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리고리 메클레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고리 메클레르는 벨라루스 출신의 소련 군인이자 동양학자로, 북한 건국 초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1937년부터 1940년까지 극동군 정보 부서에서 근무했으며, 1940년부터 1946년까지 제25군 특별 선전 부서를 이끌면서 김일성을 처음 만났다. 메클레르는 김일성의 정치 활동을 지원하고, 김일성을 새로운 한국 지도자로 추천하는 역할을 했다. 1945년 북한 귀환 이후에는 김일성의 연설문 작성, 경호 조직, 행사 조율 등을 담당했다. 그는 1946년 북한을 떠난 후 시베리아에서 일본인 전쟁 포로 송환을 관리하고, 소련 붕괴 이후에는 북한 건국 초기에 대한 증언을 남겼다.

2. 초기 생애 및 교육

메클레르는 1909년 6월 26일, 당시 러시아 제국의 일부였던 벨라루스 바예보(Baevo) 마을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1][2][3][4] 그의 아버지는 대장장이였다.[1]

그는 화가가 되기 위해 오데사로 이주하여 전문 교육을 받았으며,[1] 이후 크라스노다르 교육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했다.[1] 모스크바 대학교로 옮겨 1933년 역사학 학위를 받았고,[1][5] 이어서 동양학대학 특수학부에서 일본어 등을 배우며 군사 교육을 받았다.[1]

2. 1. 초기 경력

1924년, 전문학교에서 페인트공을 전공하기 위해 오데사로 이주하여 3년 후 졸업했다.[1] 1926년에는 콤소몰에 가입했다.[1] 이후 콤소몰의 지원을 받아 크라스노다르 교육대학교(Краснодарского пединститута|크라스노다르스코고 페딘스티투타ru) 역사학부에서 철학을 공부하는 동시에 시내 중학교 강사로 일했다.[1] 대학 2학년 때 우수한 성적으로 모스크바로 옮겨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철학과로 전학했으며,[1] 대학 교육과 병행하여 모스크바 지질조사대학교 철학과에서 강사로 활동했다.[1] 1933년 모스크바 국립대학교에서 역사학 학위를 받고 졸업했다.[1][5]

졸업 후 대학원 진학 대신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추천으로 동양학대학 특수학부에 입학했다.[1] 그곳에서 1년 동안 독일어, 영어, 일본어를 배우고 군사 훈련을 받았다.[1] 1934년 말, 소위(Младший лейтенант|믈라트시 레이테난트ru) 계급을 받고 군사 번역가로 임명되어 러시아 극동의 제48 공격 항공 여단에 배치되었다.[1] 그는 이곳에서 소련-일본 국경 분쟁에 참여했다.[1]

3. 군 경력

그리고리 메클레르는 대학원 과정을 밟는 대신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추천으로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동양학 연구소 특수학부에 입학했다(1933년). 그곳에서 1년 동안 독일어, 영어, 일본어를 공부하고 군사 훈련을 받았다. 1934년 말 소위(Младший лейтенант|믈라트시 레이테난트ru) 계급을 받고 군사 번역가로 임관하여 러시아 극동의 제48 전투 항공 연대에 배속되었다. 그는 이곳에서 소련-일본 국경 분쟁에 참여했다.[1]

1937년부터 1940년까지 특별 적기 극동군 본부 정보과(정보 부서)에서 근무했으며, 1940년에는 중령(подполковник|포트폴코브니크ru) 계급으로 진급했다. 1940년부터 1946년까지 하바롭스크에 주둔한 제25군 정치국 제7과(특별 선전 부서) 과장을 역임했다. 제25군은 1945년 8월부터 제1극동 전선 소속이었다. 이 시기 메클레르는 초급 한국어와 일본어를 공부했다.[1][6][5]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1년부터 1942년 사이에는 서부 전선으로 파견되어 콘스탄틴 로코소프스키 장군 휘하에서 모스크바 공방전에 참가했다.[1]

전쟁이 끝난 후인 1945년 12월, 그는 극동군관구 정치국 제7과장으로 임명되어 해방 후 북한에서의 활동을 이어갔다. 1946년 12월부터 1948년까지는 동시베리아 군관구에서 일본군 포로 배상 문제 담당 전권 대표를 맡았고, 1948년부터 1949년까지는 같은 군관구의 정치국 강사로 활동했다. 1950년부터 1955년까지 이르쿠츠크 군사 항공 기술학교 강사로 재직하다가 1955년에 퇴역했다.

3. 1. 김일성과의 만남

그리고리 메클레르는 1944년 김일성이 하바롭스크 지방 인근 뱌츠코예에 있는 소련군 훈련소에서 훈련을 받던 중 처음 만났다.[6][7] 극동 전선 사령관 키릴 메레츠코프는 메클레르에게 김일성과 긴밀히 협력하고 김일성의 국내 이미지와 신뢰도를 높이는 데 집중하라고 지시했다. 메클레르에 따르면, 메레츠코프는 그에게 "Под Хабаровском у нас есть китайская бригада во главе с Чжоу Баочжуном. Она состоит из двух основных батальонов: китайского и корейского. Мы должны поехать туда и познакомиться с ней. Проведем там занятия. Ты возьмешь на себя комбата Кореи, а я - Китая. Поговори со своим, всесторонне проверь, что он из себя представляет, на что способен.|하바롭스크 인근에 우리는 저우바오중이 지휘하는 중국 여단이 있습니다. 그 여단은 중국과 한국의 두 개의 주요 대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그곳에 가서 그들과 친해져야 합니다. 거기서 수업을 진행할 것입니다. 당신은 한국 대대 사령관을 맡고, 나는 중국 대대 사령관을 맡으세요. 그와 대화하고, 그가 누구인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면밀히 알아보세요.rus"라고 말했다고 한다.[7][1]

그 다음 날 메클레르는 김일성을 만났다.[1] 메클레르는 김일성에게 긍정적인 인상을 받았다고 한다. 그는 김일성의 성격과 교육 수준을 마음에 들어 했으며, 김일성이 부하들에게는 엄격했지만, 부하들은 진심으로 그를 좋아하고 심지어 사랑한다고 느꼈다. 그는 또한 김일성이 러시아어를 (억양이 있긴 했지만) 적절하게 구사한다고 생각했다.[1][6]

1945년 4월, 소련 본부는 뱌츠코예 지도부에 잠재적인 새로운 한국 국가의 지도자를 추천해 달라고 요청했다.[7] 메클레르는 김일성을 포함한 여러 후보자들을 면접했다.[8] 그는 결국 김일성이 새로운 지도자가 되어야 한다고 추천했다. 메클레르에 따르면, 그는 나중에 자신의 추천이 소련이 김일성을 지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6][7][1] 메클레르는 또한 김일성이 메레츠코프로부터 적기훈장을 받는 순간을 목격했다.[6] 그러나 김일성은 처음부터 시작한 것은 아니었다. 그는 이미 한국 독립 운동가이자 일본군에 대항한 게릴라로서 어느 정도 한국에서 명망이 있었다.[6] 하지만 메레츠코프는 메클레르에게 "Займись этим человеком. Впервые за много лет отсутствия ему предстоит вернуться в Северную Корею. Его там никто почти не знает, и он мало кого. Объездишь с ним там все уголки, познакомишь со страной, с людьми. Это вам обоим пойдет на пользу.|[김일성]을 돌보세요. 오랜 부재 끝에 그는 이제 북한으로 돌아갑니다. 그는 그곳의 사람들을 거의 알지 못하고, 그곳의 사람들도 그를 거의 알지 못합니다. 그와 함께 나라 구석구석을 돌아다니며 그 나라와 사람들을 알아가세요. 이것은 당신 둘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rus"라고 말했다고 한다.[1]

3. 2. 북한에서의 활동 (1945-1946)

김일성은 1945년 9월 19일 평양에 도착했다.[9] 메클레르는 곧이어 평양에 도착하여 김일성을 만났으며, 해방 후 북한에 진주한 소련군정의 핵심 인사로서 활동했다. 그는 대중조직 공작을 통해 북한의 소비에트화에 기여했다.[16]

메클레르는 김일성과 당시 북한에서 국내적 인지도와 지지가 높았던 조만식 간의 첫 만남을 1945년 9월 30일 오후 6시에 주선하고 직접 참석했다고 주장한다.[5][10][11][1]

1945년 10월 만찬 중 조만식(왼쪽), 메클레르(중앙), 김일성(오른쪽). 배경에 여러 명의 ''기생''(여성 연예인)이 보인다.


메클레르는 1945년 한국에 도착한 이후 1946년 9월 평양을 떠날 때까지[18] 김일성과 함께 북한 전역을 순회하며 행사를 조율하고, 김일성의 연설문을 편집했으며, 경호를 조직하는 등 김일성의 정치 활동을 밀접하게 지원했다.[6][7] 두 사람은 거의 매일 만났으며,[1] 메클레르는 김일성과의 관계가 우호적이었고, 김일성이 자신의 제안에 반대한 적이 거의 없었다고 회고했다.[6][1] 메클레르는 기본적인 한국어 실력을 갖추었지만, 대부분의 대화는 러시아어와 한국어에 능통한 고려인 강 미하일 소좌의 통역을 통해 이루어졌다.[5][12] 이로 인해 메클레르, 김일성, 강 미하일은 자주 함께 활동했다.[12]

1945년 10월 14일, 김일성이 처음으로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낸 평양시 민중대회에서 메클레르는 사회를 맡아 행사를 진행했다.[17]

메클레르는 김일성의 대중적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조직했다. 김일성의 고향 방문을 기념하여 청년들과 언론인을 위한 등반 행사를 조직하고 이를 신문에 크게 보도하게 했다.[1] 또한 어린 소녀의 익사 사고와 관련하여 대중 집회를 조직했는데, 소련 군악대가 장송곡을 연주하여 군중을 모으고, 김일성이 슬픔에 잠긴 부모를 위로하며 "스탈린처럼 모든 노동자를 돌볼 것"이라고 연설하게 했다. 김일성은 부모에게 회복을 위해 소련 요양소 여행을 제안하기도 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김일성의 평판이 점차 개선되는 것을 메클레르는 지켜보았다.[6] 그는 "때때로 시위에서 [김일성]의 연설 후 침묵이 흘렀지만, 나중에는 사람들이 박수를 치기 시작했다"고 회고했다.[7]

1946년 3월 7일, 미소 공동위원회에서 남북한 공동 정부 수립 논의가 진행될 당시, 메클레르는 김일성을 장차 수립될 정부의 국방부 장관으로 추천하기도 했다.[13]

또한 그는 1946년 8월 북조선공산당신민당(연안파)이 합당하여 북조선로동당을 창당하는 과정에도 관여했으며, 이와 관련된 보고서를 작성하여 남겼다.

  • [http://waks.aks.ac.kr/dir/searchView.aspx?qType=0&dataID=AKS-2013-KFR-1230004_DES@R502 〈북조선공산당과 신민당의 합당 관련 보고〉] 1946.08.24. : 연해군관구 정치보위부 제7과장 대좌 메클레르 작성


1946년, 메클레르는 시베리아로 발령받아 북한을 떠나게 되었다. 떠나기 전 김일성은 그에게 마지막 조언을 구했고, 메클레르는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는 속담을 인용하여 신중함을 당부했다고 한다.[7][1] 두 사람은 말없이 포옹한 후 헤어졌다.[1]

4. 북한 이후의 활동

메클레르는 1946년 9월 평양을 떠나 소련으로 돌아갔으며,[18] 그 후 그와 김일성 사이의 연락은 사실상 끊어졌다.

1946년 12월부터 1948년까지 그는 시베리아 군관구에서 일본인 전쟁 포로의 송환을 관리했다.[1][5] 그 후 1949년까지 군관구의 정치부에서 근무했다.[1][5]

메클레르가 김일성을 다시 만난 것은 1950년, 김일성이 모스크바를 방문했을 때였다. 이 방문에서 김일성은 스탈린에게 남한 침공과 한국 전쟁 발발에 대한 소련의 승인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6]

1950년부터 1955년 군에서 제대할 때까지 이르쿠츠크 고등 군사 항공 공학 학교에서 강의했다.[1][5] 1955년 퇴역 후,[16] 1957년부터 1982년까지[1][5]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동양학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다.[5][6] 이곳에서 그는 당시 금지되었던 남한 경제에 관한 책을 포함하여 북한에 관한 책, 논문, 강의를 썼다.[5] 이 기간 동안 RSFSR 공훈 문화 활동가 칭호를 받았다.[1] 또한 지질대학에서 철학교수로 일했으며, 일﹣소협회 상무이사로도 활동했다.[16]

1982년부터 연금생활에 들어갔다.[16] 소련의 붕괴 이후 사망할 때까지 그는 학자들과 언론인들과 광범위하게 인터뷰를 했고, 북한에 관한 다큐멘터리에 여러 차례 출연했다. 그의 문서와 증언은 현재 한국 역사가들에게 귀중한 증거로 간주된다.[13][7][6][5] 1994년, 메클레르를 비중 있게 다룬 다큐멘터리를 제작한 언론인 레오니드 믈레친은 북한 대사관으로부터 "방송되면 당신은 시체 안치소에 가게 될 것이다"라는 협박성 메시지를 담은 전화를 받았다고 보도했다.[6] 만년에 모스크바에서 거주하며, NHK 스페셜 "다큐멘터리 북한"에서 북한 창설기에 대한 증언 인터뷰에 응하기도 했다.

메클레르는 2006년에 사망했다.[16]

5. 사망

2004년까지 모스크바의 "단출한" 아파트에서 거주하였으며, 하반신 마비 상태였다.[6] 그는 2005년 8월 10일에 사망했다.[14]

6. 후일 증언 및 평가

그는 평양의 소련군정 핵심 인사들 중 가장 최근까지 생존했던 인물로, 소련의 붕괴 이후 김일성과 평양 소련군정에 관한 많은 인터뷰에 응하고 증언을 남겼다. NHK 스페셜의 "다큐멘터리 북한" 제1회에 출연하여 북한 창설기에 대한 증언을 하기도 했다. 그의 문서와 증언은 북한 초기 역사를 연구하는 한국의 역사가들에게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고 있다.[13][7][6][5]

메클레르가 출연한 일부 영상물은 북한 측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1994년, 메클레르를 비중 있게 다룬 다큐멘터리를 제작한 언론인 레오니드 믈레친은 북한 대사관으로부터 "방송되면 당신은 시체 안치소에 가게 될 것이다"라는 협박성 메시지를 담은 전화를 받았다고 밝혔다.[6]

메클레르는 1946년 8월 북조선 공산당과 신민당(연안파)이 북조선 노동당으로 합당하는 과정에도 관여했으며, 당시 작성한 보고서가 남아있다.


  • [http://waks.aks.ac.kr/dir/searchView.aspx?qType=0&dataID=AKS-2013-KFR-1230004_DES@R502 〈북조선공산당과 신민당의 합당 관련 보고〉] 1946.08.24. : 연해군관구 정치보위부 제7과장 대좌 메클레르 작성


다음은 메클레르의 증언 및 관련 인터뷰/기사 목록이다.

  • [http://dlps.nanet.go.kr/SearchDetailView.do?cn=KINX1992016048&sysid=nhn 김일성정권 내가 만들었다;소련군 정치장교 G.메크레르의 증언 <對談> / 메크레르,G·惠谷治] 極東問題. 159(1992.5) pp.48-58. 極東問題硏究所
  • [https://archive.today/20061009231151/http://vn.vladnews.ru/Arch/2003/ISS345/News/upd10.HTM Soviets Groomed Kim Il-Sung for Leadership] Vladivostok News January 10, 2003
  • [http://www.freerepublic.com/focus/f-news/1182674/posts Kim Il Sung's Soviet Image-Maker] The Moscow Times Jul. 22, 2004
    위 기사를 번역, 요약한 기사: [http://news.donga.com/List/SectionLETS/3/all/20040723/8086720/1 그리고리 메클레르, “김일성 지도자 만들기 구소(舊蘇) 군정 치밀한 작전”] 동아일보 2004-07-23
  • [http://nvo.ng.ru/history/2005-01-14/5_kim_ir_sen.html Тайный советник "солнца нации" (민족의 태양"의 비밀 고문)] Андрей Почтарев, Независимое военное обозрение. 2005-01-14
  • [http://www.aif.ru/archive/1678253 "Крестный отец" Ким Чен Ира (김정일의 "대부")] «Аргументы и Факты» 05/12/2002
  • [https://www.softmixer.com/2011/09/blog-post_04.html Сделан в СССР (Made in the USSR)] "Совершенно секретно", No.9/268, Опубликовано: 1 Сентября 2011 : SoftMixer ([https://web.archive.org/web/20140809051603/http://www.sovsekretno.ru/articles/id/2889/ 원본 아카이브])

7. 사진 자료

아래의 처음 세 사진은 1945년 10월 14일 평양시 민중대회 당일에 찍은 것이다. 첫 사진에는 메클레르는 나오지 않으나, 그는 이 행사의 사회를 맡았다.[17]

참조

[1] 웹사이트 Тайный советник "солнца нации" https://nvo.ng.ru/hi[...] 2023-07-23
[2] 논문 https://dlps.nanet.g[...] 極東問題硏究所
[3] 웹사이트 The Russian Jews Who Helped Create North Korea https://www.research[...] 2024-03-22
[4] 웹사이트 The Russian Jews Who Helped Create North Korea https://fitzinfo.net[...] 2024-03-22
[5] 웹사이트 소,꼭 「김일성집권」 아니었다(비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 https://www.joongang[...] 2023-07-23
[6] 웹사이트 Kim Il Sung's Soviet Image-Maker https://www.themosco[...] 2023-07-23
[7] 웹사이트 Soviets Groomed Kim Il-Sung for Leadership https://theseoultime[...] 2023-07-23
[8] 서적 Bipolar Orders: The Two Koreas since 1989 https://books.google[...] Zed Books Ltd. 2009-11-02
[9] 서적 Under the Loving Care of the Fatherly Leader: North Korea and the Kim Dynasty Thomas Dunne Books
[10] 간행물 孫世一의 비교 傳記 (77) http://monthly.chosu[...] 2024-05-26
[11] 서적 From Stalin to Kim Il Sung: The Formation of North Korea, 1945-1960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2002
[12] 웹사이트 Кан Михаил – советский подполковник с генеральскими полномочиями https://koreans.kz/n[...] 2023-07-23
[13] 논문 The Soviet Blueprint for the Postwar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 Case Study of the Politburo's Decisions https://www.jstor.or[...] 2015
[14] 웹사이트 Мемориал - Меклер Григорий Конович : Международная система поминовения усопших http://skorbim.com/%[...] 2023-07-23
[15] Wikipedia Grigory Mekler https://en.wikipedia[...]
[16] 문서 메크레르,G·惠谷治 : 김일성정권 내가 만들었다;소련군 정치장교 G.메크레르의 증언 <對談> http://dlps.nanet.go[...] 極東問題硏究所
[17] 문서 金日成 將軍 凱旋記 / 韓載德 著. http://www.nl.go.kr/[...]
[18] 문서 메크레르,G·惠谷治 : 김일성정권 내가 만들었다;소련군 정치장교 G.메크레르의 증언 <對談> http://dlps.nanet.go[...] 極東問題硏究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