 | 울릉군 울릉읍 | 340m | |
| 가두봉터널 | 울릉군 울릉읍 | 35m | |
| 통귀리피암터널 | 울릉군 서면 | 약 265m | |
| 통구미터널 | 울릉군 서면 | 142m | |
| 남통터널 | 울릉군 서면 | 280m | |
| 남양터널 | 울릉군 서면 | 96m | |
| 남양피암터널 | 울릉군 서면 | 47m | |
| 남서터널 | 울릉군 서면 | 10m | |
| 구암터널 | 울릉군 서면 | 49m | |
| (피암터널) | 울릉군 서면 | 약 40m | |
| 사태감터널 | 울릉군 서면 | 약 195m | |
| 곰바위터널 | 울릉군 서면 | 59m | |
| 수층터널 | 울릉군 서면 | 360m | |
| 삼막터널 | 울릉군 서면 | 460m | |
| 태하터널 | 울릉군 서면 | 280m | |
| 섬목터널 | 울릉군 북면 | 77m | 구 관선터널 |
| 와달리터널 | 울릉군 북면 / 울릉읍 | 1955m | |
| 내수전터널 | 울릉군 울릉읍 | 1527m |
4. 주요 건물 및 시설
(내용 없음)
4. 1. 울릉읍
| 시설명 | 소재지 |
|---|---|
| 울릉오징어회타운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울릉순환로 147 |
| 저동항여객선터미널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울릉순환로 171 |
| 울릉해양파출소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울릉순환로 179 |
| 울릉고등학교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울릉순환로 236 |
| 농협호박엿가공공장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울릉순환로 254-12 |
| 울릉한마음회관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울릉순환로 286 |
| 울릉군보건의료원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울릉순환로 396-18 |
| 울릉119안전센터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울릉순환로 415 |
| 울릉군선거관리위원회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울릉순환로 519 |
| 사동1리사무소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울릉순환로 545 |
| 사동2리사무소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울릉순환로 584 |
| 사동파출소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울릉순환로 785-17 |
| 사동항여객선터미널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울릉순환로 785-25 |
4. 2. 서면
- 남양1리새마을회관 (경상북도 울릉군 서면 울릉순환로 1282)
- 울릉도국민여가캠핑장 (경상북도 울릉군 서면 울릉순환로 1580)
- 구암새마을회관 (경상북도 울릉군 서면 울릉순환로 1588)
- 울릉군공설운동장 (경상북도 울릉군 서면 울릉순환로 2146-56)
4. 3. 북면
wikitext| 시설 명칭 | 소재지 |
|---|---|
| 울릉도산채영농조합 |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울릉순환로 2411 |
| 동해해양경찰서 현포출장소 |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울릉순환로 2621-1 |
| 현포보건진료소 |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울릉순환로 2624-21 |
| 울릉예림원 |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울릉순환로 2746-24 |
| 동해해양경찰서 천부출장소 |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울릉순환로 3094-1 |
| 천부정류장 |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울릉순환로 3140 |
| 관음도매표소 |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울릉순환로 3639 |
5. 도로명
전 구간 울릉순환로로 명명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일주도로
http://ulleung.grand[...]
[2]
뉴스
울릉도, 미개통구간 내수전~북면 "뻥~"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2008-12-01
[3]
뉴스
울릉 일주도로 미개통 구간 본격 개설
http://www.kbmaeil.c[...]
경북매일
2014-05-21
[4]
뉴스
울릉도 일주도로 정식 개통…차로 1시간 20분 '곳곳이 절경'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9-03-29
[5]
뉴스
울릉도 일주도로 28일 임시 개통…미개설 4.75 km 공사 마무리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8-12-26
[6]
뉴스
일주도로 완전 개통 반년…울릉주민 함박 웃음
https://news.v.daum.[...]
한국일보
2019-10-07
[7]
간행물
경상북도공고 제2003-63호, 제2003-64호
http://www.gb.go.kr/[...]
2003-02-20
[8]
법령
대통령령 제21125호 국가지원지방도 노선 지정령
http://www.law.go.kr[...]
2008-11-17
[9]
간행물
경상북도공고 제2018-1576호
http://www.gb.go.kr/[...]
2018-12-27
[10]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