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키릴 메레츠코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릴 메레츠코프는 러시아 제국 시대에 태어나 소련의 군인으로 성장하여 제2차 세계 대전과 만주 전략 공세 작전에 참전한 인물이다. 1917년 볼셰비키에 가입하여 러시아 내전과 겨울 전쟁, 독소 전쟁 등에서 활약했으며, 1944년 소련 원수로 임명되었다. 그는 제1극동전선 사령관으로서 만주를 침공하여 일본군을 격파하는 데 기여했고, 종전 후에는 여러 군관구 사령관을 거쳐 국방차관을 역임했다. 메레츠코프는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으며, 1968년 사망 후 크렘린 벽 묘지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군사에 관한 - SU-76
    SU-76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에서 개발되어 다양한 임무에 투입된 자주포로, T-26, T-70 경전차 차체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한국 전쟁에도 참전했다.
  • 소련의 군사에 관한 - 미하일 투하쳅스키
    미하일 투하체프스키는 러시아 내전에서 붉은 군대 지휘관으로 활약하며 "붉은 나폴레옹"이라는 별명을 얻었지만,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패배의 책임을 지고 스탈린과의 갈등 끝에 처형당한 후 복권된, 종심타격이론 개발 등 붉은 군대 현대화에 기여한 인물이다.
  • 러시아 내전 관련자 -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비에트 연방의 독재자이자 소련 공산당 지도자로서, 소련의 산업화와 2차 세계 대전 승리를 이끌었지만 대숙청과 공포 정치로 수백만 명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그의 통치와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 러시아 내전 관련자 - 우드로 윌슨
    우드로 윌슨은 진보적 국내 정책 추진과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국제 연맹 창설 주도 등으로 기억되지만 인종차별적 견해와 뇌졸중으로 인한 무능력 상태로 비판받는 제28대 미국 대통령이다.
  • 소련의 군사점령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소련의 군사점령 - 김일성
    김일성은 김성주라는 본명으로 1930년대 항일 무장 투쟁을 했고, 소련의 지원을 받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하여 통치했으며, 한국 전쟁을 일으키고 주체사상을 내세워 독재 체제를 강화하고 개인 숭배를 조장한 정치인이다.
키릴 메레츠코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45년 메레츠코프
이름키릴 아파나시예비치 메레츠코프
로마자 표기Kirill Afanasyevich Meretskov
출생일1897년 6월 7일
사망일1968년 12월 30일
출생지나자리예보, 랴잔 현, 러시아 제국
사망지모스크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묻힌 곳크렘린 벽 묘지
군사 경력
소속(1917–1922)
(1922–1964)
복무 기간1917–1964
최종 계급소련 방위군 원수 (1944–1964)
지휘볼가 군관구
레닌그라드 군관구
제7군
총참모장
볼호프 전선군
카렐리야 전선군
소비에트 극동 전선군
모스크바 군관구
주요 전투러시아 내전
스페인 내전
제2차 세계 대전
겨울 전쟁
독소 전쟁
레닌그라드 포위전
스비르-페트로자보츠크 공세
페차모-키르케네스 공세
소련-일본 전쟁
하얼빈-지린 작전
훈장
훈장소련 영웅
승리훈장
기타 활동
기타 활동총참모장
국방부 차관
국방부 부장관
육군 감찰관

2. 성장과정

키릴 메레츠코프는 모스크바 남동쪽 랴잔 주(Ryazan Governorate) 나자리예보(Nazaryevo)에서 러시아인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2] 1909년부터 모스크바와 블라디미르 근처에서 공장 노동자로 일했다. 1917년 8월 볼셰비키(후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공산당)에 가입하여 붉은 근위대 민병대 참모총장이 되었다.[1] 러시아 내전 동안 그는 연대, 나중에는 사단의 참모총장이었다. 1921년 M. V. 프룬제 군사 아카데미를 졸업했다.[1]

3. 초기 군 경력

메레츠코프는 1922년부터 기병 사단 참모총장을 시작으로 여러 군과 군관구에서 참모총장 직책을 맡았다.[1] 1936년 9월부터 1937년 5월까지는 "파블로비치 장군"이라는 가명으로 스페인 내전에 참전하여 공화파를 지원했다.[1] 1939년에는 레닌그라드 군관구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1]

러시아 내전 종결 후, 메레츠코프는 1923년 카프카스 제15사격군단 참모 및 제9돈 사격사단 참모장을 역임했다. 1924년에는 모스크바 군관구 동원국장이 되었고, 1925년에는 모스크바 군관구 제1부참모장 겸 부정치위원이 되었다. 이후 제14사격사단장과 모스크바 군관구 참모장을 거쳐, 1932년부터 1935년까지 벨라루스 군관구 참모장, 특별극동적기군 사령관 바실리 블류헤르 휘하 참모장을 역임했다. 스페인 내전 기간인 1936년부터 1937년에는 공화정부 군사고문으로 스페인에 파견되었으며, 이후 참모총장 보리스 샤포시니코프의 대리 역할을 수행했다. 1938년 9월에는 볼가 군관구 사령관, 이후 레닌그라드 군관구 사령관을 역임했다.

4.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부터 1940년까지 이어진 겨울 전쟁에서 메레츠코프는 제7군 사령관으로 만네르하임 방어선 돌파를 이끌었다. 1940년 6월에는 국방인민위원(장관) 세묜 티모셴코의 대리직을 맡으며 상장(上級大将) 계급을 받았다. 두 달 뒤에는 참모총장에 취임했고, 1941년 전반기에는 국방인민위원의 교육 담당 대리를 역임했다.

1941년 6월 22일, 독소전쟁이 발발하자 군 최고사령부(Stavka) 고문이 되었으나, 곧 NKVD에 체포되어 혹독한 고문을 받았다.

1941년 9월 석방 후, 제7독립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스비리 강을 사이에 두고 핀란드군과 대치하며 계속 전쟁 최전선에 섰다. 핀란드군의 공세를 성공적으로 방어했지만, 좌익 제4군이 패배하여 후퇴해야 했다. 1941년 11월 8일 티흐빈이 함락되면서 독일 북부 집단군에게 후방을 위협받게 되자, 최고사령부는 메레츠코프에게 제4군의 지휘까지 맡겼다. 1941년 12월 9일 티흐빈을 탈환하며 위기를 넘겼고, 최고사령부는 레닌그라드를 구출하기 위해 그에게 4개 군의 지휘를 맡겼으나, 독일군의 포위망을 뚫는 데는 실패했다.

1941년 12월, 메레츠코프는 볼호프 전선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1944년 2월까지 그 자리에 있었다. 1942년 1월, 레닌그라드 포위를 해제하고 다수의 독일군을 포위할 목적으로 류반 공세 작전을 개시했으나, 독일군의 강력한 방어에 막혀 진격이 매우 더뎠다. 1942년 3월, 독일군의 반격으로 소련 제2근위군이 섬멸되었고, 메레츠코프는 이 패배에 대한 책임을 일부 져야 했다.

1944년 2월, 메레츠코프는 카렐리안 전선군으로 부임했다. 1944년 10월, 핀란드 북부의 페차모를 공격하는 페차모-키르케네스 작전을 성공적으로 지휘하여 독일군을 몰아냈고, 이 공로로 소련 원수로 승진했다.

1945년 3월, 제1극동전선 사령관으로 전출되어, 1945년 8월 소련의 대일 참전과 함께 만주 전략 공세 작전을 개시, 만주국을 침공하여 일본군을 격파했다.

4. 1. 겨울 전쟁

1939년 11월, 겨울 전쟁이 시작되자 메레츠코프는 처음에 핀란드를 상대로 한 전체 작전을 지휘했다.[3] 그러나 핀란드 방어와 핀란드군 규모를 과소평가하고, 소련군(적군) 능력을 과대평가하여 초기 작전에 실패했다. 1939년 12월 9일, 지휘권은 참모본부 최고사령부(Stavka)로 이관되었다.[5][6]

메레츠코프는 제7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940년 1월, 레닌그라드 군관구는 "북서부 전선"으로 개명되었고, 세묜 티모셴코가 만네르하임 방어선을 돌파하기 위한 군 사령관으로 선출되었다. 소련군의 공세는 타이팔레 전투에서 핀란드군에 의해 저지되었다.[7] 다음 공세를 위해 참모본부 최고사령부(Stavka)는 제7군에 상당한 증원을 하고, 측면에 제13군을 배치했으며, B-4 곡사포와 Br-5 박격포를 포함한 상당한 중화기를 양 군에 배치했다.[8]

1940년 2월, 소련군의 재공세로 만네르하임 방어선이 돌파되었다. 메레츠코프의 제7군은 비보르그에서 전투를 계속했다. 모스크바 평화 조약 체결 후 2주도 채 지나지 않은 1940년 3월 21일, 메레츠코프는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다. 이후 육군 대장으로 진급하여 국방 인민위원 부위원장이 되었다.

4. 2. 독소 전쟁

1941년 6월 22일 바르바로사 작전으로 독일이 소련을 침공하자 메레츠코프는 소련군 최고사령부인 스타브카(STAVKA)의 고문이 되었다.[14] 그러나 1941년 9월 NKVD 수장인 라브렌티 베리야가 그를 반역자로 체포했다. 메레츠코프는 10월까지 구금되었고, 감옥에서 심한 고문을 당했다.[14] 하지만, 유능한 장군이 부족했던 스탈린은 그를 석방시켰다.[14]

석방된 메레츠코프는 제7독립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스비리 강(свирь река́)을 사이에 두고 핀란드군(Suomen armeija)과 대치하며, 계속 전쟁 최전선에 섰다.[14] 메레츠코프는 핀란드군의 공세를 잘 막아냈지만, 좌익 제4군이 패배하여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1941년 11월 8일 티흐빈이 함락되어 독일 북부 집단군에게 후방을 노출될 위험이 생기자, 최고사령부는 메레츠코프에게 제4군의 지휘도 맡겼다. 1941년 12월 9일 티흐빈을 탈환하여 위기를 벗어났고, 최고사령부는 레닌그라드를 구출하기 위해 메레츠코프에게 4개 군의 지휘를 맡겼다.[14] 그러나 독일군의 포위망을 돌파하는 데는 실패했다.

1941년 12월에 북쪽의 볼호프 전선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1944년 2월까지 그 자리를 지켰다.[1]

볼호프 전선군 사령관으로서 메레츠코프는 북쪽 방면의 북부집단군의 진격을 저지하고, 레닌그라드가 완전히 포위되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1] 메레츠코프와 볼호프 전선군은 레오니트 고보로프가 지휘하는 레닌그라드 전선군과 협동으로 독일군의 포위망을 깨고자 노력했고, 마침내 1943년 2월, 두 전선군은 시니아비노(Синявино)에서 서로 연결되었다.[1] 이후 두 전선군은 독일군을 서쪽으로 몰아내고 레닌그라드 포위망을 깨기 위한 일련의 공세를 개시했다. 이 시도들은 1944년 2월에 마무리되었다.[1]

1942년 1월, 메레츠코프는 레닌그라드 포위를 해제하고 다수의 독일군을 포위할 목적으로 류반 근처에서 새로운 공세를 시작했다.[15] 그러나 독일군이 잘 구축된 방어선에 깊이 뿌리내리고 증원되었으며 더 이상 과도하게 전선을 넓히지 않았기 때문에 진격은 매우 느렸다.[15] 3월까지 포위망을 좁히려는 두 개의 소련군은 25km 미만으로 근접했지만 더 이상 진격할 수 없었다.[15] 1942년 3월 15일, 독일군은 반격을 시작하여 소련 제2근위군을 섬멸했다. 소련군은 치열한 전투 끝에 3월 30일까지 교신을 복구했다.[16] 그러나 메레츠코프가 이 사실을 스타브카에 보고할 때 제2근위군을 소련군의 다른 부대와 연결하는 통로의 폭이 2km를 넘지 않고, 지속적인 독일군의 공습과 포격을 받고 있었기 때문에 수송 능력이 매우 열악하다는 사실을 누락했다.[16] 그 결과 스타브카는 제2근위군을 여전히 가능했을 때 철수시키지 않았다.[16] 1942년 4월 말부터 5월까지 볼호프 전선은 일시적으로 중장 호신의 레닌그라드 전선에 예속되었고, 메레츠코프는 서부 전선의 부사령관으로 파견되었다.[17]

1942년 5월까지 제2근위군은 보급 부족과 사기 저하를 겪고 있었다. 1942년 5월 30일, 독일군은 두 번째 공세를 시작하여 다시 제2근위군을 섬멸했다.[18] 1942년 6월 5일에 포위된 부대의 일부가 돌파한 후, 나머지 군대는 체계적으로 괴멸되었고, 3만 3천 명이 포로가 되었고, 거의 같은 수가 사망했으며, 약 1만 명이 돌파했다.[18]

전투 직후 메레츠코프는 1942년 4월에 자신이 추천한 포로가 된 제2근위군 사령관 안드레이 블라소프에게 책임을 돌렸는데, 이 주장은 그의 전후 회고록에서도 반복되었다.[19] 데이비드 글랜츠는 블라소프의 독일군과의 협력 결정과 관계없이 1942년 5월과 6월 그의 지휘 수준은 다른 대부분의 군 사령관과 다르지 않았다고 지적한다.[19] 또한 메레츠코프는 작전을 계획하고 실행한 전선 사령관으로서 패배에 대한 책임을 어느 정도 지고 있다. 레닌그라드 전선 사령관 호신은 1942년 6월 8일에 지휘권에서 해임되고 계급이 강등되었으며, 다시는 전선을 지휘하지 못했다.[20]

1944년 2월, 메레츠코프는 볼호프 전선군을 떠나 더 북쪽의 카렐리안 전선군으로 부임했다.[1] 여기서는 그는 핀란드를 공격하려는 고보로프의 레닌그라드 전선군을 지원했다. 1944년 10월, 메레츠코프는 핀란드 북부를 통해 노르웨이로 철수하는 독일군을 추격했다.[1]

1944년 핀란드 전선. 붉은 색 화살표는 소련군의 진격이고, 검은색은 독일군의 후퇴다.


1944년 10월, 메레츠코프는 핀란드 북부의 페차모를 쓸어버리라는 명령을 받아 그가 가진 극지전에 관한 지식을 활용하여 페차모-키르케네스 작전(Petsamo-Kirkenes Operation)을 실시했다. 이 작전으로 독일군은 완전히 밀려났으며, 이 공로로 메레츠코프는 소련 원수로 승진했다.[1]

소련은 노르웨이까지 독일군을 추격할 심산이었으나, 전후 처리 문제에서 소련이 노르웨이를 장악하는 것을 영국이 가만히 두고만 보고 있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에 스탈린은 노르웨이-핀란드 국경에서 진격을 중지시켰다.[1]

4. 3. 만주 전략 공세 작전

1945년 8월, 소련의 대일 참전과 함께 만주 전략 공세 작전이라는 작전명으로 만주국을 침공하여 일본 관동군을 격파했다.[1] 제1극동전선은 연해주에서 출발, 만주 동부 일본군 방어선을 돌파하고 길림을 공격, 트란스바이칼 전선군과 협력하여 장춘으로 진격했다. 하얼빈에서 관동군을 포위하고, 1945년 8월 19일 관동군 사령관 야마다 오토조의 항복을 받아냈다.[1]

5. 전후 활동

전쟁 후, 메레츠코프는 극동군관구 사령관직을 수행한 후 여러 군 관계 요직을 두루 거쳤다.[33] 1947년부터 1949년까지 모스크바 군관구 사령관을 포함하여 1955년까지 여러 군관구를 지휘했으며, 1964년까지 국방차관을 역임했다. 같은 해, 그는 국방부 감찰총감으로 임명되었는데, 이는 주로 의례적인 직책이었다.[33]

메레츠코프는 군사 활동 외에도 정치 활동을 했다. 소련 재향군인 위원회 대표를 역임했으며, 소련군 한국 주둔군 사령관으로서 김일성의 경력을 시작하게 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의 전공으로 승리 훈장(Order of Victory)을 수훈했다.[1] 1968년 12월 30일 모스크바에서 사망했으며, 유골은 크렘린 벽 묘지(Некрополь у Кремлёвской стены)에 안장되었다.

6. 사망

Кирилл Афанасьевич Мерецков|키릴 아파나시예비치 메레츠코프ru는 1968년 12월 30일, 71세의 나이로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33][1] 그의 유해는 화장되어 크렘린 벽 묘지에 안치되었다.[1]

7. 평가 및 유산

키릴 메레츠코프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가장 유능한 장군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소련 국가 영웅 칭호를 비롯하여 가장 많은 훈장을 받은 인물 중 한 명이다.[1] 제2차 세계 대전에서의 전공으로 승리훈장(Орден Победы)을 수훈했다. 러시아군 전차학교는 현재 그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고, 모스크바, 노브고로드, 상트페테르부르크, 페트로자보츠크 등 여러 도시에 그의 이름을 딴 거리가 있다.[1]

8. 상훈

소련
소련 영웅 (1940년 3월 21일)[33]
승리 훈장 (1945년 9월 8일)
레닌 훈장 7회 (1937년 1월 3일, 1940년 3월 21일, 1944년 11월 2일, 1945년 2월 21일, 1947년 6월 6일, 1957년 6월 6일, 1967년 6월 6일)
10월 혁명 훈장 (1968년 2월 22일)
--적기 훈장 4회 (1928년 2월 22일, 1938년 3월 2일, 1944년 11월 3일, 1947년 11월 6일)
쿠투조프 훈장 1등급 (1944년 6월 29일)
수보로프 훈장 1등급 (1943년 8월 27일)
레닌그라드 방위 메달 (1942년 12월 22일)
소비에트 극지방 방위 메달 (1944년 12월 5일)
애국 전쟁 승리 메달 (1945년 5월 9일)
일본 패망 메달 (1945년 9월 30일)
애국 전쟁 승리 20주년 기념 메달 (1965년 5월 7일)
노농적군 20주년 기념 메달 (1938년 2월 22일)
소련군 30주년 기념 메달 (1948년 2월 22일)
소련군 40주년 기념 메달 (1957년 12월 18일)
소련군 50주년 기념 메달 (1967년 12월 26일)
모스크바 800주년 기념 메달 (1947년 9월 20일)
레닌그라드 250주년 기념 메달 (1957년 5월 16일)
외국 훈장
청천백일훈장 특별 대수장 (中華民國|중화민국중국어, 1945년)
일본 패망 메달 (Монгол Ард Улс|몽골 인민 공화국mn, 1946년)
국기훈장 1등급 (, 1948년)
조국해방훈장 (, 1948년)
성 올라프 훈장 대십자 훈장 (Norge|노르웨이no, 1945년)
공훈훈장 대수장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 1946년)


참조

[1] 웹사이트 Meretskov K. A. http://www.warheroes[...]
[2] 웹사이트 Мерецков Кирилл Афанасьевич http://warheroes.ru/[...]
[3] 서적 Edwards
[4] 서적 Isayev
[5] 서적 Edwards
[6] 서적 Miten Suomi valloitetaan : Puna-armeijan operaatiosuunnitelmat 1939–1944 Edita
[7] 서적 Trotter
[8] 서적 Isayev
[9] 서적 The Diary of Georgi Dimitrov 1933-1949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Mark Solonin. 25 June. Stupidity or aggression? Part 3 http://www.solonin.o[...]
[11] 서적 What Stalin Knew: The Enigma of Barbarossa Yale U.P. 2005
[12] 서적 Leningrad 1941–44: The Epic Siege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13] 서적 Khrushchev Remembers
[14] 서적 Glantz
[15] 서적 Isayev
[16] 서적 Glantz
[17] 서적 Glantz
[18] 서적 Isayev
[19] 서적 Glantz
[20] 서적 Isayev
[21] 서적 Glantz
[22] 서적 Glantz
[23] 서적 Glantz
[24] 서적 Glantz
[25] 서적 Glantz
[26] 서적 Glantz
[27] 서적 Glantz
[28] 서적 Glantz
[29] 서적 Glantz
[30] 서적 Glantz
[31] 서적 Glantz
[32] 서적 为人民而战 解放军出版社
[33] 웹사이트 Мерецков Кирилл Афанасьевич http://warheroes.r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