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레베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레베카는 리투아니아에서 태어나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아이스 댄싱 선수이다. 7세에 피겨 스케이팅을 시작하여 싱글 스케이팅 선수로 활동하다가, 2012년 아이스 댄스로 전향하여 러시아인 키릴 미노프와 팀을 이루어 국제 대회에 출전했다. 2013년 NRW 트로피 주니어 아이스댄스 부문에서 우승하며 한국 아이스댄스팀 최초로 국제 대회 우승을 차지했고, 2014년 주니어 세계 선수권에서 6위를 기록했다. 2014-2015 시즌부터는 시니어 무대에서 활동하며, ISU 그랑프리 대회에 출전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2017년 미노프의 부상으로 팀을 해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빌뉴스 출신 - 아르비다스 노비코바스
아르비다스 노비코바스는 리투아니아 축구 선수로서, 여러 국가의 리그와 리투아니아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엑스트라클라사 우승 및 폴란드 올해의 외국인 선수로 선정되기도 했다. - 빌뉴스 출신 - 잉그리다 시모니테
리투아니아 정치인 잉그리다 시모니테는 빌뉴스 대학교 경제학 학위 후 재무부 장관을 지냈고, 세이마스 의원을 거쳐 총리로 재임하며 코로나19 팬데믹과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응하고 타이완과의 관계 강화로 중국과의 갈등을 빚었으며, 다수의 훈장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피겨스케이팅 선수 - 김연아
김연아는 대한민국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서 올림픽 금메달과 은메달을 획득하고, 독창적인 기술과 예술성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은퇴 후에도 사회 활동과 유니세프 친선대사로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피겨스케이팅 선수 - 차준환
차준환은 2009년 피겨 스케이팅을 시작하여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동메달, 평창 동계올림픽 15위, 세계 선수권 대회 은메달, 사대륙 선수권 대회 우승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대한민국 남자 피겨 스케이팅 역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운 최정상급 선수이자, 배우, 광고 모델, 방송 활동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는 인물이다.
김레베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레베카 김 |
영문 이름 | Rebeka Kim |
한글 이름 | 김레베카 |
출생일 | 1998년 1월 27일 |
출생지 | 빌뉴스, 리투아니아 |
키 | 160cm |
링크 | 팬카페 |
별명 | 베키 |
종목 | 피겨 스케이팅 아이스 댄스 |
은퇴 | 2016년 |
선수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파트너 | 키릴 미노프 |
코치 | 파스콸레 카메를렌고 안젤리카 크릴로바 |
이전 코치 | 드미트리 코즐로프 |
안무가 | 이리나 주크 알렉산더 스비닌 |
이전 안무가 | 이리나 주크 알렉산드르 스비닌 |
스케이팅 시작 | 2006년 |
훈련 장소 | 블룸필드 힐스, 미시간 |
최고 기록 | |
아이스 댄스 점수 | 137.28 |
아이스 댄스 날짜 | 2015년 모르도비안 오너먼트 |
쇼트 댄스 점수 | 55.33 |
쇼트 댄스 날짜 | 2014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 |
프리 댄스 점수 | 86.02 |
프리 댄스 날짜 | 2015년 모르도비안 오너먼트 |
2. 경력
7세부터 스케이트를 시작하여 싱글 선수로서 대회에 출전했다.
2012년부터 아이스댄스로 전향하여 러시아인 키릴 미노프와 팀을 결성했다. 2013년 NRW컵 주니어 클래스에서는 한국 커플로서는 처음으로 국제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17년 미노프의 부상을 이유로 팀을 해산했다.
2. 1. 어린 시절 및 가족
김레베카는 1998년 리투아니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무역업에 종사하며 사업 관계로 1997년부터 리투아니아에 정착하였으나, 귀화하지 않고 대한민국 국적을 유지하고 있으며 김레베카 역시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있다. 오빠 김지수, 김희수는 리투아니아를 대표하는 스포츠 댄스 선수였다.김레베카는 리투아니아 빌뉴스에서 자랐으며 러시아어, 한국어, 영어, 리투아니아어에 능통하다. 2010년, 피겨 스케이팅 훈련을 위해 가족과 함께 러시아 모스크바로 이주하여 연습을 이어가고 있다.[2]
2. 2. 싱글 스케이팅 선수 시절 ( ~2011)
김레베카는 7세에 피겨 스케이팅을 시작하여 처음에는 싱글 스케이팅 선수로 활동했다. 2009년 1월 폴란드에서 열린 2009 네슬레 네스퀵 컵 13세 이하 노비스 부문에 출전하여 85.93점을 얻어 1위를 차지하였다.[3] 같은 해 리투아니아 선수권 대회 노비스 여자 싱글 부문에서도 우승했다. 당시 한국 언론은 그녀를 "제2의 김연아"라고 부르며 주목했다. 2009년 2월 KBS의 ''글로벌 네트워크 코리안''에서는 김레베카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방영했다.2010년에는 네슬레 네스퀵 컵에서 다시 1위에 올랐다. 같은 해 2월, 리투아니아 피겨 연맹의 배려로 리투아니아 선수권에 참가하여 우승했으나, 김레베카는 한국 국적이었기 때문에 공식적인 우승 기록으로 인정받지는 못했다. 2월 12일에는 KBS 2TV "지구촌 네트워크 한국인"에 김레베카의 이야기가 다시 소개되었다.
2. 3. 아이스 댄싱 선수 시절 (2012~2017)
7세부터 피겨 스케이팅 싱글 선수로 활동하다가 2012년 2월 아이스댄스로 전향했다. 러시아의 키릴 미노프와 팀을 이루어 모스크바에서 훈련하며 주니어 및 시니어 무대에서 활동했다. 주니어 시절에는 NRW 트로피 우승, 2014년 주니어 세계 선수권 6위 등 한국 아이스댄스 최초의 기록들을 세웠다. 2014-2015 시즌부터 시니어 무대에 데뷔하여 그랑프리 시리즈에 출전하는 등 활동을 이어갔으나, 2017년 파트너 미노프의 부상을 이유로 팀을 해체했다.2. 3. 1. 주니어 시절 (2012-2014)
2012년 2월, 아이스댄스로 종목을 바꾼 김레베카는 러시아의 키릴 미노프와 파트너를 이루었다. 이들은 모스크바에서 이리나 주크와 알렉산더 스비닌 코치의 지도를 받으며 훈련을 시작했고, 2012-2013 시즌 ISU 주니어 그랑프리 한국 대표 선발전에서 우승하여 국가대표 자격을 얻었다.김레베카/키릴 미노프 조는 2012-13 ISU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 중 오스트리아와 크로아티아 대회에 배정되었다. 그러나 파트너 미노프가 대한민국 대표로 출전하기 위한 국제빙상연맹(ISU)의 승인이 늦어져 첫 대회인 오스트리아 대회에는 참가하지 못했다. 2012년 9월 21일, 미노프의 대한민국 대표 출전이 공식적으로 허가되었고, 이들은 크로아티아 대회에서 10위를 기록하며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
2013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2013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는 프리댄스 진출에 성공하며 최종 20위를 차지했다. 이는 한국 아이스댄스 팀이 주니어 세계 선수권에서 처음으로 20위권 안에 든 기록이자 당시 역대 최고 성적이었다.
2013년 11월, 독일에서 열린 2013 NRW 트로피 주니어 아이스댄스 부문에서는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한국 아이스댄스팀이 국제 대회에서 거둔 사상 첫 우승이었다.
2014년 3월, 불가리아 소피아에서 개최된 2014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는 자신들의 ISU 공인 최고 점수를 11.85점이나 끌어올리며 6위에 오르는 성과를 거두었다. 한국 아이스댄스 팀이 주니어 세계 선수권에서 Top 10에 진입한 것 역시 이들이 처음이었다.
2014-2015 시즌부터는 파트너 키릴 미노프의 나이가 시니어 연령 기준을 충족하게 되어, 시니어 무대에서 국제 대회에 출전하게 되었다.
2. 3. 2. 시니어 시절 (2014-2017)
파트너 키릴 미노프가 시니어 연령이 되면서 2014-2015 시즌부터 시니어로 국제 대회에 출전하게 되었다. 김레베카/미노프 조는 첫 시니어 시즌을 ISU 챌린저 시리즈 대회인 2014 네벨혼 트로피에서 시작하여 7위를 차지했다. 이들은 그랑프리 두 대회, 2014 로스텔콤컵과 2014 에릭 봉파르 트로피에 출전했는데, 이는 ISU 그랑프리 대회에 출전한 첫 한국 아이스댄스팀이었다. 볼보 오픈컵에서는 총점 3위를 차지하며 ISU 공인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한 첫 한국 아이스댄스팀이 되었다.3. 프로그램
김레베카가 선수 시절 사용한 주요 프로그램 음악은 다음과 같다.
- 2012–2013 시즌: 쇼트 댄스(SD)는 블루스와 스윙 리듬을 사용했고, 프리 댄스(FD)는 스콜피온스의 'Midnight in Moscow'를 선택했다.
- 2013–2014 시즌: 쇼트 댄스는 영화 버레스크 사운드트랙 중 'Show Me How You Burlesque'와 글로리아 린의 'Speaking of Happiness'를 사용했으며, 프리 댄스는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 작곡의 셰헤라자데를 연기했다.
- 2014–2015 시즌: 쇼트 댄스는 막심 로드리게스가 작곡한 파소도블레 '엘 콘키스타도르'를 사용했다. 프리 댄스는 앤드루 로이드 웨버의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 테마를 바탕으로 한 판타지아를 선보였으며, 사라 장, 줄리안 로이드 웨버, 린제이 스털링 등의 연주를 활용했다.
- 2015–2016 시즌: 쇼트 댄스는 왈츠와 폭스트롯 리듬을 사용했고, 프리 댄스는 'Tabacco Road'와 'Party Rockers'를 사용했다.
3. 1. 키릴 미노프와 함께
2012년 2월 아이스댄스로 종목을 바꾼 김레베카는 러시아의 아이스 댄서 키릴 미노프와 파트너를 이루었다. 이들은 모스크바에서 훈련하며 2012-2013 시즌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에 참가할 한국 대표 선발전에서 우승하여 국가대표 자격을 얻었다.2013년에 열린 주니어 세계 선수권에서는 한국 아이스 댄스 조로는 처음으로 20위권 안에 드는 성과를 냈다. 같은 해 11월 독일에서 열린 NRW 트로피에서는 주니어 아이스댄스 부문에서 우승을 차지했는데, 이는 한국 아이스 댄서가 국제 대회에서 거둔 최초의 우승이었다.
2014년 3월 불가리아 소피아에서 개최된 2014 주니어 세계 선수권에서는 이전 ISU 공인 최고 점수를 11.85점이나 끌어올리며 최종 6위를 기록했다. 한국 아이스댄스팀이 주니어 세계 선수권에서 10위 안에 든 것은 김레베카-키릴 미노프 조가 처음이었다.
2014-2015 시즌부터는 파트너 키릴 미노프의 나이가 시니어 연령 기준을 충족함에 따라 시니어 무대에서 국제 대회에 출전하게 되었다.
'''시즌별 프로그램'''
시즌 | 쇼트 댄스 | 프리 댄스 | 갈라쇼 |
---|---|---|---|
2015–2016 | 왈츠: La Valse à Margaux (리샤르 갈리아노 작곡) 폭스트로트: La Destin t'a donné ta chance (다니 브리양 작곡) | 담배길 (루 로울스 작곡) 파티 로커스 (고든 굿윈의 빅 팻 밴드 작곡, 주디스 힐 참여) | |
2014–2015 | 파소도블레: El Conquistador (맥심 로드리게스 작곡) | 판타지아 (오페라의 유령 기반) (사라 장, 줄리안 로이드 웨버 연주) 오페라의 유령 (린제이 스털링 공연) | |
2013–2014 | 퀵스텝: Show Me How You Burlesque (버레스크 OST) 폭스트로트: Speaking of Happiness (글로리아 린 작곡) 퀵스텝: Show Me How You Burlesque | 세헤라자데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 작곡) | 세헤라자데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 작곡) |
2012–2013 | 블루스 스윙 | 모스크바의 밤 (스콜피온스 작곡) |
4. 주요 대회 기록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루므로 중복 방지를 위해 생략)
4. 1. 키릴 미노프와 함께
김레베카는 2012년부터 키릴 미노프와 함께 아이스 댄스 조를 이루어 활동했다. 두 선수는 주니어 시절 ISU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에 참가했으며, 2013-14 시즌 세계 주니어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6위를 기록하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시니어로 전향한 이후에는 그랑프리 시리즈와 챌린저 시리즈 무대에 출전했으며, 2016년 대한민국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16년 팀 챌린지 컵 참가를 마지막으로 미노프와의 파트너십을 마무리했다.4. 1. 1. 국제 대회
wikitext대회 | 2012-13 | 2013-14 | 2014-15 | 2015-16 |
---|---|---|---|---|
시니어 | ||||
세계 선수권 | 26위 | 25위 | ||
사대륙 선수권 | 9위 | 11위 | ||
GP 에릭 봉파르 | 7위 | |||
GP 로스텔레콤 컵 | 8위 | 6위 | ||
CS 모르도비안 오너먼트 | 6위 | |||
CS 네벨혼 트로피 | 7위 | |||
CS 볼보 오픈 컵 | 3위 | 1위 | ||
아이스 스타 | 3위 | |||
주니어 | ||||
주니어 세계 선수권 | 20위 | 6위 | ||
JGP 벨라루스 | 4위 | |||
JGP 크로아티아 | 10위 | |||
JGP 슬로바키아 | 5위 | |||
바바리안 오픈 | 4위 J. | 6위 J. | ||
NRW 트로피 | 6위 J. | 1위 J. | ||
파닌 기념 대회 | 1위 J. | |||
팀 이벤트 | ||||
팀 챌린지 컵 | 3위 T (6위 P) | |||
GP = 그랑프리; CS = 챌린저 시리즈; JGP = 주니어 그랑프리 J. = 주니어; T = 팀 결과; P = 개인 결과 |
4. 1. 2. 국내 대회
대회 | 시즌 | 결과 |
---|---|---|
주니어 그랑프리 선발전 | 2012–2013 | 1위 J. |
주니어 그랑프리 선발전 | 2013–2014 | 1위 J. |
대한민국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015–2016 | 1위 |
J. = 주니어 |
4. 2. 싱글 스케이팅
2009년 1월 폴란드 토룬에서 열린 네슬레 네스퀵 컵(토룬컵) 13세 이하 노비스 부문에 출전하여 85.93점으로 1위를 차지하였다.[3] 2010년 같은 대회에서도 노비스 부문 1위에 올랐다.2010년 2월에는 리투아니아 선수권에 참가하였다. 김레베카는 한국 국적이었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참가가 불가능했으나, 리투아니아 피겨 연맹의 배려로 참가할 수 있었다. 이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나 국적 문제로 공식적인 우승 기록으로 인정받지는 못했다. 같은 해 2월 12일에는 KBS 2TV "지구촌 네트워크 한국인" 프로그램을 통해 김레베카의 이야기가 소개되기도 했다.
'''주요 대회 결과'''
대회/년도 | 2012-13 | 2013-14 | 2014-15 | 2015-16 |
---|---|---|---|---|
세계 선수권 | 26 | 25 | ||
사대륙 선수권 | 9 | 11 | ||
대한민국 선수권 | 1 | |||
GP 로스텔레콤컵 | 8 | 6 | ||
GP 에릭 봉파르 컵 | 7 | |||
CS 볼보 오픈 | 3 | 1 | ||
CS 몰도바 오너먼트 | 6 | |||
CS 네벨혼 트로피 | 7 | |||
아이스 스타 | 3 | |||
세계 주니어 선수권 | 20 | 6 | ||
JGP 민스크 | 4 | |||
JGP 코시체 | 5 | |||
JGP 크로아티아컵 | 10 | |||
바바리안 오픈 | 4 J | 6 J | ||
NRW컵 | 6 J | 1 J |
- J는 주니어 클래스를 의미한다.
참조
[1]
웹사이트
Biography
https://www.isuresul[...]
2016-02-21
[2]
웹사이트
Dailiojo čiuožimo varžybose Torunėje sėkmingai pasirodė Lietuvos atstovės
http://www.delfi.lt/[...]
[3]
웹인용
2009 네슬레 네스퀵 컵 결과
http://www.figureska[...]
2009-0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