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훈 (197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남훈(1974년)은 대한민국의 프로레슬러, 방송인, 작가이다. 공과대학을 졸업하고 IT 기업에 근무했으며, 1999년 인터넷 방송 '엽기 일본어'로 이름을 알렸다. 2000년 프로레슬러로 데뷔하여 일본 단체인 SMASH 등에서 활동했으며, 다수의 저서와 칼럼을 집필하고 UFC 해설위원으로 활동했다. 또한 사회 문제에도 관심을 가져 소셜테이너로 선정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남자 프로레슬러 - 이왕표
'박치기왕' 김일의 제자였던 프로레슬링 선수 이왕표는 1975년 데뷔하여 WWA 헤비급 챔피언을 지냈고 격기도 창시, 영화 감수 등 다양한 활동을 하다 담낭암으로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남자 프로레슬러 - 김일 (프로레슬링 선수)
김일은 씨름 선수 출신으로 역도산의 제자가 되어 프로레슬링 선수로 데뷔, "원자폭탄 박치기"로 WWA 세계 헤비급 챔피언을 차지하며 한국 프로레슬링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은퇴 후 어려움을 겪었지만 그의 업적을 기려 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 평택시 출신 - 원유철
원유철은 고려대학교 졸업 후 5선 국회의원, 새누리당 원내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핵무장을 주장하고 불법 정치자금 수수 의혹으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 평택시 출신 - 정태춘
정태춘은 서정적인 가사와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노래를 통해 한국적인 정서를 표현하며 가요 사전심의 제도 폐지 운동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사회 운동가이다. - 대한민국의 작가 - 오연호
오연호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작가로, 《오마이뉴스》를 창간하여 시민 참여 저널리즘을 구현했으며 덴마크의 행복 사회 모델을 연구하여 행복한 삶과 사회에 대한 담론을 제시하고 꿈틀리인생학교 이사장 및 사단법인 꿈틀리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작가 - 이범
이범은 386 운동권 출신의 교육 평론가이자 전 정무직 공무원으로, 메가스터디 설립 후 공교육 정상화 운동에 참여하여 서울특별시교육청 정책보좌관, 민주정책연구원 부원장 등을 역임하며 교육 관련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고 있다.
김남훈 (1974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김남훈 |
링네임 | 인간 어뢰 |
별명 | 전천후 해설가 격투기 덕후 |
출생 | |
출생일 | 1974년 11월 14일 |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평택시 |
신상 정보 |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프로레슬러 UFC 해설자 前 WWE 해설자 작가 |
경력 | |
활동 기간 | 2000년 ~ 현재 |
기타 | |
웹사이트 | 비공개 |
2. 생애
2000년에 프로레슬러로 데뷔하여 2009년 2월까지 38전 6승 32패를 기록했다.[6] 2005년 연습 도중 부상으로 하반신 마비가 될 뻔했다. 2008년부터 UFC 해설위원을 지냈고, 작가로서 다수의 저서와 칼럼을 집필하였다.
프로레슬링 선수 활동 외에도 사회 참여와 방송 출연을 활발히 하였다. 2010년 서울 마포구 '두리반' 강제 철거 반대 농성에 참여했고, 트위터 등 SNS를 통해 이명박 대통령을 비판했으며, 비정규직 청소노동자 문제 해결에도 참여했다. 2011년 오마이뉴스에서 소셜테이너로 선정되었다.[7]
2. 1. 초기 생애 및 경력
그는 공과대학을 졸업하였고 일제 오토바이를 좋아해서 일본어까지 습득하게 되었다. 특히 혼다 CBR 400의 정비 매뉴얼 300페이지 분량을 번역할 정도로 오토바이 마니아였다. 이러한 관심으로 일본어를 독학하여 일본어 능력 시험 1급에 합격하였다.[5]1999년 '엽기 일본어'라는 인터넷 방송을 진행하면서 이름을 알렸다.[5] 이 방송은 여성 유혹하기, 길에서 화장실 찾기, 일본의 성문화 등 다소 과격하고 외설적인 주제에 적합한 일본어를 가르치는 파격적인 내용으로 화제가 되었다. 2000년 10월에는 방송 대본을 모아 엽기 일본어라는 책을 출간했다.[5] 이후 언론인 김어준과 친분을 맺고 딴지일보 기자와 MBC 라디오 DJ로도 활동했다.[5]
어린 시절 헐크 호건과 매초맨 랜디 새비지의 경기를 보고 프로레슬러의 꿈을 키웠다. IT 기업 사원 시절 프로레슬링 협회의 오디션을 보았지만 두 번 불합격했다. 세 번째 도전에서 입문에 성공하여 샐러리맨 생활을 하면서 야간과 주말에 훈련을 받았다.
2. 2. 프로레슬러 경력
어린 시절 헐크 호건과 매초맨 랜디 새비지의 경기를 텔레비전으로 보고 프로레슬러가 되는 꿈을 키웠다. IT 기업 사원 시절에 대한 프로레슬링 협회의 오디션을 보았지만 두 번 불합격했다. 세 번째 도전에서 입문에 성공하여 샐러리맨 생활을 하면서 야간과 주말에 도장에서 훈련을 받았다.2000년에 프로레슬러로 데뷔하여, 2009년 2월까지 38전 6승 32패의 전적을 기록했다.[6] 2001년, AWF 프로레슬링 과천 대회에서 데뷔했다. 이후 서울시에 있던 클럽 파이팅을 거쳐 이왕표가 이끄는 WWA로 이적했다. 한국 유일의 악역 레슬러로서 독특한 마이크 어필로 언론의 화제가 되었다.
2005년, 링에서 떨어지면서 목을 강타하여 하반신 마비의 장애를 입었으나, 리햅을 거듭하여 반년 만에 기적적으로 회복하고 프로레슬링에 복귀했다. 현재에도 로프의 반동에는 트라우마가 있다고 한다.
2009년, WWA에 참전 중이던 TAJIRI(당시 허슬 소속)의 눈에 띄어 2010년 5월 SMASH・신주쿠 FACE 대회에서 프로레슬러로서 처음으로 일본에 왔다. "지금 몇 분? 김남훈!"이라는 관객과의 대화와 유머러스한 마이크 어필로 인기를 얻었다.
이후에도 SMASH에 계속 참전하는 한편[1], 2010년 10월 28일에는 WWA의 울산 대회에서 단색 디노를 꺾고, DDT 익스트림급 선수권을 획득했다. 하지만 이듬해 1월 3일, 유니온 프로레슬링・고라쿠엔 대회에서 열린 캡틴 폴 6인 태그 매치에서 키타카 이사미에게 패하여 벨트를 넘겨주었다.
EXTREME급 챔피언 시절, "타이틀 매치의 규칙은 그 시점의 챔피언이 결정한다"는 특권을 이용하여 "일본어 능력 시험 매치"를 제안한 적이 있다. "문법, 듣기, 독해, 작문, 한자 등의 시험 문제를 링 위에서 5시간 동안 풀고, 그 결과로 승패를 결정한다"는 규칙이었으나, 다카기 산시로 사장에 의해 간단하게 기각되었다.
2. 3. 부상과 재활
2005년, 링에서 떨어지면서 목을 강타하여 하반신 마비의 장애를 입었다.[7] 하지만 재활을 거듭하여 반년 만에 기적적으로 회복했고, 이후 프로레슬링에 복귀했다. 현재에도 로프의 반동에는 트라우마가 있다고 한다.3. 기타 활동
김남훈은 방송, 해설, 저술, 사회 참여, 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분야 | 내용 |
---|---|
방송 및 해설 | |
저술 | |
사회 참여 | 2010년 강제 철거 위기에 놓인 서울 마포구 두리반 농성에 참여했고, 트위터 등 SNS를 통해 이명박 제17대 대통령을 비판했으며, 비정규직 청소노동자 문제 해결에도 참여했다.[7] 2011년 오마이뉴스를 통해 소셜테이너로 선정되었다.[7] |
사업 | 롤 케이크 카페 스위트 롤을 서울 시내에서 공동 경영하며, 한때 15개 점포까지 프랜차이즈를 확장한 적이 있다(현재는 8개 점포). |
UFC 해설자 오디션에 여러 번 떨어졌으나, 종합격투기의 재미를 담은 영상 30개 이상을 웹에 업로드하여 이름을 알린 후 다시 오디션을 봐 채용되었다.[2]
일본 월간 아스키에 약 3년간 칼럼을 연재했고, 단행본 외에도 매달 10편 이상의 연재 칼럼을 기고했다.[2]
대한민국 트위터 연합회 조사에서 "국내 트위터 사용자 영향력 랭킹" 10위, 스포츠 분야 1위를 차지했다.
3. 1. 방송 및 해설
- 2000년 MBC 월드넷 영파워 DJ
- 2007년 Xports 월드 스트롱맨 컵 해설
- 2007년 MBC 아이러브 스포츠 코너 진행
- 2007년 KBS2 신나는 오후 4시 코너 출연
- 2008년 수퍼액션 UFC 해설
- 2012년 한겨레 김남훈의 싸우는 사람들 연재
- 2013년 오마이뉴스 TV 이슈 털어주는 남자 코너 진행
- 2013년 씨네21 '디스토피아로부터' 연재
- 2014년 국민TV. 김선 김남훈의 시사라디오
- 2014년 GO발뉴스 《상해임시정부》
- 2014년 딴지일보 《과이언맨》
- 2015년 ~ 2018년 IB 스포츠 WWE 먼슬리 스폐셜, WWE 스맥다운, 월드 스트롱맨 챔피언십 해설
- 2017년 MX 배틀봇2:로봇 격투대전, 스트롱맨 챔피언십, 스파르탄 레이스 해설
- 2017년 KBS N 스포츠 벨라토르 MMA 해설
- 2018년 MX 신일본 프로레슬링 해설
- 2020년 채널A 《행복한 아침》 2월 28일 게스트
UFC 해설자로 활약하고 있지만, 해당 프로그램의 해설자 오디션에 여러 번 떨어진 과거를 가지고 있다.[2] 불합격 후 "이대로는 안 된다"고 생각하여, 독자적인 접근 방식을 고안하기로 결심했다. 종합격투기의 재미를 체현한 영상 30개 이상을 웹상에 업로드하여 이름을 알리는 작전에 나섰다. 얼마 지나지 않아 영상은 팬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었고, 방송 관계자들에게도 그의 이름이 알려진 후 다시 오디션을 받아 채용되었다.
3. 2. 저술 활동
- <<엽기 일본어>>, 시공사, 2000
- <
>, 심마니, 2001 - <<벨소리 말고 뭘알아?>>, 스포츠서울, 2003 (장나라와 공저)
- <<역도산이 왔다>>, 아이디오, 2003
- <<멜로드라마 파이터>>, 텍스트, 2009
- <<청춘 매뉴얼 제작소>>, 해냄출판사, 2010
-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 I>>, 2011 (이범, 곽동수 등과 공저)
- <<통하면 아프지 않다>>, 북스코프, 2012 (하종강, 강풀 등과 공저)
- <<트위터 그 140자 평등주의>>, 자음과모음, 2012 (이택광, 박권일 등과 공저)
- <<싸우는 사람들>>, 씨네21, 2013
일본의 월간 아스키에도 약 3년간 칼럼을 연재한 적이 있다.
단행본 외에도 매달 10편 이상의 연재 칼럼을 웹상 및 월간지에 기고하고 있다.[2]
3. 3. 사회 참여
2010년 강제 철거 위기에 놓인 서울 마포구 두리반 농성에 참여했고, 트위터 등 SNS를 통해 이명박 제17대 대통령을 비판했으며, 비정규직 청소노동자 문제 해결에도 참여했다.[7] 2011년 오마이뉴스를 통해 소셜테이너로 선정되었다.[7] 대한민국 트위터 연합회의 조사에 따르면, "국내 트위터 사용자 영향력 랭킹"에서 10위를 획득, 스포츠 분야에서는 1위를 차지했다.3. 4. 사업
롤 케이크 카페 '스위트 롤'을 서울 시내에서 공동 경영하며, 한때 15개 점포까지 프랜차이즈를 확장한 적이 있다(현재는 8개 점포).4. 성격 및 특징
링 위에서 보이는 코믹하고 거친 스타일과는 대조적으로, 링 밖에서는 온화하고 다정한 신사이다. 그 갭으로 관계자나 팬들을 놀라게 하는 경우도 있으며, 그러한 성격 때문에 팬은 물론 일본인 선수, 단체 프런트와의 교류도 활발하게 하고 있다.[7]
5. 수상 경력
- DDT 프로레슬링
- * DDT EXTREME급 왕좌: 1회 (제14대)
- 프로레슬링 핏
- * PWF LOTC 왕좌: 1회 (제8대)
참조
[1]
웹사이트
9・24『SMASH.8』(2)嗚呼、キム・ナンプンよ、カゲマングロよ…
https://npn.co.jp/ar[...]
アンカード
2023-04-01
[2]
웹사이트
UFC 격투기 해설자 김남훈, 그의 독서 스타일
https://ch.yes24.com[...]
2023-03-26
[3]
웹사이트
Pro Wrestling Fit Lord of the Chaos Title
https://www.wrestlin[...]
Wrestling-Titles.com
2024-01-28
[4]
뉴스
(세월호 참사 2주기 “잊지 않고 있습니다”)(인터뷰)① 바다에 가라앉은 300개의 우주, 그리고 나
https://news.naver.c[...]
머니투데이
2016-04-16
[5]
뉴스
천리안 '엽기일본어' 강의 김남훈씨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00-12-13
[6]
뉴스
‘엽기인생’격투기 해설가 김남훈
http://news.donga.co[...]
한국일보
2009-02-24
[7]
뉴스
"이명박 대통령은 최고의 악당 레슬러 봄날 빤쓰만 입고 야외 레슬링 붙는다"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1-0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