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뱌츠코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뱌츠코예는 러시아 하바롭스크 지방에 위치한 마을로, 역사는 퉁구스 민족의 거주 시기, 러시아 제국 편입, 제2차 세계 대전 시기로 나뉜다. 1860년 베이징 조약으로 러시아에 편입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김일성이 지휘한 제88독립저격여단이 주둔했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김정일의 출생지와 관련된 논란이 있으며, 북한 측은 김정일이 백두산에서 태어났다고 주장하는 반면, 일각에서는 뱌츠코예에서 태어났다는 설이 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바롭스크 변경주의 행정 구역 - 오호츠크
    오호츠크는 러시아 극동 하바롭스크 지방의 작은 항구 도시로, 오호타강 하구에 위치하며, 코사크 월동지로 시작하여 러시아 최초의 태평양 연안 정착지 중 하나였으나, 블라디보스토크의 부상으로 중요성을 잃었고 현재는 오호츠크 공항이 있다.
  • 하바롭스크 변경주의 행정 구역 - 바니노
    바니노는 러시아 하바롭스크 지방의 타타르 해협 연안에 위치한 항구 도시로, 바이칼-아무르 철도와 연결되어 소련의 주요 항구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러시아 극동 지역의 주요 석탄 수출항으로 기능한다.
  • 김정일 - 김설송
    김설송은 김정일과 김영숙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에서 김정일의 비서로 활동했으며, 몰타와 유럽에서 유학하며 외국어를 배웠다.
  • 김정일 - 김정남 (김정일의 아들)
    김정남은 김정일의 장남으로, 한때 후계자로 거론되었으나 위조 여권 사건 이후 후계 경쟁에서 멀어졌으며, 김정은의 권력 승계에 반대하다가 2017년 말레이시아에서 암살되었다.
  • 김일성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김일성 - 6.25 전쟁
    6.25 전쟁은 1950년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되어 1953년 휴전 협정으로 종결되었으며, 한반도의 분단과 막대한 인명 피해를 초래한 한국 전쟁을 의미한다.
뱌츠코예
지도
기본 정보
국가러시아
지방하바롭스크 지방
하바롭스크 군
위치48°44′05.1″N 135°42′58.9″E
일반 정보
면적70 km
인구
인구1893명
식별 정보
OKATO 번호08 255 000 018
지역 번호27
시간대UTC+7

2. 역사

뱌츠코예의 역사는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원래 거주민은 퉁구스계 민족으로 여겨진다.

과거에는 외만주에 속했지만, 1860년 베이징 조약에 따라 하바롭스크, 블라디보스토크와 함께 나라에서 러시아 제국으로 할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뱌츠코예 부근에 조선인중국인 게릴라로 구성된 소련군 제88여단의 야영지가 있었다. 훗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지도자가 된 김일성은 소련군 대위로서 대대장으로 복무했으며, 그의 가족도 이곳에 머물렀다. 김정일이 1941년 2월 16일 이 마을에서 태어났다는 정보도 있으나, 북한 당국은 김정일이 1942년 2월 16일 백두산 밀영에서 태어났다고 주장한다. 마을 주민들은 김정일의 동생 슈라 김이 우물에 빠져 사망하여 뱌츠코예에 묻혔다고 주장한다.

2. 1. 원주민 거주 시기

원래 거주민은 퉁구스계 민족으로 여겨진다.

2. 2. 러시아 제국 편입

뱌츠코예는 하바롭스크, 블라디보스토크와 함께 1860년 베이징 조약에 따라 청나라러시아 제국에 할양했다.[2] 이는 러시아 만주로의 영토 확장이었다.[2]

2. 3.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제2차 세계 대전 중, 뱌츠코예 근처에는 조선인중국인 게릴라로 구성된 소련군 제88독립저격여단이 주둔했다. 이 부대는 항일 무장 투쟁을 전개하였다. 훗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지도자가 된 김일성은 당시 소련군 대위로서 이 부대의 대대장으로 복무했으며, 그의 가족도 뱌츠코예에 머물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3. 1. 김정일 출생지 논란

김정일의 출생지로 유력하게 거론되는 장소 중 하나가 뱌츠코예이다. 여러 자료에 따르면 김정일은 1941년 2월 16일 뱌츠코예에서 태어났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북한 당국은 김정일이 1942년 2월 16일 백두산 밀영에서 태어났다고 주장하며, 이는 김일성 가계의 항일 투쟁과 백두혈통을 강조하기 위한 정치적 목적과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뱌츠코예 근처에는 조선인중국인 게릴라로 구성된 소련 제88여단이 주둔한 캠프가 있었다. 김일성은 소련 붉은 군대에서 대대장으로 복무했으며, 일부 자료에 따르면 그의 가족도 그곳에 있었다고 한다.

마을 주민들은 김정일의 동생 슈라 김(첫 번째 김평일로도 알려짐)이 우물에 빠져 죽어 그곳에 묻혔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다른 자료에 따르면 김만일은 1947년 평양의 수영장에서 익사했다.

2. 4. 현대

제2차 세계 대전 중, 뱌츠코예 부근은 조선인중국인 게릴라로 구성된 소련의 제88여단의 야영지였다. 후에 지도자가 되는 김일성소련 붉은 군대의 대위로서 대대를 지휘하며 주둔했고, 그의 가족도 그곳에 있었다는 정보도 있다. 그 정보에 따르면, 그의 아들인 김정일은 1941년 2월 16일 이 마을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북한 정부는 김정일은 1년 뒤인 1942년 2월 16일 일제강점기 조선백두산에서 태어났다고 주장한다). 이 마을 주민들은 김정일의 동생 김수라(슈라 김, 김만일)가 우물에 빠져 죽어 그곳에 매장되었다고 주장하지만, 다른 자료에서는 김정일의 형제는 1947년 평양의 수영장에서 익사했다고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라씨아 680525 하바롭스크 변경주 련축코예 https://www.google.c[...]
[2] 웹사이트 Vyatskoye, Khabarovsk Krai :en: Vyatskoye, Kha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