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예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예양은 16세기 프랑스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국가 간의 예의를 의미하며, 사법적 예양 또는 국가 간 예양이라고도 불린다. 13세기부터 유럽 법학자들은 외국 법 적용 문제를 고민해 왔으며, 17세기 네덜란드 법학자들은 국제예양 교리를 만들었다. 이후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 등에서 예양 교리가 발전해 왔으며, 각 국가의 법체계에 맞게 적용되었다. 미국에서는 외국 판결의 집행, 영국에서는 국제 사법의 기초 원칙으로, 캐나다에서는 상호주의 원칙과 연관되어, 호주에서는 주권적 민감성과 경제적 현실을 조율하는 데 사용된다. 유럽 연합은 브뤼셀 I 규칙을 통해 회원국 간 판결의 집행을 규정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사법 - 국적
국적은 국가가 개인에게 권리와 의무를 부여하는 법적 지위이며, 국제법적으로는 국민 보호 권리를 부여하는 관계이고, 국가는 국적을 자유롭게 정의할 수 있지만, 진정한 사회적 유대에 기반해야 다른 국가의 인정을 받으며, 국적 결정 요인은 출생지, 혈통, 혼인, 귀화, 투자 등 다양하고, 세계인권선언은 국적을 가질 권리와 임의적 국적 박탈 금지를 명시하며, 국적은 국제법적 국가 구성원 자격, 시민권은 국가 내부 정치 참여에 초점을 맞추는 개념으로 구분되고, 국적법은 적용 방식에 차이가 있으며, 이중국적과 무국적 상태도 존재한다. - 국제사법 - 도미사일
도미사일은 개인의 법적 지위와 권리 의무를 결정하는 법률상 주소와 유사한 개념으로, 출생지, 선택지, 의존적 주소지로 구분되며 결혼, 상속 등 개인의 삶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 국제법 - 선전포고
선전포고는 국가 간 적대 행위 개시를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행위로, 과거 전쟁 개시의 필수 절차였으나 국제법 발전과 무력 사용 제한으로 현대에는 드물어졌지만 일부 분쟁에서 사용되며 합법성과 실효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국제법 - 무주지
무주지는 국제법상 어떤 국가의 영유권도 미치지 않아 점유를 통해 국가가 주권을 취득할 수 있는 지역으로, 로마법의 무주물 개념과 관련되나 영토 취득 대상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식민지 확장의 명분으로 악용된 역사와 함께 사회적, 정치적 조직을 갖춘 사람들의 땅은 무주지로 간주될 수 없다는 해석이 등장하며 변화를 겪어왔다. - 법률 용어 - 책임
책임은 법률 위반 행위에 대한 법적 제재를 포괄하며, 고의, 과실 등을 고려하여 형사 책임, 민사 책임, 행정 책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자기 책임론은 사회적 약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법률 용어 - 권리장전 (영국)
권리장전은 1689년 영국 의회가 왕권 남용 방지, 의회 권한 강화, 국민의 권리와 자유 보장을 위해 제정한 법률로, 입헌군주제의 초석을 다지고 다른 국가 헌법에 영향을 주었다.
국제예양 | |
---|---|
상호주의 (법률) | |
유형 | 법률 원칙 |
정의 | 다른 관할 구역의 법률 및 사법적 결정을 존중하고 시행하는 원칙 |
설명 | 법률 시스템 간의 협력 촉진 국제 관계에서 공정성과 상호 이익 보장 |
특징 | 법률 시스템 간의 자발적 존중 및 협력 |
중요성 | 국제 무역, 투자, 소송 절차에 미치는 영향 국가 간의 원활한 관계 유지 |
참고 | 법률 시스템 간의 차이점과 제한 사항 고려 필요 상호주의 원칙 적용 시 외교적 및 정치적 고려 사항 포함 |
국제예양 | |
로마자 표기 | Gukje yeyang |
영어 | Comity of nations |
일본어 | 国際礼譲 (Kokusai reijō) |
중국어 | 國際禮讓 / 国际礼让 (Guójì lǐràng) |
프랑스어 | Courtoisie internationale |
독일어 | Internationale Höflichkeit |
스페인어 | Comitas gentium |
정의 | 한 국가의 법률 및 사법적 결정을 다른 국가가 존중하는 원칙 |
목적 | 국가 간의 우호적인 관계 유지 및 국제 협력 증진 |
적용 범위 | 사법 관할권 법률 집행 외교 관계 |
관련 개념 | 상호주의 국제 협약 국제 관습법 |
참고 | 각 국가의 법률 및 정책에 따라 적용 범위와 정도가 달라질 수 있음 국가 주권 존중의 원칙과 조화 필요 |
2. 어원
"국제예양"이라는 용어는 16세기에 프랑스어 ''comité''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협회'를 의미하고, 라틴어 코미타스/cōmitāsla에서 유래되었는데, '예의'를 뜻하며, 다시 코미스/cōmisla에서 유래되어 '우호적인', '예의 바른'을 의미한다.[4]
국제예양은 사법적 예양 또는 국가 간 예양이라고도 불린다.[5]
2. 1. 국제예양의 어원
"국제예양"이라는 용어는 16세기에 프랑스어 ''comité''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협회'를 의미하고, 라틴어 코미타스/cōmitāsla에서 유래되었는데, '예의'를 뜻하며, 다시 코미스/cōmisla에서 유래되어 '우호적인', '예의 바른'을 의미한다.[4]국제예양은 사법적 예양 또는 국가 간 예양이라고도 불린다.[5]
3. 역사
13세기부터 유럽 법학자들은 외국 법을 적용하는 문제를 고심해 왔다.[9] 지역 밖의 상업이 활발해지면서 법률 충돌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9] 기존의 법정주의는 당시 사회적 가치를 따라가기에는 너무 복잡하고 임의적이었다.[9]
17세기 말, 울리히 후버를 비롯한 네덜란드 법학자 그룹은 국제예양 교리를 만들었다.[10][11] 후버 등은 법률의 충돌을 주권적 독립의 개념을 강화하기 위해 더 실용적인 방식으로 처리할 방법을 모색했다.[10] 후버는 '''''comitas gentium'''''("국가의 예절")이 주권국이 "정부의 한계 내에서 획득된 권리가 정부 또는 그 국민의 권리나 권한에 해를 끼치지 않는 한 어디에서나 효력을 유지하도록 예양의 방식으로 행동"하기 때문에 특정 경우에 외국 법을 적용해야 한다고 썼다.[12] 그는 예양이 국제법의 원칙이라고 믿었지만, 외국 법을 적용할지 여부는 국가의 자유 의지에 맡겨진 행위라고 보았다.[10] 후버는 예양이 독립된 원칙이 아니라 구체적인 법률 규칙과 교리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로 여겼다.[13]
후버로부터 한 세기 후, 만스필드 백작은 30년 동안 잉글랜드 킹스벤치 법원의 대법원장으로 활동하며 예양 교리를 영국법에 도입했다.[14] 만스필드 백작은 예양의 적용을 재량적인 것으로 보았으며, 법원은 "자연 정의의 원칙이나 공공 정책에 위배되지 않는 한" 외국 법을 적용했다.[15] 그는 소머셋 대 스튜어트 사건(킹스벤치 법원 1772)에서 이 원칙을 입증했는데, 이 사건은 노예 제도가 도덕적으로 너무 혐오스러워서 영국 법원은 예양에 따라 미국 노예 소유주가 노예에게 갖는 재산권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15]
19세기 초, 조셉 스토리는 예양을 미국 관습법에 도입했다.[17] 후버와 마찬가지로 스토리는 미국의 새로운 상업적 필요를 반영하는 사법 국제법의 새로운 시스템을 개발하려고 했다.[17] 만스필드 백작과 마찬가지로 스토리도 예양에서 정의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예양은 상호 이익에서 파생되는 독립적인 원칙이라고 강조했다.[18]
19세기 중반, 존 웨스트레이크는 그의 저서 ''사법 국제법 논문''에서 국가가 정의의 이유로 예양을 가지고 행동해야 한다는 생각을 더욱 발전시켰다.[19] 웨스트레이크는 후버의 예양을 영국법에 채택한 것으로 칭찬받았으며, 스토리의 접근 방식을 거부했다.[19] 그는 충돌 규칙이 국내 주권의 한 예이므로 외국 법을 인정해야 하는 의무는 영국법 자체에서 이유를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20]
3. 1. 13세기부터 19세기까지의 국제예양
13세기부터 유럽 법학자들은 외국 법을 적용하는 문제를 고심해 왔다.[9] 지역 밖의 상업이 활발해지면서 법률 충돌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9] 기존의 법정주의는 당시 사회적 가치를 따라가기에는 너무 복잡하고 임의적이었다.[9]17세기 말, 울리히 후버를 비롯한 네덜란드 법학자 그룹은 국제예양 교리를 만들었다.[10][11] 후버 등은 법률의 충돌을 주권적 독립의 개념을 강화하기 위해 더 실용적인 방식으로 처리할 방법을 모색했다.[10] 후버는 '''''comitas gentium'''''("국가의 예절")이 주권국이 "정부의 한계 내에서 획득된 권리가 정부 또는 그 국민의 권리나 권한에 해를 끼치지 않는 한 어디에서나 효력을 유지하도록 예양의 방식으로 행동"하기 때문에 특정 경우에 외국 법을 적용해야 한다고 썼다.[12] 그는 예양이 국제법의 원칙이라고 믿었지만, 외국 법을 적용할지 여부는 국가의 자유 의지에 맡겨진 행위라고 보았다.[10] 후버는 예양이 독립된 원칙이 아니라 구체적인 법률 규칙과 교리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로 여겼다.[13]
후버로부터 한 세기 후, 만스필드 백작은 30년 동안 잉글랜드 킹스벤치 법원의 대법원장으로 활동하며 예양 교리를 영국법에 도입했다.[14] 만스필드 백작은 예양의 적용을 재량적인 것으로 보았으며, 법원은 "자연 정의의 원칙이나 공공 정책에 위배되지 않는 한" 외국 법을 적용했다.[15] 그는 소머셋 대 스튜어트 사건(킹스벤치 법원 1772)에서 이 원칙을 입증했는데, 이 사건은 노예 제도가 도덕적으로 너무 혐오스러워서 영국 법원은 예양에 따라 미국 노예 소유주가 노예에게 갖는 재산권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15]
19세기 초, 조셉 스토리는 예양을 미국 관습법에 도입했다.[17] 후버와 마찬가지로 스토리는 미국의 새로운 상업적 필요를 반영하는 사법 국제법의 새로운 시스템을 개발하려고 했다.[17] 만스필드 백작과 마찬가지로 스토리도 예양에서 정의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예양은 상호 이익에서 파생되는 독립적인 원칙이라고 강조했다.[18]
19세기 중반, 존 웨스트레이크는 그의 저서 ''사법 국제법 논문''에서 국가가 정의의 이유로 예양을 가지고 행동해야 한다는 생각을 더욱 발전시켰다.[19] 웨스트레이크는 후버의 예양을 영국법에 채택한 것으로 칭찬받았으며, 스토리의 접근 방식을 거부했다.[19] 그는 충돌 규칙이 국내 주권의 한 예이므로 외국 법을 인정해야 하는 의무는 영국법 자체에서 이유를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20]
3. 2. 국제예양의 발전과 한국
4. 현대적 접근
4. 1. 미국
미국법에서 "예양 조항"은 미국 헌법 제4조의 특권 및 면책 조항에 대한 또 다른 용어로 사용되며, 이는 각 주의 시민이 여러 주에서 시민의 모든 특권 및 면책에 대한 권리를 가진다고 규정한다.[21] 제4조는 범죄인 인도 조항, 상호 신뢰 및 신용 조항을 포함하여 헌법의 "주 간 예양" 조항으로 묘사된다.[22]Bank of Agusta v Earl 사건에서 법원은 조셉 스토리 판사의 예양 교리를 채택했다.[23] 19세기 말, 미국 대법원은 ''힐튼 대 기요''(1895) 판결에서 예양에 대한 고전적인 설명을 제시했다. 법원은 외국 판결의 집행은 예양의 문제이며 국제법에서 예양에 대한 "고전적인" 설명으로 간주된다고 밝혔다.[24][25][26] 법원은 이 사건에서 "예양"은 국제적 의무와 편의, 그리고 자국 시민 또는 자국 법의 보호를 받는 기타 사람들의 권리를 고려하여 한 국가가 자국 영토 내에서 다른 국가의 입법, 행정 또는 사법 행위를 인정하는 것이라고 판결했다.[27]
''힐튼 대 기요'' 판결은 예양 교리를 명확히 할 때 미국 법원에서 계속 인용되는 주요 사례이며,[28] 예양의 정의를 이전보다 광범위하게 확장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판결이다. 다만, 법원은 프랑스가 동등한 판결을 집행하지 않았을 것이므로 상호주의에 기초하여 프랑스 판결을 집행하는 것을 거부했다.[28] 이는 주권적 이익과 관련된 조셉 스토리 판사의 예양에 대한 생각과는 다른 것이었다.[2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의 군사 및 경제 강국으로서의 세계적 지위 향상은 예양의 원칙을 외국법 적용 의무와 더 가깝게 변화시켰다.[29] 냉전 이후, 대법원은 Hartford Fire Insurance Co v California 사건을 심리했다.[30] 이 사건에서 소우터 판사는 국내법과 외국법 사이에 "진정한 갈등"이 있을 경우에만 예양을 고려한다고 보았으나, 반대 의견에서 스칼리아 판사는 국제법 위반을 방지하기 위해 초국적 관할권은 국제 예양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0] 10년 후, 대법원은 F. Hoffman-La Roche, Ltd. v Empagran, S.A. 사건에서 케네디 판사가 다수 의견을 위해 스칼리아 판사의 반대 의견을 채택했다.[31]
미국에서는 특정 외국 명예 훼손 판결이 SPEECH Act (2010년에 제정된 연방법)에 따라 인정되지 않으며, 이는 예양 교리를 대체한다. 이 법은 "명예 훼손 관광"을 막는 것을 목표로 한다.[32]
4. 2. 영국
19세기 말까지, 국제 예양은 영국법에서 국제 사법의 기초 원칙으로 법원의 승인을 받았다.[34] 1896년, 다이시 교수는 국제 예양 원칙이 선택에 따라 외국 법률의 인정을 장려하기 때문에 너무 모호하다는 비판을 담은 "국제 사법에 관한 영국 법률 요약"을 출판했다.[34]학계에서 국제 예양 원칙의 역할에 대한 논쟁에도 불구하고, 대법원과 영국 상원은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국제 예양의 역할을 인정해 왔다.[35] 그러나 법원은 아직 국제 예양에 대한 정확한 정의를 채택하지 않았다.[35] 판례법은 국제 예양이 주어진 사건에서 다른 국가의 법률 또는 사법적 권한이 잉글랜드에서 어떤 효력을 가져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데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35]
4. 3. 캐나다
캐나다 헌법이나 다른 권위 있는 기반에서는 국가 간의 판결을 인정하는 상호주의 또는 완전 신뢰 및 신용의 원칙이 인정되지 않는다.[36] 그러나 1990년대부터 법원은 일련의 사건에서 주간 및 국제적으로 관련된 상호주의 원칙에 대해 논의하기 시작했으며, 상호주의 원칙을 캐나다 국제사법의 핵심 특징으로 채택했다.[36]Morguard Investments Ltd. v De Savoye는 캐나다 법에서 상호주의를 고려한 최초의 사건이었다.[37] 관습법은 주권 국가가 자국 영토 내에서 배타적 관할권을 갖는다는 국제법의 기본 원칙 중 하나를 영국으로부터 반영했다.[38] La Forest 판사는 관습법적 접근 방식이 현대의 현실에 근거하지 않는다는 점을 인정하며, 특히 주간의 경우, 캐나다 헌법은 단일 국가를 형성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므로, 캐나다 사법 구조에서 차등적인 품질의 정의를 위한 근거는 없다고 보았다.[38] LaForest 판사는 Hilton v Guyot에서 상호주의에 대한 미국 대법원의 접근 방식을 언급하고 상호주의가 현대적 거래에서 질서와 공정성을 보장하는 데 필요한 원칙이라고 설명한다.[38] 그러나 이는 절대적인 의무의 문제가 아니라 공통의 관심사에 기반한 자발적인 문제이며, 법원은 상호주의 원칙이 외국 판결에 대한 보다 자유로운 접근 방식을 요구한다고 판결했다.[38] 법원은 소송 또는 피해와 판결 관할권 사이에 "실질적이고 상당한 연결"이 있는 판결을 집행하기로 결정했다.[39]
Hunt v T&N에서 법원은 Morguard 판결에서 상호주의가 "참가자에 대한 질서와 공정성의 개념에 근거한다"고 설명했다.[37] 이 사건에서 캐나다 대법원은 지방 법률의 역외 효과에 대한 규칙을 재작성했으며, 이러한 역외 효과는 상호주의 원칙에 따라 평가될 것이다.[40]
Tolofson v Jensen 사건에서 법원은 여러 관할 구역의 이해 관계가 관련된 경우 불법 행위에 적용될 법을 묻는 질문에 답했다.[41] 법원은 불법 행위가 발생한 법(lex loci delicti)을 적용해야 한다고 결정했다. La Forest 판사는 이 결정에서 국제사법에서 상호주의의 중요성을 명확히 재확인했으며, 법원은 상호주의, 질서 및 공정성을 위해 불법 행위가 발생한 법을 선택해야 한다고 밝혔다.[41] 법원은 국제 상호주의가 잠재적인 법률 충돌에 직면하여 "조화"를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42]
4. 4. 호주
오스트레일리아 헌법은 모든 영미법 국가에 완전한 신뢰와 신용을 부여해야 함을 인정한다.[43]판례상, 오스트레일리아 고등 법원은 오스트레일리아 법에서 예양의 의미를 정의한 적이 없다.[44] 그러나 고등 법원은 1999년 Lipohar v The Queen 판결에서 처음 언급된 Hilton v Guyot 사건에서 미국의 대법원이 내린 예양의 정의를 채택하고 승인했다.[44] 예양은 오스트레일리아 사법의 발전과 적용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44] 이는 주권적 민감성과 경제적 현실을 조율하는 데 법원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었다.[45]
4. 5. 유럽 연합
브뤼셀 I 규칙은 유럽 연합의 한 회원국 법원 판결(동의하지 않는 피고 부재)이 다른 회원국 법원에 의해 집행되어야 한다고 규정한다.[46]5. 국제예양과 대한민국
5. 1. 대한민국 법원의 국제예양 적용 사례
5. 2. 한계와 과제
참조
[1]
서적
Black's Law Dictionary
2014
[2]
서적
Barron's Canadian Law Dictionary
[3]
서적
A Dictionary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Comity
https://www.etymonli[...]
Online Etymology Dictionary
[5]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6]
논문
The Transformation of International Comity
https://www.jstor.or[...]
2008
[7]
서적
International Human Rights Litigation in U.S. Courts:
Martinus Nijhoff Publishers
[8]
논문
Comity and International Courts and Tribunals
https://scholarship.[...]
[9]
논문
Transformation of International Comity
https://www.jstor.or[...]
2008
[10]
논문
The Transformation of International Comity
https://www.jstor.or[...]
2008
[11]
논문
The Comity Doctrine
[12]
논문
The Transformation of International Comity
https://www.jstor.or[...]
2008
[13]
논문
The History of Comity
https://papers.ssrn.[...]
2019
[14]
웹사이트
William Murray, 1st earl of Mansfield
https://www.britanni[...]
[15]
논문
The Transformation of International Comity
https://www.jstor.or[...]
2008
[16]
논문
The History of Comity
https://papers.ssrn.[...]
2019
[17]
논문
The History of Comity
https://papers.ssrn.[...]
2019
[18]
논문
The History of Comity
https://papers.ssrn.[...]
2019
[19]
논문
The History of Comity
https://papers.ssrn.[...]
2019
[20]
논문
The History of Comity
https://papers.ssrn.[...]
2019
[21]
서적
Principles of Constitutional Law
Thomson/West
[22]
서적
The Full Faith and Credit Clause: A Reference Guide to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Praeger
[23]
논문
International Comity in American Law
https://papers.ssrn.[...]
2015
[24]
논문
The Transformation of International Comity
https://www.jstor.or[...]
2008
[25]
서적
International Human Rights Litigation in U.S. Courts:
[26]
논문
Comity in US Courts
[27]
문서
Hilton v. Guyot
[28]
논문
Comity as Conflict: Resituating International Comity as Conflict of Laws
https://papers.ssrn.[...]
2010
[29]
논문
The Transformation of International Comity
https://www.jstor.or[...]
2008
[30]
논문
The Transformation of International Comity
https://www.jstor.or[...]
2008
[31]
논문
The Transformation of International Comity
https://www.jstor.or[...]
2008
[32]
웹사이트
The SPEECH Act Provides Protection Against Foreign Libel Judgments
http://apps.american[...]
American Bar Association
2016-03-18
[33]
웹사이트
Licensure by Comity
http://www.nspe.org/[...]
National Society of Professional Engineers
2016-03-29
[34]
논문
The Historic Bases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https://www.jstor.or[...]
1953
[35]
논문
Rediscovering the Principle of Comity in English Private International Law
https://papers.ssrn.[...]
2018
[36]
간행물
International Comity and the Construction of the Charter's Limits: Hape Revisited
https://papers.ssrn.[...]
2019
[37]
간행물
International Comity and the Construction of the Charter's Limits: Hape Revisited
https://papers.ssrn.[...]
2019
[38]
문서
Morguard Investments Ltd v De Savoye
1990
[39]
간행물
Foreign Judgments, the Common Law and the Constitution: De Savoye v. Morguard Investments Ltd
https://lawjournal.m[...]
1992
[40]
간행물
Uniformity, Diversity and Provincial Extraterritoriality: Hunt v. T&N plc
https://lawjournal.m[...]
1995
[41]
문서
Tolofson v Jensen
1994
[42]
간행물
International Comity and the Construction of the Charter's Limits: Hape Revisited
https://papers.ssrn.[...]
2019
[43]
문서
Constitution of Australia, chapter 7, section 118
[44]
간행물
Navigating Sovereignty and Transnational Commercial Law: The Use of Comity by Australian Courts
https://papers.ssrn.[...]
2016
[45]
간행물
Navigating Sovereignty and Transnational Commercial Law: The Use of Comity by Australian Courts
https://papers.ssrn.[...]
2016
[46]
문서
Regulation (EU) No 1215/2012, articles 2, 36, 3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