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식 (1890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명식은 1890년에 태어나 1943년에 사망한 인물로,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언론인이다. 일본 와세다 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비밀결사 신아동맹단에서 활동했으며, 귀국 후 사회혁명당과 상하이파 고려공산당에서 활동하며 노동운동에 참여했다. 동아일보 기자로 활동하며 사회주의 대중잡지 《신생활》을 발행했으나, 신생활 필화 사건으로 투옥되어 건강을 잃었다. 이후 신간회 제주지회장을 맡았으며, 1930년대 후반에는 한글 운동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다. 말년에는 친일 평론을 발표하기도 했으며, 사후 건국훈장 애족장을 받았으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친일파 - 김기진
김기진은 팔봉이라는 호를 사용한 한국의 문학평론가, 소설가, 시인으로, KAPF에서 활동하며 경향파 문학 이론을 이끌었으나 친일 행적을 보였고 광복 후에는 반공주의 문인으로 활동했다. - 친일파 - 박태원 (1909년)
박태원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로, 모더니즘 소설을 주로 썼으며,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 - 제주특별자치도 출신 - 이학주 (야구 선수)
이학주는 대한민국 출신 야구 선수로, 미국과 한국 프로야구에서 활동했으며, 2019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며 한국 프로야구에 데뷔하여 롯데 자이언츠에서 선수 생활을 하다가 2024년 방출되었다. - 제주특별자치도 출신 - 현길언
현길언은 1940년 제주 출생으로 제주대와 한양대 대학원을 졸업하고 한양대 교수를 역임했으며, 제주도의 역사적 배경을 다룬 소설을 발표하며 녹원문학상, 현대문학상, 대한민국문학상을 수상했다. - 1943년 사망 - 현진건
현진건은 일제강점기의 사실주의 소설가로, 대표작으로는 「빈처」, 「술 권하는 사회」, 「운수 좋은 날」 등이 있으며, 일제강점기 언론 탄압을 받기도 했다. - 1943년 사망 - 이상화 (시인)
이상화는 일제강점기의 저항 시인으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와 같은 작품을 통해 민족의 저항 의지를 표현했으며, 민족 시인으로서의 고뇌와 헌신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며, 그의 작품과 정신은 현재에도 재평가되고 있다.
김명식 (1890년) | |
---|---|
지도 | |
기본 정보 | |
한글 이름 | 김명식 |
한자 이름 | 金明植 |
로마자 표기 | Gim Myeong-sik |
다른 로마자 표기 | Kim Myŏngsik |
호 | 송산 |
한자 호 | 松山 |
로마자 호 표기 | Songsan |
생애 | |
출생 | 1890년 |
사망 | 1943년 |
직업 | 작가, 독립운동가 |
기타 | |
공훈 | 대한민국 국가보훈처에서 독립유공자로 인정 |
외부 링크 | 국가보훈처 공훈록 |
2. 생애
김명식은 제주도의 명문가에서 태어나 일본 와세다 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했다. 도쿄 유학 중 신아동맹단에서 활동했고, 귀국 후에는 사회혁명당과 상하이파 고려공산당에서 활동하며 조선노동공제회 창립에 참여했다. 1922년 김윤식 사망 이후 장덕수의 우파와 대립하여 유진희와 함께 좌파를 이끌었다. 기독교 청년 세력과 합작하여 신생활사를 설립하고, 사회주의 대중잡지 《신생활》을 발행했다. 3·1 운동 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인 박희도가 사장을 맡았고, 김명식은 주필이 되었다.
1922년 신생활 필화 사건으로 체포되어 함흥형무소에서 복역 중 건강 악화로 1923년 출옥했다. 이후 1927년 신간회 제주지회장을 맡았고, 1930년 오사카시에서 조선인 노동운동을 지도한 혐의로 수감되기도 했다. 1930년대 후반 한자어 폐기 및 순 우리말 대체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3] 이후 전향하여 일제 강점기 말엽에는 《동양지광》과 《조광》을 통해 다수의 친일 평론을 발표하기도 했다. 1943년 병사했으며, 유언은 “일본이 망할 때까지 사망신고를 하지 마라”였다고 한다.
1999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독립운동
제주도 출신으로, 해미현감 김응전(金膺銓)의 손자이자 정의현감 김문주(金汶株)의 장남이다. 일본에 유학하여 와세다 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했으며, 도쿄 유학 기간 중 아시아 지역의 피압박 국가 청년들로 구성된 비밀결사 신아동맹단에서 활동했다. 신아동맹단은 이후 사회혁명당으로 개편되었고, 귀국한 김명식은 사회혁명당과 상하이파 고려공산당에서 활동하며 노동운동 단체인 조선노동공제회 창립에 참여했다.[2]상하이파는 민족주의 세력과의 광범위한 연대를 꾀하는 통일전선 노선을 걷다가, 1922년 김윤식의 사망을 계기로 김윤식 사회장을 추진한 장덕수의 우파와 이를 반대한 김명식, 유진희의 좌파로 분리되었다. 동아일보 기자였던 김명식은 상하이파 좌파를 이끌고 기독교 청년 세력과 합작하여 신생활사를 설립하고, 사회주의 대중잡지 《신생활》을 발행하기 시작했다. 사장은 3·1 운동 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인 박희도가 맡았고, 김명식은 주필이 되었다.[2]
1922년 11월 발생한 신생활 필화 사건으로 체포된 김명식은 징역 2년형을 선고받아 함흥형무소에서 복역하다가 건강이 악화되어 1923년 출옥했다. 이때 고문과 수감 생활로 건강을 상한 그는 평생 장애인으로 살아가게 되었다.[2]
1927년 좌우합작으로 결성된 민족운동 단체 신간회의 제주지회장을 맡았으며, 1930년에는 오사카시에서 조선인 노동운동을 지도한 혐의로 수감된 바 있다.[3]
2. 2. 투옥과 신간회 활동
1922년 11월 신생활 필화 사건으로 체포된 김명식은 징역 2년형을 선고받아 함흥형무소에서 복역하다가 건강이 악화되어 1923년 출옥했다.[3] 이때 고문과 수감 생활로 건강을 상해 평생 장애인으로 살아가게 되었다.1927년 좌우합작으로 결성된 민족운동 단체 신간회의 제주지회장을 맡았으며, 1930년에는 오사카시에서 조선인 노동운동을 지도한 혐의로 수감된 바 있다.[3]
2. 3. 언어 순화 논쟁
김명식은 1930년대 후반에 한자어를 폐기하고 순 우리말로 대체하려는 한글 운동자들의 행동을 비판했다. 그는 이를 "파시즘을 방불케 하는 국수주의적 행동이며 이미 한자어 사용에 익숙해진 조선 민중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문화적 폭력"이라고 규정했다. 또한, "'동사'(動詞)를 '움직씨'로 대체하자 해도 천여 년 동안 한자를 써온 조선 민중에게는 그래도 '동사'가 더 자연스러울 것"이라고 주장했다.[3]2. 4. 친일 행적 및 사망
1930년대 후반에 한자어를 폐기하고 순 우리말로 대체하려던 한글 운동자들의 행동을 “파시즘을 방불케 하는 국수주의적 행동이며 이미 한자어 사용에 익숙해진 조선 민중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문화적 폭력”이라고 규정하며, “‘동사’(動詞)를 ‘움직씨’로 대체해도 천여 년 동안 한자를 써온 조선 민중에게는 ‘동사’가 더 자연스러울 것”이라고 주장했다.[3] 이후 친일로 전향하여 일제 강점기 말엽에는 《동양지광》과 《조광》을 통해 다수의 친일 평론을 발표하기도 했다. 1943년 병사했다.평생을 사회주의자로서 민족해방을 위해 일제와 직·간접적인 투쟁으로 일관한 김명식이 남긴 마지막 유언은 “일본이 망할 때까지 사망신고를 하지 마라”였다고 한다.
3. 사후 평가
김명식은 평생을 사회주의자로서 민족 해방을 위해 일제와 직·간접적으로 투쟁하였다. 그는 "일본이 망할 때까지 사망신고를 하지 마라"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한다.[3]
1999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그러나 민족문제연구소는 2008년 그를 친일파 리스트의 교육·학술 분야에 선정했는데, 이는 그가 일제 강점기 말엽 《동양지광》과 《조광》을 통해 다수의 친일 평론을 발표했기 때문이다.
참조
[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0-07-28
[2]
논문
戦時体制下日本青年団の国際連携 : ヒトラー・ユーゲントと朝鮮連合青年団の間(2)
https://hdl.handle.n[...]
首都大学東京
1997
[3]
서적
우리가 몰랐던 동아시아
한겨레출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