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라비어 윤전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라비어 윤전기는 사진 기계식 인쇄판을 사용하여 고품질 이미지를 대량으로 인쇄하는 기술이다. 19세기 사진술 발달과 함께 등장하여, 20세기 초 다색 인쇄 기술이 개발되면서 널리 사용되었다. 그라비어 인쇄는 잉크를 실린더의 움푹 파인 셀에 채워 넣고 종이에 전사하는 방식으로, 사진 재현성이 뛰어나고 인쇄 속도가 빠르지만, 초기 비용이 높고 실린더 제작에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주로 출판, 포장, 특수 인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대한민국에서는 포장재 인쇄 및 보안 인쇄에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계 - 접지
    접지는 감전 및 화재 방지, 낙뢰 보호, 전자파 장해 방지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전기적 연결 방식이며, 전기 기기의 안전과 정상 작동에 필수적인 요소로서 보호 접지, 기능 접지, 피뢰 접지, 정전기 방지 접지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 기계 - 4절 링크
    4절 링크는 4개의 링크가 4개의 1자유도 관절로 연결된 기구로, 관절 조합에 따라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며, 각 링크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고, 그라쇼프 조건은 움직임 특성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며, 여러 기계 시스템에 활용되는 기계 공학의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 인쇄 - 구텐베르크 은하계
    마셜 맥루한의 《구텐베르크 은하계》는 인쇄술이 시각 중심 문화와 근대 사회 형성에 미친 영향을 탐구하고 전자 매체의 등장으로 인한 구술 문화로의 회귀를 예측한 모자이크 형식의 책으로, 캐나다 총독상을 수상했다.
  • 인쇄 - 복사기
    복사기는 문서나 이미지를 복제하는 기계로, 전기 사진술의 발전을 통해 현대적 형태를 갖추었으며, 디지털 기술과 결합하여 이미지 스캐너 및 레이저 프린터로 발전했고, 저작권 침해 등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그라비어 윤전기

2. 역사와 발전

그라비어 인쇄는 19세기 사진술의 발달에 힘입어 시작되었다. 사진을 기계적으로 복제하는 인쇄판 기술이 개발되면서 그 기반이 마련되었고,[1] 이후 기술 개선을 통해 미술 인쇄물 제작 등에 활용되었다.[2][3] 20세기 초에는 여러 색상을 인쇄하는 다색 인쇄 기술과 롤 용지를 사용하는 방식이 도입되어, 신문 부록과 같이 대량 인쇄가 필요한 분야로 확산되며 대중화되었다.[1] 당시 대중문화에서도 그라비어 인쇄, 특히 로토그라비어(Rotogravure)가 언급될 정도로 널리 알려졌다. 현대에는 인쇄 전자와 같은 첨단 기술 분야에서도 그라비어 인쇄 방식이 활발히 응용되고 있다.

2. 1. 19세기 사진술의 발달과 초기 그라비어 인쇄

19세기 사진술의 발달은 사진을 기계적으로 인쇄할 수 있는 인쇄판 제작을 가능하게 했다. 헨리 폭스 탤벗은 1852년에 인쇄판에 하프톤 효과를 내기 위해 사진 촬영 과정에서 직물을 사용하는 방법을 언급했다.[1] 1860년 프랑스에서는 롤 용지를 사용하는 그라비어 인쇄기에 대한 특허가 나왔다.[1] 카렐 클리치와 새뮤얼 포셋은 협력하여 1895년 영국 랭커스터에 렘브란트 인타글리오 인쇄 회사(Rembrandt Intaglio Printing Company)를 설립했으며, 이 회사는 미술 작품 인쇄물을 제작했다.[2][3] 1906년에는 이 회사에서 최초로 여러 색상을 사용한 그라비어 인쇄물을 시장에 선보였다.[1]

2. 2. 20세기 초 다색 그라비어 인쇄와 대중화

1906년, 카렐 클리치와 새뮤얼 포셋이 1895년 랭커스터에 설립한 렘브란트 인타글리오 인쇄 회사(Rembrandt Intaglio Printing Company)는 최초의 다색 그라비어 인쇄물을 시장에 선보였다.[1] 이는 그라비어 인쇄 기술이 단색을 넘어 여러 색상을 표현할 수 있게 된 중요한 발전이었다.[2][3]

1912년에는 독일 뮌헨의 브룩만(Bruckman)사가 1914년 생산에 들어간 바이에른 우표의 견본을 그라비어 방식으로 제작했다. 같은 해, 영국 런던의 ''The Illustrated London News''와 독일 베를린의 ''Der Weltspiegel'' 같은 유명 신문들이 롤 급지식 그라비어 방식으로 인쇄된 부록을 발행하기 시작했다.[1] 이러한 신문 부록은 사진이나 그림을 고품질로 인쇄할 수 있어 독자들에게 인기를 끌었다.

그라비어 인쇄, 특히 신문 부록 형태의 로토그라비어(Rotogravure)는 점차 대중문화 속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소재가 되었다. 예를 들어, 미국의 유명 작곡가 어빙 벌린의 노래 "Easter Parade"에는 "사진작가들이 우리를 찍을 것이고, 당신은 로토그라비어에 실릴 것이다(the photographers will snap us, and you'll find that you're in the rotogravure)"라는 가사가 등장하여 당시 로토그라비어의 인기를 짐작하게 한다. 또한 영화 산업의 이면을 다룬 노래 "Hooray for Hollywood"에는 영화배우를 꿈꾸는 젊은 여성들을 묘사하며 "...로컬 로토의 사진으로 무장한(...armed with photos from local rotos)"이라는 구절이 나온다. 이는 당시 배우 지망생들이 자신의 사진을 로토그라비어에 실어 홍보하려 했음을 보여준다.

더 나아가 1976년에는 전 비틀즈 멤버 링고 스타가 ''Ringo's Rotogravure''라는 제목의 솔로 앨범을 발매하기도 했다. 이처럼 그라비어 인쇄는 20세기 초 기술 발전을 통해 대중화되었고, 인쇄 매체뿐만 아니라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2. 3. 20세기 후반 ~ 현재: 기술 발전과 응용 분야 확대

어빙 벌린의 노래 "Easter Parade"는 "사진작가들이 우리를 찍을 것이고, 당신은 로토그라비어에 실릴 것이다."라는 가사를 통해, 그리고 "Hooray for Hollywood"라는 노래는 "…로컬 로토의 사진으로 무장한"이라는 구절을 통해 그라비어 인쇄가 대중문화 속에 언급되었음을 보여준다. 후자는 영화 산업 진출을 꿈꾸는 젊은 여배우들을 지칭하는 맥락에서 사용되었다.

1976년에는 전 비틀즈 멤버 링고 스타가 ''Ringo's Rotogravure''라는 제목의 앨범을 발매하기도 했다.

현대에 들어 그라비어 인쇄 기술은 인쇄 전자 분야에서 활발히 사용되는 여러 인쇄 기술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3. 그라비어 인쇄의 특징

그라비어 인쇄는 다른 인쇄 방식보다 더 많은 잉크종이에 옮길 수 있어, 밝음부터 어둠까지 넓은 농도 범위를 표현하는 데 뛰어나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미술 작품이나 사진 복제에 적합하지만, 오프셋 인쇄만큼 이미지가 선명하지는 않을 수 있다. 그라비어 인쇄는 글자나 단색 영역을 포함한 모든 이미지가 실제로는 미세한 점으로 인쇄되며, 특정 조건에서는 이러한 점으로 이루어진 패턴(스크린 패턴)이 육안으로 보일 수 있다.

그라비어는 일관된 고품질 인쇄가 가능하여 산업 인쇄 공정으로 널리 쓰인다. 그러나 최종 이미지의 각 색상마다 별도의 실린더를 제작해야 하므로, 초기 비용이 높아 소량 인쇄보다는 대량 인쇄에 주로 활용된다. 일반적인 용도로는 100만 부가 넘는 장기 간행물, 통신 판매 카탈로그, 소비자 포장, 일요일 신문 광고 삽입물, 벽지, 고품질과 일관성이 요구되는 가구용 라미네이트 등이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BOPP 등 다양한 종류의 유연 포장재 인쇄에도 널리 사용되며, 이는 가공 산업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공정 중 하나이다.

출판용 그라비어 프레스는 초당 약 13.72m 이상으로 작동하며, 종이 롤 폭은 약 3.05m 이상에 달한다. 8색 인쇄기는 시간당 약 700만 페이지의 4색 인쇄물을 생산할 수 있다.

대부분의 그라비어 프레스는 전단지 형태의 종이가 아닌, 종이나 다른 인쇄 재료의 롤(웹)에 인쇄한다. 로터리 그라비어 프레스는 운영되는 인쇄기 중 가장 빠르고 폭이 넓은 유형 중 하나로, 좁은 라벨부터 약 3.66m 폭의 비닐 바닥재 롤까지 다양한 인쇄물을 생산한다. 최대 효율을 위해 고속으로 작동하며 대구경, 광폭 롤을 생산한 뒤, 이 롤은 슬리팅 기계에서 최종 크기로 절단된다. 잡지나 브로셔 작업의 경우, 새들 스티치 시설과 같이 그라비어 프레스와 연계된 추가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잡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그라비아' 페이지는 과거 "예술 인쇄하면 그라비어 인쇄"로 여겨지던 시대의 흔적이며, 현재 해당 페이지들은 대부분 오프셋 인쇄 방식으로 제작된다.

3. 1. 실린더(판통)

그라비어 인쇄의 첫 단계는 인쇄할 이미지가 새겨진 실린더를 만드는 것이다. 조각 과정은 잉크를 담아 종이에 옮길 미세한 홈(셀)을 실린더 표면에 만든다. 셀에 담기는 잉크의 양에 따라 인쇄되는 색상의 농도가 결정되므로, 셀의 크기와 깊이를 정밀하게 조절해야 한다. 깊거나 큰 셀은 더 진한 색상을 만들고, 작거나 얕은 셀은 옅은 색상을 표현한다. 그라비어 실린더 조각에는 주로 세 가지 방식이 사용되며, 셀 크기나 깊이가 방식에 따라 다르다.

방법셀 크기셀 깊이
기존 방식균일가변
두 양수 (측면 하드 도트)가변가변
직접 전송가변균일



실린더는 일반적으로 강철로 만들고 표면을 구리도금하지만, 세라믹과 같은 다른 재료를 사용하기도 한다. 원하는 이미지는 레이저다이아몬드 도구를 이용해 기계적으로 조각하거나 화학적 에칭 방식으로 새긴다. 화학적 에칭을 할 경우, 먼저 실린더 표면에 레지스트(인쇄되지 않을 부분을 보호하는 막)를 입힌 뒤 에칭액으로 부식시켜 이미지를 만든다. 에칭 후에는 레지스트를 제거한다. 이 과정은 인쇄 회로 기판(PCB) 제조 공정과 유사하다. 조각이 완료된 실린더는 교정 및 테스트를 거치고, 필요한 경우 수정 작업을 한 뒤 내마모성을 높이기 위해 크롬 도금을 한다.

실린더(版胴)는 기본적으로 강관 위에 80μm~100μm 두께로 구리 도금을 하고, 그 표면에 이미지를 제판하여 만든다. 인쇄 작업이 끝나면 사용된 구리 도금층을 벗겨내고, 다시 구리 도금을 하고 표면을 연마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

3. 2. 제판 방법

그라비어 인쇄의 첫 단계는 인쇄할 이미지가 새겨진 실린더를 만드는 것이다. 조각 과정은 잉크를 담아 종이에 옮길 미세한 홈, 즉 셀(cell)을 실린더 표면에 만드는 작업이다. 셀에 담기는 잉크의 양이 인쇄될 색상의 농도를 결정하기 때문에, 셀의 크기와 깊이를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깊거나 큰 셀은 더 진한 색상을, 작거나 얕은 셀은 옅은 색상을 표현한다. 그라비어 실린더 조각에는 주로 세 가지 사진 제판 방식이 사용되며, 방식에 따라 셀 입구의 크기나 셀의 깊이가 일정하거나 가변적일 수 있다.

방법셀 크기셀 깊이
기존 방식균일가변
"두 양수" 또는 "측면 하드 도트"가변가변
직접 전송가변균일



그라비어 실린더는 일반적으로 강철로 몸체를 만들고 표면을 구리로 도금하여 제작하지만, 세라믹과 같은 다른 재료를 사용하기도 한다. 원하는 패턴을 새기는 조각 방법으로는 레이저다이아몬드 도구를 이용하는 기계적 조각 방식과 화학 약품을 이용한 에칭(부식) 방식이 있다. 화학적 에칭을 할 경우에는, 먼저 실린더 표면에 빛에 반응하는 감광성 막인 레지스트(resist)를 입히고 인쇄되지 않을 부분(비화선부)을 보호하는 음화상 형태의 마스크를 만든다. 그 후 에칭액으로 부식시키면 보호되지 않은 부분만 파여 셀이 형성된다. 에칭이 끝나면 레지스트를 제거한다. 이 과정은 인쇄 회로 기판(PCB) 제조 공정과 유사하다. 조각이 완료된 실린더는 교정 및 테스트를 거치고, 필요한 경우 수정 작업을 한 뒤 내마모성을 높이기 위해 크롬 도금을 한다.

전통적인 사진 제판 방식(화학적 에칭) 외에도, 최근에는 부식 과정 없이 다이아몬드레이저를 이용한 에칭 장비로 직접 실린더 표면을 정밀하게 깎아 셀을 만드는 전자 조각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3. 3. 판면

그라비어 인쇄에 사용되는 실린더 표면에는 인쇄될 이미지가 새겨진다. 이 이미지는 미세한 오목한 홈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를 (cell)이라고 부른다. 셀은 잉크를 담아 종이와 같은 인쇄 재료에 이미지를 옮기는 역할을 한다.

셀에 담기는 잉크의 양에 따라 인쇄되는 색상의 농도가 결정된다. 따라서 셀의 깊이나 크기를 조절하여 색의 강약을 표현하는데, 셀이 깊거나 크면 더 많은 잉크가 담겨 진한 색상을 나타내고, 셀이 얕거나 작으면 잉크가 적게 담겨 옅은 색상을 나타낸다.

판면을 만드는 방식, 즉 셀을 형성하는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셀의 크기와 깊이 조합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방식셀 크기셀 깊이
기존 방식 (Conventional)균일가변
"두 양수" 또는 "측면 하드 도트" (Two positives / Lateral hard-dot)가변가변
직접 전송 (Direct transfer)가변균일



구체적인 판면 제작 방식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컨벤셔널법: 위 표의 '기존 방식'에 해당하며, 셀의 깊이를 다르게 하여 잉크 양을 조절하고 인쇄 농도를 재현한다.
  • 망 그라비어법: 셀의 깊이와 크기를 함께 조절하여 인쇄 농도를 재현한다. 위 표의 '"두 양수" 또는 "측면 하드 도트"' 방식과 관련될 수 있다.
  • 전자 조각법: 셀의 깊이와 크기를 모두 이용하여 인쇄 농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현대에 널리 사용된다.


실린더는 일반적으로 강철로 만들어지고 표면을 구리로 도금하지만, 세라믹과 같은 다른 재료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미지를 새기는 조각 과정에는 레이저다이아몬드 도구를 사용하거나 화학적 에칭 방법을 이용한다. 화학적 에칭의 경우, 실린더 표면에 레지스트(resist)라는 보호막(음화상 형태)을 입혀 원하는 부분만 부식시키는 방식으로 셀을 만든다. 에칭 후 레지스트는 제거된다. 이는 인쇄 회로 기판 제조 공정과 유사하다. 조각이 완료된 실린더는 교정 및 테스트를 거치고 필요에 따라 수정 작업을 한 뒤, 내마모성을 높이기 위해 크롬 도금을 한다.

3. 4. 장점

그라비어 인쇄는 셀의 깊이를 조절하여 잉크 양을 다르게 함으로써 색의 농도를 표현한다. 이는 사진과 같이 섬세한 계조 표현이 중요한 이미지 재현에 매우 유리하다. 또한, 다른 인쇄 방식보다 많은 양의 잉크를 용지에 옮길 수 있어 밝은 부분부터 어두운 부분까지 폭넓은 농도 범위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미술 작품이나 사진 복제 분야에서 뛰어난 품질을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라비어 인쇄에 사용되는 실린더는 크롬 도금 처리 등을 통해 내구성을 높인다. 따라서 이미지 품질 저하 없이 오랜 시간 인쇄가 가능하여, 수백만 부 이상의 대량 인쇄에 매우 적합하다. 대량으로 인쇄할 경우 옵셋 인쇄나 플렉소그래피 인쇄 등에 비해 생산 단가가 낮아지는 장점도 있다.

인쇄 속도 또한 매우 빠르다. 출판용 그라비어 프레스는 초당 약 13.72m 이상으로 작동하며, 시간당 약 700만 페이지의 4색 인쇄가 가능할 정도이다. 이는 그라비어 윤전기가 운영되는 인쇄기 중 가장 빠르고 폭이 넓은 유형에 속하기 때문이다.

종이뿐만 아니라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BOPP 등 다양한 종류의 소재에 인쇄할 수 있다. 특히 두께가 10μm에서 30μm 정도의 얇은 필름에도 인쇄가 가능하여 포장재 인쇄 등 유연 포장 분야에서 활용된다.

앙 그라비어법의 경우, 옵셋 인쇄와 원판 호환성이 있어 교정 인쇄를 옵셋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는 편리함이 있다. 사용되는 그라비어 잉크는 일반적으로 옵셋 잉크보다 농도가 높다.

3. 5. 단점


  • 높은 초기 비용: 인쇄를 위한 실린더 제작 등 초기 투자 비용이 크기 때문에, 경제성을 확보하려면 수십만 부 이상의 대량 인쇄가 필수적이다. 소량 인쇄에는 적합하지 않다.[5]
  • 래스터화된 결과물: 글자나 선을 포함한 모든 이미지가 미세한 점으로 표현되는 래스터 방식으로 인쇄된다. 이 때문에 오프셋 인쇄 방식에 비해 선명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특정 조건에서는 점으로 이루어진 패턴이 눈에 보일 수도 있다.[5]
  • 긴 준비 시간: 인쇄에 사용될 실린더를 준비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또한 실린더 제작에는 고도의 전문 기술이 필요하여 대부분 외부 전문 업체에 의뢰하게 된다.[5]
  • 유해 물질 사용: 실린더 제작 과정에서 6가 크롬 전기도금 기술이 사용된다. 미국 직업 안전 보건청(OSHA)은 6가 크롬 화합물을 작업자에게 발암 물질로 간주하고 있어, 안전 및 환경 문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5]

4. 그라비어 인쇄 공정

그라비어 인쇄는 크게 직접 방식과 간접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직접 그라비어 인쇄 방식에서는 디자인이 새겨진 실린더에 잉크를 직접 묻혀 인쇄될 재료(기재)로 바로 옮기는 방식이다. 반면, 간접 그라비어 인쇄 방식은 실린더의 잉크를 중간 단계의 전사 롤러로 옮긴 후, 이 전사 롤러가 다시 기재로 잉크를 전달하는 차이가 있다.

직접 그라비어 인쇄 공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먼저, 표면에 미세한 홈(셀)이 새겨진 그라비어 실린더가 잉크 통에 일부 잠기면서 홈 안을 잉크로 채운다. 실린더가 회전하면 닥터 블레이드라는 칼날이 실린더 표면을 긁어내어, 홈이 파이지 않은 부분의 불필요한 잉크를 제거하고 홈 안에만 적절한 양의 잉크를 남긴다.

다음으로, 인쇄될 기재는 압인 롤러와 그라비어 실린더 사이를 통과한다. 이때 압인 롤러가 강한 압력을 가해 기재를 실린더 표면에 밀착시키고, 잉크의 표면 장력에 의해 홈 속의 잉크가 기재로 옮겨 붙게 된다. 잉크가 묻은 기재는 건조기로 옮겨져 잉크를 완전히 말린다. 여러 색상을 인쇄해야 하는 경우, 각 색상별 인쇄 유닛을 통과하며 이 과정을 반복한다. 일반적으로 CMYK(시안, 마젠타, 옐로우, 키-검정색) 네 가지 색상을 기본으로 사용하며, 최종 이미지에 필요한 색상 수에 따라 인쇄 유닛의 개수가 달라진다.[4] 각 인쇄 유닛을 통과하기 전에는 이전 단계에서 인쇄된 잉크가 완전히 건조되어야 한다.

4. 1. 구성 요소

직접 그라비어 인쇄 방식에서 잉크는 실린더에 직접 도포되며, 실린더에서 인쇄될 재료(기재)로 전사된다. 하나의 인쇄 유닛은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

  • '''그라비어 실린더''' (에칭된 실린더): 인쇄될 디자인이 새겨진 실린더이다. 제작되는 제품의 레이아웃에 따라 원통의 둘레 길이가 다를 수 있다.
  • '''잉크 공급 장치''' (잉크통 또는 잉크 분사기): 실린더에 잉크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 '''닥터 블레이드 어셈블리''': 실린더 표면의 불필요한 잉크를 긁어내는 칼날 역할을 한다.
  • '''압인 롤러''' (압착 롤러): 기재가 그라비어 실린더에 잘 접촉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롤러이다.
  • '''건조기''': 잉크가 묻은 기재를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간접 그라비어 공정의 경우, 그라비어 실린더는 잉크를 '''전사 롤러'''로 옮기고, 이 전사 롤러가 다시 기재로 잉크를 전달한다.

윤전 그라비어 인쇄기는 일반적으로 여러 색상을 표현하기 위해 각 색상별로 하나의 인쇄 유닛을 갖추고 있다. 최종 이미지를 만드는 데 필요한 색상의 수에 따라 유닛의 수가 결정된다. 각 컬러 유닛은 기본적으로 위에서 설명한 5가지 부품(그라비어 실린더, 잉크 공급 장치, 닥터 블레이드, 압인 롤러, 건조기)으로 구성된다.

4. 2. 인쇄 과정

직접 그라비어 인쇄 방식에서는 잉크가 그라비어 실린더에 직접 묻혀 인쇄될 재료(기재)로 옮겨진다. 하나의 인쇄 유닛은 다음과 같은 주요 부품으로 구성된다.

  • 그라비어 실린더: 표면에 미세한 홈(셀)이 새겨져 있으며, 인쇄할 디자인에 따라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 잉크 공급 장치: 실린더에 잉크를 공급한다.
  • 닥터 블레이드 장치: 실린더 표면의 불필요한 잉크를 제거한다.
  • 압인 롤러: 인쇄 재료를 실린더에 밀착시킨다.
  • 건조기: 인쇄된 잉크를 말린다.


그라비어 윤전기가 작동하는 동안, 표면에 홈이 새겨진 실린더는 잉크 통에 일부 잠겨 홈 안을 잉크로 채운다. 실린더가 회전하면서 표면과 홈 안에 잉크가 묻어 나온다. 이때 닥터 블레이드가 실린더 표면을 긁어내어, 인쇄되지 않아야 할 부분(홈이 파이지 않은 부분)의 잉크를 제거하고 홈 안에는 필요한 양의 잉크만 남긴다.

다음으로, 인쇄될 재료는 압인 롤러와 그라비어 실린더 사이를 통과한다. 압인 롤러는 강한 압력을 가해 인쇄 재료 전체가 그라비어 실린더 표면에 고르게 밀착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잉크의 표면 장력에 의해 홈 속의 잉크가 인쇄 재료로 옮겨 붙는다.

잉크가 묻은 인쇄 재료는 건조기를 통과하여 잉크를 완전히 말린다. 이는 다음 색상을 인쇄하는 유닛으로 넘어가기 전에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그라비어 윤전기는 일반적으로 CMYK(시안, 마젠타, 옐로우, 키-검정색)의 각 색상별로 별도의 인쇄 유닛을 가지고 있으며, 최종 이미지에 필요한 색상의 수에 따라 유닛의 개수가 결정된다.[4]

인쇄 과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반복한다.

# 그라비어 실린더의 일부가 잉크 통에 담겨 표면의 홈(셀)을 잉크로 채운다.

# 실린더가 회전하며 잉크를 끌어올린다.

# 닥터 블레이드가 실린더 표면을 긁어 홈이 없는 부분의 잉크를 제거한다.

# 인쇄 재료(주로 종이)가 압인 롤러와 그라비어 실린더 사이에 눌리면서 홈 속의 잉크가 재료로 옮겨진다. 압인 롤러는 잉크가 균일하고 최대한 많이 옮겨지도록 압력을 가한다.

# 인쇄된 재료는 건조기로 들어가 잉크를 완전히 말린다. (다음 색상 유닛으로 가기 전에 완전히 건조되어야 한다.)

# 다음 색상 인쇄 유닛으로 이동하여 과정을 반복한다.

간접 그라비어 방식의 경우, 그라비어 실린더의 잉크를 중간 전사 롤러로 옮긴 다음, 이 전사 롤러가 최종적으로 인쇄 재료에 잉크를 찍어내는 차이가 있다.

5. 그라비어 인쇄의 적용 분야

그라비어 인쇄는 다른 인쇄 방식보다 많은 잉크를 용지에 옮길 수 있어 넓은 농도 범위(밝은 부분부터 어두운 부분까지)를 표현하는 데 뛰어나며, 이러한 특징 덕분에 미술 작품이나 사진 복제에 적합하다. 다만 오프셋 인쇄만큼 이미지가 선명하지는 않으며, 모든 이미지가 미세한 점으로 인쇄된다는 단점이 있다. 잉크와 인쇄 재료의 조합에 따라 이 점들의 패턴이 육안으로 보일 수도 있다.

그라비어 인쇄는 일관된 고품질 인쇄가 가능하여 산업 인쇄 공정에서 널리 사용된다. 하지만 최종 이미지의 각 색상마다 별도의 인쇄 실린더를 제작해야 하므로 초기 비용이 높아, 소량 인쇄보다는 대량 인쇄에 더 경제적이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그라비어 인쇄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대표적으로 100만 부가 넘는 장기 간행물, 통신 판매 카탈로그, 소비자 포장, 일요일 신문 광고 삽입물 등 대량 출판물 인쇄에 주로 사용된다. 또한 벽지나 가구용 라미네이트처럼 품질과 일관성이 중요한 제품 생산에도 활용된다. 특히 유연 포장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BOPP 등 다양한 소재에 인쇄할 수 있다. 그라비어 인쇄는 가공 산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공정 중 하나이다. 대부분의 그라비어 인쇄는 종이나 기타 재질의 롤(웹)을 사용하여 고속으로 이루어진다.

5. 1. 출판

그라비어 인쇄는 최종 이미지의 각 색상마다 별도의 실린더 제작이 필요하여 소량 인쇄에는 비용이 많이 들지만, 대량 인쇄에는 매우 적합한 방식이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100만 부가 넘는 장기 간행물, 통신 판매 카탈로그, 일요일 신문 광고 삽입물 등 대량으로 발행되는 출판물 인쇄에 주로 사용된다.

출판용 그라비어 프레스는 매우 빠른 속도로 작동하는데, 초당 약 13.72m 이상으로 인쇄하며 사용하는 종이 롤의 폭은 약 3.05m 이상에 달한다. 예를 들어 8단 프레스의 경우, 시간당 약 700만 페이지의 4색 인쇄물을 생산할 수 있다.

대부분의 그라비어 프레스는 시트 형태가 아닌 종이나 다른 재질의 롤(웹)에 인쇄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로터리 그라비어 프레스는 현존하는 인쇄기 중 가장 빠르고 넓은 인쇄 범위를 가지며, 좁은 라벨부터 폭 약 3.66m에 달하는 비닐 바닥재 롤까지 다양한 크기의 인쇄물을 처리할 수 있다. 최대 효율을 위해 고속으로 작동하며, 대구경의 넓은 롤을 생산한 후 슬리팅 기계를 통해 최종 롤 크기로 재단한다. 잡지나 브로셔와 같은 인쇄물 제작 시에는 프레스 라인에 새들 스티치와 같은 후가공 설비를 함께 구성하여 작업 효율을 높이기도 한다.

5. 2. 포장

그라비어 인쇄는 유연 포장 분야에서 널리 활용된다.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BOPP 등 다양한 소재의 필름뿐만 아니라 종이, 얇은 종이, 금속박 등 광범위한 기재에 인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과자, 식품, 세제, 담배 등의 연포장이나 종이컵 인쇄에 많이 사용된다.

유연 포장 제조에서 가장 보편적인 방식은 아닐 수 있지만, 두께가 10~30 마이크로미터로 다양한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에틸렌과 같은 얇은 필름에 인쇄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또한, 이미지 품질 저하 없이 대량 생산을 견딜 수 있는 인쇄 실린더, 뛰어난 이미지 재현 품질, 대량 생산 시 낮은 단가 등의 장점을 가진다.

5. 3. 특수 인쇄

그라비어 인쇄는 일관된 고품질 인쇄가 가능하여 다양한 특수 인쇄 분야에 활용된다. 특히 대량 인쇄에 적합하며, 다음과 같은 용도로 널리 사용된다.

  • 벽지
  • 품질과 일관성이 요구되는 가구용 라미네이트
  • 유연 포장: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BOPP 등 다양한 기재에 인쇄할 수 있다.
  • 비닐 바닥재: 로터리 그라비어 프레스를 이용하여 약 3.66m 폭의 넓은 롤도 인쇄 가능하다.
  • 기타: 통신 판매 카탈로그, 소비자 포장, 일요일 신문 광고 삽입물 등

5. 4. 기타

대부분의 그라비어 프레스는 시트가 아닌 종이 또는 기타 기재의 롤(웹)에 인쇄한다. 시트 공급 그라비어는 소규모 특수 시장에 해당한다.[1] 로터리 그라비어 프레스는 운영되는 가장 빠르고 넓은 프레스 중 하나로, 좁은 라벨에서 약 3.66m 폭의 비닐 바닥재 롤까지 다양한 인쇄물을 생산할 수 있다.[1]

출판용 그라비어 프레스는 초당 약 13.72m 이상으로 작동하며, 종이 롤의 폭은 약 3.05m를 넘어서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8단 프레스는 시간당 약 700만 페이지의 4색 인쇄가 가능하다.[1] 최대 효율성을 위해 그라비어 프레스는 고속으로 작동하여 대구경의 넓은 롤을 생산한다. 이렇게 생산된 롤은 이후 슬리팅 기계 또는 슬리터 리와인더에서 최종 롤 크기로 절단된다.[1] 잡지나 브로셔 작업과 같이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한 경우, 그라비어 프레스 라인에 새들 스티치 시설 등이 함께 설치되어 운영될 수도 있다.[1]

참조

[1] 서적 History of Industrial Gravure Printing up to 1920 Lund Humphries
[2] 웹사이트 The Rotogravure Process, Articles & Essays, Newspaper Pictorials: World War I Rotogravures, 1914-1919 https://www.loc.gov/[...] 2023-10-19
[3] 서적 Printing to-day Oxfo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Rotogravure printing process https://www.bobst.co[...] 2020-11-11
[5] 웹사이트 Hexavalent chromium https://www.osha.gov[...] 2024-11-07
[6] 웹사이트 Rotogravure http://www.dictionar[...]
[7] 웹사이트 Roto http://www.dictionar[...]
[8] 웹사이트 Gravure http://www.dictionar[...]
[9] 서적 Chambers Dictionary of Etymology Chamb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