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금당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당사는 814년 신라 헌덕왕 때 창건되었으며, 고려 시대 승려 나옹화상이 수도한 곳으로 알려진 사찰이다. 동학 농민 운동 당시 전봉준 장군의 딸이 피신했고, 일제강점기에는 진안 지역 게릴라 부대의 근거지 역할을 했다. 주요 문화유산으로는 보물 제1266호 금당사괘불탱,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제18호 금당사목불좌상,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제122호 금당사석탑 등이 있다. 금당사 괘불탱은 조선 숙종 12년에 그려진 관세음보살 불화이며, 석탑은 고려 시대에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북특별자치도의 절 - 선운사
    선운사는 전라북도 고창군에 위치한 사찰로, 백제 위덕왕 때 창건되었으며 여러 보물과 동백나무 숲을 보유하고 템플스테이와 드라마 촬영지로도 알려져 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절 - 금산사
    금산사는 백제 법왕 때 창건되어 신라 시대 진표율사에 의해 미륵 신앙의 중심지가 되었고, 국보인 미륵전을 비롯한 다수의 문화재를 보유하며 사적 제496호로 지정된 중요한 불교 사찰이다.
  • 진안군의 건축물 - 용담댐
    용담댐은 금강 본류에 건설된 콘크리트 차수벽형 석괴댐으로, 총저수용량 8억 1500만 톤의 저수지를 가지고 호남평야 등에 농업, 생활, 공업용수를 공급하며 홍수 피해를 예방하고 수력 발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한다.
  • 진안군의 건축물 - 은수사
    은수사는 전라북도 진안군 마이산에 있는 사찰로, 조선 초 상원사로 창건되었다가 숙종 시대 폐사 후 정명암으로 이어져 오다 1920년 중창되며 현재 이름으로 바뀌었고, 국내 최대 법고와 석상, 삼신할머니상, 천연기념물인 마이산 줄사철군락과 청실배나무가 있으며 특히 청실배나무는 이성계 관련 전설과 역고드름 현상으로 유명하다.
  • 대한불교조계종의 절 - 불국사
    불국사는 김대성이 부모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며 중창을 시작하여 신라시대에 완공된 경주시 토함산의 대표적인 사찰로, 석가탑과 다보탑 등 국보급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임진왜란 이후 복원을 거쳐 현재에 이르러 신라 불교 건축의 정수이자 한국 문화유산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대한불교조계종의 절 - 해동용궁사
    해동용궁사는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바닷가 사찰로, 사찰 측은 1376년 창건 및 임진왜란 소실 후 1930년대 재건, 1974년 개칭을 주장하나 지역 사회는 1970년대 신축 사찰 의혹을 제기하며, 2021년 화엄사의 말사로 등록되었다.
금당사
기본 정보
금당사
금당사
종교불교
국가대한민국
위치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동촌리
지리 좌표35.7578662, 127.3971713
이름 정보
한국어 (한글)금당사
한국어 (한자)金塘寺
로마자 표기Geumdangsa
매큔-라이샤워 표기Kŭmdangsa

2. 역사

금당사는 814년 (신라 헌덕왕 재위 기간)에 창건되었으며, 고려 승려 나옹화상이 수도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동학 농민 운동 당시 전봉준 장군의 딸이 피신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진안 지역 게릴라 부대의 근거지로 사용되었다.[1]

2. 1. 창건과 고려 시대

금당사는 신라 헌덕왕 재위 기간인 814년에 창건되었으며, 고려 승려 나옹화상이 수도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1]

2. 2. 일제강점기와 동학 농민 운동

동학 농민 운동 당시 전봉준 장군의 딸이 금당사에서 피신했다는 기록이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진안 지역 게릴라 부대의 근거지로 사용되었다.[1]

3. 문화유산

종목명칭시대지정일
보물 제1266호금당사 괘불탱조선1997년 8월 8일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제18호금당사 목불좌상조선1973년 6월 23일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제122호금당사 석탑고려1986년 9월 8일



금당사 괘불탱은 보물로, 금당사 목불좌상은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으로, 금당사 석탑은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로 각각 지정되어 있다.

3. 1. 금당사 괘불탱 (보물 제1266호)

보물 제1266호 금당사 괘불탱(金塘寺掛佛幀)은 조선 숙종 12년(1686년)에 3명의 화가가 그린 관세음보살 불화이다.

이 그림은 높이 9미터, 너비 5미터로, 걸려 있는 불화의 대표적인 예이다. 관세음보살은 연꽃 위에 여러 부처의 얼굴이 장식된 보관을 쓰고 있으며, 좌우에 봉황이 둘러싸고 있다. 신체 비율에 비해 얼굴이 매우 크게 묘사되어 있다. 화려한 장식과 무늬, 형태를 갖춘 옷은 캔버스를 압도하며, 주홍색을 주로 사용하고 녹색, 분홍색, 흰색을 곁들여 따뜻하고 편안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관세음보살 좌우에는 20명의 작은 불교 신을 포함하는 화려한 색상의 불꽃 모양 패턴이 줄지어 있다. 관세음보살은 손에 용화수 나무 가지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과거 이 지역에 극심한 가뭄이 있을 때마다 금당사 승려들은 이 그림 앞에서 비를 기원하는 기도를 올렸고, 항상 곧 비가 내렸다고 한다.

3. 2. 금당사 목불좌상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제18호)

아미타불은 통일 신라 시대(668–935)에 처음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1675년경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이 불상은 온화한 표정과 풍만한 신체를 가지고 있다. 사각형 얼굴, 좁은 어깨, 단순한 형태의 옷은 조선 후기(1392–1910)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2]

3. 3. 금당사 석탑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제122호)

금당사 석탑은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석탑이다.[3]

종목명칭시대지정일비고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제122호금당사 석탑고려1986년 9월 8일


참조

[1] 웹사이트 koreana.or.kr http://www.koreana.o[...] 2010-02-27
[2] 웹사이트 ocp.go.kr:9000-ref1 http://www.ocp.go.kr[...] 2010-02-27
[3] 웹사이트 ocp.go.kr:9000-ref2 http://www.ocp.go.kr[...] 2010-02-27
[4] 웹사이트 jikimi.cha.go.kr http://jikimi.cha.go[...] 2010-0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