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성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일성화는 붉은 자주색 꽃을 피우는 난초로, 1965년 인도네시아 식물학자가 개발하여 김일성 방문 10주년을 기념하여 '김일성란'으로 명명되었다. 북한에서는 김일성을 상징하며, 김일성 생일인 태양절에 사용된다. 김일성화는 북한의 정치적, 이념적 선전에 활용되며, 김일성화 축전이 열리고, 달력의 표지 그림으로 사용된다. 김정일화를 기리기 위해 개발된 김정일화와 비교되며, 북한 국화는 목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삭단엽란족 - 나리난초
나리난초는 대한민국, 일본, 러시아 등지에 분포하는 난초과 식물로, 타원형 잎과 5~7월에 피는 흰색 또는 연한 홍자색 꽃이 특징이며 습하고 그늘진 곳에서 잘 자라지만 번식이 어렵고 멸종 위기에 처해 개체 수 감소로 법적 규제 검토 대상이다. - 이삭단엽란족 - 석곡아족
석곡아족은 난초아과에 속하며 콩짜개란속, 석곡속 등을 포함하고, 특히 콩짜개란속은 전 세계적으로 큰 난초 속 중 하나이며 석곡속은 아름다운 꽃과 향기로 관상용으로 인기가 높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상징 - 붉은 별
붉은 별은 볼셰비키 혁명과 러시아 내전 이후 공산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의 국기에 등장했으며,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군사 상징이나 적군 병사의 모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소련 해체 후 사용이 감소했으나 일부 국가에서 군사 휘장 등으로 사용되거나 사회주의와 무관하게 디자인 요소로도 활용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상징 - 참매
참매는 전 세계 숲에 서식하며 조류와 포유류를 사냥하는 중대형 수리매로, 아종에 따라 크기와 깃털 색깔이 다르고, 매사냥에 이용되어 왔으며, 도시 지역으로 서식지를 확장하는 추세이다. - 김일성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김일성 - 6.25 전쟁
6.25 전쟁은 1950년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되어 1953년 휴전 협정으로 종결되었으며, 한반도의 분단과 막대한 인명 피해를 초래한 한국 전쟁을 의미한다.
김일성화 - [생물]에 관한 문서 | |
---|---|
품종 정보 | |
속 | 세코쿠속 |
학명 | Dendrobium 'Kim Il Sung' |
교배종 | Dendrobium Clara Bundt gx 'Kimilsungia' |
이름 정보 | |
한국어 | 김일성화 |
한자 | 金日成花 |
영어 | Kimilsungia |
로마자 표기 | Gimilseonghwa |
2. 형태
Kimilsungia|김일성화id는 높이 30cm~70cm까지 자라는 난초이다. 잎은 마디에 어긋나게 붙어 있으며, 각 줄기에는 3~15개의 꽃이 핀다. 꽃잎과 꽃받침 조각은 각각 3개씩 있으며, 크기는 6cm~8cm이다. 꽃은 붉은 자주색이며, 줄기 지름은 1~1.5cm이다. 60~100일 동안 개화하며, 꽃잎에는 하얀색 점 3개가 있고 6~8개 마디로 나뉜다. 낮에는 25°C~30°C, 밤에는 18°C~23°C의 햇빛에서 가장 잘 자란다.[4]
김일성화는 1965년 초 인도네시아에서 개발되어 김일성에게 선물된 꽃이다. 수카르노 인도네시아 대통령의 끈질긴 권유로 '김일성화'라는 이름을 붙였다.
3. 역사
1965년 당시 재배 기술 미완성으로 바로 북한으로 전달되지 못했고, 9.30 사건으로 수카르노가 실각하면서 한동안 행방불명되기도 했다. 1974년 북한으로 전해졌으며, 북한은 독자적인 연구로 재배 기술을 완성했다고 주장한다. 1975년 태양절(김일성 생일)에 맞춰 재배에 성공, 1977년 김일성의 65세 생일에 북한 주민들에게 처음 공개되었다.[7][19]
3. 1. 기원과 명명
1965년 초, 인도네시아의 초대 대통령 수카르노는 김일성의 인도네시아 방문 10주년을 기념하여, 보고르 식물원에서 200여 회의 실험 끝에 개발된 새로운 덴드로비움 속 난초 품종을 선물하며 '김일성화'로 명명했다.[18][19] 수카르노 대통령과 김일성은 보고르 식물원을 방문했는데, 김일성은 마카사르에서 유래한 난초에 매료되었다. 이 난초는 김일성의 방문에 맞춰 개화하도록 재배되었다. 수카르노는 이 꽃을 두 나라 간의 영원한 우정의 상징으로 '김일성란'이라고 명명할 것을 제안했다. 김일성은 처음에 사양했지만, 수카르노가 끈질기게 권유하여 결국 이 이름을 수락하였다.[5][6]
1970년 영국 왕립 원예 협회(RHS)에는 ''Dendrobium'' Kim Il Sung이라는 이름으로 정식 교배종으로 등록되었으나,[11] 1964년에 등록된 ''Dendrobium'' Clara Bundt의 이명 동교배종이기도 하다.[13]
1965년 당시에는 이 꽃의 재배 기술이 완성되지 않아 수카르노는 재배 기술과 함께 평양으로 보내겠다고 약속했지만, 9.30 사건으로 수카르노가 실각하면서 김일성화는 한동안 행방불명되었다. 이후 1974년에 평양으로 전달되었으며, 북한은 독자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재배 기술을 완성했다고 한다.[11][16]
3. 2. 북한으로의 전래
1965년 초, 인도네시아의 식물학자 마카사르가 보고르 식물원에서 개발한 새로운 품종의 난초는 인도네시아 초대 대통령 수카르노가 김일성의 인도네시아 방문 10주년을 기념하여 선물하면서 김일성화로 명명되었다.[18][19] 김일성은 이 제안을 처음에는 사양했지만, 수카르노의 끈질긴 권유로 결국 수락하였다.[5][6]
하지만 1965년 당시에는 재배 기술이 완성되지 않아 바로 북한으로 옮겨지지 못했다.[15] 9.30 사건으로 수카르노가 실각하면서 김일성화는 한동안 행방불명되었다.[11][16] 1974년, 김일성화는 북한으로 전해졌으며, 이후 북한은 독자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재배 기술을 완성했다고 주장한다.[11][16] 1975년 4월, 김일성 생일에 맞춰 북한에서 성공적으로 재배되었으며,[7] 1977년 4월, 김일성 주석의 65세 생일에 처음으로 북한 주민들에게 소개되었다.[7][19]
4. 북한에서의 상징성과 활용
김일성화는 1965년 김일성 주석이 인도네시아를 방문했을 때 수카르노 대통령이 보고르 식물원에서 본 난초에 매료된 김일성 주석에게 두 나라 간의 영원한 우정을 상징하는 의미로 '김일성란'이라 명명할 것을 제안하면서 유래했다. 김일성 주석은 처음에는 거절했지만, 수카르노 대통령의 끈질긴 제안에 결국 수락했다.[5][6]
1975년 4월, 김일성 생일에 맞춰 북한에서 김일성화 재배에 성공했으며, 1977년 김일성 주석의 65세 생일에 북한 주민들에게 처음 소개되었다. 이후 보라색 김일성화는 주체 지도자의 상징이 되어 북한의 꽃꽂이에 사용되고 있다.[7]
4. 1. 김일성 숭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김일성화는 김일성을 상징하며, '충성의 꽃', '김일성주의 혁명의 꽃', '태양의 꽃', '불멸의 꽃' 등으로 불린다.[20][21] 김일성의 탄생 기념일인 태양절에 사용되며, 김일성 찬양 창작품에도 활용된다.매년 태양절 전인 4월 13일에는 1999년부터 김일성화축전이 열린다.[22] 1977년 8월에는 '김일성화의 노래'가 창작되었으며, '불멸의 꽃 김일성화' 등 김일성화를 이용한 창작품들이 있다. 조선외국문도서출판사에서 배포하는 달력의 4월 표지 그림으로 김일성화가 사용되었다.[23]
김일성화는 북한의 이데올로기 선전을 위해 정치적으로 이용되었다. 김정일은 2005년 4월 6일,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 책임 간부와의 담화에서 "김일성화는 자주 시대 인류의 마음에 핀 불멸의 꽃"이라고 발언했다.[11]
북한 국내에서는 평양에서 백두산 지구, 연백원에 이르기까지 각지에서 이 꽃을 볼 수 있다.[11] 중앙 식물원에는 김일성화 원종포가 설치되어 있으며, 겨울에는 영하의 추운 날씨에도 김일성화를 피우기 위해 북한 내에 300개가 넘는 김일성화 온실이 건설되었다.[11]
김일성의 생일인 태양절 (4월 15일)을 기념하여 김일성화 축전이 매년 평양에서 개최된다. 전통적으로 평양 주재 각국 대사는 매년 이 꽃의 꽃다발을 해당 축전에 기증한다.
북한 정부는 김일성화가 오대륙 모든 곳에서 재배되고 있다고 선전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북한 이외의 지역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4. 2. 정치적, 이념적 선전
김일성을 상징하는 꽃으로, 김일성의 탄생 기념일인 태양절에 사용된다. 북한에서는 '충성의 꽃', '김일성주의 혁명의 꽃', '태양의 꽃', '불멸의 꽃' 등으로 불린다.[20][21] 1977년 8월에는 '김일성화의 노래'가 창작되었고, '불멸의 꽃 김일성화' 등 김일성화를 이용한 김일성 찬양 창작물들이 있다.김일성화는 북한의 이데올로기 선전을 위해 정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김정일은 2005년 4월 6일,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 책임 간부와의 담화에서 "김일성화는 자주 시대 인류의 마음에 핀 불멸의 꽃"이라고 발언했다.[11]
북한 정부는 김일성화가 오대륙 모든 곳에서 재배되고 있다고 선전하지만, 실제로는 북한 이외 지역에서는 북한과 관련된 곳이나 사람을 제외하고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4. 3. 김일성화 축전
1998년부터 매년 태양절 즈음에 김일성화 축전이 개최된다.[8][9] 평양에서는 매년 김일성화 전시회가 열리며, 북한 주재 외국 대사관들은 연례 전시회에 각자 김일성화 꽃다발을 출품하는 것이 관례이다.[10]4. 4. 기타
조선외국문도서출판사에서 배포하는 달력의 4월 표지 그림으로 김일성화가 사용되었으며, 마찬가지로 2월에 개화하는 김정일화는 2월 표지 그림으로 사용되었다.[23] 2009년 11월 30일에 발행된 신 1 원 경화 도안에도 사용되었다. 북한 중앙 식물원에는 김일성화 원종포가 설치되어 있으며, 북한 내에 300개가 넘는 김일성화 온실이 건설되었다.[11]5. 김정일화와의 비교
김정일화는 김정일을 기리기 위해 개발된 구근 베고니아 원예 품종이다. 김일성화와 김정일화는 모두 열대산으로 북한에는 자연 분포하지 않으며, 국화가 아니다. 북한의 국화는 목란이다.
참조
[1]
논문
Kimilsungia: How an Indonesian Orchid Became a Revered Symbol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fter Its Name was Changed
http://botany.org/Pl[...]
Botanical Society of America
[2]
간행물
Korea Today
2008-09
[3]
웹사이트
4th Kimilsungia Show to be held in Pyongyang
http://www.kcna.co.j[...]
2009-12-19
[4]
서적
Kimjongilia
http://www.naenara.c[...]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5]
웹사이트
Kimilsungia Flower
https://koryogroup.c[...]
Koryo Tours
2023-11-04
[6]
웹사이트
Kim Il Sung, Pendiri Korea Utara yang Berteman Baik dengan Sukarno
https://www.zenius.n[...]
Zenius
2023-11-04
[7]
웹사이트
Patriotic Flora of North Korea: Kimilsungia and Kimjongilia
https://worldhistory[...]
2023-11-04
[8]
웹사이트
Preparations for flower festival in full swing
http://www.naenara.c[...]
2017-05-16
[9]
서적
The Hidden People of North Korea: Everyday Life in the Hermit Kingdom
https://archive.org/[...]
Rowman & Littlefield
2015-05-03
[10]
서적
North Korea on the brink: struggle for survival
Pluto Press
[11]
서적
金正日-[http://naenara.com.kp/ja/book/download.php?3+3021 金日成花は、自主時代の人類の心に咲いた不滅の花である]-
2006
[12]
서적
[http://naenara.com.kp/ja/book/download.php?4+4019 金日成花 偉人の花の香りは不滅である]-
1999
[13]
URL
http://apps.rhs.org.[...]
[14]
URL
http://apps.rhs.org.[...]
[15]
문서
[16]
문서
[17]
뉴스
チュチェ思想に学び連帯強化/党創建75周年記念し、東京でセミナー
https://www.chosonsi[...]
2021-11-27
[18]
뉴스
8년간 활동 안광일 주인니 북한대사 귀임 의사 밝혀
https://www.yna.co.k[...]
2024-03-09
[19]
웹인용
김일성화·김정일화
https://nkinfo.uniko[...]
2024-03-08
[20]
뉴스
북한의 `김일성화`는 어떤 꽃
https://www.tongilne[...]
2024-03-09
[21]
뉴스
'[북한] 김일성화 · 김정일화'
https://kid.chosun.c[...]
2024-03-09
[22]
뉴스
17년 역사 김일성화축전, 24만여 꽃 전시
https://www.tongilne[...]
2024-03-09
[23]
뉴스
'[포토] 김일성화와 김정일화 소개한 북한 새해 달력'
https://www.seoul.co[...]
2024-03-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