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 B세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억 B세포는 항원에 처음 노출되었을 때 생성되는 특수한 B세포로, 동일한 항원에 재노출 시 빠르고 강력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여 면역 기억을 담당한다. 1차 면역 반응에서 형질 세포로 분화하여 항체를 생성하는 B세포와는 달리, 기억 B세포는 B세포 수용체를 유지하며 수년 또는 평생 동안 생존하며, 2차 면역 반응에서 더 많은 항체를 신속하게 생성한다. 기억 B세포는 T세포의 도움을 받아 활성화되거나 T세포와 독립적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CD27과 같은 표면 마커를 통해 구분된다. 백신 접종은 이러한 기억 B세포의 생성을 유도하여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원리를 활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B세포 - 형질 세포
형질 세포는 B 림프구에서 분화된 항체 생산 세포로, 풍부한 세포질과 특징적인 핵을 가지며, 면역글로불린 생산을 통해 면역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비정상적 증식은 질병을 유발하고 분화 결함은 면역 결핍을 초래할 수 있다. - B세포 - 처녀 B세포
처녀 B 세포는 항원에 노출되지 않은 B 세포의 일종으로, 골수에서 생성되어 말초 림프 기관으로 이동하며, 항원 자극 시 형질 세포나 기억 B 세포로 분화한다. - 림프구 - B세포
B세포는 골수에서 성숙하여 항체를 생산하고 체액성 면역에 관여하는 림프구의 일종으로, 항원에 반응하여 형질 세포로 분화하거나 면역 기억을 형성하는 기억 B 세포로 남으며 기능 이상 시 자가면역질환이나 림프종을 유발할 수 있다. - 림프구 - 형질 세포
형질 세포는 B 림프구에서 분화된 항체 생산 세포로, 풍부한 세포질과 특징적인 핵을 가지며, 면역글로불린 생산을 통해 면역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비정상적 증식은 질병을 유발하고 분화 결함은 면역 결핍을 초래할 수 있다. - 인간 세포 - 무축삭 세포
무축삭 세포는 망막 내부에서 양극 세포와 망막 신경절 세포 간의 시냅스 연결을 조절하며, 연결 영역, 내부 얼기층 위치, 신경 전달 물질 종류에 따라 분류되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 인간 세포 - B세포
B세포는 골수에서 성숙하여 항체를 생산하고 체액성 면역에 관여하는 림프구의 일종으로, 항원에 반응하여 형질 세포로 분화하거나 면역 기억을 형성하는 기억 B 세포로 남으며 기능 이상 시 자가면역질환이나 림프종을 유발할 수 있다.
| 기억 B세포 | |
|---|---|
| 세포 종류 | |
| 세포 종류 | B 세포 |
| 위치 | 혈액, 림프 기관 |
| 기능 | 장기적인 체액 면역 |
| 관련 질병 | 자가면역질환, B세포 림프종 |
| 세부 사항 | |
| 발달 위치 | 골수 |
| 활성화 위치 | 림프절, 비장 |
| 세포 표면 마커 | CD27+, IgD-, CD38±, CD24- |
| 다른 이름 | 기억 B 림프구 |
2. 1차 면역 반응
새로운 항원에 처음으로 감염되었을 때, 항원에 노출된 적이 없는 B세포(naive B cell)가 증식하여 클론을 만든다. 이때 대부분의 B세포는 형질 세포로 분화하지만, 몇몇 세포들은 기억 세포로 분화한다. 효과기 세포라고도 불리는 이 형질 세포들은 항체를 생산하여 항원을 제거한다.[6][2] 한편, 기억 세포들은 수 년, 또는 평생 동안 체내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처녀 B세포(virgin B cell) 또는 순수 B세포(naive B cell)는 항원에 노출됨으로써 T세포의 도움을 받아 기억 B세포 또는 플라즈마 세포로 발전할 수 있다.
1차 면역 반응 과정에서 생성된 기억 B 세포는 항원결정기에 더 좋은 반응성을 가지며, 더 빠르게 증식할 수 있다. 따라서 2차 면역 반응에서는 더 많은 수의 항체가 생성된다.[3]
기억 B 세포는 1차 면역 반응 과정에서 생성되어 항원에 더 좋은 반응성을 가지며 빠르게 증식할 수 있다. 이는 2차 면역 반응에서 더 많은 항체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26] 각 클론은 한 종류의 항원결합부를 가지며, 기억 B 세포는 오랜 기간 생존하여 면역 반응의 "기억"을 유지한다. 이러한 원리가 백신 접종에 이용된다.
병원체 감염 시, 많은 B 세포는 보호 항체의 첫 번째 파동을 생성하고 감염 제거에 도움을 주는 형질 세포 (또는 이펙터 B 세포)로 분화된다.[6] 형질 세포는 병원체에 특이적인 항체를 분비하지만, 재노출 시에는 반응할 수 없다. 항원에 결합하는 BCR을 가진 B 세포의 일부는 몸속에서 장기간 생존하는 기억 B 세포로 분화된다.[12]
T세포 의존적인 발생 경로에서, Follicular B cell|여포 B 세포영어는 최초 감염, 즉 1차 면역 반응 중에 항원 제시 Follicular B helper T cells|TFH 세포영어에 의해 활성화된다.[26] 활성화 후 B세포는 비장 및 림프절과 같은 2차 림프계 기관으로 이동한다. 2차 림프계 기관 내에서, B세포의 대부분은 B세포 여포에 들어가, 거기서 배 중심이 형성된다. 대부분의 B세포는, 최종적으로 배 중심 내에서 형질 세포 또는 메모리 B세포로 분화한다.[27]
3. 2차 면역 반응
각각의 클론은 한 종류의 항원결합부를 가지며 기억 세포는 오랜 기간 동안 살 수 있으므로, 면역 반응에 "기억"을 전해 줄 수 있다.
이 원리를 이용한 것이 백신 접종이다. 1차 면역 반응 동안 생성된 기억 B 세포는 첫 번째 노출 시 관여된 항원에 특이적이며, 2차 반응에서 항원 또는 유사 항원에 특이적인 기억 B 세포가 반응한다.[3] 기억 B 세포가 특정 항원을 다시 만나면 증식하여 형질 세포로 분화하고, 이어서 항원에 반응하여 제거한다.[3] 이 시점에서 형질 세포로 분화하지 않은 기억 B 세포는 배 중심에 다시 들어가 클래스 전환 또는 체세포 과돌연변이를 거쳐 친화성 성숙을 더 할 수 있다.[3] 기억 B 세포가 형질 세포로 분화하는 것은 순수 B 세포의 분화보다 훨씬 빠르며, 이를 통해 기억 B 세포는 보다 효율적인 2차 면역 반응을 생성할 수 있다.[4] 기억 B 세포 반응의 효율성과 축적은 백신 및 추가접종(부스터 샷)의 기초이다.[4][3]
4. 기억 B 세포의 활성화 및 분화
기억 B 세포의 활성화 및 분화는 크게 T 세포 의존적 기전과 T 세포 비의존적 기전으로 나눌 수 있다.
T 세포 의존적 기전:순수 B 세포는 2차 림프 기관(예: 비장, 림프절)에서 항원을 제시하는 여포 보조 T 세포(TFH)에 의해 활성화된다.[3] B 세포는 항원을 내부화하고 분해하여 주요 조직 적합성 복합체(MHCII) 분자에 제시하며, TFH 세포는 이를 인지하여 CD40 리간드(CD40L)를 발현하고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B 세포 증식 및 면역글로불린 클래스 스위칭을 유도한다.[7][8]
활성화된 B 세포는 발현된 전사 인자에 따라 형질 세포, 배 중심 B 세포 또는 기억 B 세포로 분화한다. Bcl-6을 발현한 활성화된 B 세포는 B 세포 여포로 들어가 배 중심 반응을 겪는다.[7] 배 중심 내에서 B 세포는 증식을 겪은 후, B 세포 수용체(BCR)의 유전자 코딩 영역에서 체성 과돌연변이를 겪고, 친화성 성숙 과정을 통해 항원에 대한 친화성이 높은 B 세포 클론이 선택된다.[3][9] 친화성이 충분히 높지 않거나 자가 반응성 B 세포는 세포 사멸을 통해 제거된다.[6]
T 세포 비의존적 기전:모든 B 세포가 체세포 과돌연변이를 겪는 것은 아니다. 클래스 전환 재조합을 거치지 않은 IgM+ 기억 B 세포는 배중심과는 독립적으로 기억 B 세포가 생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기억 B 세포로의 분화 과정은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지만, 전사 인자 NF-κB와 사이토카인 IL-24 등이 관여한다는 가설이 있다.[11][3]
4. 1. T 세포 의존적 기전
순수 B 세포는 2차 림프 기관 (예: 비장, 림프절)에서 항원을 제시하는 여포 보조 T 세포(TFH)에 의해 활성화된다.[3] B 세포는 항원을 내부화하고 분해하여 주요 조직 적합성 복합체(MHCII) 분자에 제시하며, TFH 세포는 이를 인지하여 CD40 리간드(CD40L)를 발현하고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B 세포 증식 및 면역글로불린 클래스 스위칭을 유도한다.[7][8]
활성화된 B 세포는 발현된 전사 인자에 따라 형질 세포, 배 중심 B 세포 또는 기억 B 세포로 분화한다. Bcl-6을 발현한 활성화된 B 세포는 B 세포 여포로 들어가 배 중심 반응을 겪는다.[7]
배 중심 내에서 B 세포는 증식을 겪은 후, B 세포 수용체(BCR)의 유전자 코딩 영역에서 체성 과돌연변이를 겪는다.[3] 이 돌연변이는 특정 항원에 대한 표면 수용체의 친화력을 변화시키며, 친화성 성숙 과정을 통해 항원에 대한 친화성이 높은 B 세포 클론이 선택된다.[9] 친화성이 충분히 높지 않거나 자가 반응성 B 세포는 세포 사멸을 통해 제거된다.[6]
분화 후, 기억 B 세포는 항원과 만날 가능성이 높은 신체 부위(예: 페이어판)로 이동한다.[6][2][3]
기억 B 세포로의 분화 과정은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지만, 전사 인자 NF-κB와 사이토카인 IL-24 등이 관여한다는 가설이 있다.[11][3]
4. 2. T 세포 비의존적 기전
신체에 존재하는 모든 B 세포가 체세포 과돌연변이를 겪는 것은 아니다. 클래스 전환 재조합을 거치지 않은 IgM+ 기억 B 세포는 기억 B 세포가 배중심과는 독립적으로 생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4. 3. 기억 B 세포로의 분화 과정
T세포 의존적인 발생 경로에서, 나이브 여포 B 세포(Follicular B cell)는 최초 감염, 즉 1차 면역 반응 중에 항원 제시를 하는 TFH세포(Follicular B helper T cells|영어)에 의해 활성화된다[26]。 활성화 후 B세포는 2차 림프계 기관(즉 비장 및 림프절)으로 이동한다. 2차 림프계 기관 내에서, B세포의 대부분은 B세포 여포에 들어가 배 중심을 형성한다. 대부분의 B세포는, 최종적으로 배 중심 내에서 형질 세포 또는 기억 B세포로 분화한다[27]。
배 중심 내에 들어가면, B세포는 증식하고, 이어서 표면 수용체의 유전자 코딩 영역의 돌연변이가 일어난다. 이것은 체세포 과변이로 알려진 과정이다[28]。 돌연변이는 특정 항원에 대한 표면 수용체의 친화성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데, 이를 친화성 성숙이라고 한다. 이러한 변이를 획득한 후, B세포의 표면에 있는 수용체(B세포 수용체)는 배 중심 내에서 현재의 항원에 대한 친화성을 테스트 받는다[29]。 표면 수용체의 친화성을 높인 변이를 가진 B세포 클론은, 동족의 TFH세포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생존 신호를 받는다[30][31]。 이러한 생존 신호를 받기에 충분히 높은 친화성을 가지지 않은 B세포 및 잠재적으로 자기 반응성을 가진 B세포는 세포 자멸사에 의해 사멸한다[32]。
많은 B세포는 이펙터 B세포라고도 불리는 형질 세포로 분화하여 방어 항체의 첫 파동을 생산, 감염증 치료를 돕는다[33][34]。 B세포의 일부는 체내에서 장기적으로 생존하는 기억 B세포로 분화한다[35]。
기억 B세포로의 분화 메커니즘에 대해, 항원에 대한 친화성이 비교적 낮은 B세포는 기억 B세포가 되고, 친화성이 비교적 높은 B세포는 형질 세포가 된다는 가설이 있었지만, 2016년에 IFReC의 신나카스 료 조교, 쿠로사키 토모히로 교수 등의 연구 그룹은 친화성이 낮은 배 중심 B세포가 기억 B세포로 분화되기 쉽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기존의 개념을 뒤집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친화성이 낮은 B세포가 분화되기 쉬운 이유는, 친화성이 높으면 특정 항원에 특화되어 강하게 반응하는 것보다, 친화성이 낮은 편이 어느 정도 변이를 일으킨 항원에도 어느 정도 반응하고 대응할 수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39][40]。
일부 연구자는 기억 B세포로의 분화가 무작위로 일어난다는 가설을 제시하기도 한다[41]。 하지만 완전한 무작위는 아니고, 배 중심 세포로부터 기억 세포로의 분화 메커니즘으로서, 대사 활성이 낮고 B세포 수용체로부터 생존 신호를 많이 획득한 배 중심 B세포가 기억 B세포로 효율적으로 분화되기 쉽다는 것이 밝혀졌다[43][44]。
전사 인자 NF-κB와 사이토카인 IL-24가 기억 B세포로의 분화에 관여하고 있다는 가설도 제시되고 있다[42]。 그러나 전사 인자 Bach2 유전자가 배 중심 B 세포의 대사 조절에 중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43][44]。
결론적으로, 배 중심 내에서 기억 B세포로 분화하는 과정은 아직 완전히 해명되지 않았다[45]。
5. 기억 B 세포의 수명
기억 B 세포는 수십 년 동안 생존할 수 있으며, 이는 동일한 항원에 여러 번 노출되어도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한다.[3] 이러한 장기 생존은 다른 B 세포 아집단보다 기억 B 세포에서 더 높게 발현되는 특정 항-세포자멸 유전자(세포사멸 억제 유전자)의 결과로 추정된다.[6] 또한, 기억 B 세포는 장기간 생존하기 위해 항원이나 T 세포와 지속적인 상호 작용을 할 필요가 없다.[4]
개별 기억 B 세포의 수명은 아직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았지만, 장기 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사실이다. B 세포 수용체(BCR) 형질전환 시스템(분비된 Ig가 없는 H 사슬 형질전환 마우스 모델로, Ag를 포함하는 면역 복합체를 침착시키지 않았음)을 사용한 한 연구에서 기억 B 세포의 수가 면역 후 약 8~20주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포를 브로모데옥시우리딘으로 생체 내에서 처리하는 실험을 통해 기억 B 세포의 반감기가 8~10주 사이로 추정되었다.[15] 마우스의 다른 실험에서는 기억 B 세포의 수명이 여포성 순수 B 세포의 수명보다 최소 9배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16]
6. 기억 B 세포의 마커
기억 B 세포는 일반적으로 세포 표면 마커인 CD27로 구분되지만, 일부 하위 집단은 CD27을 발현하지 않는다. CD27이 없는 기억 B 세포는 대개 소진된 B 세포이거나 HIV, 루푸스,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특정 자가면역 질환과 관련이 있다.[46]
B 세포는 일반적으로 클래스 스위칭을 거치기 때문에 다양한 면역글로불린 분자를 발현할 수 있다.
- IgM: IgM을 발현하는 기억 B 세포는 편도, 파이에르판, 림프절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된다. 이 기억 B 세포 하위 집단은 2차 면역 반응 동안 증식하고 배 중심에 다시 들어갈 가능성이 더 높다.[46]
- IgG: IgG를 발현하는 기억 B 세포는 일반적으로 형질 세포로 분화한다.[46]
- IgE: IgE를 발현하는 기억 B 세포는 건강한 개인에게서 매우 드물다. 이는 IgE를 발현하는 B 세포가 기억 B 세포보다는 형질 세포로 더 자주 분화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46]
- IgD만: IgD만 발현하는 기억 B 세포는 매우 드물다. IgD만 있는 B 세포는 편도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된다.[46]
수용체 CCR6는 일반적으로 결국 기억 B 세포(MBC)로 분화될 B 세포의 마커이다. 이 수용체는 B 세포가 신체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화학적 메신저인 케모카인을 감지한다. 기억 B 세포는 배 중심에서 벗어나 항원을 만날 확률이 더 높은 조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 수용체를 가질 수 있다.[46]
7. 기억 B 세포의 아집단
기억 B 세포는 여러 하위 집단으로 나뉜다. 여기에는 배 중심 비의존적 기억 B 세포, T 세포 비의존적 기억 B 세포 (B1 세포), T-bet 기억 B 세포 등이 있다.[4]
7. 1. 배 중심 비의존적 기억 B 세포
이들은 배 중심에 들어가기 전에 활성화된 B 세포에서 분화하며, 낮은 수준의 친화성 성숙을 통해 다양한 항원을 인식할 수 있다.[4] B 세포 여포 내에서 TFH와 높은 수준으로 상호작용하는 B 세포는 배 중심에 들어갈 가능성이 더 높다. 배 중심과 독립적으로 기억 B 세포로 발달하는 B 세포는 T 세포로부터 CD40 및 사이토카인 신호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4] 체세포 과돌연변이는 배 중심과의 상호작용 후에만 발생하지만, 동형 전환은 배 중심과의 상호작용 전에 발생할 수 있다.[4] 체세포 과돌연변이가 없는 것은 유익한 것으로 추정된다. 친화성 성숙의 낮은 수준은 이러한 기억 B 세포가 특정 항원에 덜 특화되어 더 넓은 범위의 항원을 인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11][19][4]7. 2. T 세포 비의존적 기억 B 세포 (B1 세포)
T 세포 비의존적 기억 B 세포는 B1 세포라고 하는 하위 집단이다. 이 세포들은 일반적으로 복강에 존재한다. 항원에 다시 노출되면 이러한 B1 세포 중 일부는 T 세포와 상호 작용하지 않고 기억 B 세포로 분화할 수 있다.[4] 이 B 세포는 감염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되는 IgM 항체를 생성한다.[20]7. 3. T-bet 기억 B 세포
T-bet B 세포는 전사인자 T-bet을 발현하는 기억 B 세포의 하위 집단이다.[21] T-bet은 면역글로불린의 클래스 스위칭과 관련이 있으며, 세포 내 세균 및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여겨진다.[21]8. 백신과 면역 기억
백신은 면역 기억의 개념에 기반한다. 비병원성 항원을 유기체에 예방적으로 주입하면 신체가 지속적인 면역 기억을 생성할 수 있다. 항원 주입은 항체 반응을 유발하고, 이어서 기억 B 세포가 생성된다. 이러한 기억 B 세포는 항원 감염 시 즉시 재활성화되어 유기체를 질병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22]
장수 형질 세포와 기억 B 세포는 대부분의 백신에서 유도되는 장기적인 체액성 면역을 담당한다. 천연두 백신(DryVax) 접종 후 기억 B 세포의 수명을 관찰하기 위해 실험이 수행되었다. 천연두는 근절되었기 때문에 재자극이 없는 상태에서 천연두에 대한 면역 기억이 기억 B 세포의 수명을 이해하는 유용한 벤치마크가 되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특정 기억 B 세포는 수십 년 동안 유지되어, 강력한 초기 항원 노출 후 B 세포 구획에서 면역 기억이 오래 지속됨을 나타냈다.[23]
참조
[1]
논문
Cutting edge: long-term B cell memory in humans after smallpox vaccination
2003-11-01
[2]
논문
Memory B Cells of Mice and Humans
2017-04-01
[3]
논문
Human memory B cells
2016-12-01
[4]
논문
Memory B cells
2015-03-01
[5]
논문
Visualization of specific B and T lymphocyte interactions in the lymph node
1998-07-01
[6]
논문
Plasma cell and memory B cell differentiation from the germinal center
2017-04-01
[7]
논문
Heterogeneity in the differentiation and function of memory B cells
2012-12-01
[8]
논문
Memory B cells: total recall
2017-04-01
[9]
논문
The continuing story of T-cell independent antibodies
2019-03-01
[10]
논문
Germinal centers
2012-03-26
[11]
논문
Regulation of memory B and plasma cell differentiation
2017-04-01
[12]
논문
The germinal center reaction
2010-11-01
[13]
논문
CD80 and PD-L2 define functionally distinct memory B cell subsets that are independent of antibody isotype
2014-07-01
[14]
논문
Heterogeneity of memory B cells
2018-04-01
[15]
논문
Memory B cell survival and function in the absence of secreted antibody and immune complexes on follicular dendritic cells
2006-04-01
[16]
논문
Cellular Dynamics of Memory B Cell Populations: IgM+ and IgG+ Memory B Cells Persist Indefinitely as Quiescent Cells
2015-11-01
[17]
논문
TLR2, TLR4 and the MyD88 Signaling Are Crucial For the In Vivo Generation and the Longevity of Long-Lived Antibody-Secreting Cells
2013-08-05
[18]
논문
CCR6-Dependent Positioning of Memory B Cells Is Essential for Their Ability To Mount a Recall Response to Antigen
2015-01-15
[19]
논문
An antigen to remember: regulation of B cell memory in health and disease
2017-04-01
[20]
논문
B-1 B cell development in the fetus and adult
2012-01-01
[21]
논문
T-bet+ memory B cells: Generation, function, and fate
2019-03-01
[22]
논문
The geography of memory B cell reactivation in vaccine-induced immunity and in autoimmune disease relapses
2020-07-01
[23]
논문
Cutting Edge: Long-Term B Cell Memory in Humans after Smallpox Vaccination
2003-11-15
[24]
논문
Memory B Cells of Mice and Humans
2017-04-26
[25]
논문
Human memory B cells
2016-08-08
[26]
논문
Human memory B cells
2016-08-08
[27]
논문
Plasma cell and memory B cell differentiation from the germinal center
2017-04-01
[28]
논문
Human memory B cells
2016-08-08
[29]
논문
The continuing story of T‐cell independent antibodies
2019-03-01
[30]
논문
Memory B Cells of Mice and Humans
2017-04-26
[31]
논문
Germinal Centers
2012-03-26
[32]
논문
Plasma cell and memory B cell differentiation from the germinal center
2017-04-01
[33]
논문
Plasma cell and memory B cell differentiation from the germinal center
2017-04-01
[34]
논문
Memory B Cells of Mice and Humans
2017-04-26
[35]
논문
The germinal center reaction
2010-11-01
[36]
논문
Plasma cell and memory B cell differentiation from the germinal center
2017-04-01
[37]
논문
Memory B Cells of Mice and Humans
2017-04-26
[38]
논문
Human memory B cells
2016-08-08
[39]
논문
Regulated selection of germinal-center cells into the memory B cell compartment
2016
[40]
웹사이트
メモリーB細胞の分化誘導メカニズムを解明(黒崎グループがNat Immunolに発表)解説
http://www.ifrec.osa[...]
大阪大学免疫学フロンティア研究センター (WPI-IFReC)
2021-09-04
[41]
논문
Memory B cells
2015-03
[42]
논문
Regulation of memory B and plasma cell differentiation
2017-04-01
[43]
논문
Exit from germinal center to become quiescent memory B cells depends on metabolic reprograming and provision of a survival signal
2021
[44]
웹사이트
免疫記憶成立のメカニズムを解明 (井上&黒崎G が JEMに発表) 解説
http://www.ifrec.osa[...]
大阪大学免疫学フロンティア研究センター (WPI-IFReC)
2021-09-04
[45]
논문
Human memory B cells
2016-08-08
[46]
논문
Human memory B cells
2016-08-08
[47]
논문
Memory B cells
2015-03
[48]
논문
Human memory B cells
2016-08-08
[49]
논문
Plasma cell and memory B cell differentiation from the germinal center
2017-04-01
[50]
논문
Memory B cells
2015-03
[51]
논문
Memory B Cells of Mice and Humans
2017-04-26
[52]
논문
Human memory B cells
2016-08-08
[53]
논문
Human memory B cells
2016-08-08
[54]
논문
Memory B cells
2015-03
[55]
논문
Memory B cells
2015-03
[56]
논문
Memory B cells
2015-03
[57]
논문
Human memory B cells
2016-08-08
[58]
논문
Plasma cell and memory B cell differentiation from the germinal center
2017-04-01
[59]
논문
Memory B cells
2015-03
[60]
논문
An antigen to remember: regulation of B cell memory in health and disease
2017-04-01
[61]
논문
Memory B cells
2015-03
[62]
논문
B-1 B Cell Development in the Fetus and Adult
2012-01-27
[63]
논문
T‐bet + memory B cells: Generation, function, and fate
2019-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