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코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 코드는 국가 및 속령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짧은 식별 코드이다. ISO 3166-1, ITU, FIFA, ICAO 등 다양한 국제 기구 및 표준에서 정의되며, 각기 다른 목적과 분야에서 활용된다. ISO 3166-1은 두 글자, 세 글자, 세 자리 숫자로 구성된 코드를 제공하며, ITU는 통신 분야에서 사용되는 국가 코드와 국제 전화 번호 체계를 정의한다. 이 외에도 ISBN, GS1, NATO 등 다양한 기관에서 자체적인 국가 코드 체계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가 코드 - ISO 3166-1
ISO 3166-1은 국가 식별을 위한 국제 표준으로 숫자 코드, 알파벳 두 글자(alpha-2), 세 글자(alpha-3) 코드 시스템을 제공하며, 유엔의 통계적 분류와 정치적 상황을 고려하여 코드가 할당되고 필요에 따라 업데이트된다. - 국가 코드 -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ccTLD)은 인터넷에서 국가 또는 지역을 나타내는 최상위 도메인으로, ISO 3166-1의 2자리 코드를 기반으로 하지만 예외가 있으며, IANA가 관리자를 지정하고, 국가별 등록 요건과 수수료가 다르며, 국제화 도메인 이름(IDN ccTLD) 도입, 상업적 개방, 도메인 해킹 악용 사례가 존재하며, 국가 간 인터넷 네트워크 운영 및 디지털 주권과 관련된다.
국가 코드 |
---|
2. ISO 3166-1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제정한 국가 코드 표준으로, 대부분의 국가 및 속령에 대한 짧은 식별 코드를 정의한다. 이 표준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1]
- ISO 3166-1 alpha-2: 두 글자 코드
- ISO 3166-1 alpha-3: 세 글자 코드
- ISO 3166-1 numeric: 세 자리 숫자 코드
두 글자 코드는 ISO 4217 통화 코드, 인터넷 최상위 도메인(ccTLD)의 국가 코드 등 다른 코드 및 응용 프로그램의 기반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의 alpha-2 코드는 'KR'이며, 이는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 '.kr'로 사용된다.
2. 1. ISO 3166-1 alpha-2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규격화한 ISO 3166-1 표준은 대부분의 국가 및 속령에 대한 짧은 식별 코드를 정의한다.[1] 이 표준에는 세 가지 코드가 있다.- ISO 3166-1 alpha-2: 두 글자 코드
- ISO 3166-1 alpha-3: 세 글자 코드
- ISO 3166-1 numeric: 세 자리 숫자 코드
이 중 두 글자 코드는 다른 코드 및 응용 프로그램의 기반으로 사용된다.
2. 1. 1. 응용 분야
ISO 3166-1 표준의 두 문자 코드는 다음과 같이 응용된다.[1]더 많은 응용은 ISO 3166-1 alpha-2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2. ISO 3166-1 alpha-3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규격화한 ISO 3166-1 표준은 대부분의 국가 및 속령에 대한 짧은 식별 코드를 정의하며, 그 중 세 글자 코드는 ISO 3166-1 alpha-3이다.2. 3. ISO 3166-1 numeric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규격화한 국가 코드 중 하나로, 세 자리 숫자 코드로 이루어져 있다. ISO 3166-1 표준은 대부분의 국가 및 속령에 대한 짧은 식별 코드를 정의하는데, 그중 ISO 3166-1 numeric은 세 자리 숫자 코드를 나타낸다.[1]3. ITU 국가 코드
전기통신에서 국가 코드 또는 국제 가입자 다이얼링(ISD) 코드는 국제 직접 다이얼링(IDD) 및 발신자의 국가가 아닌 다른 국가로 전화 통화의 목적지 라우팅에 사용되는 전화번호 접두어이다. 자치 전화 행정권을 갖고 있는 국가나 지역이 국제 공중전화망(PSTN)에 참여하려면 국제전기통신연합(ITU) 가입을 신청해야 한다. 국가 코드는 ITU의 ITU-T 섹션 표준 E.123 및 E.164에 의해 정의된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국제 전화 걸기를 위한 국가 코드를 만들었으며, 이는 1960년 유럽에서 처음 도입되었고 1964년 전 세계로 확대되었다. 번호는 일반적으로 육지에 따라 할당된 다음 당시 각 네트워크의 용량에 따라 세분화되었다. 프랑스, 영국, 미국 및 소련은 당시 통신 분야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했기 때문에 우선적인 번호를 받았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은 타이완이 공식적으로 목록에서 제외되면서 코드 "886"을 할당받도록 했다.[1]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정의하는 코드는 다음과 같다.
코드 종류 | 설명 | 자리수 | 비고 |
---|---|---|---|
해상 인식 번호 | 해상 이동 업무에서 국가 식별에 사용되는 숫자 | 3자리 | |
국제 전화 번호 | ITU-T 권고 E.164에 의해 정해져 있다. | 1~3자리 | |
ITU 프리픽스 | ITU의 무선 통신 규칙에 의해 정해져 있다. 무선국의 호출 부호로 사용된다. | 영숫자 2자 | |
ITU 문자 코드 | 국제 전기 통신 연합 무선 통신 부문이 가맹국의 식별에 사용하고 있다. | 보통 영문자 3자 (8개국은 1자) | |
모바일 국가 코드 (MCC) | ITU 권고 E.212에 의해 정해져 있다. IMSI의 첫 3자리로 사용된다. | 숫자 3자리 |
3. 1. ITU-T 권고 E.164
국제 전화 번호 체계를 구성하며 다른 국가의 전화 번호로 전화할 때만 다이얼된다. 국가 번호 전에 다이얼링된다. 국제 전화는 국가 코드 전에 다이얼링할 추가 접두사(국제 전화 접두사)가 최소 하나 필요하여 통화를 국제 회선에 연결한다. 전화 번호를 인쇄할 때 ITU의 권고안 E.164에 따라 완전한 국제 전화 번호 앞에 더하기 기호(+)로 표시된다.[1] 국제 전기 통신 연합 (ITU)에 의해 규격화된 코드. 일본에서는 JIS X 0304로 일본어 국가명을 포함하여 일본 산업 규격으로 번역하여 표준화되어 있다.[1]- 국제 전화 번호: ITU-T 권고 E.164에 의해 정해져 있다. 숫자 1~3자리.[1]
3. 2. ITU-T 권고 E.212
Mobile Country Code영어 (MCC)는 ITU-T 권고 E.212에 의해 정해져 있으며, 숫자 3자리로 IMSI의 첫 3자리로 사용된다. 휴대폰/무선 전화 주소에 사용되는 이동 국가 코드를 정의한다.3. 3. 해상 인식 번호
해상 이동 업무에서 국가 식별에 사용되는 세 자리 숫자 코드이다.[1]3. 4. ITU 프리픽스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의 무선 통신 규칙에 의해 정해져 있으며, 무선국의 호출 부호로 사용된다. 영숫자 2자로 구성된다.3. 5. ITU 문자 코드
국제 전기 통신 연합 무선 통신 부문이 가맹국 식별에 사용하고 있다. 보통 영문자 3자이지만, 8개국은 1자이다.4. 기타 국가 코드
다음은 다양한 국제기구 및 조직에서 사용하는 국가 코드이다.
기구/조직명 | 코드 종류 | 설명 | 비고 |
---|---|---|---|
국가별 코드 최상위 도메인(ccTLD) | 2자리 | 소문자를 사용하며, 영국이 "uk"인 예외를 제외하면 ISO와 거의 같다. | |
국제 민간 항공 기구(ICAO) | 국적 기호 | 국적 기호 목록 참조. 민간 항공기에 부여되는 기체 번호의 일부이다. | |
재무성 | 숫자 3자리 | 재무성 통계 국가명 부호표 참조. 무역 통계에 사용된다. | |
자동차의 국제 식별 기호 | 1~3자리 | 자동차의 국제 식별 기호 참조. | |
국제 축구 연맹(FIFA) | 3자리 | FIFA 코드 목록 참조. 일부 국가 및 지역에서 ISO와 다르다(예: 독일 = GER). | |
FIPS 국가 코드 목록영어 | 2자리 | 미국 연방 정보 처리 표준(FIPS)에 의한 국가 코드. ISO와 크게 다르다. | |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 3자리 | IOC 코드 목록 참조. | |
ISBN | 숫자 1~5자리 | 그룹 기호. 같은 언어권의 국가는 묶여 있다. | |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 2자리, 3자리 | NATO 국가 코드 목록영어 참조. 2004년 제8판에서 2자리 코드는 ISO와 동일하게 개정되었으나, 3자리 코드는 ISO와 다르다. | |
국제 철도 연합(UIC) | 숫자 | UIC 국가별 번호 참조. 가맹국 식별에 사용된다. | |
UN M.49영어 | 숫자 3자리 | 국제 연합의 통계용 표준 국가·지역 코드. IETF 언어 태그의 "region" 하위 태그로 이용된다. | |
UNDP 국가 코드 목록영어 | 3자리 | 국제 연합 개발 계획(UNDP)의 독자적인 코드. | |
세계 기상 기구(WMO) | - | 기상 통보 형식을 위해 독자적인 국가 코드를 이용한다. |
4. 1. 유럽 연합 (EU)
2004년 EU 확대 이전에는 EU가 UN 도로 교통 협약의 차량 번호판 코드를 사용했다. 그 이후로는 ISO 3166-1 알파-2 코드를 사용하지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수정 사항이 있다.[2]- 그리스에 대한 EL (GR 대신)
- (이전) 영국에 대한 UK (GB 대신)
Nomenclature des unités territoriales statistiques(NUTS, 통계적 영토 단위 명명법)는 주로 EU 회원국의 하위 구분에 초점을 맞춘다.
4. 2. 국제 축구 연맹 (FIFA)
국제 축구 연맹(FIFA)은 각 회원국 및 비회원국에 세 글자 코드(FIFA Trigramme이라고 함)를 할당한다. FIFA 국가 코드 목록에서 볼 수 있듯이, 일부 국가 및 지역 코드는 ISO 3166-1 표준 코드와 다르다(예: 독일 = GER).[2]4. 3. 연방 정보 처리 표준 (FIPS)
연방 정보 처리 표준(FIPS) 10-4는 미국 정부와 CIA 월드 팩트북에서 사용하던 두 글자 코드를 정의했으며, FIPS 국가 코드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08년 9월 2일, FIPS 10-4는 NIST에 의해 연방 정보 처리 표준에서 철회된 10개의 표준 중 하나였다.[2]4. 4. 미국 교통부 (US DOT)
미국 교통부(US DOT) 산하 교통 통계국은 주 및 국가 코드에 대한 자체 코드 목록인 세계 지역 코드(WAC)를 유지한다.[2]4. 5. GOST
GOST 7.67은 GOST 표준 위원회의 키릴 문자 국가 코드이다.[2]4. 6. 국제 민간 항공 기구 (ICAO)
항공기 등록 번호에 사용되는 국가 접두사와 ICAO 공항 코드의 위치 접두사가 있다.4. 7. 국제 올림픽 위원회 (IOC)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스포츠 행사에 사용되는 세 글자 코드를 사용한다. IOC 국가 코드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4. 8. 북대서양 조약 기구 (NATO)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는 자체적인 두 글자 코드를 사용했으나, FIPS 10-4 코드에서 대부분 차용했다. 2003년 표준화 협약(STANAG) 제8판은 마케도니아 코드를 제외하고 ISO 3166 세 글자 코드를 채택했다. 제9판부터 NATO는 몇 가지 예외와 추가 사항을 포함하여 ISO 3166 기반의 네 글자 및 여섯 글자 코드로 전환하고 있다.[2]4. 9. 유엔 개발 계획 (UNDP)
유엔 개발 계획(UNDP)은 자체적인 세 글자 국가 코드 목록을 가지고 있다.[2]4. 10. 세계 지적 재산권 기구 (WIPO)
세계 지적 재산권 기구(WIPO)는 WIPO ST.3에서 국가 및 지역 지적 재산권 기구에 두 글자 코드를 제공한다.[2]4. 11. 세계 기상 기구 (WMO)
세계 기상 기구(WMO)는 기상 관측 보고에 사용되는 국가 코드 목록을 유지한다.[2]4. 12. 국제 철도 연합 (UIC)
(UIC)에서 회원국 식별을 위해 UIC 국가 코드를 사용한다.5. 다른 코딩 시스템
국제 표준 도서 번호(ISBN)는 책의 앞부분에 국가, 지역, 언어권을 나타내는 그룹 식별자 번호가 있다. GS1 회사 접두사의 처음 세 자리는 바코드를 통해 국가별 번호 매기기 기관을 지정한다.
5. 1. 국제 표준 도서 번호 (ISBN)
국제 표준 도서 번호(ISBN)의 첫 번째 숫자는 국가, 지역 또는 언어권을 위한 그룹 식별자이다.[1] ISBN의 그룹 기호는 1~5자리의 숫자로 구성되며, 같은 언어권의 국가는 묶여 있다.5. 2. GS1
GS1 회사 접두사의 처음 세 자리는 제품(바코드)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며, (국가별) 번호 매기기 기관을 지정한다.참조
[1]
웹사이트
How were telephone dialling codes allocated to countries - eg 32 for Belgium, 33 for France, 44 for UK? {{!}} Notes and Queries {{!}} guardian.co.uk
https://www.theguard[...]
2024-09-06
[2]
논문
Announcing Approval of the Withdrawal of Ten Federal Information Processing Standards (FIPS)
https://www.federalr[...]
2008-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