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이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이자는 돈을 빌려준 대가로 받는 금액을 의미하며, 이율 또는 이자율은 원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을, 수익률은 투자금액에 대한 연평균 이율을 나타낸다. 이자율은 증권 종류, 만기, 위험 특성 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며, 경제학에서는 화폐의 시간적 가치와 신용 위험에 대한 대가로 간주된다. 이자율은 기간, 계산 방식, 명목/실질 이자율 등에 따라 분류되며, 경제 상황과 중앙은행의 통화 정책, 신용 위험, 물가 상승률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이자율은 투자와 소비, 환율, 자산 가격 등 경제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며, 이슬람에서는 이자를 금지하는 등 종교적, 윤리적 관점에서도 논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자 - 이자율
    이자율은 자금의 시간 가치를 반영하는 금리로서, 대출 또는 차입 시 지불되는 이자의 비율이며, 통화정책, 기준금리, 만기, 신용도, 시장 수요 공급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 이자 - 72의 법칙
    72의 법칙은 복리 계산 시 투자 원금이 두 배가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수익률로 나누어 어림수로 추정하는 방법으로, 투자 결정 시 참고 자료로 활용되며, 이자율 조건에 따라 다른 숫자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정확할 수 있다.
  • 채무 - 72의 법칙
    72의 법칙은 복리 계산 시 투자 원금이 두 배가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수익률로 나누어 어림수로 추정하는 방법으로, 투자 결정 시 참고 자료로 활용되며, 이자율 조건에 따라 다른 숫자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정확할 수 있다.
  • 채무 - 신용 경색
    신용 경색은 금융기관의 신용 공급 축소로 자금 융통이 어려워지는 현상으로, 부주의한 대출, 담보 가치 하락, 통화 조건 변화, 은행 지급 능력에 대한 우려 등으로 발생하며, 경기 침체를 심화시키고 심각한 경제적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다.
  • 은행업 - 수표
    수표는 14~15세기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어 17세기 영국에서 근대적 형태가 정립된 지급 결제 수단이며, 발행인, 지급인, 수취인의 3자 관계를 가지고 유통증권으로 사용되지만 전자 결제 시스템의 발달로 사용량이 감소하는 추세이다.
  • 은행업 - 통장
    통장은 금융기관에 예금된 금액의 입출금 내역을 기록하는 장부로, 과거 종이 형태에서 전자통장, 무통장 계좌 등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으며, 예금 종류와 계좌 소유자에 따라 여러 종류와 특징을 가진다.
이자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의돈을 빌려 쓰거나 빚 상환을 연기하는 것에 대한 대가로 정기적으로 지불하는 돈
다른 이름리자
영어interest
경제학
이자의 의미원금에 대한 대가이며, 주식의 배당금이나 이윤과 구별되는 개념
이자의 역할투자 자금의 수요와 공급에 영향을 미쳐 자본 배분을 조절하는 역할
이자율 변동 요인차입자의 신용도, 정부 정책, 경기 상황, 기대 인플레이션율 등
실질 이자율명목 이자율에서 인플레이션을 제외한 이자율
복리 계산원금과 이자를 합한 금액에 다시 이자가 붙는 방식, 시간 흐름에 따라 금액 증가
이자율의 종류단순 이자율, 복리 이자율
수학
자연 상수 e복리 계산과 관련이 있는 자연 상수 e는 약 2.71828
미분과 적분미분적분을 사용해 이자를 계산
복리 공식복리 계산시 사용되는 공식: FV = PV(1+i)^n (FV는 미래 가치, PV는 현재 가치, i는 이자율, n은 기간)
금융
대출 이자돈을 빌린 사람이 빌려준 사람에게 지불하는 이자
예금 이자돈을 예금한 사람이 은행으로부터 받는 이자
채권 이자채권을 소유한 사람이 발행자로부터 받는 이자
금리돈을 빌리는 데 드는 비용
이자율 계산 방식단순 이자 계산 및 복리 이자 계산 방식 존재
이자율 변동경제 상황, 통화 정책, 시장 상황에 따라 이자율 변동
이자의 영향차입 및 투자 결정에 영향, 경제 성장과 물가 안정에 영향
이자의 중요성경제 활동의 핵심 요소로 자본의 효율적 배분에 중요

2. 이자율의 개념과 종류

이자율은 증권의 종류, 만기, 위험특성 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69] 경제학적 정의에서 금리는 ‘미래 시점의 자금에 대한 현재 시점의 상대적 가격’을 의미한다.

하지만 실제 금융 거래에서 이자의 본질은 화폐의 시간적 가치만으로 설명할 수 없다. 금융기관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대가, 채권의 부도에 대한 보증료 또는 보험료 등이 복잡하게 결합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금리의 고저는 경제의 경기 동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부나 중앙은행이 정책금리를 변경함으로써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경우가 많다. 경제학적으로는 화폐 시장에서의 가격에 해당한다. 금융 시장에서는 화폐 수요와 화폐 공급이 일치하도록 금리가 조정된다.[43] 소득이 증가하면 화폐 수요가 증가하지만, 화폐 공급량이 일정한 경우 금리가 상승한다.[44] 반대로 소득이 감소하면 화폐 수요는 감소하고 금리는 하락한다.[44]

금리에는 명목금리와 실질금리가 있다. 명목금리는 표면에 나타나는 금리이다.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기대 인플레이션율을 뺀 것이다. 일반적으로 명목금리는 0%보다 낮아지지 않지만, 실질금리는 마이너스 금리가 될 수 있다.

금융 이론에서는 금리는 일반적으로 화폐의 시간적 가치와 신용 위험에 대한 대가로서의 성격을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론적으로 무위험 자산에 적용되는 금리는 화폐의 시간적 가치만을 반영한 것이다.

'''이자'''는 금액을 가리킨다. '''이율''' 또는 '''이자율'''은 원금(채권의 액면가)에 대한 일정 기간(보통 1년)의 이자의 비율을 가리킨다. '''수익률'''은 투자금액에 대한 최종 수령 이자에서 연평균 이율을 계산한 것이다.

'''금리'''는 금액과 비율 모두를 가리킨다. 금액은 "증가", "감소"로 표현하고, 비율은 "높다", "낮다"로 표현한다. 그러므로 이자가 증가한다고 말해도, 이율이 증가한다고는 말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이율이 낮다고 말해도, 이자가 낮다고는 말하지 않는다.

2. 1. 기간에 따른 분류

이자율은 증권의 종류, 만기, 위험 특성 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69] 이자는 현물이자와 선물이자로 나뉜다. 현물이자는 대출 계약을 현재에 하고 대출 또한 현재에 적용되는 이자이며, 선물이자는 대출 계약을 현재에 하고 대출은 미래에 이행될 때의 이자이다. 그러나 이 둘의 이자율은 서로 차이가 있다. 이자율의 기간구조 이론은 증권의 종류, 만기, 위험 특성 등이 모두 같을 때 기간에 따른 이자율이 어떻게 결정되는지에 관한 이론이다.[69]

단기 채권은 불확실성과 인플레이션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다. 단기간의 미래를 예측하기가 더 쉽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단기 금리는 장기 금리보다 낮아 수익률 곡선이 상향 경사를 띠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자율은 기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연이율: 원금에 대한 1년간의 이자율이다. 이 비율을 12로 나누면 거의 월이율과 같은 값이 된다. 단위는 %이다.
  • 월이율: 원금에 대한 1개월의 이자율이다. 이 비율을 28일부터 31일 사이의 값으로 나누면 거의 일일이자율과 같은 값이 된다. 단위는 %이다.

: 월이율(%) = 연이율(%) / 12

  • 일일이자율: 원금 100원에 대한 하루 이자를 이자율로 나타낸 것이다. 단위는 (1/100원), (1/10전), 모(1/10리)이다.

: 일일이자율(전) = 연이율(%) × 100 / 365

2. 2. 계산 방식에 따른 분류

이자 계산 방식에는 크게 단리와 복리 두 가지가 있다.

  • '''단리'''는 원금 또는 원금 중 남아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이자를 계산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연 단리 이자율 12.99%로 2500달러를 빌렸을 때 한 달 동안 발생하는 이자는 (0.1299 * $2500) / 12 = $27.06 이다. 3개월 동안의 단리는 (0.1299 * $2500 * 3) / 12 = $81.19 가 된다.

  • '''복리'''는 이전에 축적된 이자에 대해 얻은 이자를 포함하여 계산하는 방식이다. 즉, 이자가 원금에 더해져 다시 이자를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연 6%의 이자를 반기별로 지급하는 채권의 경우, 6개월 후 (6% * $10,000 * 1) / 2 = $300 의 이자를 받게 되고, 이를 재투자하면 다음 6개월 후에는 $309의 이자를 받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12개월 후 총 $10,609를 얻게 되며, 총 이자는 $609가 된다.


단리와 복리 외에도, 차입금을 여러 번에 걸쳐 상환할 때 이자를 계산하는 방식에는 실질연율과 애드온 금리가 있다. 실질연율은 매번 상환할 때마다 차입 잔액이 감소하는 것으로 계산하는 반면, 애드온 금리는 계산상 차입 잔액을 감소시키지 않고 계산한다. 예를 들어, 3만 원을 매달 1회씩 3회에 걸쳐 상환하고 매 회 상환하는 원금이 1만 원일 때, 실질연율 12%(월이율 1%)의 경우 총 이자는 600원이지만, 애드온 금리 12%(월이율 1%)의 경우 총 이자는 900원이 된다.

원리금균등상환은 상환이 정기적으로 여러 번 이루어지는 경우, 매회 상환액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 원금 상환액과 이자 상환액의 비율을 매번 변경하는 방식이다. 주로 주택담보대출 상환에 많이 사용된다.

2. 3. 명목 이자율과 실질 이자율

이자율은 증권의 종류, 만기, 위험 특성 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69] 경제학에서 이자는 신용의 가격으로 간주되므로, 물가 상승으로 인한 왜곡의 영향을 받는다. 명목 이자율은 물가 상승을 조정하기 전의 가격을 말하며, 소비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이자율이다(예: 대출 계약서, 신용카드 명세서 등에 표시된 이자율). 명목 이자율은 실질이자율과 물가 상승률을 포함한 여러 요인으로 구성된다. 명목 이자율의 근사 공식은 다음과 같다.

: i= r + \pi

여기서

:''i''는 명목 이자율

:''r''는 실질 이자율

:그리고 π는 물가 상승률이다.

그러나 모든 차입자와 대출자가 동일한 물가 상승률에 노출되어 있더라도 동일한 이자율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미래 물가 상승에 대한 예상이 다르기 때문에, 미래를 고려한 이자율은 단일 실질이자율과 단일 예상 물가 상승률의 합으로만 결정될 수 없다.

이자율은 신용등급 또는 부도 위험에도 따라 달라진다. 정부는 일반적으로 매우 신뢰할 수 있는 채무자이며, 국채의 이자율은 다른 차입자가 이용할 수 있는 이자율보다 일반적으로 낮다.

다음 방정식은:

: i = r + \pi + c

대출 기간 동안 물가 상승률과 신용 위험에 대한 기대치를 명목 이자율과 기대 실질 이자율과 관련짓는다. 여기서

:''i''는 적용되는 명목 이자율

:''r''는 기대되는 실질 이자율

:π는 기대되는 물가 상승률이고

:''c''는 인지된 신용 위험에 따른 수익률 스프레드이다.

대출자는 소비를 연기하므로, 최소한 물가 상승으로 인한 재화 가격 상승분을 충당할 만큼의 금액을 회수하기를 바란다. 미래의 인플레이션은 알 수 없으므로, 이를 달성하기 위해 X%의 이자에 "인플레이션"을 더하여 부과하거나, 실질 금리를 적용하거나, "예상" 인플레이션율을 결정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대출자는 "예상치 못한" 인플레이션의 위험에 노출된다. 또는 이자율을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고정 이자율"이 아닌 "변동" 또는 "부동" 이자율을 적용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자율은 시장에 의해 결정되며, 인플레이션을 상쇄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빈번하다. 예를 들어, 석유 파동 시기와 같이 높은 인플레이션 시대나, 2011년과 같이 많은 물가 연동 정부 채권의 실질 수익률이 마이너스인 경우가 그러하다.[69]

2. 4. 기타 이자율

이자율은 증권의 종류, 만기, 위험 특성 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69]

은행이 신용도가 제일 우수한 거래 기업에 융자해줄 때 적용하는 이자율은 우대금리(prime rate)이다.[68] 우대 금리는 최우량 기업에 대한 특별 금리로서 기업·가계대출 금리의 하한선인 동시에 기준이 된다.[68] 우대금리의 인상이나 인하는 시장 상황을 보고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미국의 대형 은행들이 변경하면 다른 은행들이 뒤따르는 형식을 취한다.[68]

미국 및 캐나다 국채(단기 정부 채무)의 이자 계산은 (100 − ''P'')/''P''로 계산되며, 여기서 ''P''는 지불 가격이다. 연간 이자율로 표준화하는 대신, 이자는 일수 ''t''에 따라 비례 배분된다: (365/''t'')·100. (일수 계산 규칙 참조). 총 계산은 ((100 − ''P'')/''P'')·((365/''t'')·100)이다. 이는 '''단리 할인율'''이라는 과정을 통해 가격을 계산하는 것과 같다.

차주가 대출 약정을 중대하게 위반한 후 지급해야 하는 이자율인 연체이자는 차주의 재정적 위험이 증가한 것을 반영하므로 일반적으로 원래 이자율보다 훨씬 높다. 연체이자는 대출 기관에 추가 위험에 대한 보상을 해준다. 일부 관할 구역에서는 공공 정책에 위배된다는 이유로 연체이자 조항이 시행 불가능할 수 있다.

차입금을 여러 번에 걸쳐 상환할 때의 이자를 계산하는 방법에는 매번 상환할 때마다 차입 잔액이 감소하는 것으로 계산하는 방법(실질연율)과 계산상 차입 잔액을 감소시키지 않는(가정하는) 방법(애드온 금리)이 있다. 금리 표기가 같더라도 애드온 금리 쪽이 이자가 더 높아진다.

원리금균등상환은 상환이 정기적으로 여러 번 이루어지는 경우, 매회 상환액을 일정하게 하려면 원금 상환액과 이자 상환액의 비율을 매번 변경하는 방법이다. 주택담보대출 상환에 많이 사용된다.

  • '''연이율''': 원금에 대한 1년간의 이자율. 이 비율을 12로 나누면 거의 월이율과 같은 값이 된다. 단위는 %이다.
  • '''월이율''': 원금에 대한 1개월의 이자율. 이 비율을 28부터 31 사이의 어떤 수로 나누면 거의 일일이자율과 같은 값이 된다. 단위는 %이다. 월이율(%) = 연이율(%)/12
  • '''일일이자율''': 원금 100원에 대한 하루 이자를 이자율로 나타낸 것. 단위는 (1/100원), 厘(1/10전), 모(1/10厘)이다. 일일이자율(전) = 연이율(%) × 100 / 365

3. 이자율의 결정 요인

이자율은 증권의 종류, 만기, 위험 특성 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69]

=== 화폐의 수요와 공급 ===

경제학에서 이자율은 신용의 가격이며, 자본비용의 역할을 한다.[69] 자유시장 경제에서는 이자율이 화폐 공급의 수요와 공급 법칙의 영향을 받는다. 소득 증가, 물가 상승, 통화량 감소 등은 이자율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다.

살라망카 학파는 차입자에게 주는 이익과 채권자에게 받는 이자를 채무 불이행 위험에 대한 프리미엄으로 정당화했다.[16] 마르틴 데 아스필쿠에타는 시간 선호 논거를 적용하여, 미래보다 현재 주어진 재화를 받는 것이 더 좋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이자는 채권자가 돈을 쓰는 이익을 포기하는 시간에 대한 보상이다. 1770년 프랑스 경제학자 튀르고는 결실 이론을 제안했다. 그는 기회비용 논거를 적용하여 대출 금리와 농지의 수익률을 비교했고, 이자율이 0에 가까워짐에 따라 토지 가치가 무한정 상승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토지 가치가 양수이면서 유한하게 유지되려면 이자율이 0보다 커야 한다.

애덤 스미스, 칼 멩거, 그리고 프레데리크 바스티아 또한 이자율 이론을 제시했다.[17] 19세기 후반, 스웨덴 경제학자 크누트 위크셀은 그의 1898년 저서 "이자와 물가"에서 자연 이자율과 명목 이자율을 구분함으로써 경제 위기에 대한 포괄적인 이론을 설명했다. 1930년대, 위크셀의 접근 방식은 베르틸 올린데니스 로버트슨에 의해 개선되었고, 대출 가능 자금 이론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 시대의 다른 주목할 만한 이자율 이론으로는 어빙 피셔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이론이 있다.

투자 시장은 이자율을 결정한다. 각 특정 부채는 이자율을 결정할 때 여러 요소들을 고려한다. 대출과 채권은 화폐의 특징을 일부 가지고 있으며 광의의 화폐 공급에 포함된다. 국가(자국 통화를 유지하는 국가에 한함)는 금리에 영향을 미쳐 대출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발행되는 대출과 채권의 총량을 변경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질 금리가 높을수록 광의의 화폐 공급은 감소한다. 화폐수량설에 따르면, 화폐 공급의 증가는 인플레이션을 초래한다. 즉, 금리는 미래의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20]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경제 활동에 금융이 필수적이며, 그 금리는 경제의 움직임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금리 수준은 일반적인 재화·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호황기에는 자금 수요가 증가하므로 금리는 상승하고, 불황기에는 그 반대로 금리는 하락한다.

금리는 크게 단기금리와 장기금리로 나뉜다. 1년 미만의 대출에 대한 금리를 단기금리라고 하며, 은행 간 거래 시장, 국고 단기 증권, 양도성 예금(CD) 등이 있으며, 은행 예금 금리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1년 이상의 금리는 장기금리라고 하며, 신규 발행 10년물 국채의 수익률 등이 지표가 되고 있으며, 주택담보대출이나 기업 대출 금리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장기금리는 단기금리보다 변동 위험 부담이 더 큰 경우가 많으며, 미래의 물가 변동이나 경제 전망 등이 영향을 준다.

=== 중앙은행의 통화 정책 ===

중앙은행통화 정책의 주요 수단으로 단기 금리에 큰 영향을 미친다.[69] 한국은행기준금리 조정을 통해 단기 이자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기준금리 인상은 긴축 정책, 인하는 완화 정책으로 간주된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낮으면 예금의 메리트가 낮아지고, 저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으므로 투자가 증가하기 쉽다. 반대로 금리가 높아지면 예금의 메리트가 높아지고, 대출을 받아 사업에 투자하는 위험이 높아지므로 투자가 증가하기 어렵다.[69]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주로 연방기금금리를 목표로 하여 통화정책을 시행한다. 공개시장조작은 연방준비제도가 단기 금리를 조정하기 위해 시행하는 통화정책의 한 도구이다.

=== 기타 요인 ===

이자율은 증권의 종류, 만기, 위험 특성 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69]

신용 위험은 채무자가 파산, 도주, 채무 불이행 등의 이유로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할 위험을 의미한다. 위험 프리미엄은 채무자의 신뢰도, 사업 성공 가능성, 담보의 안전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측정된다. 예를 들어, 개발도상국에 대한 대출은 미국 정부에 대한 대출보다 신용도가 낮아 더 높은 위험 프리미엄이 부과된다. 또한, 사업체에 대한 운영 자금 대출은 주택 담보 대출보다 금리가 더 높게 책정되는 경향이 있다.[69] 사업체의 신용도는 신용평가기관에서, 개인의 신용점수는 신용정보기관에서 측정한다.

경제학에서 이자는 신용의 가격으로 간주되므로, 물가 상승의 영향을 받는다.[69] 명목 이자율은 물가 상승을 조정하기 전의 가격으로, 대출 계약서나 신용카드 명세서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명목 이자율은 실질이자율과 물가 상승률 등 여러 요인으로 구성되며, 근사 공식은 다음과 같다:

: i= r + \pi

여기서 ''i''는 명목 이자율, ''r''는 실질 이자율, π는 물가 상승률이다.

미래 물가 상승에 대한 예상이 다르기 때문에, 미래를 고려한 이자율은 단일 실질 이자율과 단일 예상 물가 상승률의 합으로만 결정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실질 금리가 높을수록 광의의 화폐 공급은 감소한다. 화폐수량설에 따르면, 화폐 공급의 증가는 인플레이션을 초래한다. 즉, 금리는 미래의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20]

이자율은 신용등급 또는 부도 위험에 따라서도 달라진다.[69] 정부는 일반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채무자로 간주되어 국채 이자율은 다른 채권보다 낮은 편이다.

다음 방정식은 대출 기간 동안 물가 상승률과 신용 위험에 대한 기대치를 명목 이자율과 기대 실질 이자율과 관련짓는다.

: i = r + \pi + c

여기서 ''i''는 적용되는 명목 이자율, ''r''는 기대되는 실질 이자율, π는 기대되는 물가 상승률, ''c''는 인지된 신용 위험에 따른 수익률 스프레드이다.[69]

3. 1. 화폐의 수요와 공급

경제학에서 이자율은 신용의 가격이며, 자본비용의 역할을 한다.[69] 자유시장 경제에서는 이자율이 화폐 공급의 수요와 공급 법칙의 영향을 받는다. 이자율은 화폐 시장에서 화폐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70] 소득 증가, 물가 상승, 통화량 감소 등은 이자율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다.

살라망카 학파는 차입자에게 주는 이익과 채권자에게 받는 이자를 채무 불이행 위험에 대한 프리미엄으로 정당화했다.[16] 마르틴 데 아스필쿠에타는 시간 선호 논거를 적용하여, 미래보다 현재 주어진 재화를 받는 것이 더 좋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이자는 채권자가 돈을 쓰는 이익을 포기하는 시간에 대한 보상이다. 1770년 프랑스 경제학자 튀르고는 결실 이론을 제안했다. 그는 기회비용 논거를 적용하여 대출 금리와 농지의 수익률을 비교했고, 이자율이 0에 가까워짐에 따라 토지 가치가 무한정 상승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토지 가치가 양수이면서 유한하게 유지되려면 이자율이 0보다 커야 한다.

애덤 스미스, 칼 멩거, 그리고 프레데리크 바스티아 또한 이자율 이론을 제시했다.[17] 19세기 후반, 스웨덴 경제학자 크누트 위크셀은 그의 1898년 저서 "이자와 물가"에서 자연 이자율과 명목 이자율을 구분함으로써 경제 위기에 대한 포괄적인 이론을 설명했다. 1930년대, 위크셀의 접근 방식은 베르틸 올린데니스 로버트슨에 의해 개선되었고, 대출 가능 자금 이론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 시대의 다른 주목할 만한 이자율 이론으로는 어빙 피셔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이론이 있다.

투자 시장은 이자율을 결정한다. 각 특정 부채는 이자율을 결정할 때 여러 요소들을 고려한다. 대출과 채권은 화폐의 특징을 일부 가지고 있으며 광의의 화폐 공급에 포함된다. 국가(자국 통화를 유지하는 국가에 한함)는 금리에 영향을 미쳐 대출의 수요와 공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발행되는 대출과 채권의 총량을 변경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질 금리가 높을수록 광의의 화폐 공급은 감소한다. 화폐수량설에 따르면, 화폐 공급의 증가는 인플레이션을 초래한다. 즉, 금리는 미래의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20]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경제 활동에 금융이 필수적이며, 그 금리는 경제의 움직임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금리 수준은 일반적인 재화·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호황기에는 자금 수요가 증가하므로 금리는 상승하고, 불황기에는 그 반대로 금리는 하락한다.

금리는 크게 단기금리와 장기금리로 나뉜다. 1년 미만의 대출에 대한 금리를 단기금리라고 하며, 은행 간 거래 시장, 국고 단기 증권, 양도성 예금(CD) 등이 있으며, 은행 예금 금리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1년 이상의 금리는 장기금리라고 하며, 신규 발행 10년물 국채의 수익률 등이 지표가 되고 있으며, 주택담보대출이나 기업 대출 금리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장기금리는 단기금리보다 변동 위험 부담이 더 큰 경우가 많으며, 미래의 물가 변동이나 경제 전망 등이 영향을 준다.

단기금리는 중앙은행에 의해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정책금리로 취급된다. 금융정책에서 정책금리 설정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낮으면 예금의 메리트가 낮아지고, 저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으므로 투자가 증가하기 쉽다. 해외 투자자의 관점에서 보면 금리가 낮은 통화를 보유하는 메리트가 적기 때문에 통화 가치는 상대적으로 하락하고, 수출이 증가하고 수입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투자 활성화에 따라 경기가 개선될 경우 투자 대상으로서 통화 가치가 상승하거나 미래의 인플레이션율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어 장기금리가 상승하는 경우도 있다. 반대로 금리가 높아지면 예금의 메리트가 높아지고, 대출을 받아 사업에 투자하는 위험이 높아지므로 투자가 증가하기 어렵다. 해외 투자자의 관점에서 보면 금리가 높은 통화를 보유하는 메리트가 많기 때문에 통화 가치는 상대적으로 상승하고, 수출이 감소하고 수입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과열된 경기를 진정시키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러한 관계로부터 정책금리를 인하하는 정책은 '''완화''' 정책, 인상하는 정책은 '''긴축''' 정책이라고 불린다. 참고로, 금리(이자율)와 국민소득의 관계를 기술하는 데 IS-LM 분석이 사용된다.

금리 변동 요인
rowspan="2" style="min-width:110px" |금리
상승 요인하락 요인
경기호황불황
통화 공급량감소증가
물가인플레이션 예상디플레이션 예상
국채 발행액증가감소
환율통화가치 하락통화가치 상승
금융 정책긴축완화


3. 2. 중앙은행의 통화 정책

중앙은행은 통화정책의 주요 수단으로 단기 금리에 큰 영향을 미친다.[69]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조정을 통해 단기 이자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기준금리 인상은 긴축 정책, 인하는 완화 정책으로 간주된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낮으면 예금의 메리트가 낮아지고, 저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으므로 투자가 증가하기 쉽다. 반대로 금리가 높아지면 예금의 메리트가 높아지고, 대출을 받아 사업에 투자하는 위험이 높아지므로 투자가 증가하기 어렵다.[69]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주로 연방기금금리를 목표로 하여 통화정책을 시행한다. 공개시장조작은 연방준비제도가 단기 금리를 조정하기 위해 시행하는 통화정책의 한 도구이다.

금리 변동 요인
rowspan="2" style="min-width:110px" |금리
상승 요인하락 요인
경기호황불황
통화 공급량감소증가
물가인플레이션 예상디플레이션 예상
국채 발행액증가감소
환율통화가치 하락통화가치 상승
금융 정책긴축완화


3. 3. 기타 요인

이자율은 증권의 종류, 만기, 위험 특성 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69]

신용 위험은 채무자가 파산, 도주, 채무 불이행 등의 이유로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할 위험을 의미한다. 위험 프리미엄은 채무자의 신뢰도, 사업 성공 가능성, 담보의 안전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측정된다. 예를 들어, 개발도상국에 대한 대출은 미국 정부에 대한 대출보다 신용도가 낮아 더 높은 위험 프리미엄이 부과된다. 또한, 사업체에 대한 운영 자금 대출은 주택 담보 대출보다 금리가 더 높게 책정되는 경향이 있다.[69] 사업체의 신용도는 신용평가기관에서, 개인의 신용점수는 신용정보기관에서 측정한다.

경제학에서 이자는 신용의 가격으로 간주되므로, 물가 상승의 영향을 받는다.[69] 명목 이자율은 물가 상승을 조정하기 전의 가격으로, 대출 계약서나 신용카드 명세서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명목 이자율은 실질이자율과 물가 상승률 등 여러 요인으로 구성되며, 근사 공식은 다음과 같다:

: i= r + \pi

여기서 ''i''는 명목 이자율, ''r''는 실질 이자율, π는 물가 상승률이다.

미래 물가 상승에 대한 예상이 다르기 때문에, 미래를 고려한 이자율은 단일 실질 이자율과 단일 예상 물가 상승률의 합으로만 결정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실질 금리가 높을수록 광의의 화폐 공급은 감소한다. 화폐수량설에 따르면, 화폐 공급의 증가는 인플레이션을 초래한다. 즉, 금리는 미래의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20]

이자율은 신용등급 또는 부도 위험에 따라서도 달라진다.[69] 정부는 일반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채무자로 간주되어 국채 이자율은 다른 채권보다 낮은 편이다.

다음 방정식은 대출 기간 동안 물가 상승률과 신용 위험에 대한 기대치를 명목 이자율과 기대 실질 이자율과 관련짓는다.

: i = r + \pi + c

여기서 ''i''는 적용되는 명목 이자율, ''r''는 기대되는 실질 이자율, π는 기대되는 물가 상승률, ''c''는 인지된 신용 위험에 따른 수익률 스프레드이다.[69]

4. 이자율의 경제적 영향

경제학에서 이자율은 신용의 가격이며, 자본비용의 역할을 한다.[16] 자유시장 경제에서는 이자율이 화폐 공급의 수요와 공급 법칙의 영향을 받으며, 이자율이 일반적으로 0보다 큰 경향에 대한 한 가지 설명은 대출 가능 자금의 부족이다.

수 세기 동안 다양한 학파들이 이자와 이자율에 대한 설명을 개발해왔다. 살라망카 학파는 차입자에게 주는 이익과 채권자에게 받는 이자를 채무 불이행 위험에 대한 프리미엄으로 정당화했다.[16] 16세기 마르틴 데 아스필쿠에타는 시간 선호 논거를 적용했다. 즉, 미래보다 현재 주어진 재화를 받는 것이 더 좋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자는 채권자가 돈을 쓰는 이익을 포기하는 시간에 대한 보상이다.

이자율이 일반적으로 0보다 큰 이유에 대한 질문에 대해, 1770년 프랑스 경제학자 튀르고는 결실 이론을 제안했다. 기회비용 논거를 적용하여 대출 금리와 농지의 수익률을 비교하고, 영구 연금의 가치 공식을 농장에 적용하는 수학적 논거를 통해 그는 이자율이 0에 가까워짐에 따라 토지 가치가 무한정 상승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토지 가치가 양수이면서 유한하게 유지되려면 이자율이 0보다 커야 한다.

애덤 스미스, 칼 멩거, 그리고 프레데리크 바스티아 또한 이자율 이론을 제시했다.[17] 19세기 후반, 스웨덴 경제학자 크누트 위크셀은 그의 1898년 저서 "이자와 물가"에서 자연 이자율과 명목 이자율을 구분함으로써 경제 위기에 대한 포괄적인 이론을 설명했다. 1930년대, 위크셀의 접근 방식은 베르틸 올린데니스 로버트슨에 의해 개선되었고, 대출 가능 자금 이론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 시대의 다른 주목할 만한 이자율 이론으로는 어빙 피셔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이론이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경제 활동에 금융이 필수적이며, 그 금리는 경제의 움직임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금리 수준은 일반적인 재화·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호황기에는 자금 수요가 증가하므로 금리는 상승하고, 불황기에는 그 반대로 금리는 하락한다.

금리는 크게 단기금리와 장기금리로 나뉜다. 1년 미만의 대출에 대한 금리를 단기금리라고 하며, 은행 간 거래 시장, 국고 단기 증권, 양도성 예금(CD) 등이 있으며, 은행 예금 금리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1년 이상의 금리는 장기금리라고 하며, 신규 발행 10년물 국채의 수익률 등이 지표가 되고 있으며, 주택담보대출이나 기업 대출 금리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장기금리는 단기금리보다 변동 위험 부담이 더 큰 경우가 많으며, 미래의 물가 변동이나 경제 전망 등이 영향을 준다.

단기금리는 중앙은행에 의해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정책금리로 취급된다. 금융정책에서 정책금리 설정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낮으면 예금의 메리트가 낮아지고, 저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으므로 투자가 증가하기 쉽다. 해외 투자자의 관점에서 보면 금리가 낮은 통화를 보유하는 메리트가 적기 때문에 통화 가치는 상대적으로 하락하고, 수출이 증가하고 수입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투자 활성화에 따라 경기가 개선될 경우 투자 대상으로서 통화 가치가 상승하거나 미래의 인플레이션율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어 장기금리가 상승하는 경우도 있다.

반대로 금리가 높아지면 예금의 메리트가 높아지고, 대출을 받아 사업에 투자하는 위험이 높아지므로 투자가 증가하기 어렵다. 해외 투자자의 관점에서 보면 금리가 높은 통화를 보유하는 메리트가 많기 때문에 통화 가치는 상대적으로 상승하고, 수출이 감소하고 수입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과열된 경기를 진정시키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러한 관계로부터 정책금리를 인하하는 정책은 '''완화''' 정책, 인상하는 정책은 '''긴축''' 정책이라고 불린다.

참고로, 금리(이자율)와 국민소득의 관계를 기술하는 데 IS-LM 분석이 사용된다.

금리 변동 요인
rowspan="2" style="min-width:110px" |금리
상승 요인하락 요인
경기호황불황
통화 공급량감소증가
물가인플레이션 예상디플레이션 예상
국채 발행액증가감소
환율통화가치 하락통화가치 상승
금융 정책긴축완화


4. 1. 투자 및 소비

이자율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제 활동에 필수적인 금융의 가격으로, 일반적인 재화 및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호황기에는 자금 수요 증가로 이자율이 상승하고, 불황기에는 자금 수요 감소로 이자율이 하락한다.

이자율이 낮아지면 예금의 매력이 감소하고, 저금리 대출이 가능해져 기업의 투자가 증가하기 쉽다. 가계는 낮은 이자율로 대출을 받아 소비를 늘리는 경향이 있다. 해외 투자자 관점에서는 금리가 낮은 통화 보유의 이점이 적어 통화 가치가 상대적으로 하락하고, 수출이 증가하고 수입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이자율이 높아지면 예금의 매력이 증가하고, 대출을 통한 사업 투자의 위험이 커져 기업의 투자가 감소하기 쉽다. 가계 또한 높은 이자 부담으로 인해 소비를 줄이는 경향이 있다. 해외 투자자 관점에서는 금리가 높은 통화 보유의 이점이 많아 통화 가치가 상대적으로 상승하고, 수출이 감소하고 수입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계를 바탕으로, 정책금리를 인하하는 정책은 '''완화''' 정책, 인상하는 정책은 '''긴축''' 정책이라고 불린다.

이자율 변동 요인
rowspan="2" style="min-width:110px" |이자율
상승 요인하락 요인
경기호황불황
통화 공급량감소증가
물가인플레이션 예상디플레이션 예상
국채 발행액증가감소
환율통화가치 하락통화가치 상승
금융 정책긴축완화


4. 2. 환율

4. 3. 자산 가격

5. 이자율과 관련된 금융 상품

5. 1. 예금 및 적금

5. 2. 대출

5. 3. 채권

6. 이자율의 역사

wikitext

이자 개념은 고대부터 존재해 왔다.

== 고대 및 중세 시대 ==

고대 수메르에서는 기원전 3000년경 곡물과 금속 대출에 대한 체계적인 신용 기록이 발견되었다.[5] 이자 개념은 그 이전부터 이미 확립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생산 목적으로 동물이나 종자를 임대하는 것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5] 복리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기원전 24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당시 연이율은 약 20%였다.[7]

에쉬눈나 법전은 기원전 2천년대 초 가축이나 곡물과 교환으로 사용된 은에 대해 법정 이자율을 제정했다.[10] 초기 무슬림들은 이를 '리바'라고 불렀으며, 이는 오늘날 이자 부과로 번역된다.[10]

가톨릭 교회는 스콜라 철학 시대에 이자 반대 입장을 강화했으며, 토마스 아퀴나스는 이자 부과가 "이중 청구"에 해당하므로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했다.[13] 중세 경제에서 대출은 주로 흉작이나 화재와 같은 필요에 의한 것이었으므로, 이자를 부과하는 것은 도덕적으로 비난받을 만한 것으로 여겨졌다.[13]

이슬람 세계에서도 이자는 종종 경시되었으며, 꾸란은 이자 부과를 명시적으로 금지한다.[13] 중세 법학자들은 고리대금 금지를 우회하고 책임 있는 대출을 장려하기 위해 Contractum trinius와 같은 금융 상품을 개발했다.

upright의 ''Stultifera Navis'' (어릿광대의 배)에서 발췌한 고리대금; 알브레히트 뒤러에게 귀속되는 목판화]]

가톨릭을 믿던 중세 유럽에서는 가톨릭 교회의 영향으로 이자 수취가 금지되었는데,[72] 이 역할을 가톨릭 신자 대신 유대인들이 담당했다.[72] 이러한 모습은 셰익스피어의 《베니스의 상인》에서 잘 드러난다.[73]

== 근대 이후 ==

르네상스 시대에 사람들의 이동성이 증가하고 상업이 활성화되면서, 기업가들이 새로운 수익성 있는 사업을 시작할 수 있는 적절한 조건이 나타났다.[13] 빌린 돈이 소비뿐만 아니라 생산에도 사용되면서 이자에 대한 인식도 변화하였다.[13] 1847년 프랑스 중앙은행은 화폐 공급 조작을 통한 이자율 통제를 처음으로 시도했다.

== 이슬람 금융 ==

이슬람에서는 하람이라 하여 이자를 금지한다.[71]

6. 1. 고대 및 중세 시대

고대 수메르에서는 기원전 3000년경 곡물과 금속 대출에 대한 체계적인 신용 기록이 발견되었다.[5] 이자 개념은 그 이전부터 이미 확립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생산 목적으로 동물이나 종자를 임대하는 것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5] 복리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기원전 24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당시 연이율은 약 20%였다.[7]

에쉬눈나 법전은 기원전 2천년대 초 가축이나 곡물과 교환으로 사용된 은에 대해 법정 이자율을 제정했다.[10] 초기 무슬림들은 이를 '리바'라고 불렀으며, 이는 오늘날 이자 부과로 번역된다.[10] 고대 그리스의 해상 무역에서도 이자를 수반하는 대부가 널리 행해졌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 『정치학』에서 "화폐가 화폐를 낳는 것은 자연에 반한다"라고 비판했다.[49]

고대 히브리인들은 이자를 금했으며, 이는 구약성서를 경전으로 하는 기독교인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50] 니케아 공의회(325년)에서는 성직자들이 고리대금에 관여하는 것을 금지했고,[11] 9세기 전교회 공의회에서는 이 규정을 평신도에게도 적용했다.[11][12]

가톨릭 교회는 스콜라 철학 시대에 이자 반대 입장을 강화했으며, 토마스 아퀴나스는 이자 부과가 "이중 청구"에 해당하므로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했다.[13] 중세 경제에서 대출은 주로 흉작이나 화재와 같은 필요에 의한 것이었으므로, 이자를 부과하는 것은 도덕적으로 비난받을 만한 것으로 여겨졌다.[13]

이슬람 세계에서도 이자는 종종 경시되었으며, 꾸란은 이자 부과를 명시적으로 금지한다.[13] 중세 법학자들은 고리대금 금지를 우회하고 책임 있는 대출을 장려하기 위해 Contractum trinius와 같은 금융 상품을 개발했다.

upright의 ''Stultifera Navis'' (어릿광대의 배)에서 발췌한 고리대금; 알브레히트 뒤러에게 귀속되는 목판화]]

가톨릭을 믿던 중세 유럽에서는 가톨릭 교회의 영향으로 이자 수취가 금지되었는데,[72] 이 역할을 가톨릭 신자 대신 유대인들이 담당했다.[72] 이러한 모습은 셰익스피어의 《베니스의 상인》에서 잘 드러난다.[73]

12세기 이후, 이자 징수는 교회법의 금지 조항에 포함되었고,[60] 13세기에는 이 금지를 어긴 자는 파문에 처해야 한다고 규정되었다.[52] 그러나 경제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이자를 받기 위한 다양한 편법이 사용되었다.[49]

로마법이나 중세 초기의 게르만법에서는 이자 취득이 인정되었고,[55] 중세의 유대인들은 이방인인 기독교인에게서 이자를 징수하는 것이 토라의 가르침에 위반되지 않았다.[56]

스콜라 학에서는 이자 취득을 허용하는 몇 가지 조건이 규정되었다. 예를 들어, 상환 지연으로 인한 손해 배상 명목의 이자 징수는 합법으로 간주되었고, 환전상의 외환 거래에서 발생하는 차익은 이자 징수가 아니라고 변호되었다.[49]

6. 2. 근대 이후

르네상스 시대에 사람들의 이동성이 증가하고 상업이 활성화되면서, 기업가들이 새로운 수익성 있는 사업을 시작할 수 있는 적절한 조건이 나타났다.[13] 빌린 돈이 소비뿐만 아니라 생산에도 사용되면서 이자에 대한 인식도 변화하였다.[13] 1847년 프랑스 중앙은행은 화폐 공급 조작을 통한 이자율 통제를 처음으로 시도했다.

니콜라스 바본은 이자를 화폐 가치로 보는 견해를 "잘못"이라고 묘사하며, 돈은 자산 구매를 위해 빌리기 때문에 대출에 대한 이자는 일종의 임대료, 즉 "재화 사용에 대한 지불"이라고 주장했다.[21][22] 1752년 데이비드 흄은 "돈에 관하여"라는 에세이를 발표했는데, 이 에세이에서는 이자를 "차입 수요", "그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풍부한 자원", 그리고 "상업으로 인한 이익"과 관련짓고 있다. 앙느 로베르 자크 튀르고는 이자 이론을 고전적인 형태에 가깝게 만들었는데, 그는 산업가들이 자금을 공급하는 자본가들과 이익을 나눈다고 보았다.

6. 3. 이슬람 금융

이슬람에서는 하람이라 하여 이자를 금지한다.[71] 이슬람 금융은 이러한 이슬람법에 기반을 둔 무이자 금융 시스템이다.[14] 이슬람 금융에서 무이자 대출자는 이자로서 미리 정해진 대출 상환이 금지되고 돈으로 돈을 버는 것도 용납할 수 없기 때문에, 이익-손실 분담 계획에 파트너로 투자하여 위험을 공유한다.[14] 모든 금융 거래는 자산으로 뒷받침되어야 하며 대출 서비스에 대한 이자나 수수료를 부과해서는 안 된다.[14] 이란, 수단, 파키스탄을 포함한 일부 국가는 금융 시스템에서 이자를 없애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14]

꾸란에서는 이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 "고리대금을 받는 자들은 악마의 영향을 받는 자들과 같은 처지에 있습니다. ... 신은 상업을 허락하고 고리대금을 금합니다." (알-바카라 2:275)
  • "신은 고리대금을 비난하고 자선을 축복합니다. ... 믿는 자들이여, 여러분은 신을 준수하고 모든 종류의 고리대금을 삼가십시오." (알-바카라 2:276–280)
  • "믿는 자들이여, 여러분은 고리대금을 반복적으로 받지 마십시오." (알-임란 3:130)
  • "그리고 금지된 고리대금을 행하고 사람들의 돈을 불법적으로 소비한 것에 대해, 우리는 그들 중 불신자들을 위해 고통스러운 응징을 준비했습니다." (알-니사 4:161)
  • "어떤 사람들의 부를 증가시키기 위해 행해지는 고리대금은 신에게서 아무것도 얻지 못합니다. 그러나 사람들이 신의 기쁨을 구하며 자선을 베푼다면, 이들은 그들의 상을 여러 배로 받는 자들입니다." (알-룸 30:39)


무함마드는 마지막 설교에서 "알라는 여러분이 고리대금을 취하는 것을 금지했습니다. 따라서 모든 고리대금 의무는 이제 면제됩니다."라고 언급했다.[35]

7. 한국의 이자율

율령 체제 하에서는 국가에 의한 금융으로 출거가 행해졌다. 당시 라는 세금으로 바쳐진 쌀은 신에게 바치는 제물로 보관되어 백성이 곤궁할 때 빌려주었다. 그리고 수확 후에는 신에게 대한 답례로서 빌린 것보다 많은 쌀을 신에게 돌려주어야 했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옛 시대부터 이자를 취하는 것은 금기시되지 않았다.

중세 일본에서는 국가를 대신하여 히에이 신사나 구마노 산잔 등의 사찰 세력 등이 금융을 영위하고 쌀이나 돈을 대출하였다. 본래 금융은 고대의 출거 이래 신불에게 바쳐진 것을 빌려주는 행위로 여겨졌다. 그 때문에 중세 초기에는 속인은 금융에 관여할 수 없고 신불에 직속하는 자가 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중세에서의 화폐 경제의 발전에 따라 금융은 사찰 세력뿐만 아니라 속인도 담당하게 되어 차상이나 토장이라는 금융업자가 나타났다.

단순히 빚의 탕감과 동일시되는 경우가 많은 일본사에 등장하는 「덕정령」이지만 기본적으로는 「이자가 붙어 있는 계약」만이 대상이었다. 빚을 갚지 못하는 백성이 늘어나 덕정령의 등장하게 되는 것은 많은 경우 「원금을 상환할 능력이 있었더라도 이자(가마쿠라 시대 당시의 말로 「리표(利平)」라고 했다)가 불어나 버리는」것 때문이었다. 가마쿠라 시대 말기에는 정치의 궁핍이 일어나, 몽골 침략에 의한 싸움에서 땅도 얻지 못했기 때문에 「은혜와 봉공」을 막부의 방침으로 했지만 땅을 얻지 못하는 것으로부터 빚이 증대했다. 빚이 증대했기 때문에 덕정령을 발포하지만 결국 토지 문제의 해결에 이르지 못하고 막부에 대한 반감이 강해졌다. 후의 가마쿠라 막부 붕괴의 길에도 연결되어 간다.

조선 시대 초기부터 내수사의 장리소가 농민에게 돈을 빌려주고 연 50%의 이자를 받았다. 참고로 "장리"는 '연 5할의 이자'를 의미한다. 성종 때 560개소의 장리소를 235개소로 축소하였다.

7. 1. 조선 시대

조선 시대 초기부터 내수사의 장리소가 농민에게 돈을 빌려주고 연 50%의 이자를 받았다. 참고로 "장리"는 '연 5할의 이자'를 의미한다. 성종 때 560개소의 장리소를 235개소로 축소하였다.

7. 2. 일제 강점기

7. 3. 해방 이후

8. 이자율과 법

한국에서는 이자제한법을 통해 최고 이자율을 제한하고 있으며, 이는 과도한 이자 부담으로부터 채무자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이다. 일본 법상 이자율은 이자제한법에 의해 규정되며, 원금에 따라 연 15%에서 20% 사이로 제한된다. 이를 초과하는 이자에 대해서는 채무자가 지불 의무가 없지만, 대출자가 처벌받는 것은 아니다.

이자제한법 외에도 출자법에 의한 규제가 있는데, 금융업자는 연 29.2%(윤년은 29.28%, 1일당 0.08%) 이상, 금융업자가 아닌 경우 연 109.5%(윤년은 109.8%, 1일당 0.3%) 이상의 이자를 수령하면 벌칙이 부과된다. 이자제한법의 금리 상한을 초과하여 출자법이 정하는 금리까지는, 대부업법 43조(소위 「미납변제」규정)에 따라, 차입자가 임의로 지불을 한 경우 대출자는 이를 유효하게 수령할 수 있다.

많은 소비자 금융이 이 미납변제 규정을 이용하여 29% 정도의 이자를 얻고 있으며, 차입자는 자신에게 지불 의무가 없다는 것을 모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부분을 그레이 존이라고 평가하며, 출자법 상한 금리를 이자제한법 상한 금리와 동일 수준으로 인하하는 등 더 명확하게 되도록 법 개정을 요구하는 의견도 있다.

9. 이자율과 윤리

이슬람에서는 이자를 하람으로 간주한다.[71] 이는 이자가 대가 없이 벌어들여지기 때문에 노동의 가치를 폄하하고, 자본이 필요한 분야에 대한 투자를 감소시킨다고 보기 때문이다. 가톨릭을 믿던 유럽에서는 이자를 금지했기 때문에 고리대금업을 금지했는데, 이 일은 가톨릭교도 대신 유대인들이 담당했다.[72] 셰익스피어의 《베니스의 상인》에서 유대인 샤일록은 이자로 안토니오의 살을 요구하는 잔인한 모습을 보인다. 셰익스피어는 이를 통해 당시 만연했던 반유대주의 정서를 드러내고 유대인의 경제적 위치를 비판하고자 했다.[73]

아리스토텔레스와 스콜라 학파는 자신의 노력과 희생에 대한 보상을 제외하고는 대가를 요구하는 것은 부당하며, 돈은 본질적으로 불임이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돈과 떨어져 있어도 손실이 없다고 주장했다. 위험에 대한 보상이나 대출을 설정하는 수고에 대한 보상은 이러한 근거로 반드시 허용되지 않는 것은 아니었다.

9. 1. 종교적 관점

이슬람에서는 이자를 하람으로 간주한다.[71] 이는 이자가 대가 없이 벌어들여지기 때문에 노동의 가치를 폄하하고, 자본이 필요한 분야에 대한 투자를 감소시킨다고 보기 때문이다. 꾸란에서는 이자를 받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으며, 이를 어길 시 신과 그의 사자로부터 전쟁을 선포받는 것으로 간주한다.[35] 무함마드는 마지막 설교에서 이자 수취를 금지하며, 모든 이자 의무는 면제되지만 자본은 유지된다고 선언했다.[35]

가톨릭에서는 이자 수취를 금지했었다.[72] 이 때문에 중세 유럽에서는 가톨릭 신자 대신 유대인들이 고리대금업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았다.[72] 셰익스피어의 《베니스의 상인》에는 이러한 시대상이 반영되어 있는데, 유대인 샤일록은 이자로 안토니오의 살을 요구하는 잔인한 인물로 묘사된다.[73] 아리스토텔레스와 스콜라 학파는 돈은 본질적으로 불임이므로 이자를 요구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캔터베리의 안셀무스는 이자 징수를 절도와 동일시했고, 토마스 아퀴나스는 이자 징수가 물건 자체와 사용에 대해 두 번 요금을 청구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37] 그러나 위험이나 노력에 대한 보상은 허용될 수 있었다. 가톨릭 교회는 라테라노 공의회(5차)에서 몬테 피에타스와 관련된 관리 비용을 허용했다.[38] 13세기에 호스티엔시스 추기경은 이자를 부과하는 것이 부도덕하지 않은 13가지 상황을 열거했는데,[39] 그중 ''lucrum cessans''(포기된 이익)는 대출자가 돈을 스스로 투자하지 못한 이익을 보상받을 수 있도록 허용했다.[40]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서는 이자 부과를 죄로 규정하고 여덟 번째 계명에 의해 금지된다고 가르친다.[41] 성모 마리아의 티없이 깨끗한 마음의 선교 자녀회는 이자가 인간을 돈을 위해 조종할 수 있는 사물로 격하시키는 문제라고 지적하며, 필요한 사람을 이용하거나 하나님의 피조물을 해치는 기업에 투자하는 경우 죄가 된다고 가르친다.[36]

유대교에서는 동족 간의 거래에서 이자 수취를 금지하고, 이러한 대출은 자선으로 간주한다.[33] 그러나 이방인에게는 이자를 부과하는 것이 허용된다.[33]

9. 2. 사회적 관점

이슬람에서는 이자를 하람으로 간주한다.[71] 이는 대가 없이 벌어들여지는 소득이 노동의 가치를 폄하하고 자본이 필요한 분야에 대한 투자를 감소시킨다고 보기 때문이다. 가톨릭을 믿던 유럽에서는 이자를 금지했기 때문에 고리대금업을 금지했는데, 이 일은 가톨릭교도 대신 유대인들이 담당했다.[72] 셰익스피어의 《베니스의 상인》에서 유대인 샤일록은 이자로 안토니오의 살을 요구하는 잔인한 모습을 보인다. 셰익스피어는 이를 통해 당시 만연했던 반유대주의 정서를 드러내고 유대인의 경제적 위치를 비판하고자 했다.[73]

10. 결론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interest in English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12-27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dividend https://www.merriam-[...] 2017-12-27
[3] 웹사이트 Profit http://www.economics[...] 2017-12-27
[4] 웹사이트 The number e http://www-history.m[...] 2012-08-26
[5] 서적 A History of Interest Rates Wiley
[6] 서적 A History of the Jews HarperCollins Publishers
[7] 뉴스 How the world's first accountants counted on cuneiform https://www.bbc.com/[...] BBC World Service 2017-06-12
[8] 간행물 A Simple Math Formula Is Basically Responsible For All Of Modern Civilization https://www.business[...] 2013-06-05
[9] 서적 You Shall Not Steal: Community and Property in the Biblical Tradition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1-08-05
[10] 웹사이트 Institute of Islamic Banking and Insurance - Prohibition of Interest https://web.archive.[...]
[11] 논문 The Christianization of Interest 1934
[12] 논문 Development of Moral Doctrine
[13] 웹사이트 No. 2547: Charging Interest http://www.uh.edu/en[...]
[14] 간행물 Sharīʿah-compliant central banking practices: lessons from Muslim countries' experience https://doi.org/10.1[...] 2020-01-01
[15] 웹사이트 The number e https://web.archive.[...] 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
[16] 웹사이트 School of Salamanca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9
[17] 서적 Capital and Interest: A Critical History of Economic Theory http://oll.libertyfu[...]
[18] 웹사이트 Rule of 78 – Watch out for this auto loan trick http://www.bankrate.[...]
[19] 법률 15 U.S. Code § 1615
[20] 뉴스 What'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ation and Interest Rates? https://www.pbs.org/[...] 2009-06-23
[21] 서적 A discourse of trade
[22] 서적 Origins of Scientific Economics: English Economic Thought, 1660–1776
[23] 서적 Essay on the Governing Causes of the Natural Rate of Interest
[24] 서적 Lectures on political economy
[25] 서적 The rate of interest
[26] 서적 Of the rate of interest
[27] 서적 §2
[28] 서적 On currency and banks
[29] 서적 §3
[30] 서적 §3
[31] 서적 p181
[32] 논문 Mr Keynes' General Theory
[33] 웹사이트 Interest-Free Loans in Judaism http://www.myjewishl[...]
[34] 웹사이트 Encyclopedia Judaica: Moneylending http://www.jewishvir[...] 2008
[35] 웹사이트 IslamiCity.com - Mosque - The Prophet Muhammad's (PBUH) Last Sermon http://www.islamicit[...]
[36] 웹사이트 Is it sinful to charge interest on a loan? https://www.uscathol[...] U.S. Catholic 2020-06-04
[37] 서적 Of Cheating, Which Is Committed in Buying and Selling http://www.saylor.or[...] The Fathers of the English Dominican Province 2012-06-19
[38] 학회발표 Session Ten: On the reform of credit organisations (Montes pietatis) http://www.intratext[...] Catholic Church 1515-05-04
[39] 학술지 The Scholastics, Usury, and Foreign Exchange The Business History Review, Vol. 41, No. 3 1967-09-01
[40] 서적 2001
[41] 서적 Sabbath Laws and Sabbath Duties: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ir Natural and Scriptural Grounds, and to the Principles of Religious Liberty Maclachlan and Stewart 1853
[42] 서적 歴史学事典Ⅹ交換と消費 弘文堂 1994-02-01
[43] 서적 経済論戦の読み方 講談社 2004-01-01
[44] 서적 経済論戦の読み方 講談社 2004-01-01
[45] 뉴스 マイナス金利の世界に踏み込むデンマーク http://jbpress.ismed[...] 2012-08-27
[46] 서적 債権総論 新版 有斐閣 1972-01-01
[47] 서적 民法概論〈3〉債権総論 第2版 有斐閣 2005-12-01
[48] 서적 債権総論 補訂版 有斐閣 1972-01-01
[49] 백과사전 利子 平凡社 2007
[50] 서적 中世の高利貸 法政大学出版局 1989
[51] 서적 中世の高利貸
[52] 서적 ユダヤ人とドイツ 講談社 1991
[53] 서적 中世の高利貸
[54] 서적 中世の高利貸
[55] 서적 中世の高利貸
[56] 서적 中世の高利貸
[57] 서적 ユダヤ人とドイツ
[58] 서적 中世の高利貸
[59] 서적 中世の高利貸
[60] 서적 中世の高利貸
[61] 서적 中世の高利貸
[62] 서적 新訂 債権総論 岩波書店 1964-03-01
[63] 서적 基本法コンメンタール 債権総論 平成16年民法現代語化新条文対照補訂版 日本評論社 2005-07-01
[64] 서적 債権総論 補訂版 有斐閣 1972-01-01
[65] 웹사이트 民法(債権関係)改正がリース契約等に及ぼす影響 https://www.leasing.[...] 公益社団法人リース事業協会 2020-03-21
[66] 웹사이트 令和5年4月1日以降の法定利率について https://www.moj.go.j[...] 法務省
[67] 웹사이트 供託金利息の利率の変更に関する供託規則の一部改正について https://www.moj.go.j[...] 法務省 2020-04-01
[68] 백과사전
[69] 서적 재무관리론 무역출판사 2003-08-15
[70] 백과사전 화폐이자
[71] 서적 이슬람의 허용과 금기 https://books.google[...] 세창출판사 2017-05-27
[72] 뉴스 중세런던...유대인을 추방하고 다시 불러들인 이유 http://pub.chosun.co[...] 조선일보 2017-05-27
[73] 저널 『베니스의 상인』과 『몰타의 유대인』에 나타난 반유대주의의 전복적 양상 http://www.earticle.[...] 2005-12-0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