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임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임식은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울산군 출신으로, 도쿄 전기 전문학교 졸업 후 건국대학교, 경희대학교, 서울대학교, 부산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다. 그는 부산상업고등학교 교사, 개성중학교 교감, 무안중학교 교장을 역임했으며, 제6, 8, 9, 10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또한 흥국생명보험 사장, 한국고무공업협회 회장, 동의학원 이사장, 사립학교 교원연금관리공단 이사장, 한국대학법인협의회 회장, 한국사학법인연합회 회장 등을 역임하며 교육 및 경제 분야에서도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광역시의 국회의원 - 문재인
대한민국의 제19대 대통령인 문재인은 인권 변호사 출신으로 노무현 정부의 핵심 측근을 지냈으며, 2017년 대통령에 당선되어 국민 통합, 남북 관계 개선, 검찰 개혁 등을 추진했으나 부동산 정책 실패와 코로나19 팬데믹, 재보궐선거 참패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퇴임 후 양산 평산마을에서 생활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국회의원 - 김영삼
김영삼은 1929년 거제 출생으로, 제14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군사 정권에 저항하고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금융실명제 실시 등의 개혁 정책을 추진했으나 IMF 외환 위기를 겪고 2015년 서거했다. - 부산광역시의 국회의원 - 문재인
대한민국의 제19대 대통령인 문재인은 인권 변호사 출신으로 노무현 정부의 핵심 측근을 지냈으며, 2017년 대통령에 당선되어 국민 통합, 남북 관계 개선, 검찰 개혁 등을 추진했으나 부동산 정책 실패와 코로나19 팬데믹, 재보궐선거 참패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퇴임 후 양산 평산마을에서 생활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국회의원 - 김영삼
김영삼은 1929년 거제 출생으로, 제14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군사 정권에 저항하고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금융실명제 실시 등의 개혁 정책을 추진했으나 IMF 외환 위기를 겪고 2015년 서거했다. - 대한민국의 제6대 국회의원 - 김종필
5·16 군사정변 주역이자 초대 중앙정보부장, 두 차례 국무총리를 지낸 김종필은 한일 국교 정상화 기여와 '김-오히라 메모' 논란, 9선 국회의원, DJP 연합을 통한 총리 재임 등 한국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위주의 시대의 어두운 면과 지역주의 정치의 상징으로도 평가받는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제6대 국회의원 - 김영삼
김영삼은 1929년 거제 출생으로, 제14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군사 정권에 저항하고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금융실명제 실시 등의 개혁 정책을 추진했으나 IMF 외환 위기를 겪고 2015년 서거했다.
김임식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920년 12월 25일 |
사망 | 1997년 11월 10일 (향년 76세) |
본관 | 안동 김(安東 金) |
학력 | |
학력 | 해주고등농림학교 졸업 국방대학원 졸업 |
경력 | |
경력 | 대한민국 해병대 장성 제4대 해병대사령관 제12대 국회의원 (민주정의당) 민주정의당 당무위원 |
상훈 | |
상훈 | 보국훈장 |
2. 학력
- 1943년 도쿄 전기 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
- 1952년 건국대학교 정치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 1966년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 1970년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을 수료하였다.
- 1977년 부산대학교에서 명예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3. 경력
- 1946년 부산상업고등학교 교사[2]
- 1953년 부산 개성중학교 교감[2]
- 1961년 밀양 무안중학교 교장[2]
- 1963년 제6대 국회의원[2]
- 1966년 동의학원 이사장, 동의대학교 설립[2]
- 1967년 흥국생명보험 사장[1][2]
- 1969년 한국고무공업협회 회장[1][2]
- 1971년 흥국생명보험 회장[1][2]
- 1971년 제8대 국회의원[2]
- 1973년 제9대 국회의원[2]
- 1973년 국회 재무위원장[2]
-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2]
- 1991년 사립학교 교원연금관리공단 이사장[1][2]
- 1991년 한국대학법인협의회 회장[1][2]
- 1992년 한국사학법인연합회 회장[1][2]
3. 1. 교육 경력
김임식은 1946년 부산상업고등학교 교사로 부임하며 교육계에 발을 들였다.[2] 1953년에는 부산 개성중학교 교감으로,[2] 1961년에는 밀양 무안중학교 교장으로 재직했다.[2] 1966년 동의학원을 설립하여 이사장을 맡았고, 동의중학교, 동의공업고등학교를 개교했다.[2] 1972년에는 동의전문학교 (현 동의과학대학교), 1979년에는 동의대학교 (현 동의대학교)를 설립했다.[2] 1991년부터 사립학교 교원연금관리공단 이사장[1][2], 한국대학법인협의회 회장을 역임했고,[1][2] 1992년부터 한국사학법인연합회 회장을 역임했다.[1][2]3. 2. 기업 경력
김임식은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울산군(현 울산광역시 울주군)에서 태어났다.[2] 1945년 10월 부산으로 귀국하여 남선전기 주식회사 부산진지점에서 근무했다.[2] 1946년 부산상업고등학교 교사를 시작으로 교육계에 종사했다.[2] 1966년 동의학원을 설립하여 이사장을 맡았고, 동의대학교를 설립했다.[2] 1967년부터 흥국생명보험 사장[1][2], 1969년 한국고무공업협회 회장을 역임했다.[1][2] 1971년에는 흥국생명보험 회장이 되었다.[1][2] 1991년 사립학교 교원연금관리공단 이사장[1][2], 1991년 한국대학법인협의회 회장[1][2], 1992년 한국사학법인연합회 회장[1][2]을 역임했다.3. 3. 정치 경력
김임식은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울산군 (현 울산광역시 울주군)에서 태어났다.[2] 청량보통학교, 온양보통학교, 시가 농업학교, 도쿄 전기통신 기술 전문학교 고등과를 거쳐 1943년부터 도쿄의 군수 전기 공장에서 일했다.[2] 1944년에 나가노현으로 징병되어 그곳에서 조선인 여성과 결혼한 후, 1945년 10월에 부산으로 귀국하여 남선전기 주식회사 부산진지점에서 근무했다.[2]1946년 부산상업고등학교 교사를 시작으로,[2] 1953년 부산 개성중학교 교감,[2] 1961년 밀양 무안중학교 교장을 역임하였다.[2] 한국 전쟁 중에는 부산에 캠퍼스를 개설한 건국대학교 정치학과에 3학년으로 편입하여 1952년 졸업하였다.[2]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부산진구 갑구에 출마하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2] 1966년 경희대학교 정치학 대학원을 졸업하고,[2] 같은 해 동의학원을 설립하여 이사장을 맡았으며, 동의중학교, 동의공업고등학교를 개교했다.[2]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낙선한 후, 1967년 흥국생명보험 사장,[1][2] 1969년 한국고무공업협회 회장을 맡았다.[1][2] 1970년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을 수료했다.[1][2]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재선된 후, 3번 연속 당선되었으며, 제9대 국회 재무위원장, 공화당 원내 수석부총무를 역임했다.[2] 1972년 동의전문학교 (현 동의과학대학교), 1979년 동의대학교 (현 동의대학교)를 설립했다.[2] 박정희 사망 후 정계에서 은퇴하여, 동의학원을 운영하면서, 1980년 동경물산 회장, 1991년 이후 한국대학법인협의회 회장, 사립학교교원 연금관리공단 이사장, 1992년 이후 한국사학법인연합회 회장을 역임했다.[1][2]
3. 4. 기타 경력
김임식은 1946년 부산상업고등학교 교사를 시작으로 교육계에 몸담았다.[2] 1953년 부산 개성중학교 교감[2], 1961년 밀양 무안중학교 교장을 역임하였다.[2] 1963년 제6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하였다.[2] 1966년 동의학원 이사장을 맡아 동의대학교 설립에 기여했고,[2] 1967년 흥국생명보험 사장[1][2], 1969년 한국고무공업협회 회장[1][2], 1971년 흥국생명보험 회장을 역임하는 등 경제계에서도 활동하였다.[2] 1971년 제8대 국회의원에 당선된 이후 3번 연속 당선되었으며, 국회 재무위원장을 역임하였다.[2] 정계 은퇴 후에는 1991년 사립학교 교원연금관리공단 이사장[1][2], 1991년 한국대학법인협의회 회장[1][2], 1992년 한국사학법인연합회 회장[1][2] 등을 역임하며 교육 발전에 힘썼다.4. 생애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울산군 (현 울산광역시 울주군)에서 태어났다.[2] 청량보통학교, 온양보통학교, 시가 농업학교, 도쿄 전기통신 기술 전문학교 고등과를 거쳐 1943년부터 도쿄의 군수 전기 공장에서 일했다.[2] 1944년에 나가노현으로 징병되어 그곳에서 조선인 여성과 결혼한 후, 1945년 10월에 부산으로 귀국하여 남선전기 주식회사 부산진지점에서 근무했다.[2] 1946년에 이공계 교사 공채 시험에 합격한 후, 부산상업고등학교 교원으로 부임했다. 한편, 한국 전쟁으로 부산에 캠퍼스를 개설한 건국대학교 정치학과에 1950년 9월에 3학년으로 편입하여, 1952년 3월에 졸업했다.[2] 1953년 2월에 개성중학교 교감, 1961년 10월에 밀양시의 무안중학교와 초동중학교 교장을 겸임했다.[2]
부산진여자중학교, 부산진여자상업고등학교 교감을 역임한 후, 1963년의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부산진구 갑구에 출마하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66년에 경희대학교 정치학 대학원 졸업[2], 같은 해에 동의학원을 설립하여 이사장을 맡았고, 동의중학교, 동의공업고등학교를 개교했다.[2]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낙선하자, 1967년 7월부터 흥국생명보험 주식회사 사장, 1969년 2월에 한국고무공업협회 회장을 맡았으며, 1970년 2월에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을 수료했다.[1][2] 1971년의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재선된 후, 3번 연속 당선되었으며, 제9대 국회 재무위원장, 공화당 원내 수석부총무를 역임했다. 또한, 1972년에 동의전문학교 (현 동의과학대학교), 1979년에 동의대학교 (현 동의대학교)를 설립했다.[2] 박정희 사망 후 정계에서 은퇴하여, 동의학원을 운영하면서, 1980년에 동경물산 회장, 1991년 이후에 한국대학법인협의회 회장, 사립학교교원 연금관리공단 이사장, 1992년 이후 한국사학법인연합회 회장을 역임했다.[1][2]
2010년에 지병으로 88세로 사망했다.
4. 1. 초기 생애 및 교육
김임식은 1943년 동경전기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 1952년 건국대학교에서 정치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1966년에는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1970년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을 수료하였다. 1977년 부산대학교에서 정치학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4. 2. 교육 및 기업 활동
김임식은 1946년 부산상업고등학교 교사로 부임한 후 교육계에 종사했다.[2] 1953년 개성중학교 교감[2], 1961년 무안중학교 교장[2]을 역임했다. 1950년 9월에는 한국 전쟁으로 부산에 캠퍼스를 개설한 건국대학교 정치학과 3학년으로 편입하여 1952년 3월에 졸업했다.[2] 1966년 경희대학교 정치학 대학원을 졸업하고,[2] 같은 해 동의학원을 설립하여 이사장을 맡았고, 동의중학교, 동의공업고등학교를 개교했다.[2] 1972년에는 동의전문학교 (현 동의과학대학교)를,[2] 1979년에는 동의대학교 (현 동의대학교)를 설립했다.[2]1967년 흥국생명보험 사장[1][2], 1969년 한국고무공업협회 회장[1][2], 1971년 흥국생명보험 회장[1][2]을 역임하는 등 기업 활동도 활발히 했다. 1970년 2월에는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을 수료했다.[1][2]
정계 은퇴 후에는 1991년 사립학교 교원연금관리공단 이사장[1][2], 1991년 한국대학법인협의회 회장[1][2], 1992년 한국사학법인연합회 회장[1][2]을 역임하며 교육 발전에 힘썼다.
4. 3. 정치 활동
김임식은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울산군(현 울산광역시 울주군)에서 태어났다.[2] 청량보통학교, 온양보통학교, 시가 농업학교, 도쿄 전기통신 기술 전문학교 고등과를 졸업하고 1943년부터 도쿄의 군수 전기 공장에서 일했다.[2] 1944년 나가노현으로 징병되었고, 그곳에서 조선인 여성과 결혼 후 1945년 10월 부산으로 귀국, 남선전기 주식회사 부산진지점에서 근무했다.[2] 1946년 이공계 교사 공채 시험에 합격하여 부산상업고등학교 교원으로 부임했다.[2] 한국 전쟁 중 부산에 캠퍼스를 개설한 건국대학교 정치학과에 1950년 3학년으로 편입, 1952년 졸업했다.[2] 1953년 개성중학교 교감, 1961년 밀양시의 무안중학교와 초동중학교 교장을 겸임했다.[2]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부산진구 갑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2] 1966년 경희대학교 정치학 대학원을 졸업하고,[2] 같은 해 동의학원을 설립하여 이사장을 맡아 동의중학교, 동의공업고등학교를 개교했다.[2]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낙선 후, 1967년 흥국생명보험 주식회사 사장, 1969년 한국고무공업협회 회장을 역임했다.[1][2] 1970년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을 수료했다.[1][2]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재선된 후 3선 연임에 성공했으며, 제9대 국회 재무위원장, 공화당 원내 수석부총무를 역임했다.[2] 1972년 동의전문학교 (현 동의과학대학교), 1979년 동의대학교 (현 동의대학교)를 설립했다.[2] 박정희 사망 후 정계에서 은퇴, 1980년 동경물산 회장, 1991년 한국대학법인협의회 회장, 사립학교교원 연금관리공단 이사장, 1992년 한국사학법인연합회 회장을 역임했다.[1][2]
4. 4. 정계 은퇴 이후
김임식은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을 마지막으로 정계에서 은퇴하였다. 1991년 사립학교 교원연금관리공단 이사장을 맡았으며, 같은 해 한국대학법인협의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1992년에는 한국사학법인연합회 회장이 되었다.5. 평가
5. 1. 긍정적 평가
5. 2. 부정적 평가
6. 역대 선거 결과
김임식은 1963년 총선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부산 부산진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21,885표(37.64%)를 얻어 당선되었다. 1967년 총선에서는 34,294표(34.10%)를 얻었으나 낙선하였다. 1971년 총선에서는 53,320표(48.12%)를 득표하여 재선에 성공하였다.
1973년 총선에서는 부산 부산진구 선거구에서 82,810표(35.96%)를 얻어 3선 국회의원이 되었고, 1978년 총선에서는 부산 부산진구·북구 선거구에서 105,213표(33.78%)를 득표하여 4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2-08-20
[2]
웹사이트
김임식(金任植)
http://busan.grandcu[...]
2022-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