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식 (1931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용식은 1931년 황해도 옹진군 출생으로, 6.25 전쟁에 참전하여 낙동강 방어선 전투와 비학산 전투에서 활약한 군인이다. 그는 비학산 전투에서 특공대원으로 적진을 기습하여 조선인민군 766유격부대를 와해시키는 데 기여했다. 1950년 9월 서울 탈환 작전 직후 전사했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태극무공훈장과 화랑무공훈장을 수여했다. 그의 유해는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고, 훈장은 전쟁기념관에 영구 보관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극무공훈장 수훈자 - 정일권
정일권은 러시아 출생으로 만주군 장교, 육군 참모총장, 국무총리, 국회의장 등을 역임하며 군인, 외교관, 정치인으로 활동했고 친일 행적과 정인숙 사건 관련 의혹을 받았다. - 태극무공훈장 수훈자 - 백선엽
백선엽은 일제강점기 만주군에서 복무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육군 대장까지 오른 군인으로, 다부동 전투 등을 지휘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외교관과 장관을 역임하다가 2020년에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군인 - 이우석
이우석은 아버지 이완용의 친일 행위에 대한 죄책감으로 만주에서 독립운동에 투신하여 서로군정서와 북로군정서에서 활동하며 청산리 전투 등에 참전했고, 해방 후에는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생활하다 건국훈장을 받았다. - 대한민국의 군인 - 윤재갑
윤재갑은 대한민국 해군 제독 출신의 정치인으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어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황해도 출신 - 이광노
이광노는 대한민국 육군 중장 예편 후 제13대 국회의원을 지낸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관련 조사에 참여하고 정계 은퇴 후 보수 성향 단체에서 활동했다. - 황해도 출신 - 안중근
안중근은 1879년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고 동양 평화를 주장하며 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독립운동가이다.
김용식 (1931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용식 |
현지어 표기 | 金龍植 |
생애 | |
출생일 | 1931년 2월 8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황해도 옹진군 |
사망일 | 1950년 9월 29일 |
사망지 | 대한민국 경기도 양주군 구리면 백교리 |
병역 | |
국적 | 대한민국 |
충성 | 대한민국 |
복무 기간 | 1950년 5월 ~ 1950년 9월 |
최종 계급 | 일병 |
근무 | 제2사단 제17연대 3대대 9중대 3소대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한국 전쟁 |
훈장 | |
서훈 내역 | 태극무공훈장 화랑무공훈장 |
2. 생애
1931년 2월 8일 황해도 옹진군(본적: 경기도 옹진군 부관면 적석리)에서 태어나, 강령공립보통학교와 옹진중학교를 졸업하였다.[2][4] 6.25 전쟁 발발 직전인 1950년 5월 자원입대하여, 훈련도 제대로 받지 못한 채 이등병 신분으로 제2사단 17연대 3대대에 배속, 낙동강 방어선에 투입되었다.[2][4]
조선인민군은 1950년 8월 15일까지 부산 점령을 목표로 총공세를 펼쳤으나 낙동강 교두보 확보에 실패하였다. 기계지역 탈환을 위한 조선인민군 제12사단은 국군 수도사단의 총공격으로 막대한 손실을 입은 채 비학산으로 철수했다.[5]
2. 1. 참전과 활약
6.25 전쟁 초기, 김용식 이등병은 낙동강 방어선 전투와 비학산 전투에서 뛰어난 용맹을 발휘하여 북한군 격퇴에 큰 공을 세웠다.[2][4] 특히, 비학산 전투에서 김용식 이등병은 특공대원으로 선발되어 적진을 기습, 북한군 766유격부대를 와해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4]1950년 8월, 조선인민군은 경주군 안강읍 기계면 인근 비학산에서 제12사단과 766유격부대를 재편성한 후 새로운 공격 작전을 준비하고 있었다. 당시 수도사단은 제18연대를 투입해 여러 차례 비학산을 빼앗기 위해 시도했으나 매번 실패해 결국 공격 작전권은 김용식 이병이 속한 제17연대로 넘어왔다. 17연대는 비학산 점령을 위해 먼저 야간기습으로 아군에게 많은 피해를 주던 조선인민군 766유격부대를 습격하기로 결정하고 임무를 수행할 특공대를 선발하였다. 김용식 이병은 훈련소 동기인 홍재근 이병과 함께 제일 먼저 지원하여, 돌격작전의 첨병을 맡았다. 김용식 이병과 홍재근 이병은 대열의 선봉에서 은밀하게 적진에 침투해 적 경계병을 처치하고, 다른 특공대원들과 함께 적 은거지를 기습 공격해 치명적인 타격을 입혔다.[4] 766유격부대 은거지는 결국 초토화되어 제12사단에 흡수돼 사라졌다.[2]
비학산 쟁탈전에서 김용식 이등병은 홍재근 이병과 함께 적군의 자동화기 진지를 파괴하고, 북한군 15명을 사살하거나 생포하는 전과를 올렸다.[2][4]
2. 2. 전사
1950년 9월 서울탈환작전 직후 경기도 양주군 구리면 백교리(현재의 구리시 교문동)에서 북한군의 총탄에 복부를 맞아 전사했다.[4]3.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김용식 이병의 공훈을 기려 1951년 7월 26일 군 최고의 영예인 태극무공훈장(훈기번호-12호)을 수여하고, 1954년 10월에는 1계급 특진과 함께 화랑무공훈장을 추서했다.[4] 1957년 9월 13일 서울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에 유해가 안장되었다.[6] 그는 훈장을 전달받을 유족이 없어, 대한민국 정부는 호국인물 현양행사와 함께 훈장을 전쟁기념관에 영구 보관하고 있다.[7]
참조
[1]
문서
[2]
웹인용
용맹한 병사들 ‘영원히 기억되리’
http://kookbang.dema[...]
《국방일보》
2016-06-23
[3]
웹사이트
김용식
http://www.snmb.mil.[...]
국립서울현충원
2020-01-23
[4]
웹사이트
2017년 12월 호국인물 : 김용식 육군 일병
https://www.warmemo.[...]
전쟁기념관
2020-01-17
[5]
웹인용
6·25전쟁영웅에 홍재근 육군일병 선정
http://news1.kr/arti[...]
《뉴스1》
2013-04-30
[6]
웹사이트
김용식
http://www.snmb.mil.[...]
국립서울현충원
2020-01-23
[7]
웹인용
'8월 호국인물' 김용식 일병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1-07-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